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467B1 - 에어컨 건조기 - Google Patents

에어컨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467B1
KR102395467B1 KR1020200084514A KR20200084514A KR102395467B1 KR 102395467 B1 KR102395467 B1 KR 102395467B1 KR 1020200084514 A KR1020200084514 A KR 1020200084514A KR 20200084514 A KR20200084514 A KR 20200084514A KR 102395467 B1 KR102395467 B1 KR 10239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unit
case
fan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741A (ko
Inventor
심경보
Original Assignee
심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경보 filed Critical 심경보
Priority to KR102020008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정지시 에어컨 실내기의 내부에 남아있는 응축수를 건조시키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에어컨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는 에어컨의 실내기(A)가 정지되면, 작동으로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실내기(A)에 구비된 증발기(2)를 건조시킴으로써, 증발기(2)에 응측된 응축수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고, 이에 따라, 실내가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건조기{air-conditioner dryer}
본 발명은 에어컨 정지시 에어컨 실내기의 내부에 남아있는 응축수를 건조시키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에어컨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에어컨은 실내에 구비된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도 1은 이러한 실내기(A) 중에서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탠드형의 실내기(A)를 도시한 것으로, 흡기구(1a)와 배기구(1b)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관(2a)을 통해 실외기와 연결되는 증발기(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기구(1a)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환기팬(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A)에는 전원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4)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선(4)을 통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1a)에는 흡기구(1a)를 통과하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블레이드(1c)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실외기와 환기팬(3)이 작동되며, 이때, 상기 실외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2)로 공급되어 팽창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기(2)가 차갑게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환기팬(3)에 의해 흡입된 실내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한편, 이러한 에어컨의 실내기(A)는 습기를 포함한 실내의 공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됨으로,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2)의 주변에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에어컨을 정지시키면, 상기 증발기(2)에 남아있는 응축수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발생되어, 다시 에어컨을 구동시킬 때, 실내의 공기중으로 곰팡이나 세균이 퍼져 실내가 오염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스탠드 형의 실내기(A)뿐 아니라,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의 실내기(A)를 갖는 모든 종류의 에어컨에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7848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컨 정지시 에어컨 실내기(A)의 내부에 남아있는 응축수를 건조시키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에어컨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컨의 실내기(A)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A)는 흡기구(1a)와 배기구(1b)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기구(1a)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환기팬(3)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1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기구(1a)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0)과, 상기 케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2)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와, 상기 실내기(A)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30)과, 상기 작동감지수단(30)과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팬(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3)의 작동이 정지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증발기(2)에 수분이 응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증발기(2)에 수분이 응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증발기(2)에 응축된 수반을 증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케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3)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내기(A)에는 전원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4)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전원선(4)을 통해 실내기(A)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유닛(32)을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측정유닛(32)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실내기(A)의 대기전력에 비해 높아질 경우, 상기 실내기(A)가 작동되는 것을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기팬(10)에는 히터(14)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는 사람감지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사람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14)를 작동시켜 증발기(2)를 더욱 빠르게 건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기팬(10)은 중앙부에 통기공(11a)이 형성된 사각블록형태로 구성된 팬하우징(11)과, 상기 통기공(11a)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팬블레이드(12)와, 상기 팬블레이드(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와, 상기 팬하우징(1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판(15)과, 팬하우징(11)의 상하면에 각각 고정결합된 한 쌍의 고정판(16)과, 상기 가이드판(15)에 연결되어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15)은 수평부(15a)와, 상기 수평부(15a)의 전단부에서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15b)와, 상기 경사부(15b)의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연장된 라운딩부(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구동모터(13)가 정지된 상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상기 수평부(15a)의 후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고, 상기 구동모터(13)를 구동시킬 때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판(15)의 수평부(15a)가 상호 수평을 이루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는 에어컨의 실내기(A)가 정지되면, 작동으로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실내기(A)에 구비된 증발기(2)를 건조시킴으로써, 증발기(2)에 응측된 응축수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고, 이에 따라, 실내가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가 구비된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건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에어컨 건조기는 에어컨의 실내기(A)에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내기(A)는 흡기구(1a)와 배기구(1b)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기구(1a)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환기팬(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A)에는 전원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4)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선(4)을 통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1a)에는 흡기구(1a)를 통과하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블레이드(1c)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컨 건조기는 상기 흡기구(1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기구(1a)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0)과, 상기 케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2)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와, 상기 실내기(A)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30)과, 상기 작동감지수단(30)과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팬(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팬(10)은 중앙부에 통기공(11a)이 형성된 사각블록형태로 구성된 팬하우징(11)과, 상기 통기공(11a)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팬블레이드(12)와, 상기 팬블레이드(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로 구성되며, 상기 팬하우징(11)의 전면에는 상기 흡기구(1a)의 가이드블레이드(1c)에 결합되는 클램프(11b)가 구비되어, 상기 급기팬(10)을 케이스(1)의 외측에서 흡기구(1a)의 가이드블레이드(1c)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습도센서(20)는 상기 케이스(1)의 배기구(1b) 일측에 구비되어,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케이스(1)의 배기구(1b)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3)에 의해 발생되어 배기구(1b)로 배출되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이용한다.
