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449B1 -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449B1
KR102396449B1 KR1020210135032A KR20210135032A KR102396449B1 KR 102396449 B1 KR102396449 B1 KR 102396449B1 KR 1020210135032 A KR1020210135032 A KR 1020210135032A KR 20210135032 A KR20210135032 A KR 20210135032A KR 102396449 B1 KR102396449 B1 KR 10239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module
unit
contain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영
Original Assignee
최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영 filed Critical 최승영
Priority to KR102021013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피자와 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복수열로 각각 보관하도록 하고, 복수열의 냉동피자와 수용용기를 복수열의 해동부와 가열부 각각에 분배하여 동시에 조리하며, 조리된 냉동피자가 각 열의 토출부를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 개수의 피자를 빠르게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동피자 자동판매기{A Vending Machine for Frozen Pizza}
본 발명은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피자와 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복수열로 각각 보관하도록 하고, 복수열의 냉동피자와 수용용기를 복수열의 해동부와 가열부 각각에 분배하여 동시에 조리하며, 조리된 냉동피자가 각 열의 토출부를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 개수의 피자를 빠르게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피자는 밀가루 반죽 위에 토마토, 치즈, 피망, 고기, 향료 따위를 얹어 둥글고 납작하게 구운 파의 모양의 식품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인기식품이다.
이에 따라, 피자는 전문피자점에서 판매될 뿐만 아니라 마트 등에서도 쉽게 구입하여 가정에서 해동, 가열하는 형태로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다만, 피자 위에 얹어지는 토마토, 치즈, 피망, 고기 등의 재료는 상온에서 쉽게 변질되는 문제가 있어 냉동상태로 유통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배달 등의 비대면 판매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을 무인으로 판매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판기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커피, 음료, 기타 식품이나 제품 등 단순히 수용된 물건을 결제 후 제공하는 자판기가 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피자, 햄버거와 같이 간편 조리가 가능한 식품을 냉동상태로 보관하여 자판기 내에서 해동, 가열하여 판매할 수 있는 자판기도 개발되고 있다.
다만,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경우 한번에 하나의 피자만을 조리할 수 있어 그 시간이 오래걸리고 많은 이용자가 한꺼번에 주문할 경우 긴 대기시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이용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005990호(2019. 07. 25. 등록)"피자자판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냉동피자와 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복수열로 각각 보관하도록 하고, 복수열의 냉동피자와 수용용기를 복수열의 해동부와 가열부 각각에 분배하여 동시에 조리하며, 조리된 냉동피자가 각 열의 토출부를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 개수의 피자를 빠르게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열의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컨베이어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부 및 가열부에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다수의 냉동피자에 대한 동시 조리가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용기에 대한 냉동피자의 투입과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에 대한 해동부로의 투입이 정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가 수용용기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이격된 공간으로 상부의 열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냉동피자의 조리가 고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를 수용한 수용용기가 해동부에서 가열부로 정확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를 둘러싸는 포장재가 일정정도 팽창하는 경우 가열부에 의한 조리를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피자의 종류, 크기, 주변온도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자의 주문에 따라 주문번호와 조리될 위치를 지정하여 이에 대한 표시가 본체부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조리 완료시간에 대한 표시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주문과 복수의 열을 통한 조리에도 정확한 피자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자의 종류, 크기, 주변온도와 포장재의 팽창시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에 따라 조리완료시간을 예상하여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에 대한 더욱 정확한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관관계에 따라 예상되는 가열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가열부에 대한 성능을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가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는 자동판매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냉동피자 및 냉동피자가 담기는 수용용기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수용용기에 냉동피자를 담아 이동시키는 수용이동부와,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냉동피자를 해동시키는 해동부와, 해동된 냉동피자를 가열하여 피자를 완성시키는 가열부와, 가열된 피자를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 수용이동부, 해동부, 가열부 및 토출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형성되어 복수의 피자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해동부는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냉동피자를 좌우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부 및 가열부에서 냉동피자의 해동 및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해동부는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냉동피자를 해동시키는 해동챔버와, 상기 해동챔버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수용용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 상의 수용용기를 밀어 해동챔버 내로 인입시키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해동챔버는 후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수용용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해동챔버 내측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모듈과, 해동챔버 바닥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있어서, 상기 개폐모듈은 해동챔버 바닥을 형성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개폐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부재에서 개폐실린더 측으로 형성되어 수용용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해동챔버 후단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상의 수용용기를 밀어 해동챔버 내에 인입시키는 인입실린더와, 수용용기와 접촉되어 상기 인입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용용기를 미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조각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함입되는 절곡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보관하는 용기보관부와, 상기 용기보관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피자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이동부는 상기 용기보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수용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이동부와; 상기 피자보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수용용기 상에 냉동피자를 수용하여 상기 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피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피자수용부는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수용용기를 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용컨베이어와; 상기 수용컨베이어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수용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와; 상기 수용컨베이어의 양측에 형성되어 수용용기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수용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수용용기를 해동부로 하강시키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용기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측으로 갈수록 수용용기가 인입되는 공간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이격돌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부의 열기를 바닥으로 전달하는 전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홈은 상기 이격돌기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해동챔버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열챔버와, 상기 해동챔버로부터 가열챔버로의 수용용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챔버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상기 해동챔버로부터 수용용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수용모듈과; 가열챔버 내측면에 형성되어 해동된 냉동피자를 가열하는 가열모듈과; 가열챔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가열된 피자를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용용기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과, 상기 이동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챔버는 냉동피자를 둘러싸는 포장재의 팽창을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포장재의 팽창이 감지되는 경우 가열모듈의 작동을 중단하고 토출모듈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자에 대한 주문을 관리하는 주문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관리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모듈과, 주문순서에 따라 주문번호를 부여하는 