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303A -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303A
KR20130042303A KR1020110106529A KR20110106529A KR20130042303A KR 20130042303 A KR20130042303 A KR 20130042303A KR 1020110106529 A KR1020110106529 A KR 1020110106529A KR 20110106529 A KR20110106529 A KR 20110106529A KR 20130042303 A KR20130042303 A KR 20130042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frame
bracket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303A/ko
Publication of KR2013004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장착하는 고정장치으로서, 통신장비의 측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함체 내부 측부에 구비한 프레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함체의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재에 각각 걸어서 거치하는 제1 및 제2 걸림홀과, 다른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함체의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통신장비용 고정장치{FASTENING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1차 거치시킨 후, 2차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킨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을 많이 발생하는 옥외용 통신시스템인 이동통신 중계기의 HPA(High Power Amplifier)와 LPA(Linear Power Amplifier) 및 디지털 처리부 등의 통신장비는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함체 내부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통신장비용 함체는 다양한 기능 통신장비를 장착하기 위한 랙부와, 바퀴가 달린 받침대와, 상기 랙부의 상부에 설치된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랙부에 통신장비를 삽입한 상태로 통신장비의 측부에 장착된 브라켓과 랙부를 볼트 결합하여 통신장비를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장비용 함체는 작업자가 통신장비를 함체에 고정하기 위해, 한손으로는 통신장비를 불안정하게 받친 상태로 다른 한손으로는 통신장비의 브라켓을 랙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해야 하며, 이에 통신장비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에,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2인 1조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장비에 구비된 브라켓을 개선하여 함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1차로 걸어서 지지시킨 다음, 볼트 결합함으로써 작업성을 증대시킨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함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장착하는 고정장치은 통신장비의 측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함체 내부 측부에 구비한 프레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함체의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재에 각각 걸어서 거치하는 제1 및 제2 걸림홀과, 다른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함체의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장비의 측부에 구비한 브라켓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통신장비를 함체 내부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작업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용 고정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함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장착하는 고정장치은 통신장비의 측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함체 내부 측부에 구비한 프레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함체의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재에 각각 걸어서 거치하는 제1 및 제2 걸림홀과, 다른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함체의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측에 제1 걸림홀을 형성하고 하측에 제1 고정홀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걸림홀은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하측에 제2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측에 제2 고정홀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홀은 하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홀의 개방된 입구에는 고정부재가 걸림되게 걸림턱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홀 또는 제1 및 제2 고정홀은 장홀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용 고정장치(100)은 통신장비(20)를 함체(10) 내부에 일차 걸어서 거치시킨 다음,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며, 이에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함체(10)는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정면을 제외한 나머지면을 패널을 통해 마감하며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결합홀(11a)을 형성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구비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진다.
통신장비(20)는 전기 전자 및 통신기구로, 함체 내부에 상하로 적층되게 구비한다.
통신장비용 고정장치(100)은 함체(10) 내부에 통신장비(20)를 장착하는 것으로, 통신장비(20)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10)(120)을 함체(10)의 프레임(11)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10)(120)은 함체(10)의 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홀(11a)에 먼저 결합한 고정부재(130)에 각각 걸어서 거치하는 제1 및 제2 걸림홀(111)(121)과, 다른 고정부재(130)가 관통하여 함체(10)의 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홀(11a)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112)(12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브라켓(110)은 상측에 제1 걸림홀(111)을 형성하고, 하측에 제1 고정홀(11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걸림홀(111)은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120)은 하측에 제2 걸림홀(121)을 형성하고, 상측에 제2 고정홀(12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걸림홀(121)은 하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볼트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홀(111)과 제2 걸림홀(121)의 입구 측에는 제1 걸림홀(111)과 제2 걸림홀(121)에 삽입된 고정부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하는 걸림턱(113)(123)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113)(123)을 통해 상기 제1 걸림홀(111)과 제2 걸림홀(121)에 고정부재(130)를 걸어서 거치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홀(111)(121) 또는 제1 및 제2 고정홀(112)(122)은 장홀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브라켓(110)(1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홀(111)(121) 또는 제1 및 제2 고정홀(112)(122)과 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홀(11a)의 위치 오차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통신장비용 고정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0)를 함체(10)의 양측에 구비한 프레임(11)의 결합홀(11a)에 각각 결합한다. 이때 왼쪽에 위치하는 프레임(11)에 결합하는 고정부재(130)는 오른쪽 프레임(11)에 결합하는 고정부재(130) 보다 한 단계 높게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10) 내부에 통신장비(20)를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한다. 이때, 제2 브라켓(110)이 위치한 통신장비(20)의 왼쪽이 상부에 위치하게 통신장비(20)를 기울인다.
다음으로, 함체(10)의 왼쪽 프레임(11)에 결합한 고정부재(130)에 통신장비(20)의 제1 브라켓(110)에 형성한 제1 걸림홀(121)을 결합하여 고정부재(130)에 제1 브라켓(110)을 걸림되게 거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장비(20)를 수평하게 회전시키면서 제2 브라켓(120)의 제2 걸림홀(121)을 함체(10)의 오른쪽 프레임(11)에 결합한 고정부재(130)에 결합하여 제2 브라켓(120)을 고정부재(130)에 걸림되게 거치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30)에 제1 및 제2 브라켓(110)(120)을 거치하면, 작업자가 통신장비(20)를 들고 있어야 할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고정부재(130)를 제1 브라켓(110)의 제1 고정홀(112) 및 제2 브라켓(120)의 제2 고정홀(122)을 통해 프레임(11)에 결합하여 통신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한명의 작업자가 통신장비를 안정적으로 함체 내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통신장 비용 고정장치 110: 제1 브라켓
120: 제2 브라켓 130: 고정부재

