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76B1 -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76B1
KR102395176B1 KR1020210029914A KR20210029914A KR102395176B1 KR 102395176 B1 KR102395176 B1 KR 102395176B1 KR 1020210029914 A KR1020210029914 A KR 1020210029914A KR 20210029914 A KR20210029914 A KR 20210029914A KR 102395176 B1 KR102395176 B1 KR 10239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ape
surfboard
attached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333A (ko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EP21789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37399A4/en
Priority to PCT/KR2021/003968 priority patent/WO2021210813A1/ko
Publication of KR2021012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1Inflatable boards, e.g. drop-stitch inflat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9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e.g. moulded or 3D pr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63B32/64Adjustable, e.g. by adding sections, by removing sections or by changing orientation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63B32/66Arrangements for fixation to the board, e.g. fin boxes or foi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보드의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중심 잡기가 보다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서프 보드는 공간지를 재단하여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둘레를 따라 밀봉되게 부착되는 측면테이프(20)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부(3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면 보강테이프(40)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강테이프(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Inflatable SUP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보드의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중심 잡기가 보다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서프 보드(Stand Up Paddle board : SUP board)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투어링, 카약킹, 파도타기 또는 윈드서핑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프 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발도 딛고 올라서기도 하고, 보드 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프 보드는 그 크기가 길이 약 1.5 ~ 4.5m, 너비 약 50 ~ 100㎝, 두께 약 7 ~ 15㎝ 정도여서 상당한 부피를 갖는데, 종래에는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그 무게가 50 kg 이상에 달하였다. 따라서, 보관뿐만 아니라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이 서핑용 보드의 소재로서 소개되었다. 하지만, 서핑용 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그 무게의 감소에도 한계가 존재하며, 폴리우레탄도 경질 소재이므로, 보관이나 운반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레저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전문적인 파도타기나 윈드 서핑 외에도 물놀이 시설이 구비된 놀이공원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서핑도 최근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의 서핑용 보드는 이러한 시설물 내부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무 재질의 공기튜브를 사용하여 서프 보드를 제작하고 있고, 이러한 공기튜브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보드의 형태를 가지게 되고, 공기의 배출에 의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형태가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상당히 좋아진다.
근래에는 공기튜브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태유지라인이 내설된 공간지를 이용한 공기튜브가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그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보드 자체의 직진성이 적절히 보장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프 보드는 그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수면에서 여러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탑승한 사용자가 균형을 잃으면 쉽게 넘어지는 등 중심 잡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5-0133923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2015.12.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보드의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보드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조절부가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보드 전방의 각도조절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핀박스가 내장되어 핀박스에 의한 물의 저항력의 발생이 극소화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형성되는 본체와; 공기튜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밀폐되게 부착되는 측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하면을 따라 상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접힘부는, 상기 직선오목부와 직선볼록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상기 접힘부의 접히는 부위의 상하폭이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면 보강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강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외측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상면 보강테이프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상면 보강테이프의 사이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을 상부측으로 당겨서 상기 본체의 선단의 굽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당김띠와, 상기 당김띠의 후단에 장착되는 걸이판과, 상기 걸이판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고정띠와, 상기 고정띠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당김띠와 고정띠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본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걸이판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걸리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걸이판은, 상기 당김띠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이판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공과, 상기 제1 고정공의 후방으로 상기 걸이판의 후단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걸림판은,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판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고정띠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띠와, 상기 전방띠의 후단이 접힌 상태로 끼워지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끼움턱이 형성되는 수형클립과, 상기 수형클립의 상면에 밀착되어 걸리고 상기 전방띠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전방띠의 접힌 부분이 걸리도록 상기 전방띠의 후단이 관통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후방띠와, 상기 후방띠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형클립의 끼움턱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버튼 조작으로 상기 끼움턱의 고정이 해제되는 암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본체는, 그 후단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프 보드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둘레턱이 형성되며 하면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핀박스와, 상기 장착홈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핀을, 포함하는 핀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핀구조체는, 상기 핀박스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단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턱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의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은,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서프 보드의 본체를 형성하는 공간지 재단 단계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부착되는 측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제반 테이프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테이프 재단 단계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접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돌출되거나 직선으로 함몰되는 직선부를 형성하는 직선부 형성 단계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상기 측면테이프를 밀봉되게 부착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하는 측면테이프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상단 양측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하면 양측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상단 양측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하면 양측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하는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의 상기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는, 상기 보강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대칭되게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한 쌍씩의 브이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보드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보드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그에 따라 보드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면서 사용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가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보드 전방의 각도조절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파도의 양과 높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 파도의 환경에 따른 조작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고, 핀박스가 내장되어 핀박스에 의한 물의 저항력의 발생이 극소화되며, 그에 따라 경질 소재로 제작된 보드와 유사한 추진력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선단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각도 조절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저면 분해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후단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후단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선단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각도 조절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를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단계도,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공간지를 재단하여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둘레를 따라 밀봉되게 부착되는 측면테이프(20)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부(3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면 보강테이프(40)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강테이프(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본 보드의 평평한 본체(10)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1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1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
상기 측면테이프(20)는 상기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밀폐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를 밀봉된 공기튜브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31)와, 상기 접힘부(3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32)와,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3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33)와, 상기 직선오목부(33)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3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이테이프(32)는 상기 접힘부(3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3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오목부(33)는 상기 접힘부(3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위이고, 상기 직선볼록부(34)는 상기 접힘부(3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면 보강테이프(50)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하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31)와, 상기 접힘부(31)의 하면을 따라 상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32)와, 상기 본체(10)의 하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32)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33)와, 상기 직선오목부(33)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31)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이테이프(32)는 상기 접힘부(31)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3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오목부(33)는 상기 접힘부(3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직선볼록부(34)는 상기 접힘부(3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위이다.