주문번호부여모듈과, 주문정보에 따라 각 피자의 조리위치를 배정하는 조리위치배정모듈과, 배정된 조리위치와 순서에 따라 피자가 토출되는 본체부 상의 위치에 주문번호를 표시하는 주문번호표시모듈과, 주문번호의 표시와 함께 조리완료까지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조리시간안내모듈과, 조리완료에 따른 피자의 토출을 감지하는 토출감지모듈과, 피자의 토출을 감지하는 경우 피자가 토출된 위치에 조리완료를 표시하는 조리완료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포장재의 팽창에 따른 가열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조리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은 상기 조리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상관관계에 따라 예상 조리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조리분석부는 주문된 피자의 종류정보를 저장하는 종류정보저장모듈과, 피자의 크기정보를 저장하는 크기정보저장모듈과, 피자의 가열시 외부기온정보를 저장하는 기온정보저장모듈과, 주문된 피자의 포장재가 팽창되어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팽창시간수신모듈과,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가열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은 주문된 피자의 종류정보를 수신하는 종류정보수신모듈과, 주문된 피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는 크기정보수신모듈과, 주문시 외부기온정보를 수신하는 기온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정보를 상기 상관관계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관관계에 적용하는 예상되는 가열시간을 산출하는 상관적용모듈과,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가열시간을 이용하여 조리완료시간을 본체부 상에 표시하는 조리시간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예측되는 가열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성능을 점검하는 성능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점검부는 실제 가열시간이 예상시간보다 일정정도 이상 지연되어 완료되는 경우 가열부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예상되는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예상시간수신모듈과, 실제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가열시간수신모듈과, 가열이 지연된 시간을 산출하는 지연시간산출모듈과, 예상된 가열시간에 대한 지연시간의 비율을 산정하는 지연정도산정모듈과, 산정된 지연정도가 일정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가열부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고장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성능점검부는 예상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가 상기 고장판단부에 의해 고장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고장으로 판단되는 정도 이하의 일정범위에 일정빈도 이상 도달하는 경우 고장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위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판단부는 실제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일정정도 이하의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범위감지모듈과, 일정 작동횟수마다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감지빈도산정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장 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로 인지하여 이를 알리는 위험정보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와 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복수열로 각각 보관하도록 하고, 복수열의 냉동피자와 수용용기를 복수열의 해동부와 가열부 각각에 분배하여 동시에 조리하며, 조리된 냉동피자가 각 열의 토출부를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 개수의 피자를 빠르게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열의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컨베이어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부 및 가열부에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다수의 냉동피자에 대한 동시 조리가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용용기에 대한 냉동피자의 투입과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에 대한 해동부로의 투입이 정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가 수용용기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이격된 공간으로 상부의 열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냉동피자의 조리가 고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를 수용한 수용용기가 해동부에서 가열부로 정확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동피자를 둘러싸는 포장재가 일정정도 팽창하는 경우 가열부에 의한 조리를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피자의 종류, 크기, 주변온도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자의 주문에 따라 주문번호와 조리될 위치를 지정하여 이에 대한 표시가 본체부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조리 완료시간에 대한 표시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주문과 복수의 열을 통한 조리에도 정확한 피자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자의 종류, 크기, 주변온도와 포장재의 팽창시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에 따라 조리완료시간을 예상하여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에 대한 더욱 정확한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관관계에 따라 예상되는 가열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가열부에 대한 성능을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가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수용이동부의 평면도
도 5는 피자수용부의 수직단면도
도 6은 해동부, 가열부 및 토출부의 측단면도
도 7은 이동수단에 의해 수용용기가 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인입수단에 의해 수용용기가 해동부로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가열부의 단면도
도 10은 수용용기 및 이에 수용되는 냉동피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1의 가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1의 주문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의 조리시간안내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1의 조리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1의 성능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는 자동판매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 내에 형성되어 냉동피자(221) 및 냉동피자가 담기는 수용용기(211)를 보관하는 보관부(2)와, 수용용기(211)에 냉동피자(221)를 담아 이동시키는 수용이동부(3)와, 상기 수용이동부(3)에 의해 이동된 냉동피자를 해동시키는 해동부(4)와, 해동된 냉동피자를 가열하여 피자를 완성시키는 가열부(5)와, 가열된 피자를 토출시키는 토출부(6)와,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는 보관부(2), 수용이동부(3), 해동부(4), 가열부(5) 및 토출부(6)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 또는 크기의 피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주문하는 복수의 피자에 대해 동시에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자의 빠른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보관부(2), 수용이동부(3), 해동부(4), 가열부(5) 및 토출부(6)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공간으로 복수의 피자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냉동피자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피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피자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냉동피자(221)를 수용하는 수용용기(211)도 조각피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자를 구매하고자 하는 다수의 수요자가 쉽게 원하는 피자를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1의 A,B,C,D 방향을 각각 상하좌우로, 도 2의 E,F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보관부(2), 수용이동부(3), 해동부(4), 가열부(5), 토출부(6), 제어부(7)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는 전면을 통해 조리완료된 피자가 배출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부(1) 전면에서 피자에 대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1)는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열에서 조리된 피자가 각가 배출되어 제공되도록 하며, 각 열로부터 배출되는 피자에 대한 주문번호 등이 표시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이 주문한 피자를 정확하게 찾아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화면(11), 결제모듈(12), 토출함(13), 표시창(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화면(11)은 터치를 통해 피자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터치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조각피자의 종류, 크기, 수량 등을 선택하여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제모듈(12)은 피자 주문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신용카드, 바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함(13)은 조리된 피자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전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토출함(13)에는 토출센서(131)가 형성되어 토출함(13)으로 배출되는 피자의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창(14)은 각 토출함(13)의 상측에 형성되어 각 토출함(13)을 통해 배출되는 피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배출되는 피자에 대한 주문번호, 조리완료까지의 잔여시간, 조리완료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2)는 본체부(1) 내부에 형성되어 냉동피자 및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211)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열마다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용기(211)를 수용하는 용기보관부(21), 냉동피자를 보관하는 피자보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보관부(21)는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211)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 내부에 가장 후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보관부(21)는 내부에 다수의 수용용기(211)가 적층되어 