Claims (4)

  1. 함체 내부에 통신장비를 장착하는 고정장치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은 통신장비의 측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함체 내부 측부에 구비한 프레임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함체의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재에 각각 걸어서 거치하는 제1 및 제2 걸림홀과, 다른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함체의 프레임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로 이루어지는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측에 제1 걸림홀을 형성하고 하측에 제1 고정홀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걸림홀은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하측에 제2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측에 제2 고정홀을 형성하되, 상기 제2 걸림홀은 하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홀의 개방된 입구에는 고정부재가 걸림되게 걸림턱을 형성하는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홀 또는 제1 및 제2 고정홀은 장홀로 이루어지는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KR1020110106529A 2011-10-18 2011-10-18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KR20130042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29A KR20130042303A (ko) 2011-10-18 2011-10-18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29A KR20130042303A (ko) 2011-10-18 2011-10-18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03A true KR20130042303A (ko) 2013-04-26

Family

ID=4844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529A KR20130042303A (ko) 2011-10-18 2011-10-18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30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36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간격조절이 용이한 캐비닛
KR20160001835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소음방지부를 구비한 캐비닛
KR20160001834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캐비닛의 네임플레이트 조립체
KR102314838B1 (ko) 2021-04-01 2021-10-19 송관권 터널 비개착공법
KR102364887B1 (ko) 2021-06-14 2022-02-18 송관권 터널 비개착 일체식 압입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 일체식 가설구조물
KR102396918B1 (ko) 2021-08-19 2022-05-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36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간격조절이 용이한 캐비닛
KR20160001835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소음방지부를 구비한 캐비닛
KR20160001834U (ko)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서우시스템 캐비닛의 네임플레이트 조립체
KR102314838B1 (ko) 2021-04-01 2021-10-19 송관권 터널 비개착공법
KR102364887B1 (ko) 2021-06-14 2022-02-18 송관권 터널 비개착 일체식 압입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 일체식 가설구조물
KR102396918B1 (ko) 2021-08-19 2022-05-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항공기 통신장비의 충격진동 완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2303A (ko) 통신장비용 고정장치
EP2491229A1 (en) Cable support hook
US20080099635A1 (en) Cable management guide
CN215935203U (zh) 便于重型电信设备装配的架杆安装系统
CA2794007A1 (en) A bracket
CN101873787A (zh) 风扇固定装置
JP2018161461A (ja) 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CN103118517A (zh) 夹持装置及使用该夹持装置的布线箱
CN204855604U (zh) 电表箱用安装支架
AU2012101568A4 (en) Wall hanging structure and converter including wall hanging structure
CN217406388U (zh) 电气设备、电气设备挂装系统和光伏电站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CN105538277A (zh) 一种多功能电力工具存放支架
JP5635899B2 (ja) ハゼ用取付具
CN105071016B (zh) 一种天线支架
JP2015005657A (ja) 機器ユニット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101691401B1 (ko) 복수의 체결 방식을 지원하는 전기 모듈
JP2013110911A (ja) 壁面据付機器のキャビネット構造
US20230055167A1 (en) Universal hardware mount
CN203441940U (zh) 上架设备的固定装置
CN216355308U (zh) 一种控制柜用快速锁紧装置
CN204806536U (zh) 壁挂设备及系统
JP2015005656A (ja) 機器ユニット収納用キャビネット
TW201524313A (zh) 理線裝置
JP2012084605A (ja) 分離可能なポスト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