즉, 본 보드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여 본 보드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접힘부(31)는 그 접히는 부위의 상하폭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은 좁은 폭(m)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M)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힘부(31)의 폭이 점차 넓어지면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함몰되는 상기 직선오목부(33)가 점차적으로 더 오목하게 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직선돌출부가 점차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반대로, 상기 접힘부(31)의 접히는 부위의 상하폭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직선돌출부가 점차 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본 보드는 직진성이 향상되면서 중심 잡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직선돌출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더욱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2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직선부(30)는 상기 본체(10)의 형태나 크기, 직진성의 정도 또는 강성의 정도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60)와, 상기 본체(10)의 후단 하면에 설치되는 핀구조체(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6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당겨서 상부측으로 굽혀지면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각도조절부(60)는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당김띠(61)와, 상기 당김띠(61)의 후단에 장착되는 걸이판(62)과, 상기 걸이판(62)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고정띠(63)와, 상기 고정띠(63)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당김띠(61)와 고정띠(6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본체(1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걸이판(62)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걸리는 걸림판(64)을 포함한다.
상기 당김띠(61)는 통상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겨서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상승시켜 원하는 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걸이판(62)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판(62)은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경질의 판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판(64)에 걸려서 상기 당김띠(61)가 상기 고정띠(63)에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걸이판(62)은 상기 당김띠(61)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이판(62)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공(621)과, 상기 제1 고정공(621)의 후방으로 상기 걸이판(62)의 후단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6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공(621)은 상기 당김띠(61)가 끼워져 재봉 등으로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후크(622)는 상기 걸림판(64)에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걸려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띠(63)는 통상 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64)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판(64)은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경질의 판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띠(6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판(62)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판(64)은 상기 후크(622)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판(64)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걸림공(641)과, 상기 고정띠(63)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판(64)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공(642)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공(641)은 상기 후크(622)가 순차적으로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상기 걸이판(62)과 걸림판(64)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당김띠(61)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선단의 굽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고정공(642)은 상기 고정띠(63)가 끼워져 재봉 등으로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구조체(70)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삽입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부착되는 둘레턱(711)이 형성되며 하면에 장착홈(712)이 형성되는 핀박스(71)와, 상기 장착홈(712)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단에 장착부(721)가 형성되는 핀(72)을 포함한다.