보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용기(211)를 하나씩 하부로 배출시켜 후술할 용기이동부(31)에 의해 피자수용부(3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211)는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조각피자 형태의 냉동피자를 수용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는 조각피자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211)는 가열부(5)에 의한 가열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보관부(21)에서 용기이동부(31) 상으로 배출되어 피자수용부(32)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용기(211)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1a), 이격돌기(211b), 전달홈(21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11a)는 수용용기(21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피자수용부(32)의 양측에 형성되는 후술할 가이드레일(323)에 삽입·지지되어 수용용기(211)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211a)는 수용용기(211)가 용기이동부(31) 상에서 피자수용부(32) 상으로 이동할 때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자보관부(22) 내의 냉동피자가 수용용기(211) 내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격돌기(211b)는 수용용기(211)의 바닥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수개가 바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돌기(211b)에 의해 수용용기(211)에 수용되는 냉동피자는 수용용기(211) 바닥으로부터 이격돌기(211b) 높이만큼 이격되게 되며, 냉동피자(221)와 수용용기(211) 바닥 사이의 공간으로 열기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5)에 의한 가열시 상측의 열기가 냉동피자 바닥으로도 전달되어 냉동피자의 바닥까지 고르고 빠르게 익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격돌기(211b)는 수용용기(211)의 끝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돌기(211b) 사이의 공간으로 열기가 효과적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홈(211c)은 수용용기(211)의 내측 측벽을 따라 일정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홈(211c)은 수용용기(211) 측벽의 상단부터 바닥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용기(211) 상부의 열기가 전달홈(211c)을 통해 수용용기(211) 바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달홈(211c)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이격돌기(211b) 사이의 공간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달홈(211c)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이격돌기(211b) 사이의 공간으로 효과적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자보관부(22)는 냉동피자(221)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냉동피자(221)를 냉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동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자보관부(22)는 다수의 냉동피자(221)가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하측으로 냉동피자(221)를 하나씩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피자보관부(22)는 용기보관부(21)의 전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피자보관부(22)의 하측에는 피자수용부(3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보관부(21)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용기(211)가 용기이동부(31)를 거쳐 피자수용부(32)로 이동되면서 피자수용부(32) 상의 수용용기(211)에 피자보관부(22)로부터 하강하는 냉동피자(221)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자보관부(22)에 수용되는 냉동피자(221)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피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닐 등의 포장재(221a)에 밀폐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이동부(3)는 수용용기(211)에 냉동피자(221)를 수용하여 해동부(4)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용기이동부(31) 및 피자수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이동부(31)는 상기 용기보관부(21)에서 제공되는 수용용기(211)를 피자수용부(32)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보관부(2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용기이동부(31)는 용기보관부(21)의 하측에 이동컨베이어(311)를 형성하여 용기보관부(21)로부터 하강하는 수용용기(211)가 이동컨베이어(311)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동컨베이어(311)는 지지롤러(312)에 의해 회전하여 이동컨베이어(311) 상의 수용용기(211)를 전측의 피자수용부(32)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피자수용부(32)는 상기 용기이동부(31)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211) 상에 냉동피자(221)가 투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피자보관부(22)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피자수용부(32)는 용기이동부(31)의 전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되어 용기이동부(31)를 통해 이동하는 수용용기(211)가 피자수용부(32) 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가 해동부(4)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자수용부(32)는 용기이동부(31)로부터 이동하는 수용용기(211)가 일정한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며,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하강시켜 해동부(4)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자수용부(32)는 수용컨베이어(321), 회전롤러(322), 가이드레일(323), 경사판(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컨베이어(321)는 수용용기(211)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컨베이어(311)의 전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피자보관부(22)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자보관부(22)로부터 하강하는 냉동피자(221)가 수용용기(21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롤러(322)는 상기 수용컨베이어(321)를 지지하며, 수용컨베이어(321)를 회전시켜 수용컨베이어(321) 상의 수용용기(211)가 전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23)은 수용컨베이어(321)의 양측에 형성되어 수용컨베이어(321) 상의 수용용기(211)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211)의 지지돌기(211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323)은 삽입홈(323a)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돌기(211a)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용기(211)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수용컨베이어(321)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용용기(211)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여져 상기 피자보관부(22)에서 하강하는 냉동피자(221)가 수용용기(211)에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23)은 삽입홈(323a)의 후단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단(323b)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이동부(31) 상의 수용용기(211)가 좌우로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놓이더라도 수용용기(211)의 지지돌기(211a)가 경사단(323b)을 따라 이동하며 삽입홈(323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211)의 지지돌기(211a)는 항상 삽입홈(323a)에 삽입되어 수용용기(211)가 일정경로를 따라 수용컨베이어(321) 상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324)은 수용컨베이어(321)의 전측 끝단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수용컨베이어(321)를 따라 이동하는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가 해동부(4)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컨베이어(321)를 따라 전측으로 이동하는 수용용기(211)는 해동부(4)의 후술할 컨베이어(421) 상에 놓여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컨베이어(421) 상의 수용용기(211)는 푸쉬부재(431)에 의해 밀려 해동부(4)의 해동챔버(41) 상에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컨베이어(321) 상의 수용용기(211)를 경사판(324)에 의해 하강시켜야 만이 푸쉬부재(431)에 의해 밀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수용컨베이어(321)에 의해 이동되는 냉동피자(221)가 수용되는 수용용기(211)가 비어있는 해동부(4) 및 가열부(5)로 공급되어 복수의 냉동피자(221)가 동시에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동부(4)는 수용용기(211)에 수용된 냉동피자(221)를 해동시키는 구성으로, 가열부(5)에 의해 가열전에 언 상태의 냉동피자(221)에 일정정도의 열을 공급하여 해동시킴으로써 가열부(5)에 의한 효과적이고 신속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해동부(4)는 일정 공간에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를 수용하여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상기 수용컨베이어(321)를 따라 전측으로 이동되는 수용용기(2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공간에 수용용기(211)를 밀어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냉동피자가 동시에 해동,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해동부(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동챔버(41), 이동수단(42), 인입수단(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동챔버(41)는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가 투입되어 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측을 통해 수용용기(211)가 투입되도록 하며, 일정 열의 공급을 통해 냉동피자(221)의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동 완료후 수용용기(211)가 하측의 가열부(5)로 이동되어 냉동피자(221)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해동챔버(41)는 투입구(411), 열원모듈(412), 개폐모듈(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11)는 해동챔버(4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수용용기(211)가 투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동챔버(41)의 후측에 수용용기(211)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42)의 컨베이어(421) 상의 수용용기(211)가 인입수단(43)에 의해 밀어져 투입구(411)를 통해 해동챔버(41) 내로 투입된다.
