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561B1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561B1
KR102395561B1 KR1020200104655A KR20200104655A KR102395561B1 KR 102395561 B1 KR102395561 B1 KR 102395561B1 KR 1020200104655 A KR1020200104655 A KR 1020200104655A KR 20200104655 A KR20200104655 A KR 20200104655A KR 102395561 B1 KR102395561 B1 KR 10239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nductor rail
horizontal
vertic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120A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5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직 승강로, 수평 승강로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 및 수평 이송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컨덕터 레일과 이동 전극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와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수평 승강로의 컨덕터 레일로부터 연결되는 캐리어의 컨덕터 레일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불필요하여 전원 공급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설치 및 운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POWER SUPPLY SYSTEM FOR ROPELESS ELEVATOR}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승강로, 수평 승강로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 및 수평 이송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컨덕터 레일과 이동 전극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와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수평 승강로의 컨덕터 레일로부터 연결되는 캐리어의 컨덕터 레일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불필요하여 전원 공급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설치 및 운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객 또는 화물을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소위 로프식 엘리베이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가 로프에 매달린 상태이므로 승강되는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로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효율과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현재 기술로는 하나의 승강로에 일반적으로 1대, 최대 2대의 엘리베이터 카만 운전할 수 있고, 수직이동만 할 수 있어 운송 효율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불리한 점이 많이 있다.
이에 건물의 초 고층화 추세에 부응하여 건물 내부의 인력 수송을 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기술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로프 구동방식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신개념의 엘리베이터가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구동방식 및 그 구동원으로서의 액추에이터에 대한 관련 문제 이외에도, 건물 구조에 적합한 운송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을 감안해 볼 때, 초고층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단일 통로 내에서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카를 동시에 운행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 내부의 입체 통로를 따라 수직/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인근 건물 및 지하도 등에도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로프의 견인에 의한 승강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설계시 층수에 비례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 및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수평 방향전환이 불가능한 점 등의 한계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구조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최근 로프 견인 방식이 아닌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하나의 승강로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할 수 있고, 수직 이동 뿐만 아니라 수평 이동 또한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그 운용 방식이 기존의 로프 방식 엘리베이터 시스템보다 더욱 복잡하게 이루어지므로, 복수개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구조, 제어 구조 등이 기존 시스템과는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에 대한 기술 개발 수준이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각 제조사마다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작동 방식이나 구조 등이 달라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기술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9565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승강로, 수평 승강로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 및 수평 이송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컨덕터 레일과 이동 전극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와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수평 승강로의 컨덕터 레일로부터 연결되는 캐리어의 컨덕터 레일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불필요하여 전원 공급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설치 및 운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컨덕터 레일 중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구간에 따라 특정 컨덕터 레일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휴 컨덕터 레일을 비활성화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덕터 레일 및 이동 전극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승강로 상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환 작동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및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레일이 형성된 수직 승강로와 수평 레일이 형성된 수평 승강로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가 교차하는 분기 구간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레일과 동일한 직선을 이루도록 연결 레일이 설치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직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직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직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평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평 컨덕터 레일;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컨턱터 레일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연결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리어 이동 전극; 및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 이동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은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과 별도의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상기 수평 승강로를 기준으로 상하 분리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은 각각 개별적인 별도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전원 공급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별도의 중앙 제어부를 통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며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상기 카 이동 전극 및 캐리어 이동 전극의 마모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카 전극 마모 검출기 및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전극 마모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상기 카 이동 전극을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카 이동 전극의 일단이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카 이동 전극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는,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의 일단이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수평 컨덕터 레일의 상태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는 레일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캐리어의 주행 방향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또는 수평 컨덕터 레일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는 복수개씩 설치되고, 최상층에는 상기 수평 승강로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 승강로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 커버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 레일은 상기 수평 승강로의 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카 이동 전극 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액체 유동 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에는 수분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 유입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비상 상황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가 인접한 승강장으로 비상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비상 전원 저장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승강로, 수평 승강로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 및 수평 이송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컨덕터 레일과 이동 전극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와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수평 승강로의 컨덕터 레일로부터 연결되는 캐리어의 컨덕터 레일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불필요하여 전원 공급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설치 및 운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컨덕터 레일 중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구간에 따라 특정 컨덕터 레일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휴 컨덕터 레일을 비활성화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덕터 레일 및 이동 전극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승강로 상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환 작동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전원 공급 시스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승강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가 수평 승강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캐리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 내부에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전원 공급 시스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카(40)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승강로(10)와 수평 승강로(20)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수직 승강로(10)와 수평 승강로(20)가 교차하는 분기 구간(CA)에는 엘리베이터 카(40)와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리어(30)가 구비된다. 수직 승강로(10)와 수평 승강로(20)는 각각 다수개씩 설치될 수 있다.