상기 핀박스(71)는 상기 핀(72)이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둘레턱(711)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상기 핀박스(71)가 긴밀히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홈(712)은 상기 핀(72)의 장착부(721)가 끼워져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72)은 스케그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선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 안전하게 직진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장착부(721)는 상기 장착홈(712)에 끼워져 상기 핀(72)이 상기 핀박스(71)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핀박스(71)는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면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핀박스(71)에 의한 물의 저항력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후단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상기 핀구조체(70)는 상기 핀박스(7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단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턱(731)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의 수용함(73)과, 상기 수용함(73)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7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함(73)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부착턱(731)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기 수용함(73)이 긴밀히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뚜껑(74)은 사용자가 상기 수용함(7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6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당겨서 상부측으로 굽혀지면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각도조절부(60)는 상기 본체(10)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띠(61a)와, 상기 전방띠(61a)의 후단이 접힌 상태로 끼워지도록 관통공(621a)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끼움턱(622a)이 형성되는 수형클립(62a)과, 상기 수형클립(62a)의 상면에 밀착되어 걸리고 상기 전방띠(61a)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전방띠(61a)의 접힌 부분이 걸리도록 상기 전방띠(61a)의 후단이 관통되는 걸림부재(63a)와, 상기 걸림부재(63a)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후방띠(64a)와, 상기 후방띠(64a)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형클립(62a)의 끼움턱(622a)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측면에 구비되는 버튼(651a)의 조작으로 상기 끼움턱(622a)의 고정이 해제되는 암형클립(65a)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띠(61a)는 통상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겨서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상승시켜 원하는 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수평클립(62a)과 걸림부재(63a)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형클립(62a)은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경질의 판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암형클립(65a)에 상기 끼움턱(622a)이 걸려서 상기 전방띠(61a)가 상기 후방띠(64a)에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재(63a)가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621a)은 상기 전방띠(61a)가 접힌 상태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63a)는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경질의 판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띠(61a)를 상기 수평클립(62a)에 걸어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띠(64a)는 통상 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암형클립(65a)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형클립(65a)은 상기 수평클립(62a)의 끼움턱(622a)이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전방띠(61a)가 상기 후방띠(64a)에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버튼(651a)의 누름에 의해 상기 끼움턱(622a)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측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80)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80)의 내측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측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사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브이테이프(8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양 외측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이자 형태의 일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의 타측이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브이테이프(90)는 상기 제1 브이테이프(80)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이자 형태의 일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고 브이자 형태의 타측이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의 하면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브이테이프(80)와 제2 브이테이프(90)는 상호 대칭되면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가 부착되지 않은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주입되면서 공기튜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프 보드는 도 20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40)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80) 및 제2 브이테이프(90)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빈 공간이 공기튜브를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양측을 하부측으로 볼록하게 하여 서프 보드의 전복을 극소화시키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은 공간지를 재단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공간지 재단 단계(S10)와, 측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제반 테이프를 재단하는 테이프 재단 단계(S20)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부를 형성하는 직선부 형성 단계(S30)와,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하는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S40)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상기 측면테이프를 밀봉되게 부착하는 측면테이프 부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지 재단 단계(S10)는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서프 보드의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형태유지라인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본체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고, 상기 공간지는 상기 본체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 말하는 것으로, Drop Stitch Material이라고도 한다.
상기 본체는 그 상면과 하면이 동일하게 재단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상면과 하면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 선단이 상기 본체의 하면 선단보다 작게 재단되어 상기 본체의 선단이 상부측으로 굽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 재단 단계(S20)는 상기 본체의 둘레에 부착되는 측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제반 테이프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테이프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측면 둘레에 밀봉되게 부착되어 상기 본체가 공기튜브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S30)는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접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돌출되거나 직선으로 함몰되는 직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상기 본체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S30)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상면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하면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돌출된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직진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브이테이프는 상기 접힘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S30)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하면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상면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함몰된 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강성이 향상된다.
상기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S40)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보강테이프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S40)는 상기 보강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대칭되게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한 쌍씩의 브이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이테이프는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브이테이프와 제2 브이테이프로써, 상기 본체와 그 상면에 부착되는 보강테이프의 사이에 한 쌍의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빈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이 하부로 볼록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테이프 부착 단계(S50)는 상기 본체의 둘레에 상기 측면테이프를 밀봉되게 부착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테이프는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밀폐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를 밀봉된 공기튜브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형태유지라인 12 : 삽입홈
20 : 측면테이프
30 : 직선부
31 : 접힘부 32 : 브이테이프
