KR102398008B1 -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008B1
KR102398008B1 KR1020210170835A KR20210170835A KR102398008B1 KR 102398008 B1 KR102398008 B1 KR 102398008B1 KR 1020210170835 A KR1020210170835 A KR 1020210170835A KR 20210170835 A KR20210170835 A KR 20210170835A KR 102398008 B1 KR102398008 B1 KR 10239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extract
extract powder
powder
artemis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소민
이서현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소민
이서현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민, 이서현, 정유진 filed Critical 주소민
Priority to KR102021017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쑥 추출물의 배합 비율과 쑥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파론 함량을 조절하여 항균 활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Cleans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쑥속(Artemisia)에 포함된 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한국 내에서도 지역별로 다양한 쑥이 자라고 있다. 특정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쑥도 보고되고 있으며, 쑥은 예로부터 약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천연물로써 활용 가치도 높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쑥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쑥은 천연물로서 화장품, 식품, 의약외품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되고, 쑥의 생리 활성 효과로 항산화, 항암, 체내 지질대사 촉진, 간독성 저하 효과 등 인체에 유익한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에 의해 위생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세정제와 같은 항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화학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보다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을 주원료로 하는 제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쑥도 천연물로써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쑥이 가지는 항균 활성을 비롯한 다양한 활성 효과를 활용한 천연물 함유 제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예로 등록특허 제10-2198589호에서는 쑥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화장품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0-2318361호에서는 쑥잎을 함유한 향균 보존제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9858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2318361호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쑥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쑥 추출물을 배합하고 쑥 추출물에 포함된 특정 성분을 저감하여 쑥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추출 분말,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Artemisia Vulgaris) 추출 분말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똥쑥 추출 분말 55 내지 65 중량부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이 0.50mg/g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강화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ultivated Ganghwa-gun)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추출 분말,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추출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개똥쑥(Artemisia annua) 및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추출물을 포함하여 향균 효과가 우수하고, 복수의 쑥 추출물의 배합을 조절하고 쑥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파론의 함량을 저감하여 보다 우수한 향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스코파론 원액(A) 및 스코파론 희석액(B)의 HPLC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인진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A) 및 인진쑥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B)를 보여준다.
도 3은 개똥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A) 및 개똥쑥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B)를 보여준다.
도 4는 불가리스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A) 및 불가리스쑥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B)를 보여준다.
도 5는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A) 및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B)를 보여준다.
도 6은 애엽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A) 및 애엽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용액의 HPLC 결과(B)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개똥쑥(Artemisia annua), 불가리스쑥(Artemisia Vulgaris), 강화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ultivated Ganghwa-gun) 및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쑥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쑥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로서,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개똥쑥(Artemisia annua) 및 불가리스쑥(Artemisia Vulgaris) 각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쑥 추출물의 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후 용매를 제거한 용액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감압 건조를 통해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쑥 추출 시 원료인 쑥은 그늘진 곳에서 건조 과정을 거친 건조 상태의 쑥을 사용할 수 있고,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쇄 과정을 거친 분쇄 건조 쑥을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료로 사용하는 건조 쑥은 1 내지 10 메쉬(mesh) 크기의 분쇄된 건조 쑥이 좋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분쇄하지 않은 건조 쑥이나 10 메쉬 이상의 고운 분말 형태의 건조 쑥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쑥으로부터 쑥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방법이나 열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의 경우 물, 증류수, 에탄올 및 메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감압 건조 과정 등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매를 이용한 추출의 경우 온도는 상온(15~25℃)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와 추출 시간에 따라 15 내지 100℃의 범위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시간은 1 내지 48시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시간의 경우 사용하는 용매와 추출 온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추출횟수를 반복하여 총 추출 시간을 정할 수도 있다. 