상기 열원모듈(412)은 냉동피자(221)를 해동시킬 수 있는 열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동챔버(41)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동안 해동을 위한 열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모듈(413)은 해동챔버(41)의 바닥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 해동완료후 개방되어 해동챔버(41) 내의 수용용기(211)가 가열부(5)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모듈(413)은 개폐부재(413a), 개폐실린더(413b), 차단블럭(4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13a)는 해동챔버(41)의 바닥에 형성되어 수용용기(211)를 받치는 구성으로, 해동완료후 개방되어 수용용기(211)가 가열부(5)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실린더(413b)는 개폐부재(413a)와 연결되어 개폐부재(413a)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해동챔버(41)의 전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413c)은 개폐실린더(413b) 측에 형성되어 해동챔버(41)내의 수용용기(2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개폐부재(413a)의 개방시 개폐실린더(413b) 측으로 수용용기(211)가 밀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블럭(413c)은 개폐부재(413a)의 개방시에 수용용기(211)가 함께 이동하여 개폐부재(413a) 상부를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용기(211)가 개폐부재(413a)가 개방된 공간을 통해 정확하게 가열부(5)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42)은 상기 피자수용부(32)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2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경사판(324)을 따라 하강하는 수용용기(2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챔버(41)에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수단(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421) 및 이동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421)는 해동챔버(41) 전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경사판(324)을 따라 하강하는 수용용기(211)가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421)는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해동챔버(41) 후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용기(211)를 좌우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챔버(41) 후측에 수용용기(211)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롤러(422)는 컨베이어(421)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그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42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롤러(422)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컨베이어(42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7)에 의해 그 작동이 조절되어 컨베이어(421) 상의 수용용기(211)가 정확한 위치에서 해동챔버(4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입수단(43)은 컨베이어(421) 상의 수용용기(211)를 해동챔버(41) 내로 투입시키는 구성으로, 수용용기(211)를 전측으로 밀어 해동챔버(41)의 투입구(411)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입수단(43)은 푸쉬부재(431), 인입실린더(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재(431)는 수용용기(211)를 밀어 해동챔버(41) 내에 투입시키는 구성으로,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홈(431a)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조각피자의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용기(211)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홈(431a)은 수용용기(211)의 절곡된 끝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푸쉬부재(431)가 수용용기(2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수용용기(211)를 밀도록 함으로써 해동챔버(41)의 투입구를 통해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입실린더(432)는 푸쉬부재(43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컨베이어(421) 상의 수용용기(211)를 푸쉬부재(431)에 의해 밀어 해동챔버(41)로 투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5)는 수용용기(211)에 수용된 냉동피자(221)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상기 해동부(4)에 의해 해동된 냉동피자(221)에 열을 공급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5)는 해동부(4)의 하측에 형성되어 냉동피자(221)가 가열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해동챔버(41) 내의 수용용기(211)가 정확하게 가열되는 공간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부(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챔버(51) 및 가이드수단(52)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챔버(51)는 냉동피자(221)를 가열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해동챔버(41)로부터 하강하는 수용용기(211)를 수용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가열이 완료된 수용용기(211)는 바닥측으로 하강하여 토출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열챔버(51)는 냉동피자(221)를 둘러싸는 포장재(221a)가 일정정도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여 조리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항상 일정하고 충분한 냉동피자(221)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챔버(51)는 수용모듈(511), 가열모듈(512), 센싱모듈(513), 토출모듈(5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모듈(511)은 가열챔버(5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 해동챔버(41)로부터 하강하는 수용용기(211)가 통과되어 가열챔버(5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모듈(511)은 가열챔버(51)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차단부재(511a)를 포함하여, 그 개폐를 통해 수용용기(211)의 수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511a)는 수용실린더(511b)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512)은 가열챔버(51) 내에 열을 공급하여 냉동피자(221)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열챔버(51)의 상단부,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513)은 냉동피자(221)를 둘러싸는 포장재(221a)의 팽창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가열챔버(51)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일정 높이까지 포장재(221a)가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513)은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특정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무선신호의 변화에 따라 포장재(221a)가 해당 높이까지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냉동피자를 둘러싸는 포장재(221a)는 포장재(221a) 내부의 온도에 따라 일정하게 팽창되므로, 냉동피자가 익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높이까지 포장재(221a)가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고, 포장재(221a)의 팽창에 따라 상기 가열모듈(512)에 의한 가열을 종료하도록 하여 항상 냉동피자(221)를 충분하고 일정하게 가열·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모듈(514)은 조리가 완료된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를 토출부(6)를 통해 상기 토출함(13)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열챔버(51)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모듈(514)은 토출부재(514a)를 통해 바닥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용용기(211)를 받치도록 하고, 가열 완료후 토출부재(514a)를 개방하여 수용용기(211)가 바닥측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토출부재(514a)는 토출실린더(514b)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토출실린더(514b)는 토출부재(514a)의 전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52)은 상기 해동챔버(41)로부터 가열챔버(51)로의 수용용기(211)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해동챔버(41) 및 가열챔버(51) 사이에서 수용용기(211)가 수평인 상태로 하강하여 상기 차단부재(511a)가 개방된 공간을 통해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52)은 수용용기(211)가 하강하는 공간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측에 한 쌍이 형성되거나 좌우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전후좌우 네 측면에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52)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용용기(211)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521)와, 