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918B1 -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918B1
KR102396918B1 KR1020210109139A KR20210109139A KR102396918B1 KR 102396918 B1 KR102396918 B1 KR 102396918B1 KR 1020210109139 A KR1020210109139 A KR 1020210109139A KR 20210109139 A KR20210109139 A KR 20210109139A KR 102396918 B1 KR102396918 B1 KR 10239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shock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2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mechanical protection, e.g. resistance to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통신장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신장비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통신장비가 용이하게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MITIGATING SHOCK AND VIBRATION FOR AIRCRAFT COMMUNICATION EQUIMENT}
본 발명은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구비되는 군용 통신장비가 용이하게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용 항공기에는 통신장비가 구비된다. 이에, 군용 항공기의 탑승자가 지상의 통신소 또는 다른 항공기와 통신하거나, 항공기 내 다수의 탑승자들이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통신장비는 군용 항공기 내에 설치되는 장착대에 지지시켰다. 즉, 통신장비를 장착대에 볼트 결합하여 고정하였다. 이에, 작업자가 통신장비를 장착대에 고정시키거나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착대에 통신장비를 설치하거나, 통신장비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군용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장착대를 통해 통신장비에 진동이나 충격이 쉽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13-0042303 A
본 발명은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통신장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신장비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통신장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신장비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장비를 상기 받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측에 이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통신장비와의 접촉에 의해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한 눌림부재; 및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눌림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장비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눌림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1 복귀체; 및 상기 눌림부재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2 복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귀체가 수축하면 상기 제2 복귀체는 신장하고, 상기 제1 복귀체가 신장하면 상기 제2 복귀체는 수축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눌림부재에 연결되는 결합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체에 연결되는 경로체; 중심부를 상기 경로체가 관통하고,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경로체에 지지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통신장비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걸릴 수 있는 고정체; 및 상기 결합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결합체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결합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 가능한 조절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결합체 사이에서 신장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장수축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통신장비와 접촉 가능한 받침부재; 상기 통신장비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통신장비가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 통신장비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를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 설치하거나, 통신장비를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서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가 통신장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통신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의 수명이 연장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와 지지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와 지지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는,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1000)는 받침부(1100), 지지부(1200), 및 고정부(13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해하기 위해 통신장비(5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장비(50)는 군용 항공기에 탑재될 수 있다. 통신장비(50)는 무선으로 군용 항공기의 탑승자와 지상의 통신소 또는 다른 항공기 사이를 통신시키거나, 항공기 내 다수의 탑승자들 사이를 통신시켜줄 수 있다. 통신장비(50)는, 본체부(51), 돌출부(52), 및 날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1)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1)의 내부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비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5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돌출부(52)는 본체부(51)의 일면(또는, 전면)에서 외측(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2)는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재(52a), 및 제1 돌출부재(52a)의 일단(또는, 전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제2 돌출부재(5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52)가 고정부(1300)에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52)는 한 쌍이 구비되어, 본체부(51)의 일면의 하부에서 연결되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1300)가 한 쌍의 돌출부(52)를 각각 잡아 통신장비(50)의 양측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통신장비(50)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52)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날개부(53)는 한 쌍이 구비되어 본체부(51)의 양측면(또는,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날개부(53)들은 본체부(51) 양측면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53)들은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53)들은 본체부(51)의 양측면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부(51)의 하부면과 함께 받침부(110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날개부(53)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받침부(1100)는 통신장비(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받침부(11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받침부(1100)는, 받침부재(1110), 가이드부재(1120), 및 스토퍼부재(113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110)는 통신장비(50)와 접촉할 수 있다. 받침부재(1110)는, 받침플레이트(1111), 및 받침대(1112)를 포함한다.