추출횟수는 사용하는 용매, 추출시간 및 추출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1회 추출 후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함량에 따라 추가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쑥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PLC 분석 조건은 쑥 추출물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성분에 따라 이동상 용매, 컬럼의 종류, 온도, UV 흡광 장치와 파장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추출 분말,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Artemisia Vulgaris) 추출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 우수한 향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진쑥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불가리스쑥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쑥보다 향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고, 이들의 혼합을 통해 향균 활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을 포함하는 세정제에서, 인진쑥 추출 분말 100 중량부 대비 개똥쑥 추출 분말 55 내지 65 중량부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의 혼합에 의해 향균 효과가 보다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의 함량이 적은 경우 향균 효과 상승이 크지 않고,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오히려 향균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복수의 쑥 추출 분말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쑥 추출 분말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이 낮을수록 향균 효과를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3종류의 분말이 혼합된 혼합 분말 내에 함유된 스코파론의 함량이 0.50mg/g이하인 경우 향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 분말에 포함된 스코파론 함량이 0.20mg/g 내지 0.50mg/g,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g/g 내지 0.50mg/g인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스코파론(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은 아래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써 여러 가지 종류의 쑥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
Figure 112021139888442-pat00001
스코파론은 혈관 이완, 경련 억제, 간 기능 향상, 면역억제, 조골세포 활성 증가, 파골세포 활성 억제, 골손실 방지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파론은 유의미한 항균 활성을 가지지 않는 성분으로서 스코파론의 함량이 낮은 쑥 추출물에서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명확하지 않으나, 항균 활성이 없는 스코파론의 함량이 낮을수록 쑥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 중 항균 활성을 가지는 성분의 활성 정도가 향상되기 때문으로 보이고,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스코파론 함량이 낮은 쑥 추출물을 활용하여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는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에 추가로, 강화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ultivated Ganghwa-gun)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강화사자발쑥은 대한민국 강화도 지역에서 자라는 쑥의 한 종류로서, 강화도 지역의 기후와 지리적 조건에 의해 다른 종류의 쑥과 구분되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화사자발쑥 추출 분말 단독으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과 함께 혼합하는 경우 보다 향상된 향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는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에 추가로,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엽은 대표적인 쑥의 한 종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엽 추출 분말 단독으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과 함께 혼합하는 경우 보다 향상된 향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의 향균 효과는 여러 유해 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고, 특히 그람 양성균(gram positive bacillu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및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에 대하여 우수한 향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은 그람 음성균(gram positive bacillus)에 대한 항균 효과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장균(Escherichia coli, E.coli)에 대하여 우수한 향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을 포함한 세정제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쑥 추출물 또는 혼합 쑥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정제수 100 내지 300 중량부, 글리세린 50 내지 150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 내지 1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2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쑥 추출물 또는 혼합 쑥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글리세린 100 내지 300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점증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면서 사용감에 맞는 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정제수 함량은 쑥 추출물 또는 혼합 쑥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200 내지 400 중량부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로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별도 정의되지 않는 부분은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 규격, 수치, 분석 또는 측정방법(JIS, ISO, ASTM, 레이저현미경, 광학전기식 측정 등)에 따라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 1] 쑥 추출물의 항균성
1. 쑥 추출물의 제조
인진쑥, 개똥쑥, 불가리스쑥, 강화사자발쑥 및 애엽 5종류의 쑥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쑥들은 모두 건조된 것을 사용하였고, 1~10메쉬 크기 정도로 분쇄하여 추출 원료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쑥 분말 5g을 100% 에탄올 80㎖과 혼합 후 3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기를 사용해 추출액을 얻었다. 추출액을 4℃,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supernatant)을 0.45㎛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액은 감압 건조 및 동결 건조를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고, 최종적으로 분말 형태의 쑥 추출물들을 얻었다.