수직 승강로(10)는 수평 승강로(20)와 교차하는 분기 구간(CA)을 중심으로 상하 분리 형성되고, 캐리어(30)는 분기 구간(CA)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 승강로(10)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카(40)는 수직 이동시 수직 승강로(1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수평 이동시에는 캐리어(30)와 함께 수평 승강로(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캐리어(30)는 분기 구간(CA)에 정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승강로(10)의 일부 구간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40)가 수직 이동하는 경우, 해당 수직 승강로(10)의 분기 구간(CA)에서는 캐리어(30)가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카(40)는 수직 승강로(10)를 따라 수직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기 구간(CA)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 분기 구간(CA)에 정위치된 캐리어(30)를 지나 계속해서 수직 이동 진행할 수도 있고, 또는 분기 구간(CA)에 정위치된 캐리어(30)에 탑승 정지한 후, 캐리어(30)와 함께 수평 승강로(20)를 따라 수평 이동할 수도 있다. 캐리어(30)는 엘리베이터 카(40)의 탑승 여부와 무관하게 수평 승강로(20)를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40)가 캐리어(30)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와 함께 수평 승강로(20)를 따라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40)는 캐리어(30)와 함께 분기 구간(CA)에 도착할 수 있는데, 캐리어(30)가 분기 구간(CA)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승강로(10)를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40)의 상하 이동 경로는 캐리어(30) 및 수직 승강로(10)를 통해 가이드된다. 엘리베이터 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분기 구간(CA)에서 새로운 캐리어(30)에 탑승 정지할 수 있고,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와 함께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40)가 캐리어(30)와 함께 분기 구간(CA)에 위치하게 되면,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40)가 다시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복수개의 수직 승강로(10), 수평 승강로(20) 및 캐리어(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40)에 대한 다양한 주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고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운송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수직 승강로(10)에는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자(11)가 장착되고, 엘리베이터 카(40)에는 고정자(11)에 대응되는 이동자(미도시)가 장착되며, 고정자(31)와 이동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40)가 승강 이동한다. 또한, 수직 승강로(10)에는 고정자(11)의 양측편에 위치하여 엘리베이터 카(4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별도의 수직 레일(12)이 장착될 수 있다.
캐리어(30)는 분기 구간(CA)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수직 승강로(10)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4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캐리어(30)에도 수직 승강로(10)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자(31)가 장착되고, 그 양측편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레일(32)이 장착된다. 캐리어(30)가 분기 구간(CA)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캐리어(30)의 고정자(31) 및 연결 레일(32)은 수직 승강로(10)의 고정자(11) 및 수직 레일(12)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수평 승강로(20)에는 캐리어(30)의 수평 이동을 위해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자(21)가 장착되고, 캐리어(30)의 후면에는 고정자(21)에 대응되는 이동자(미도시)가 장착되며, 고정자(21)와 이동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캐리어(30)가 수평 이동한다. 또한, 수평 승강로(20)에는 고정자(21)의 양측편에 위치하여 캐리어(30)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별도의 수평 레일(22)이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은, 트롤리 전극 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수평 컨덕터 레일(120)과, 연결 컨덕터 레일(130)과, 캐리어 이동 전극(420)과, 카 이동 전극(4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컨덕터 레일(110)은 수직 레일(12)과 평행하게 수직 승강로(10)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수평 컨덕터 레일(120)은 수평 레일(22)과 평행하게 수평 승강로(20)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연결 컨덕터 레일(130)은 분기 구간(CA)에서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캐리어(30)의 전면에 설치된다.