받침플레이트(1111)는 통신장비(50)의 하부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통신장비(50)의 하부면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플레이트(111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의 하부면이 받침플레이트(111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거나, 통신장비(50)의 하부면 전체가 받침플레이트(1111)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받침플레이트(1111)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받침플레이트(1111)의 중심부에는 개구(1111a)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1111a)는 통신장비(50)가 받침플레이트(111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방향인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개구(1111a) 내에 고정부(130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받침플레이트(11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받침대(1112)는 받침플레이트(1111)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11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4개가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1111)의 4개의 모서리 각각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플레이트(1111)가 받침대(1112)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받침대(1112)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20)는 받침부재(1110)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1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받침부재(1110)의 양측면(또는,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1110)들은 받침부재(1110)가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120)는 통신장비(5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는 가이드부재(1120)에 의해 받침부재(1110) 상에서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하면서 통신장비(50)가 받침부재(1110) 양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20)에는 보조가이드(1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가이드(1121)는 받침부재(1110)의 상부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고, 가이드부재(1120)의 벽체에서 받침부재(1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의 날개부(53)가 보조가이드(1121)와 받침부재(11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보조가이드(112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받침부재(1110)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나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11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1130)는 받침부재(1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30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30)가 받침부재(1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받침부재(1110)는 고정부재(1330)와 대향되도록 받침부재(11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1130)는 받침부재(1110)의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받침부재(111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통신장비(50)가 스토퍼부재(1130)에 의해 받침부재(1110)의 일측(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스토퍼부재(1130)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제한되어 슬라이딩하면서 받침부재(1110)의 일측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부재(113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받침부(1100)를 지지한다. 지지부(1200)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0)가 받침부(110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0)는 와이어로프 완충기를 포함하거나 면진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을 지지부(1200)가 흡수하거나 완충하여 통신장비(5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지지부(1200)는, 제1 지지부재(1210), 제2 지지부재(1220), 및 완충부재(12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210)는 받침부(1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1 지지부재(1210)가 받침부(1100)의 받침대(1112)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0)는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하나는 전방에 배치되는 받침대(1112)들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후방에 배치되는 받침대(1112)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부재(121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20)는 제1 지지부재(1210)의 하측에 이격되고, 비행기 내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지지부재(1220)의 상부면은 제1 지지부재(1210)의 하부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하로 이격되고, 제2 지지부재(1220)의 하부면은 비행기 내부의 바닥이나 설치공간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제2 지지부재(1220)는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20)는 제1 지지부재(121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제1 지지부재(121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부재(122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완충부재(1230)는 제1 지지부재(1210)와 제2 지지부재(1220)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제1 지지부재(1210)와 제2 지지부재(1220)가 완충부재(1230)에 의해 연결되어, 제2 지지부재(1220)가 제1 지지부재(121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완충부재(1230)는 제1 지지부재(1210)나 제2 지지부재(1220)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제1 지지부재(1210)와 제2 지지부재(1220)를 연결해줄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23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230)는 스프링 형상의 와이어로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1210)와 제2 지지부재(1220) 사이에서 완충부재(1230)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비행기를 운용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부재(1230)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통신장비(50)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1230)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200)가 통신장비(5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통신장비(50)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의 수명이 연장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고정부(1300)는 통신장비(5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통신장비(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부(1100)에 설치된다. 즉, 고정부(1300)가 통신장비(50)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받침대(1112) 상에서 통신장비(50)의 위치에 따라 고정부(1300)의 일부가 통신장비(50)를 고정시키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통신장비(50)에서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와 같이 고정부(1300)는, 눌림부재(1310), 힌지부재(1320), 및 고정부재(1330)를 포함한다.