2. 쑥 추출물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검출
HPLC를 통해 각각의 쑥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스코파론 함유의 정확한 확인을 위해 내부표준물질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표준물질로 사용할 스코파론(scoparone, 6,7-Dimethoxycoumarin)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HPLC 셋팅은 HPLC 기기(YL9100 HPLC System)를 준비하고 이동상(Mobile Phase)은 70% 메탄올, 유속(flow rate)은 1㎖/분(min), UV 파장은 274㎚, 컬럼(Column)는 C18 컬럼, 컬럼 온도는 30℃로 하였다. 분석 시료는 각각의 쑥 추출 분말을 50% 메탄올에 녹여 준비하였고, 쑥 추출물 시료 및 표준물질인 스코파론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혼합하여 HPLC 기기에 주입하였고, 머무름시간(retention time, RT)에 따른 피크(peak)를 통해 쑥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파론을 확인하였다. 먼저 스코파론 원액의 HPLC 피크를 확인하고 스코파론 원액 농도를 1/10로 희석한 후 HPLC 피크를 확인하였고, 원액은 RT(분) 4.2067에서 희석액은 RT(분) 4.1933에서 스코파론의 피크가 나타났다(도 1). 이 후 각각의 쑥 추출물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스코파론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쑥 추출물 시료의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를 통해 모든 쑥(인진쑥, 개똥쑥, 불가리스쑥, 강화사자발쑥 및 애엽) 추출물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진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400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었고, 인진쑥 추출물 시료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21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어 인진쑥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개똥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083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었고, 개똥쑥 추출물 시료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083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어 개똥쑥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불가리스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01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었고, 불가리스쑥 추출물 시료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11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어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2100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었고,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시료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181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어 강화사자발쑥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애엽 추출물 시료와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196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었고, 애엽 추출물 시료 희석액과 스코파론 희석액을 혼합한 HPLC 결과에서 RT(분) 4.1767의 스코파론 피크가 확인되어 애엽 추출 분말에 스코파론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3. 쑥 추출물의 항균성 확인
5종의 쑥 추출물의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해 균주를 배양하고 처리하였다. 균주로 그람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aureus) 및 표피포도상구균(S.epidermidis)를 사용하였고, 그람 양성균인 대장균(E.coli)를 사용하였다. 우선 평판배지로 BHI(Brain Heart Infusion agar) 배지, NA(Nutrient Agar) 배지 및 LBA(luria-bertani agar) 배지를 멸균 페트리 접시에 분주하여 응고시키고, 균주 배양물 50㎕와 각 배지 5㎖를 혼합한 중층용 배지를 각각의 응고된 배지 위에 분주하여 중층배지를 준비하였다. 균주별 배양 배지는 황색포도상구균은 BHI 배재, 표피포도상구균은 LB 배지, 대장균은 NA 배지에 분주하였다. 평판배지의 농도는 Agar 2%, 중층용 배지의 농도는 Agar 0.7%가 되도록 맞추었고, 페니실린더(peni cylinder)를 중층배지에 밀착시킨 후 그 안에 각각의 쑥 추출 분말 1g과 증류수 1000㎕를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각각 200㎕씩 나누어 분주하고, 스코파론 용액도 200㎕씩 각각 분주하였다. 이 후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페니실린더 주변의 클리어존(clear zone)의 직경을 측적하여 5종의 쑥 추출물과 스코파론의 항균성을 확인하였다.
처리 용액 클리어존(㎜)
S.aureus S.epidermidis E.coli
인진쑥 추출물 용액 14.3 13.9 10.7
개똥쑥 추출물 용액 9.8 9.3 7.1
불가리스쑥 추출물 용액 11.4 10.5 7.5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용액 7.1 7.3 6.1
애엽 추출물 용액 4.9 5.8 3.1
스코파론 용액 - - -
균주의 생육을 저지하는 클리어존이 5종의 쑥 추출물 용액에서 확인되었으나, 스코파론 용액의 경우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의 클리어존 확인이 어려웠다. 각 용액 처리 결과를 통해 5종의 쑥 추출물이 항균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항균성 활성 순서는 인진쑥 추출물, 불가리스쑥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강화사자발쑥 추출물, 애엽 추출물 순서로 확인되었다.
4. 쑥 추출물의 혼합비에 따른 항균성 확인
5종의 쑥 추출물 중 인진쑥 추출물, 불가리스쑥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의 혼합 비에 따른 항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 [표 2]와 같이 3종의 쑥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을 증류수에 녹여 항균성 측정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이 때 혼합 분말의 양에 따라 증류수의 양을 조절하여 동일한 농도를 가진 용액을 처리하였다.