즉, 상기 실내기(A)는 에어컨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환기팬(3)이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배기구(1b)로 미리 설정된 최소풍속 이상의 바람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에어컨이 off되어야만 환기팬(3)의 작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1b)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에어컨, 특히, 실내기(A)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풍속센서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건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A)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A)의 배기구(1b)로 배출되는 바람의 속도가 0이 되면, 사용자가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킨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상기 흡기구(1a)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급된 공기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2)를 통과하여 증발기(2)에 응측되어 있는 수분, 즉, 응축수를 증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증발된 응축수가 포함되어 습도가 높아진 공기는 상기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증발기(2)를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기구(1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고, 공기의 습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증발기(2)가 완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팬(10)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건조기는 에어컨의 실내기(A)가 정지되면, 작동으로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실내기(A)에 구비된 증발기(2)를 건조시킴으로써, 증발기(2)에 응측된 응축수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고, 이에 따라, 실내가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내기(A)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실내기(A)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실내기(A)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 등 다양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케이스(1)의 배기구(1b)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3)에 의해 발생되어 배기구(1b)로 배출되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전원선(4)을 통해 실내기(A)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류측정수단은 상기 전원선(4)의 둘레부에 감겨진 코일(31)과, 상기 코일(31)에 연결된 전류측정유닛(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4)에 전기가 흐를 경우, 전원선(4)에서 발생되는 유도전기에 의해 상기 코일(3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상기 전류측정유닛(32)은 상기 코일(31)에서 발생된 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전류측정유닛(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코일(31)에 미리 정해진 전류값 이상의 전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실내기(A)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팬(10)을 정지시키고, 상기 코일(31)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값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실내기(A)가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실내기(A)에 구비된 증발기(2)를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다양한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급기팬(10)에는 히터(14)와, 상기 팬하우징(1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판(15)과, 팬하우징(11)의 상하면에 각각 고정결합된 한 쌍의 고정판(16)과, 상기 가이드판(15)에 연결되어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가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팬하우징(11)의 양측에는 힌지브라켓(11c)이 구비된다.
상기 히터(14)는 상기 팬하우징(1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팬하우징(11)의 통기공(11a)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15a)와, 상기 수평부(15a)의 전단부에서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15b)와, 상기 경사부(15b)의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연장된 라운딩부(15c)로 구성되며, 중간부 상하면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1c)에 힌지결합되는 힌지핀(15d)이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7)는 상기 힌지브라켓(11c)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핀(15d)에 연결된 전기모터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실내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는 사람감지수단(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11)은 상기 클램프(11b)의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상기 팬하우징(11)이 상기 흡기구(1a)의 가이드판(15)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사람감지수단(50)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에어컨 건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실내기(A)가 작동되고 급기팬(1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5a)의 외측단이 상호 근접되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부(15a)의 외측단이 상호 근접되도록 회동되면, 상기 가이드판(15)의 외수평부(15a)가 삼각형을 이루어, 상기 환기팬(3)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케이스(1)의 내부로 흡입될 때 발생되는 저항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즉, 상기 급기팬(10)은 상기 케이스(1) 흡기구(1a)의 외측에 설치됨으로, 상기 환기팬(3)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흡기구(1a)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흡입될 때, 공기가 상기 급기팬(10)의 팬하우징(11)과 팬블레이드(12)를 통과하면서 저항과 소음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15)이 수평부(15a)가 삼각형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공기가 가이드판(15)의 외측을 따라 이동함으로, 저항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실내기(A)가 정지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팬(10)을 구동시킬 때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15)의 수평부(15a)가 상호 수평을 이루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15)이 회동되면, 상기 경사부(15b)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배치됨으로, 외부의 공기가 가이드판(15)의 수평부(15a)를 통해 가이드되어 팬블레이드(12)를 통과한 후, 상기 경사부(15b)를 통과하면서 점차 속도가 빨라지고, 최종적으로 상기 라운딩부(15c)를 통과하면서 전방으로 빠르게 배출되어, 빠른 속도록 상기 증발기(2)로 공급된다.
이대, 상기 라운딩부(15c)는 경사부(15b)를 통과하여 속도가 빨라진 공기가 경사부(15b)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배출될 때, 공기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람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14)를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A)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증발기(2)가 더욱 빠르게 건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건조기는 가이드판(15)을 이용하여 급기팬(10)에서 소음과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에 사람이 없을 때만 히터(14)를 구동시켜 증발기(2)를 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증발기(2)를 더욱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에 사람이 있는 상태에서 히터(14)가 가열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히터(14)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바람에 의해 불쾌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급기팬 20. 습도센서
30. 작동감지수단 40. 제어수단