상기 받침부재(521)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522)과, 상기 이동모듈(522)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521)는 수용용기(211)의 바닥을 받치는 구성으로, 수용용기(211)가 해동챔버(41)로부터 가열챔버(51)로 하강할 때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가열챔버(51)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모듈(522)은 받침부재(521)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수용용기(211)가 하강될 때에는 받침부재(521)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수용용기(211)를 받치도록 하고, 수용용기(211)가 하강하여 가열챔버(51) 내로 투입될 때에는 받침부재(521)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승강모듈(523)은 이동모듈(522)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이동모듈(522)의 승강에 따라 받침부재(521)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모듈(523)은 승하강이 가능한 실린더 등의 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재(521)가 수용용기(211)의 바닥을 받친 상태에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부(6)는 상기 가열부(5)에 의해 가열이 완료된 피자를 토출함(13)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가열챔버(5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6)는 상기 토출모듈(514)의 하측에 토출컨베이어(61)를 형성하여 토출부재(514a)의 개방에 따라 배출되는 수용용기(211)가 토출컨베이어(61)에 안착되도록 하며, 토출컨베이어(61)를 지지하는 토출롤러(62)의 회전에 따라 토출컨베이어(61) 상의 수용용기(211)가 토출함(13)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관부(2), 수용이동부(3), 해동부(4) 및 가열부(5) 등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7)는 포장재(221a)의 팽창정도에 따라 가열부(5)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며, 주문에 대한 순차적인 작동, 복수열의 해동부(4) 및 가열부(5)에서의 동시 조리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는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 등과 포장재(221a)의 팽창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정확한 조리예상시간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가열부(5)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7)는 가열조절부(71), 주문관리부(72), 조리분석부(73), 성능점검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조절부(71)는 가열부(5)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포장재(221a)의 팽창정도에 따라 가열시간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조절부(71)는 상기 센싱모듈(513)에 의해 포장재(221a)의 일정높이로의 팽창이 감지되는 경우 가열부(5)의 작동을 종료하고 피자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냉동피자의 항상 일정하고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조절부(71)는 가열개시모듈(711), 팽창감지모듈(712), 가열종료모듈(713), 토출개방모듈(7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개시모듈(711)은 상기 가열모듈(512)의 작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모듈(511)을 통해 수용용기(211)가 가열챔버(51) 내로 투입되는 경우 수용모듈(511)의 폐쇄와 함께 가열모듈(51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팽창감지모듈(712)은 포장재(221a)의 팽창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싱모듈(513)에 의해 포장재(221a)가 일정높이만큼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종료모듈(713)은 가열모듈(512)의 작동을 종료하는 구성으로, 상기 팽창감지모듈(712)에 의해 포장재(221a)의 팽창이 감지되는 경우 가열모듈(512)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개방모듈(714)은 가열모듈(512)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토출모듈(514)을 개방하여 수용용기(211)를 토출부(6)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토출실린더(514b)의 작동에 따라 토출부재(514a)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주문관리부(72)는 피자에 대한 주문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피자의 주문정보에 따라 보관부(2), 수용이동부(3), 해동부(4), 가열부(5), 토출부(6)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판매기는 복수의 열에 형성되는 각 피자보관부(22)에 서로 다른 종류, 크기의 피자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주문된 피자의 피자보관부(22)에서 수용용기(211)로 냉동피자(221)가 공급되어 수용용기(211)가 투입된 수용용기(211)가 해동부(4)의 컨베이어(421) 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주문된 피자의 피자보관부(22) 및 용기보관부(21)에서 수용용기(211) 및 냉동피자(221)가 공급되며 수용용기(211)가 이동컨베이어(311) 상을 이동하여 수용컨베이어(321) 상에서 냉동피자(221)를 수용하고,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가 경사판(324)을 거쳐 컨베이어(421) 상으로 이동한다. 또한 피자의 주문시 각 주문에 대한 주문번호가 부여되며, 각 토출함(13)을 통해 배출되는 피자의 주문번호가 표시창(14)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특히, 본 자동판매기는 복수열의 해동부(4) 및 가열부(5)에서 동시에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냉동피자(221)가 수용된 수용용기(211)가 컨베이어(421) 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어있는 해동부(4) 및 가열부(5)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로 수용용기(211)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투입된 열의 표시창(14)에 해당 주문번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시창(14)에는 조리완료까지 잔여시간을 함께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토출함(13)에 피자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토출센서(131)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조리완료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문관리부(72)는 주문정보수신모듈(721), 주문번호부여모듈(722), 조리위치배정모듈(723), 주문번호표시모듈(724), 조리시간안내모듈(725), 토출감지모듈(725f), 조리완료표시모듈(7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정보수신모듈(721)은 피자에 대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의 터치화면(11), 결제모듈(12)을 통해 주문 및 결제되는 피자의 종류, 크기, 수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정보수신모듈(721)은 별도의 서버와 연계되어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주문번호부여모듈(722)은 피자 주문에 대한 주문번호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부여된 주문번호의 피자가 배출되는 토출함(13)의 위치를 표시창(14)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리위치배정모듈(723)은 주문된 피자의 조리 위치를 배정하는 구성으로, 조리된 해동부(4) 및 가열부(5)의 위치를 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위치배정모듈(723)은 복수열의 해동부(4) 및 가열부(5) 중에서 비어있는 열을 파악하도록 하고, 이중 하나를 주문된 피자가 조리될 위치로 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조리위치배정모듈(723)은 복수열의 해동부(4) 및 가열부(5)에서 주문한 순서에 맞추어 복수의 피자를 동시에 조리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자동판매기를 통한 피자의 제공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문번호표시모듈(724)은 토출함(13)을 통해 배출된 피자의 주문번호를 표시창(14)에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리위치배정모듈(723)에 의해 배정되는 결과에 따라 조리될 위치의 토출함(13)에 주문번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은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잔여시간을 표시창(14)을 통해 표시하는 구성으로, 배정된 토출함(13)의 위치에 따라 주문번호와 함께 잔여시간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은 상기 조리위치배정모듈(723)에 의해 조리위치가 배정된 후 해동챔버(41)에 수용용기(211)가 투입될 때 잔여시간을 계산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동부(4)에 의한 해동시간과 가열부(5)에 의한 가열시간을 합산하여 잔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은 가열부(5)에 의한 가열시간을 예측하여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포장재(221a)의 팽창을 감지하여 작동을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일정하게 냉동피자(221)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에 따라 포장재(221a)가 팽창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은 상기 조리분석부(73)에서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포장재(221a)가 일정높이까지 팽창되는, 즉 상기 센싱모듈(513)에 의해 포장재(221a)의 팽창이 감지되는 