혼한 분말 중량비 클리어존(㎜)
인진쑥
추출 분말
개똥쑥
추출 분말
불가리스
쑥 추출 분말
S.aureus S.epidermidis
100mg 60mg 25mg 16.3 14.9
100mg 60mg 30mg 17.1 16.2
100mg 30mg 30mg 11.4 10.2
100mg 60mg 60mg 10.7 9.9
100mg 80mg 60mg 12.8 11.7
100mg 20mg 10mg 9.5 8.8
인진쑥, 개똥숙 및 불가리스쑥 3종의 추출 분말의 혼합 중량비를 달리한 경우, 인진쑥 추출 분말 100mg 대비 개똥쑥 60mg 및 불가리스쑥 30mg을 혼합한 용액에서 가장 항균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인진쑥 추출 분말 100mg 대비 개똥쑥 60mg 및 불가리스쑥 25mg을 혼합한 용액의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인진쑥 추출 분말 100mg 대비 개똥쑥 60mg 및 불가리스쑥 60mg을 혼합한 용액과 인진쑥 추출 분말 100mg 대비 개똥쑥 80mg 및 불가리스쑥 60mg을 혼합한 용액의 경우 인진쑥 추출 분말 대비 개똥쑥과 불가리스쑥의 중량비를 증가시켰음에도 항균 활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5. 쑥 추출물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에 따른 항균성 확인
스코파론이 포함된 5종의 쑥 추출물은 향균성을 가지나, 스코파론 원액은 향균성을 가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쑥 추출물에 포함된 스코파론은 항균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쑥 추출물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의 변화에 따른 항균성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향균 활성이 우수한 인진쑥, 개똥쑥 및 불가리스쑥을 혼합하고 쑥 추출물을 추출하였고, 추출방법은 위의 방법과 동일하며 세부 추출 조건만 아래 [표 3]과 같이 달리하였다. 추출 과정에서 35℃ 추출은 진탕배양기를 사용하고, 100℃ 추출은 환류냉각추출기를 사용하였다. 각 추출 조건에 따라 얻은 추출 분말 1g 당 스코파론 함량을 확인하였다.
원료* 용매 온도
(℃)
시간
(h)
횟수
(회)
건조 추출 분말 1g당 스코파론 함량(mg)
15g 물 300㎖ 100 4 1 0.21
15g 물 300㎖ 100 4 2 0.29
15g 물 300㎖ 35 24 1 0.34
15g 물 300㎖ 35 24 2 0.44
15g 100% 에탄올 300㎖ 100 4 1 0.61
15g 100% 에탄올 300㎖ 100 4 2 0.69
15g 100% 에탄올 300㎖ 35 24 1 0.71
15g 100% 에탄올 300㎖ 35 24 2 0.77
15g 75% 에탄올 300㎖ 100 4 1 0.61
15g 75% 에탄올 300㎖ 100 4 2 0.64
15g 75% 에탄올 300㎖ 35 24 1 0.74
15g 75% 에탄올 300㎖ 35 24 2 0.81
15g 50% 에탄올 300㎖ 100 4 1 0.66
15g 50% 에탄올 300㎖ 100 4 2 0.69
15g 50% 에탄올 300㎖ 35 24 1 0.78
15g 50% 에탄올 300㎖ 35 24 2 0.84
15g 25% 에탄올 300㎖ 100 4 1 0.30
15g 25% 에탄올 300㎖ 100 4 2 0.34
15g 25% 에탄올 300㎖ 35 24 1 0.37
15g 25% 에탄올 300㎖ 35 24 2 0.42
* 원료는 분쇄 건조 인진쑥 5g, 분쇄 건조 개똥쑥 5g 및 분쇄 건조 불가리스쑥 5g을 혼합하여 준비함.
위의 추출 결과에 따르면 추출 조건에 따라 추출 분말에 함유된 스코파론 함량이 달라졌다.