캐리어 이동 전극(420)은 수평 컨덕터 레일(120)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캐리어(30)의 후면에 설치되어 캐리어(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카 이동 전극(410)은 수직 컨덕터 레일(110) 및 연결 컨덕터 레일(130)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 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수직 승강로(10)에 설치되는 수직 컨덕터 레일(110)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전원이 직접 공급되고, 수평 승강로(20)에 설치되는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전원이 직접 공급된다.
엘리베이터 카(40)가 수직 승강로(10)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카 이동 전극(410)이 수직 컨덕터 레일(110)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이므로,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수직 컨덕터 레일(110)로 공급된 전원이 카 이동 전극(41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40)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캐리어(30)가 수평 승강로(20)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캐리어 이동 전극(420)이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슬라이드 접촉한 상태이므로,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수평 컨덕터 레일(120)로 공급된 전원이 캐리어 이동 전극(420)을 통해 캐리어(30)로 공급된다.
엘리베이터 카(40)가 수직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기 구간(CA)을 통과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40)의 카 이동 전극(410)은 캐리어(30)의 연결 컨덕터 레일(130)과 슬라이드 접촉하게 되고, 연결 컨덕터 레일(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리베이터 카(40)에 전달한다. 연결 컨덕터 레일(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전선(C)을 통해 캐리어 이동 전극(420)과 연결된다. 캐리어 이동 전극(4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컨덕터 레일(120)과 슬라이드 접촉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40)가 캐리어(30)에 위치한 경우,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수평 컨덕터 레일(120)로 공급된 전원이 캐리어 이동 전극(420) 및 전선(C)을 통해 연결 컨덕터 레일(130)로 전달되고, 연결 컨덕터 레일(130)과 접촉한 카 이동 전극(41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40)로 전달된다.
한편, 수평 승강로(20) 및 수직 승강로(10)가 복수개 설치됨에 따라 수평 컨덕터 레일(120) 및 수직 컨덕터 레일(110) 또한 복수개 설치되며, 수직 컨덕터 레일(110)은 수평 승강로(20)를 기준으로 상하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 분리 설치되는 수평 컨덕터 레일(120) 및 수직 컨덕터 레일(110)은 각각 개별적인 별도의 전원 공급부(200)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전원 공급부(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별도의 중앙 제어부(300)를 통해 동작 제어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전원 공급부(200)를 동시에 모두 작동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40)의 이동 구간에 따라 해당 구간의 컨덕터 레일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해당 전원 공급부(200)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컨덕터 레일에 각각 개별적인 전원 공급부(2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원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중앙 제어부(300)는 엘리베이터 카(40)가 분기 구간(CA)을 통과하며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분기 구간(CA)을 이루는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200)를 동작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40)가 분기 구간(C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카 이동 전극(410)은 캐리어(30)의 연결 컨덕터 레일(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데, 연결 컨덕터 레일(130)은 캐리어 이동 전극(420)을 통해 수평 컨덕터 레일(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분기 구간(CA) 통과시 해당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각각의 전원 공급부(200)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며 각 컨덕터 레일과 연결되는 주전원부(210)와, 주전원부(210)와 컨덕터 레일을 연결하는 전선에 연결되는 전력 차단기(230) 및 에너지 저장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전 등에 의해 주전원부(210)를 통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220)를 통해 해당 컨덕터 레일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전력 차단기(230)를 작동시켜 주전원부(210)로부터 컨덕터 레일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220)를 통한 전원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승강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가 수평 승강로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캐리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가 캐리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구간(CA)에서 수직 승강로(10)와 캐리어(3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연결 컨덕터 레일(130) 사이에도 일정 간격이 존재한다. 엘리베이터 카(40)가 분기 구간(C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간격에 의해 전원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이동 전극(410)은 엘리베이터 카(40)의 주행 방향(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2개 장착된다.