힌지부재(1320)는 받침부(1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힌지부재(1320)는 눌림부재(1310)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재(1320)는 받침부(1100)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힌지몸체, 및 일단이 힌지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눌림부재(1310)를 관통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힌지몸체가 구비되어 개구(1111a)의 좌우방향 길이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힌지몸체들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이 힌지몸체들 사이의 눌림부재(13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눌림부재(13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힌지부재(13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눌림부재(1310)는 일측이 받침부(11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눌림부재(1310)의 일측은 통신장비(50)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즉,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를 안착시켜 슬라이딩시키면,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통신장비(50)와 접촉할 수 있고,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통신장비(5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눌림부재(1310)의 타측에는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눌림부재(1310)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눌림부재(13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눌림부재(1310)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눌림부재(1310)의 경사면이 고정부재(133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통신장비(50)가 눌림부재(1310)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이에, 개구(1111a) 상측으로 돌출되었던 눌림부재(1310)가 개구(1111a)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통신장비(50)가 스토퍼부재(1130)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눌림부재(13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부재(1330)는 눌림부재(1310)의 이동에 연동하여 눌림부재(1310)의 일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눌림부재(131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에,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면 고정부재(1330)는 상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통신장비(50)와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고,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상측으로 회전 이동하면 고정부재(1330)는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통신장비(50)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30)와 통신장비(50)가 서로 마주볼 때, 통신장비(50)에 구비되는 돌출부(52)가 고정부재(1330)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고정부재(1330)에 의해 고정되어, 고정부재(1330)와 스토퍼부재(1130) 사이에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고정부재(1330)는, 고정체(1331), 이동체(1332), 경로체(1333), 결합체(1334), 및 조절체(1335)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재(1330)는 통신장비(50)에 돌출부(52)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52)들 각각이 서로 다른 고정부재(133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결합체(1334)는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에 나사산일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체(1334)는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1334)의 일단은 경로체(1333)에 연결되고, 타단은 눌림부재(1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결합체(1334)는 눌림부재(1310)의 이동에 연동할 수 있고, 결합체(1334)에 연결된 경로체(1333)와, 경로체(1333)에 지지되는 이동체(1332), 및 이동체(1332)에 연결되는 고정체(1331)가 모두 눌림부재(1310)의 타측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경로체(1333)는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막대일 수 있다. 경로체(1333)는 이동체(13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이동체(1332)가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경로체(1333)의 일단에는 이동체(1332)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플레이트(1333a)가 구비되고, 타단은 결합체(1334)와 연결될 수 있다. 제한플레이트(1333a)는 이동체(1332)에 구비되는 관통홀보다 면적이 클 수 있다. 이에, 이동체(1332)는 제한플레이트와 결합체(1334) 사이에서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경로체(133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체(1332)는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경로체(1333)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이동체(1332)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경로체(1333)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13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체(1331)는 이동체(1332)에서 통신장비(50)에 구비되는 돌출부(52)를 향하여 돌출되고, 돌출부(5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돌출부(52)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1331)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벽체에서 내측 중심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의 돌출부(52)가 고정체(1331)의 돌기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고정체(13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체(1335)는 결합체(1334)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고정체(13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이동체(1332)에서 결합체(1334)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체(1335)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벽체에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체(1335)는 고정체(1331)보다 직경이 작고, 경로체(133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체(1335)는 이동체(13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체(1332)를 결합체(1334) 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절체(1335)가 결합체(133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절체(1335)가 결합체(1334)에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체(1335)의 내부에 결합체(133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절체(13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에 의해 조절체(1335)가 결합체(1334)에 끼워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조절체(1335)의 내부에 결합체(1334)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체(13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에 의해 조절체(1335)가 결합체(1334)로부터 풀어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1331)에 돌출부(52)를 끼울 때는 조절체(1335)를 시계방향으로 조여 고정체(1331)를 돌출부(52)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고정체(1331)를 돌출부(52)에서 풀 때는 조절체(1335)를 반시계방향으로 풀어 고정체(1331)를 돌출부(52)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절체(133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330)는 신장수축체(133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신장수축체(1336)는 이동체(1332)와 결합체(13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신장수축체(1336)는 이동체(1332)를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체(1332)가 이동 가능한 방향(또는, 전후방향)을 따라 신장수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신장수축체(1336)는 스프링일 수 있고, 경로체(133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신장수축체(1336)는 이동체(1332)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1331)가 통신장비(50)의 돌출부(52)와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부(52)가 고정체(1331)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이동체(1332)를 작업자가 후방으로 밀면 신장수축체(1336)가 수축하면서 고정체(1331)가 돌출부(52) 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부(52)가 고정체(1331)에 걸릴 수 있다. 결합체(1334)에 조절체(1335)가 체결되면 신장수축체(1336)는 수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체(1334)에서 조절체(1335)를 풀어주면 신장수축체(1336)가 신장하면서 이동체(1332)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돌출부(52)와 고정체(1331)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신장수축체(1336)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도 4와 같이 복귀부재(1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눌림부재(1310)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귀부재(1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 상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눌림부재(1310)가 복귀부재(1340)에 의해 받침부(1100)를 상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귀부재(1340)는, 제1 복귀체(1341), 및 제2 복귀체(1342)를 포함한다.