Claims (5)

  1. 에어컨의 실내기(A)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A)는
    흡기구(1a)와 배기구(1b)가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된 증발기(2)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의 공기를 상기 흡기구(1a)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b)를 통해 실내로 배출하는 환기팬(3)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1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기구(1a)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0)과,
    상기 케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2)를 통과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0)와,
    상기 실내기(A)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30)과,
    상기 작동감지수단(30)과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팬(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팬(3)의 작동이 정지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습도센서(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증발기(2)에 수분이 응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증발기(2)에 수분이 응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켜 케이스(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증발기(2)에 응축된 수반을 증발시키도록 되고,
    상기 급기팬(10)은 중앙부에 통기공(11a)이 형성된 사각블록형태로 구성된 팬하우징(11)과,
    상기 통기공(11a)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팬블레이드(12)와,
    상기 팬블레이드(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와,
    상기 팬하우징(1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판(15)과, 팬하우징(11)의 상하면에 각각 고정결합된 한 쌍의 고정판(16)과,
    상기 가이드판(15)에 연결되어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15)은
    수평부(15a)와,
    상기 수평부(15a)의 전단부에서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15b)와,
    상기 경사부(15b)의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연장된 라운딩부(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구동모터(13)가 정지된 상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상기 수평부(15a)의 후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고, 상기 구동모터(13)를 구동시킬 때는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판(15)의 수평부(15a)가 상호 수평을 이루도록 가이드판(15)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케이스(1)에 구비되어 상기 환기팬(3)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A)에는 전원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4)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감지수단(30)은 상기 전원선(4)을 통해 실내기(A)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유닛(32)을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작동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측정유닛(32)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실내기(A)의 대기전력에 비해 높아질 경우, 상기 실내기(A)가 작동되는 것을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10)에는 히터(14)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구비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는 사람감지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급기팬(1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사람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14)를 작동시켜 증발기(2)를 더욱 빠르게 건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건조기.
  5. 삭제
KR1020200084514A 2020-07-09 2020-07-09 에어컨 건조기 KR10239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14A KR102395467B1 (ko) 2020-07-09 2020-07-09 에어컨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14A KR102395467B1 (ko) 2020-07-09 2020-07-09 에어컨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41A KR20220006741A (ko) 2022-01-18
KR102395467B1 true KR102395467B1 (ko) 2022-05-09

Family

ID=8005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14A KR102395467B1 (ko) 2020-07-09 2020-07-09 에어컨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4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44B1 (ko) 2006-06-29 2007-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의 응축수 건조장치
KR20080098859A (ko) *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욕실용 건조환기장치
KR101399268B1 (ko) *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41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760B1 (ko) 공기 조화기의 이슬 맺힘 방지 장치 및 이슬 맺힘 방지 방법
JP2008023486A (ja) 除湿機
TW201303231A (zh) 空氣調節機
JPWO2019146121A1 (ja) 空調システム
JP2011112282A (ja) 空気調和機
KR102395467B1 (ko) 에어컨 건조기
JP2017156120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空調装置
JP2017156120A5 (ko)
JP2007032998A (ja) 空気調和機
KR10266073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48695A (ko) 공기조화기의 풍압 제어장치
KR20170004467A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82534A (ja) 空調装置
JP2007315709A (ja) 浴室空調装置
JP6060374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07101009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換気装置
JPH05240464A (ja) 空気調和装置
JPH05183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5164114A (ja) 浴室用空調装置
JP4706378B2 (ja) 浴室空調装置
JP5414466B2 (ja) イオン送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天吊カセット形空気調和器
KR200433373Y1 (ko) 히터를 구비한 습기제거장치
JPH05240487A (ja) 空気調和機
JP2013061106A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19120484A (ja) 除湿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