이와 같이 카 이동 전극(410)이 상하 2개 장착됨으로써, 분기 구간(C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카 이동 전극(410)이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연결 컨덕터 레일(130) 사이 간격을 통과할 때, 나머지 하나의 카 이동 전극(410)은 수직 컨덕터 레일(110) 또는 연결 컨덕터 레일(130)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원 공급의 중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어느 하나의 카 이동 전극(410)이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카 이동 전극(410)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이동 전극(420) 또한 캐리어(30)의 주행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2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부(30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310)가 구비되는데, 엘리베이터 카(40)에도 중앙 제어부(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별도의 무선 통신부(42)가 구비되며, 무선 통신부(42)에는 카 구동 제어부(41)가 연결되어 중앙 제어부(300)와 무선 통신하고, 카 구동 제어부(41)에는 카 전원부(43)가 연결된다. 카 구동 제어부(41)는 카 전원부(43)를 동작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40) 내부 전원 공급 및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카 전원부(43)로부터 엘리베이터 카(40) 내부의 조명, 센서 작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이동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고정자와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카(40)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카 전원부(43)는 카 이동 전극(410)과 연결되어 카 이동 전극(4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카 전원부(43)와 카 이동 전극(410)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는 전력 차단기(710)와 비상 전원 저장부(700)가 연결된다. 비상 전원 저장부(700)는 비상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 카(40)가 인접한 승강장으로 비상 이동할 수 있도록 카 전원부(43)에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카 이동 전극(410) 또는 컨덕터 레일(110,130)의 손상이나 단락 등의 이유로 카 전원부(43)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동자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엘리베이터 카(40)가 추진력이 발생하지 않아 비상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 카(40)를 현재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승강장으로 비상 이동시킬 수 있도록 최소한의 비상 전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비상 전원의 공급을 위해 비상 전원 저장부(700)가 구비되며, 비상 전원 저장부(700)는 카 전원부(43)와 카 이동 전극(410)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 전력 차단기(710)와 함께 연결 설치된다. 비상 전원 저장부(700)를 통해 카 전원부(43)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전력 차단기(710)를 통해 카 이동 전극(4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비상 전원 저장부(700)는 엘리베이터 카(40) 이외에도 캐리어(30)에도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캐리어(3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된 비상 상황시 캐리어(30)를 인접한 승강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40)가 수직 승강로(10) 상에 위치한 경우, 수직 컨덕터 레일(1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카 이동 전극(41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40)에 전달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가 수평 승강로(2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공급되는 전원이 캐리어 이동 전극(420)을 통해 캐리어(30)에 전달된다. 캐리어(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캐리어(30)의 이동자에 공급됨으로써, 고정자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통해 캐리어(30)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의 전면에 설치된 연결 컨덕터 레일(130)은 캐리어(30)의 후면에 설치된 캐리어 이동 전극(420)과 전선(C)으로 연결되는데, 엘리베이터 카(40)가 캐리어(30) 상에 위치한 경우,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공급되는 전원은 캐리어 이동 전극(420)을 통해 연결 컨덕터 레일(130)로 전달되고, 연결 컨덕터 레일(130)로부터 카 이동 전극(41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40)에 전달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카(40) 및 캐리어(30)에는 카 이동 전극(410) 및 캐리어 이동 전극(420)의 마모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카 전극 마모 검출기(500a) 및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500b)가 장착된다.