제1 복귀체(1341)는 지지부(1200) 상에 지지되어 눌림부재(1310)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복귀체(1341)가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받침대(1112)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가 지지부(1200)의 후방의 제1 지지부재(1210)에 연결되고, 상부가 눌림부재(1310)의 일측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복귀체(1341)는 상하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귀체(1341)는 스프링일 수 있다.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가 안착되지 않을 때는 제1 복귀체(1341)가 눌림부재(1310)의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 눌림부재(1310)의 타측이 받침부(1100)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가 안착되면 통신장비(50)의 하중에 의해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하측으로 밀리면서 제1 복귀체(1341)가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에서 분리되면 수축되었던 제1 복귀체(1341)가 신장하면서 눌림부재(1310)의 일측을 통신장비(50)가 가압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복귀체(1342)는 지지부(1200) 상에 지지되어 눌림부재(1310)의 타측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복귀체(1342)가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받침대(1112)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가 전방에 위치한 지지부(1200)의 제1 지지부재(1210)에 연결되고, 상부가 눌림부재(1310)의 타측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복귀체(1342)는 상하로 신장수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복귀체(1342)는 스프링일 수 있다.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가 안착되지 않을 때는 제2 복귀체(1342)가 눌림부재(1310)의 타측을 하측으로 당겨 눌림부재(1310)의 타측이 받침부(1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가 안착되면 통신장비(50)의 하중에 의해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하측으로 밀리면서 눌림부재(1310)의 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복귀체(1341)가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에서 분리되면 신장되었던 제2 복귀체(1342)가 수축하면서 눌림부재(1310)의 타측을 통신장비(5)가 가압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복귀체(1341)가 수축하면 제2 복귀체(1342)는 신장하고, 제1 복귀체(1341)가 신장하면 제2 복귀체(1342)는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눌림부재(131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눌림부재(131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 복귀체(1341)와 제2 복귀체(1342)가 함께 눌림부재(1310)의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눌림부재(1310)가 통신장비(50)에 눌렸다가 통신장비(50)가 분리될 때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복귀부재(13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1000)에 통신장비(50)가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를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1000)에 설치하거나, 통신장비(50)를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1000)에서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와 같이 통신장비(50)를 고정부(1300) 상에 안착시키기 전에, 눌림부재(1310)의 타측이 받침부(1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고정부재(1330)는 하측으로 내려간 상태이다. 도 4(b)와 같이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 안착시키고 후방으로 밀면, 눌림부재(1310)의 일측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눌림부재(1310)의 타측과 연결된 고정부재(13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통신장비(50)의 돌출부(52)와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1330)의 고정체(1331)는 도 5의 (a)와 같이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이지만, 작업자가 도 5의 (b)와 같이 고정체(1331)를 돌출부(52) 측으로 밀 수 있다. 이에, 고정체(1331)에 돌출부(52)가 걸릴 수 있다. 통신장비(50)는 고정부재(1330), 가이드부재(1120), 및 스토퍼부재(11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 분리시키는 과정은 고정시키는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300)는 자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자성부재는 자기력으로 통신장비(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받침부(11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부재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받침부(1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착홈 각각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자성부재들은 받침부(1100)에 구비되는 개구(1111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100) 상에 통신장비(50)를 안착시키면, 자성부재들이 발생시키는 자기력에 의해 통신장비(50)의 하부면에서 복수의 부분이 고정되어 통신장비(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통신장비(50)의 본체부(51)는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51)에서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영역이 복수개 구비되고 자성부재들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 안착시키면, 본체부(51)에서 금속재질이나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영역이 자기력에 의해 각각 자성부재들이 배치되는 위치에 맞춰질 수 있기 때문에,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 상에서 정위치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받침부(1100) 상에서 통신장비(50)의 정렬을 맞추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성부재는 자석 대신 전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자석은 전력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거나 자기력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 고정할 때는 자성부재에 전력을 공급하여 자기력으로 통신장비(50)를 고정시키고, 통신장비(50)를 받침부(1100) 상에서 분리할 때는 자성부재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통신장비(5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고정부재(1330)와 자성부재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통신장비(5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장비(50)가 받침부(1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1100: 받침부