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열시간을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조리완료시간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은 종류정보수신모듈(725a), 크기정보수신모듈(725b), 기온정보수신모듈(725c), 상관적용모듈(725d), 조리시간출력모듈(725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정보수신모듈(725a), 크기정보수신모듈(725b)은 주문된 피자의 종류, 크기정보를 주문정보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며, 기온정보수신모듈(725c)은 자동판매기 주변의 온도를 본체부(1)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미도시) 등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관적용모듈(725d)은 수신된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정보를 상기 조리분석부(73)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에 적용하여 가열부(5)의 작동시간, 즉 포장재(221a)가 일정높이까지 팽창되는 시간을 예측하도록 하고, 조리시간출력모듈(725e)은 예측된 포장재(221a) 팽창시간을 고려하여 조리완료까지 남은시간을 표시창(14)에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감지모듈(725f)은 토출함(13)으로 배출되는 피자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토출센서(131)에 의해 수용용기(211)의 토출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조리완료표시모듈(727)은 피자의 조리가 완료되어 토출함(13)에 배출되었음을 표시창(14)을 통해 표시하는 구성으로, 토출감지모듈(725f)에 의해 피자가 감지되는 경우 조리완료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조리분석부(73)는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포장재(221a)의 팽창시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자동판매기를 통해 주문되는 정보, 상기 센싱모듈(513)에 의한 감지에 따라 가열부(5)가 작동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분석부(73)는 이러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분석된 상관관계를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725)에 적용하여 정확한 조리완료시간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리분석부(73)는 종류정보저장모듈(731), 크기정보저장모듈(732), 기온정보저장모듈(733), 팽창시간수신모듈(734), 상관관계분석모듈(7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정보저장모듈(731) 및 크기정보저장모듈(732)은 주문된 피자의 종류, 크기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자동판매기를 통한 피자의 주문시마다 종류, 크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기온정보저장모듈(733)은 주문된 피자의 가열시 주변 온도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자동판매기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주변 온도를 측정·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팽창시간수신모듈(734)은 포장재(221a)가 팽창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주문된 피자의 조리시마다 가열부(5)의 작동이 개시되어 센싱모듈(513)에 의해 포장재(221a)의 팽창이 감지, 가열부(5)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의 정보를 주문된 피자의 크기, 종류정보, 외부기온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상관관계분석모듈(735)은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가열부(5)의 작동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인공신경망 등 다양한 기계적 학습 방식에 의해 상관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분석된 상관관계를 상기 상관적용모듈(725d)에 적용하여 조리예상시간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능점검부(74)는 가열부(5)의 작동 성능을 점검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리분석부(73)에 의해 분석되는 상관관계에 따라 예측되는 조리시간과 실제 조리시간의 차이에 따라 가열부(5)의 성능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성능점검부(74)는 예측되는 가열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가 일정정도 이상 커지는 경우 가열부(5)의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하면서, 고장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그 이하의 일정범위에서 반복되는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선제적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성능점검부(74)는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위험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그 이하의 일정범위에서 연속하여 가열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알려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초기부터 효율적인 점검으로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성능점검부(74)는 고장판단부(741), 위험판단부(742), 점검알림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판단부(741)는 가열부(5)의 고장을 판단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가열모듈(512)의 고장을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판단부(741)는 상기 상관적용모듈(725d)에 의해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에 따라 예측되는 가열시간의 정보와 실제 가열시간의 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장판단부(741)는 예상시간수신모듈(741a), 가열시간수신모듈(741b), 지연시간산출모듈(741c), 지연정도산정모듈(741d), 고장알림모듈(74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상시간수신모듈(741a)은 주문된 피자의 예상 가열시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에 따라 상기 상관적용모듈(725d)에 의해 산출되는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시간수신모듈(741b)은 주문된 피자에 대한 실제 가열시간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가열모듈(512)에 의한 가열이 개시되어 센싱모듈(513)에 의한 포장재(221a) 팽창의 감지에 따라 가열이 종료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지연시간산출모듈(741c)은 실제 가열시간이 지연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실제 가열시간이 예상 가열시간보다 오래 걸린 경우 그 차이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지연정도산정모듈(741d)은 예상된 가열시간에 대한 지연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연시간산출모듈(741c)에 의해 산출되는 지연시간을 예상 가열시간으로 나누어 지연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고장알림모듈(741e)은 지연정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열부(5)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를 관리자 등에게 알려 고장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험판단부(742)는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를 인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장판단부(741)에 의해 고장으로 판단되지는 않더라도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설정값 이하의 일정범위에서 반복되는 경우에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로 인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위험판단부(742)는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위험 상태에 대한 선제적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장 발생에 따른 손해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판단부(742)는 위험범위감지모듈(742a), 감지빈도산정모듈(742b), 기준값비교모듈(742c), 위험정보출력모듈(7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범위감지모듈(742a)은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설정값 이하의 일정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연정도산정모듈(741d)에 의해 산정되는 지연정도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빈도산정모듈(742b)은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가열부(5)가 작동하는 일정횟수 단위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빈도산정모듈(742b)은 위험범위의 도달이 감지되는 경우 이후 가열부(5)가 작동하는 일정횟수동안 다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열부(5)의 10회 작동동안 다시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횟수를 산출하여 그 빈도가 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742c)은 감지빈도산정모듈(742b)에 의해 산정되는 빈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상기 감지빈도산정모듈(742b)에서 가열부(5)의 10회 작동동안 그 빈도를 산정하는 경우 설정값을 3회로 설정하여 3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험정보출력모듈(742d)은 기준값비교모듈(742c)에 의해 비교결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열부(5)의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 등에게 알리도록 한다.