카 전극 마모 검출기(500a)는, 엘리베이터 카(40)에 장착되어 카 이동 전극(410)을 수직 컨덕터 레일(110)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510)와, 카 이동 전극(410)의 일단이 수직 컨덕터 레일(110)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카 이동 전극(410)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NL)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검출 센서(520)는 유도형 근접센서, 자기식 근접센서, 레이저 거리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500b) 또한 마찬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즉, 캐리어(30)에 장착되어 캐리어 이동 전극(420)을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510)와, 캐리어 이동 전극(420)의 일단이 수평 컨덕터 레일(120)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캐리어 이동 전극(420)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NL)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 전극 마모 검출기(500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카 이동 전극(410)은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슬라이드 접촉하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수직 컨덕터 레일(110)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마모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이동 전극(410)이 마모되지 않은 최초 상태에서는 카 이동 전극(410)의 타단 위치가 최초 설정 라인(IL)에 위치한다. 이후, 사용에 따라 카 이동 전극(410)의 접촉면에 마모가 발생하면, 카 이동 전극(410)은 탄성 부재(510)에 의해 하향 가압되므로 카 이동 전극(410)의 타단 위치가 하향 이동하게 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이동 전극(410)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NL)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위치 검출 센서(520)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카 이동 전극(410)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0) 및 캐리어(30)에는 수직 컨덕터 레일(110) 및 수평 컨덕터 레일(120)의 상태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는 레일 모니터링 장치(600)가 장착된다.
이러한 레일 모니터링 장치(600)는, 엘리베이터 카(40) 또는 캐리어(30)의 주행 방향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수직 컨덕터 레일(110) 또는 수평 컨덕터 레일(120)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6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6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직 컨덕터 레일(110) 또는 수평 컨덕터 레일(120)의 표면에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 및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로 내부에 수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승강로(10)와 수평 승강로(20)가 복수개씩 설치되고, 최상층에는 수평 승강로(20)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수평 승강로(20)의 상부에는 수평 승강로(20)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 커버 레일(810)이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커버 레일(810)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건물 지붕으로부터 누수 등에 의해 수평 승강로(20)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물 벽체(E)에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커버 레일(810)은 수평 승강로(20)의 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에 의해 외부 커버 레일(810)에 유입되는 수분은 경사를 따라 유동하여 수평 승강로(2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커버 레일(810)을 통해 수평 승강로(20)에 대한 수분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수평 컨덕터 레일(120) 및 수직 컨덕터 레일(110)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락 등 전기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0)의 상단에는 엘리베이터 카(40)의 상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카 이동 전극(410) 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액체 유동 가이드(820)가 장착될 수 있다. 액체 유동 가이드(820)는 카 이동 전극(410)이 장착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40)의 상부에 유입되는 수분은 액체 유동 가이드(820)에 의해 후방으로 흘러가지 않고 전방으로 유도되므로, 카 이동 전극(410)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40)의 상면에는 수분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 유입 감지 센서(8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수분 유입 감지 센서(830)는 액체 유동 가이드(820)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액체 유동 가이드(820)에 의해 유도되는 수분 유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40)의 상부에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이를 카 이동 전극(410) 측으로 흘러가지 않게 유도하여 카 이동 전극(410)의 단락 등 손상을 방지하고, 수분 유입 감지 센서(830)를 통해 수분 유입을 감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작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유입 감지 센서(830)는 승강장(E1)의 하부에도 별도로 설치하여 승강장(E1)을 통한 수분 유입 또한 즉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직 승강로
20: 수평 승강로
30: 캐리어
40: 엘리베이터 카
110: 수직 컨덕터 레일
120: 수평 컨덕터 레일
130: 연결 컨덕터 레일
200: 전원 공급부
300: 중앙 제어부
410: 카 이동 전극
420: 캐리어 이동 전극
500a: 카 전극 마모 검출기
500b: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
600: 레일 모니터링 장치
610: 카메라
700: 비상 전원 저장부
810: 외부 커버 레일
820: 액체 유동 가이드
830: 수분 유입 감지 센서

Claims (13)

  1.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및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레일이 형성된 수직 승강로와 수평 레일이 형성된 수평 승강로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가 교차하는 분기 구간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레일과 동일한 직선을 이루도록 연결 레일이 설치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직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직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직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평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평 컨덕터 레일;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연결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리어 이동 전극; 및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 이동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은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과 별도의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상기 카 이동 전극 및 캐리어 이동 전극의 마모 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카 전극 마모 검출기 및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상기 수평 승강로를 기준으로 상하 분리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은 각각 개별적인 별도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전원 공급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별도의 중앙 제어부를 통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며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전극 마모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상기 카 이동 전극을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카 이동 전극의 일단이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카 이동 전극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전극 마모 검출기는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의 일단이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밀착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의 타단 위치가 기준선 이하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7.