1200: 지지부 1300: 고정부
1310: 눌림부재 1320: 힌지부재
1330: 고정부재

Claims (11)

  1.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통신장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신장비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통신장비와의 접촉에 의해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한 눌림부재, 및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눌림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장비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2. 항공기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통신장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받침부;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통신장비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장비를 상기 받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통신장비와의 접촉에 의해 일측이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한 눌림부재, 및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눌림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통신장비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측에 이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에 상측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눌림부재의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1 복귀체; 및
    상기 눌림부재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신장수축 가능한 제2 복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귀체가 수축하면 상기 제2 복귀체는 신장하고, 상기 제1 복귀체가 신장하면 상기 제2 복귀체는 수축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눌림부재에 연결되는 결합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체에 연결되는 경로체;
    중심부를 상기 경로체가 관통하고,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경로체에 지지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통신장비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걸릴 수 있는 고정체; 및
    상기 결합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체에서 상기 결합체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결합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 가능한 조절체;를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결합체 사이에서 신장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장수축체를 더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통신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통신장비와 접촉 가능한 받침부재;
    상기 통신장비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통신장비가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KR1020210109139A 2021-08-19 2021-08-19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KR10239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39A KR102396918B1 (ko) 2021-08-19 2021-08-19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39A KR102396918B1 (ko) 2021-08-19 2021-08-19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918B1 true KR102396918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39A KR102396918B1 (ko) 2021-08-19 2021-08-19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9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2A (ja) * 1995-06-23 1997-01-07 Sankyo Alum Ind Co Ltd 障子の引き寄せロック装置
JPH09226473A (ja) * 1996-02-28 1997-09-02 Ekushingu:Kk 音響製品の振動防止取付構造
KR20010078611A (ko) * 2000-02-09 2001-08-21 박종섭 통신기지단말기용 레벨러의 진동 흡수 장치
KR20070028214A (ko) * 2005-09-07 2007-03-12 나가바야시 가부시키가이샤 수납구
KR20130042303A (ko)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2A (ja) * 1995-06-23 1997-01-07 Sankyo Alum Ind Co Ltd 障子の引き寄せロック装置
JPH09226473A (ja) * 1996-02-28 1997-09-02 Ekushingu:Kk 音響製品の振動防止取付構造
KR20010078611A (ko) * 2000-02-09 2001-08-21 박종섭 통신기지단말기용 레벨러의 진동 흡수 장치
KR20070028214A (ko) * 2005-09-07 2007-03-12 나가바야시 가부시키가이샤 수납구
KR20130042303A (ko) 2011-10-18 2013-04-26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782B1 (ko) 조정 가능한 자기 부력 중력 보상 장치
KR101568162B1 (ko) 수직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RU2639849C1 (ru) Вертик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ужинной опоры для сцепки
KR101518810B1 (ko) 내진용 완충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20170061020A (ko) 지반 연동판이 장착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1419308B1 (ko)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101415876B1 (ko) 변전설비용 내진 방진구
KR102396918B1 (ko)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CN105276073B (zh) 一种用于光学载荷的多维多级减振装置
KR101657267B1 (ko) 지중 무정전공법을 위한 탄성방식 엘보개폐장치
TWI781981B (zh) 具有輸送止動器的光學配置,尤其是微影系統
KR20180128710A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101664679B1 (ko) 방진장치
KR101780055B1 (ko)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부유 궤도 장치 및 부유 궤도 시공방법
KR20110131969A (ko) 가스스프링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압축장치
KR101945278B1 (ko) 송배전용 애자
KR101803898B1 (ko) 부유 궤도 장치, 부유 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KR101857484B1 (ko) 수배전반을 위한 수평 내진력과 수직 내진력을 제공하는 내진 시스템과 내진장치
EP1382468B1 (en) Suspension system
US2678797A (en) Vibration and shock isolator
JP6853533B2 (ja) 防振架台及びその固定構造
KR101925600B1 (ko) 단계별 변위에 저항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CN110249713B (zh) 插入光源
KR101554930B1 (ko) 방진 마운트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