33 : 직선오목부 34 : 직선볼록부
40 : 상면 보강테이프
50 : 하면 보강테이프
60 : 각도조절부
61 : 당김띠
62 : 걸이판
621 : 제1 고정공 622 : 후크
63 : 고정띠
64 : 걸림판
641 : 걸림공 642 : 제2 고정공
61a : 전방띠
62a : 수평클립
621a : 관통공 622a : 끼움턱
63a : 걸림부재 64a : 후방띠
65a : 암형클립
651a : 버튼
70 : 핀구조체
71 : 핀박스
711 : 둘레턱 712 : 장착홈
72 : 핀
721 : 장착부
73 : 수용함
731 : 부착턱
74 : 뚜껑
80 : 제1 브이테이프
90 : 제2 브이테이프

Claims (19)

  1.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형성되는 본체와;
    공기튜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밀폐되게 부착되는 측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면 보강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강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외측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상면 보강테이프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브이테이프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와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상면 보강테이프의 하면 사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상면 보강테이프의 사이와 상기 제1 브이테이프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브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하면을 따라 상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와,
    상기 본체의 하면으로 상기 브이테이프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직선오목부와 직선볼록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상기 접힘부의 접히는 부위의 상하폭이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프 보드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선단을 상부측으로 당겨서 상기 본체의 선단의 굽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당김띠와,
    상기 당김띠의 후단에 장착되는 걸이판과,
    상기 걸이판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고정띠와,
    상기 고정띠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당김띠와 고정띠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본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걸이판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걸리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판은,
    상기 당김띠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이판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공과,
    상기 제1 고정공의 후방으로 상기 걸이판의 후단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은,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판에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고정띠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선단 상면에 선단의 하면이 부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전방띠와,
    상기 전방띠의 후단이 접힌 상태로 끼워지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끼움턱이 형성되는 수형클립과,
    상기 수형클립의 상면에 밀착되어 걸리고 상기 전방띠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전방띠의 접힌 부분이 걸리도록 상기 전방띠의 후단이 관통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후단 하면이 부착되는 후방띠와,
    상기 후방띠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수형클립의 끼움턱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끼움턱의 고정이 해제되는 암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후단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프 보드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는 둘레턱이 형성되며 하면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핀박스와, 상기 장착홈에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핀을, 포함하는 핀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조체는,
    상기 핀박스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단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턱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의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15. 상하의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공간지를 긴 판형으로 재단하여 서프 보드의 본체를 형성하는 공간지 재단 단계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부착되는 측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제반 테이프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테이프 재단 단계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접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직선으로 돌출되거나 직선으로 함몰되는 직선부를 형성하는 직선부 형성 단계와;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하는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와;
    상기 본체의 둘레에 상기 측면테이프를 밀봉되게 부착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하는 측면테이프 부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테이프 부착 단계는,
    상기 보강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튜브를 형성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대칭되게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한 쌍씩의 브이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상단 양측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하면 양측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 형성 단계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접힘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접힘부의 상단 양측을 따라 브이테이프의 하면 양측을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의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210029914A 2020-04-16 2021-03-08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89170.4A EP4137399A4 (en) 2020-04-16 2021-03-31 INFLATABLE SURF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1/003968 WO2021210813A1 (ko) 2020-04-16 2021-03-31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5668 2020-04-16
KR1020200045668 2020-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333A KR20210128333A (ko) 2021-10-26
KR102395176B1 true KR102395176B1 (ko) 2022-05-09

Family

ID=7826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14A KR102395176B1 (ko) 2020-04-16 2021-03-08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25804A1 (en) * 2011-12-02 2014-11-06 Aba Hortnagl Gmbh Buckle
US20160021984A1 (en) * 2014-07-28 2016-01-28 Siya, Inc. Multi-Function Buckle
US20190054984A1 (en) * 2017-08-19 2019-02-21 Ryan Alexander Saevitz Foot binding assembly for standup paddleboards
KR101955006B1 (ko) * 2017-09-01 2019-03-06 류창수 리쉬코드 일체형 서프보드 핀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579A (en) * 1982-07-14 1984-11-06 Masters William E Kayak with adjustable rocker
KR100979508B1 (ko) * 2008-06-11 2010-09-03 주식회사 스타마린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KR20150133923A (ko) 2014-05-20 2015-12-01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008A (ja) * 2010-04-15 2011-11-10 Joycraft Kk エアフロ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25804A1 (en) * 2011-12-02 2014-11-06 Aba Hortnagl Gmbh Buckle
US20160021984A1 (en) * 2014-07-28 2016-01-28 Siya, Inc. Multi-Function Buckle
US20190054984A1 (en) * 2017-08-19 2019-02-21 Ryan Alexander Saevitz Foot binding assembly for standup paddleboards
KR101955006B1 (ko) * 2017-09-01 2019-03-06 류창수 리쉬코드 일체형 서프보드 핀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333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4565B2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KR100979508B1 (ko)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JP2013521076A (ja) ラッキングクシステムおよびブラケット
US6171160B1 (en) Floating devices connection and/or storage system and table
KR10157727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102395176B1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EP3133012A1 (en) Inflatable sup board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20160111252A (ko) 패들보드
KR101577276B1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EP4137399A1 (en) Inflatable surf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60037527A1 (en) Rotatable wakeboard support
KR101402928B1 (ko) 패들링 보드
US9187157B1 (en) Stand up paddleboard with paddle sheath
CN108992876A (zh) 用于包的带组件和制造具有带组件的包的方法
US5152245A (en) Floatable ladder device
KR102387698B1 (ko)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US20050011425A1 (en) Seat board for board kiting
US20220400838A1 (en) Pool and spa water hammock device and methods of use
KR200469794Y1 (ko) 이중 수영튜브
MXPA00012347A (es) Artefacto acuatico impulsado por el viento.
US10668993B2 (en) Foot binding assembly for standup paddleboards
US5603676A (en) Crawl swim exerciser
US20230399081A1 (en) Body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