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및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레일이 형성된 수직 승강로와 수평 레일이 형성된 수평 승강로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가 교차하는 분기 구간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레일과 동일한 직선을 이루도록 연결 레일이 설치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직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직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직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평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평 컨덕터 레일;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연결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리어 이동 전극; 및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 이동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은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과 별도의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수평 컨덕터 레일의 상태를 각각 모니터링할 수 있는 레일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캐리어의 주행 방향 양측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또는 수평 컨덕터 레일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9.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및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레일이 형성된 수직 승강로와 수평 레일이 형성된 수평 승강로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가 교차하는 분기 구간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별도의 캐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레일과 동일한 직선을 이루도록 연결 레일이 설치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직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직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직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수평 승강로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수평 컨덕터 레일;
    상기 분기 구간에서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연결 컨덕터 레일;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캐리어 이동 전극; 및
    상기 수직 컨덕터 레일 및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 이동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은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과 별도의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평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캐리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에 공급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분기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컨덕터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카 이동 전극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는 복수개씩 설치되고, 최상층에는 상기 수평 승강로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승강로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 승강로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 커버 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 레일은 상기 수평 승강로의 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카 이동 전극 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액체 유동 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에는 수분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 유입 감지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는 비상 상황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가 인접한 승강장으로 비상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비상 전원 저장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0200104655A 2020-08-20 2020-08-2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39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5A KR102395561B1 (ko) 2020-08-20 2020-08-2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5A KR102395561B1 (ko) 2020-08-20 2020-08-2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20A KR20220023120A (ko) 2022-03-02
KR102395561B1 true KR102395561B1 (ko) 2022-05-10

Family

ID=8081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55A KR102395561B1 (ko) 2020-08-20 2020-08-2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5457A1 (en) * 2019-11-26 2021-05-27 Man Hay Pong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independent cars in a 2-dimensional hoistway
KR102591561B1 (ko) * 2023-01-16 2023-10-20 주식회사 택트레이서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574A (ja) * 1997-09-09 1999-03-23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の給電システム
KR102072302B1 (ko) * 2017-09-14 2020-02-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126117B1 (ko) * 2018-05-08 2020-06-2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구출장치
KR102095654B1 (ko) 2018-10-16 2020-03-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20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947B1 (ko) 엘레베이터
JP4842125B2 (ja) エレベータ用給電システム
KR102395561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전원 공급 시스템
CN103764532A (zh) 电子化电梯
JP2008094597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JP5330666B2 (ja) 昇降路内に2つ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互いに上下に配置して備えるエレベータ
EP3365260A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JP200603648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80111441A (ko) 위치검출장치,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CN107531458A (zh) 电梯系统
KR102330510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330456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330511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0446676B (zh) 电梯装置
JP3056885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573874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10085853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KR20210085852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4637603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KR102160012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8840210A (zh) 一种无机房电梯的曳引悬挂系统
KR102445143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434121B1 (ko) 선박용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