상기 점검알림부(743)는 상기 고장판단부(741) 또는 위험판단부(742)에 의해 가열부(5)의 고장 또는 고장 위험으로 판단되지는 않더라도 미세한 지연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작동의 미세한 이상을 초기부터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가열부(5)의 작동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알림부(743)는 점검범위인지모듈(743a), 연속횟수산정모듈(743b), 설정도달감지모듈(743c), 점검지시출력모듈(74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범위인지모듈(743a)은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미세한 이상의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연정도산정모듈(741d)에 의해 산정되는 지연정도가 위험범위 이하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횟수산정모듈(743b)은 점검범위로의 도달이 연속되는 횟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점검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부(5)의 작동시마다 점검범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연속횟수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설정도달감지모듈(743c)은 연속횟수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적절한 연속횟수, 일 예로 5회를 설정값으로 정하여 도달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지시출력모듈(743d)은 설정도달감지모듈(743c)에 의해 연속횟수가 설정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점검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관리자 등의 단말기 등에 점검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부 11: 터치화면 12: 결제모듈
13: 토출함 131: 토출센서 14: 표시창
2: 보관부 21: 용기보관부 211: 수용용기
211a: 지지돌기 211b: 이격돌기 211c: 전달홈
22: 피자보관부 221: 냉동피자 221a: 포장재
3: 수용이동부 31: 용기이동부 311: 이동컨베이어
312: 지지롤러 32: 피자수용부 321: 수용컨베이어
322: 회전롤러 323: 가이드레일 323a: 삽입홈
323b: 경사단 324: 경사판 4: 해동부
41: 해동챔버 411: 투입구 412: 열원모듈
413: 개폐모듈 413a: 개폐부재 413b: 개폐실린더
413c: 차단블럭 42: 이동수단 421: 컨베이어
422: 이동롤러 43: 인입수단 431: 푸쉬부재
431a: 절곡홈 432: 인입실린더 5: 가열부
51: 가열챔버 511: 수용모듈 511a: 차단부재
511b: 수용실린더 512: 가열모듈 513: 센싱모듈
514: 토출모듈 514a: 토출부재 514b: 토출실린더
52: 가이드수단 521: 받침부재 522: 이동모듈
523: 승강모듈 6: 토출부 61: 토출컨베이어
62: 토출롤러 7: 제어부 71: 가열조절부
72: 주문관리부 73: 조리분석부 74: 성능점검부
741: 고장판단부 742: 위험판단부 743: 점검알림부

Claims (15)

  1. 자동판매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형성되어 냉동피자 및 냉동피자가 담기는 수용용기를 보관하는 보관부와, 수용용기에 냉동피자를 담아 이동시키는 수용이동부와,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냉동피자를 해동시키는 해동부와, 해동된 냉동피자를 가열하여 피자를 완성시키는 가열부와, 가열된 피자를 토출시키는 토출부와,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 수용이동부, 해동부, 가열부 및 토출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형성되어 복수의 피자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해동부는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냉동피자를 좌우로 이동시켜 비어있는 해동부 및 가열부에서 냉동피자의 해동 및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동부는,
    냉동피자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냉동피자를 해동시키는 해동챔버와, 상기 해동챔버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수용용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 상의 수용용기를 밀어 해동챔버 내로 인입시키는 인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해동챔버는,
    후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수용용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해동챔버 내측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모듈과, 해동챔버 바닥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모듈은,
    해동챔버 바닥을 형성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개폐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부재에서 개폐실린더 측으로 형성되어 수용용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해동챔버 후단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상의 수용용기를 밀어 해동챔버 내에 인입시키는 인입실린더와, 수용용기와 접촉되어 상기 인입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용용기를 미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조각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함입되는 절곡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보관하는 용기보관부와, 상기 용기보관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냉동피자를 수용하는 피자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이동부는,
    상기 용기보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수용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이동부와; 상기 피자보관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수용용기 상에 냉동피자를 수용하여 상기 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피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수용부는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수용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수용용기를 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수용컨베이어와; 상기 수용컨베이어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수용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와; 상기 수용컨베이어의 양측에 형성되어 수용용기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수용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수용용기를 해동부로 하강시키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용기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후단에 형성되어 전측으로 갈수록 수용용기가 인입되는 공간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이격돌기와; 상기 수용용기의 측벽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부의 열기를 바닥으로 전달하는 전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홈은 상기 이격돌기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해동챔버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열챔버와, 상기 해동챔버로부터 가열챔버로의 수용용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챔버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상기 해동챔버로부터 수용용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수용모듈과; 가열챔버 내측면에 형성되어 해동된 냉동피자를 가열하는 가열모듈과; 가열챔버의 바닥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가열된 피자를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용용기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과, 상기 이동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챔버는