쑥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파론 함량이 항균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스코파론 함량이 다른 추출 분말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은 앞서 수행한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황색포도상구균(S.aureus) 및 표피포도상구균(S.epidermidi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건조 추출 분말 1g당 스코파론 함량(mg) 클리어존(㎜)
S.aureus S.epidermidis
0.21 12.1 12.3
0.34 14.4 14.1
0.61 10.7 10.1
0.71 10.9 11.1
0.61 10.4 10.2
0.74 10.7 10.5
0.66 10.1 9.9
0.78 11.1 11.3
0.30 13.8 13.7
0.42 14.9 15.1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0.21mg/g ~ 0.42mg/g 범위의 스코파론 함량이 포함된 쑥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0.61mg/g ~ 0.78mg/g 범위의 스코파론 함량이 포함된 쑥 추출물의 항균 활성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통해 스코파론 함량을 저감하는 경우 쑥 추출물에 의한 항균 활성을 상승시킬 수 있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실시예 2] 쑥 추출물을 포함한 세정제의 제조
인진쑥 추출 분말 100g, 개똥쑥 추출 분말 65g,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 35g, 정제수 400g, 글리세린 200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g, 계면활성제 100g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천연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쑥 추출물을 포함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인진쑥 추출 분말 100g, 개똥쑥 추출 분말 65g,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 35g, 글리세린 400g, 부틸렌글리콜 400g 및 폴리머 점증제 5g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면서 사용감에 맞는 농도로 조절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6)

  1.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추출 분말,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쑥(Artemisia Vulgaris) 추출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인진쑥 추출 분말, 상기 개똥쑥 추출 분말 및 상기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이 0.50mg/g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똥쑥 추출 분말 55 내지 65 중량부 및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강화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ultivated Ganghwa-gun)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 분말을 더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6. 인진쑥(Artemisia campestris) 추출 분말,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 분말 및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추출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인진쑥 추출 분말, 상기 개똥쑥 추출 분말 및 상기 불가리스쑥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에 포함된 스코파론의 함량이 0.50mg/g이하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70835A 2021-12-02 2021-12-02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9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35A KR102398008B1 (ko) 2021-12-02 2021-12-02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35A KR102398008B1 (ko) 2021-12-02 2021-12-02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008B1 true KR102398008B1 (ko) 2022-05-16

Family

ID=8179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835A KR102398008B1 (ko) 2021-12-02 2021-12-02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737B1 (ko) 2022-07-05 2022-10-11 주식회사 서연크린테크 카카오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98B1 (ko) * 2011-08-12 2012-01-12 주식회사 예지미인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2198589B1 (ko) 2020-08-24 2021-01-05 주식회사 아이디플라코스메틱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1B1 (ko) 2021-05-13 2021-10-2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98B1 (ko) * 2011-08-12 2012-01-12 주식회사 예지미인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2198589B1 (ko) 2020-08-24 2021-01-05 주식회사 아이디플라코스메틱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1B1 (ko) 2021-05-13 2021-10-2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세정제 제품(엘렌실라 코즈미 클리어랩 인진쑥 클렌저)상세정보(2020.3. 공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737B1 (ko) 2022-07-05 2022-10-11 주식회사 서연크린테크 카카오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목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esina et al. Antimicrobi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Acalypha wilkesiana and Acalypha hispida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US10321689B2 (en) Antimicrobi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525976B1 (ko)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654521B1 (ko) 황백 유효 성분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황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위생 용품
KR2018001161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98008B1 (ko) 쑥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799A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1173A (ko) 녹차 추출물 및 유산균, 그 배양물, 그 파쇄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CN116602896B (zh) 一种天然植物防腐功效的自微乳化液及其制备方法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190027641A (ko)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6888A (ko) 황근 추출물, 황근 추출물의 분획물 및 황근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5055B1 (ko)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KR102186798B1 (ko) 상수리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미백 기능성 조성물
KR101749593B1 (ko)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211669B1 (ko)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WO2022085847A1 (ko)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9875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59004B1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6114A (ko)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