    냉동피자를 둘러싸는 포장재의 팽창을 감지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듈에 의해 포장재의 팽창이 감지되는 경우 가열모듈의 작동을 중단하고 토출모듈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자에 대한 주문을 관리하는 주문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관리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한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모듈과, 주문순서에 따라 주문번호를 부여하는 주문번호부여모듈과, 주문정보에 따라 각 피자의 조리위치를 배정하는 조리위치배정모듈과, 배정된 조리위치와 순서에 따라 피자가 토출되는 본체부 상의 위치에 주문번호를 표시하는 주문번호표시모듈과, 주문번호의 표시와 함께 조리완료까지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조리시간안내모듈과, 조리완료에 따른 피자의 토출을 감지하는 토출감지모듈과, 피자의 토출을 감지하는 경우 피자가 토출된 위치에 조리완료를 표시하는 조리완료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포장재의 팽창에 따른 가열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조리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은 상기 조리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상관관계에 따라 예상 조리시간을 산출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조리분석부는,
    주문된 피자의 종류정보를 저장하는 종류정보저장모듈과, 피자의 크기정보를 저장하는 크기정보저장모듈과, 피자의 가열시 외부기온정보를 저장하는 기온정보저장모듈과, 주문된 피자의 포장재가 팽창되어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팽창시간수신모듈과,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과 가열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시간안내모듈은,
    주문된 피자의 종류정보를 수신하는 종류정보수신모듈과, 주문된 피자의 크기정보를 수신하는 크기정보수신모듈과, 주문시 외부기온정보를 수신하는 기온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피자의 종류, 크기, 외부기온정보를 상기 상관관계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상관관계에 적용하는 예상되는 가열시간을 산출하는 상관적용모듈과,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가열시간을 이용하여 조리완료시간을 본체부 상에 표시하는 조리시간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예측되는 가열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성능을 점검하는 성능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점검부는 실제 가열시간이 예상시간보다 일정정도 이상 지연되어 완료되는 경우 가열부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상관적용모듈에 의해 예상되는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예상시간수신모듈과, 실제 가열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가열시간수신모듈과, 가열이 지연된 시간을 산출하는 지연시간산출모듈과, 예상된 가열시간에 대한 지연시간의 비율을 산정하는 지연정도산정모듈과, 산정된 지연정도가 일정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가열부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고장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점검부는
    예상시간과 실제 가열시간의 차이가 상기 고장판단부에 의해 고장으로 판단될 정도는 아니더라도 고장으로 판단되는 정도 이하의 일정범위에 일정빈도 이상 도달하는 경우 고장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위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판단부는,
    실제 가열시간의 지연정도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일정정도 이하의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범위감지모듈과, 일정 작동횟수마다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산정하는 감지빈도산정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빈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장 발생 위험이 높은 상태로 인지하여 이를 알리는 위험정보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KR1020210135032A 2021-10-12 2021-10-12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KR10239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32A KR102396449B1 (ko) 2021-10-12 2021-10-12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32A KR102396449B1 (ko) 2021-10-12 2021-10-12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49B1 true KR102396449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032A KR102396449B1 (ko) 2021-10-12 2021-10-12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59U (ko) * 1996-07-25 1998-04-30 오상수 피자 자동판매기의 피자 배출장치
KR20060098153A (ko) * 2005-03-10 2006-09-18 황부성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101001183B1 (ko) * 2010-03-03 2010-12-15 배순덕 자동판매기
KR102195487B1 (ko) * 2020-08-10 2020-12-28 박미경 냉동피자 판매용기 및 냉동피자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59U (ko) * 1996-07-25 1998-04-30 오상수 피자 자동판매기의 피자 배출장치
KR20060098153A (ko) * 2005-03-10 2006-09-18 황부성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101001183B1 (ko) * 2010-03-03 2010-12-15 배순덕 자동판매기
KR102195487B1 (ko) * 2020-08-10 2020-12-28 박미경 냉동피자 판매용기 및 냉동피자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123B2 (en) Food product storage and vending kiosk
US5121677A (en) Pizza making and baking machine
US20120185086A1 (en) automated pizza preparation apparatus
US7303093B2 (en) Hot food vending machine
US11727746B2 (en)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 cartridge systems and methods
US11191394B2 (en)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 cartridge systems and methods
KR102396449B1 (ko) 냉동피자 자동판매기
CN114762016A (zh) 烘焙产品售货机
US6498329B1 (en) Food products distributor
CN111818824B (zh) 餐包保存柜
KR102079649B1 (ko) 프라이 스테이션 및 자율 튀김 시스템
US20220108250A1 (en) Modular system for food assembly
US11527125B2 (en) Food frying and distribution device
KR20090073320A (ko) 인스턴트피자 자동판매기
KR101326617B1 (ko) 피자 자동판매기
JP3265927B2 (ja) 自動調理装置
CN110930592A (zh) 一种包子自助售卖机
WO2008139231A1 (en) Hot bagel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230118335A (ko) 식품 무인자판기 시스템
ITTV20090084A1 (it) Modulo scalda fast food accoppiabile ad un'apparecchiatura automatica di vendita e distribuzione fast food freschi o conservati ed apparecchiatura automatica combinata di vendita e distribuzione di fast food cal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