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698B1 -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698B1
KR102387698B1 KR1020200181522A KR20200181522A KR102387698B1 KR 102387698 B1 KR102387698 B1 KR 102387698B1 KR 1020200181522 A KR1020200181522 A KR 1020200181522A KR 20200181522 A KR20200181522 A KR 20200181522A KR 102387698 B1 KR102387698 B1 KR 10238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wer pack
board
injected
boar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혁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1Inflatable boards, e.g. drop-stitch inflat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보드 형상을 갖도록 연성시트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인입부를 구비하는 보드몸체; 상기 보드몸체의 외측면 중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보드프레임; 상기 보드프레임의 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보드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관; 상기 인입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워팩몸체와, 상기 파워팩몸체가 상기 인입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관과,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주입관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펌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동파워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만 공기가 주입되어 기준치 이상의 부력을 유지하면서 파손의 우려가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 논문 등 출처기재(謝辭) 표기
○ 국문
☞ 본 성과물은 부산광역시의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 중 “동명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영문
☞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ongmyong University Innovated University Research Park(I-URP) fund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Inflatable surfboard}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서프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공기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각종 레저 활동 및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서프보드(Stand Up Paddle board)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투어링, 카약킹, 파도타기 또는 윈드서핑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프보드는 보드 판재에 사람이 양발도 딛고 올라서기도 하고, 보드 판재에 상체를 대고 엎드려서 파도를 타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프보드는 그 크기가 길이 약 1.5 ~ 4.5m, 너비 약 50 ~ 100㎝, 두께 약 7 ~ 15㎝ 정도여서 상당한 부피를 갖는데, 종래에는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그 무게가 50 kg 이상에 달하였다. 따라서, 보관뿐만 아니라 운반 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이 서핑용 보드의 소재로서 소개되었다. 하지만, 서핑용 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그 무게의 감소에도 한계가 존재하며, 폴리우레탄도 경질 소재이므로, 보관이나 운반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레저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전문적인 파도타기나 윈드서핑 외에도 물놀이 시설이 구비된 놀이공원에서 즐길 수 있는 간단한 서핑도 최근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의 서핑용 보드는 이러한 시설물 내부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는 중공부(10), 상부시트(23), 하부시트(24), 중공부 측면시트(21) 및 외부 측면시트(22)를 포함하는 외형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형재 내부에는 내부공간재(70)가 구비된다.
종래의 보드는 공기주입부(30)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이의 외형재는 상부시트(23), 하부시트(24), 중공부 측면시트(21) 및 외부 측면시트(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형재는 보드의 외형을 유지하며 물이 보드 내부로 침투하는 것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배출시킨 뒤에는 접을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보드는 보드에 탑승한 사람의 무게를 지탱할 정도로 충분한 압력을 갖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야 하므로, 이러한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외형재 소재가 선택된다. 상기 외형재는 형태유지성능, 방수성 및/또는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서, PVC,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드의 하면에는 러빙부(4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하부시트(24)를 보호하고, 견고성 및 안정성을 더 할 수 있거나, 서핑 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속도감 및 안정감을 더할 수 있다. 상기 러빙부(40)는 고무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드는 그 내부에 내부공간재(70)를 구비하는데, 상기 내부공간재(70)는 상면(71), 하면(72)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지지라인(73)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71), 하면(72) 및 지지라인(73)은 섬유로 직조되어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면(71)과 하면(72)이 지지라인으로 연결되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에 상면(71)과 하면(72)이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부풀지 않게 되고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공기주입부(30)를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야 하는데, 상기 공기주입부(30)로 공기를 불어 넣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에 공기를 주입하고자 할 때에는 공기펌프의 공기공급관 끝단을 상기 공기주입부(30)에 연결한 후 공기펌프를 작동시켜야 하는데, 공기펌프의 공기공급관 끝단이 공기주입부(30)에 고정 결합되지 아니하므로 공기 주입이 끝날 때까지 사용자가 공기펌프의 공기공급관을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기펌프가 진동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는 공기펌프 몸체까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므로, 서핑용 보드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는, 공기 주입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안정적인 부력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고 공기주입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공기가 주입되어야 한다. 이때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는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표시되지 아니하므로, 공기 주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97950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 공기가 주입되면 더 이상의 공기 주입이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보드 형상을 갖도록 연성시트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인입부를 구비하는 보드몸체; 상기 보드몸체의 외측면 중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보드프레임; 상기 보드프레임의 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보드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관; 상기 인입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워팩몸체와, 상기 파워폭몸체가 상기 인입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관과,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주입관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펌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동파워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관은, 상기 공기주입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내부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주입관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아니할 때에는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내부유로 중단에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주입관 중 상기 체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오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파워팩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펌프와 연통되는 흡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보드몸체의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측정값을 송신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송신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드몸체의 내부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차단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만 공기가 주입되어 기준치 이상의 부력을 유지하면서 파손의 우려가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프보드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었을 때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공기 주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서프보드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보드 형상을 갖도록 연성시트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오목한 형상의 인입부(110)를 구비하는 보드몸체(100)와, 상기 보드몸체(100)의 외측면 중 상기 인입부(110)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보드프레임(200)과, 상기 보드프레임(200)의 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관(300)과,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전동파워팩(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동파워팩(400)은, 상기 인입부(1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워팩몸체(410)와, 상기 파워폭몸체가 상기 인입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300)에 삽입되는 공기주입관(420)과, 상기 파워팩몸체(41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주입관(420)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430)와, 상기 파워팩몸체(41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펌프(4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보드몸체(100)는 전동파워팩(4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부풀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시트로 제작되는데, 이와 같이 공기 주입 여부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보드몸체(100)는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프보드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드프레임(200)은 전동파워팩(4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바, 보드몸체(100) 내부로의 공기 주입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드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관(300)은 보드몸체(100)의 팽창 및 수축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전동파워팩(400)을 인입부(110)에 삽입시켰을 때 상기 공기주입관(420)은 체결관(300)에 정확하게 삽입 및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를 이용하여 서핑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파워팩(400)을 분리시켜 보드몸체(100)만을 사용하다가,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일부 유실되어 상기 보드몸체(100)의 부력이 줄어들었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파워팩(400)을 인입부(110)에 삽입시켜 보드몸체(10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전동파워팩(400)이 인입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공기주입관(420)은 체결관(300) 내부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바, 공기펌프(430)에 의해 발생되어 제공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는 공기주입관(420) 및 체결관(300)을 거쳐 보드몸체(100)로 주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펌프(430)는, 전동파워팩(400)이 인입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작동스위치(미도시)를 온(ON)시켰을 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를 사용하면, 전동파워팩(400)을 인입부(110)에 삽입시키는 조작만으로 보드몸체(1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보드몸체(100)를 팽팽하게 팽창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공기펌프(430)에 연결된 공기주입관(42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관(300)에 압입되므로, 보드몸체(100)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동안 사용자가 보드몸체(100)나 전동파워팩(400)을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드몸체(100) 내부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주입되면 전동파워팩(400)을 인입부(1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공기주입관(420)이 체결관(300)으로부터 탈거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300)이 개방되어 있으면 보드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체결관(30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관(300)의 출구에 별도의 마개를 체결하여 체결관(300)을 밀폐시킬 수도 있지만, 공기주입관(420)이 체결관(300)으로부터 탈거되는 시점부터 마개가 체결관(300)에 체결되는 시점까지는 보드몸체(100) 내부의 공기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상기보드몸체(100)의 부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상기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내부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아니할 때에는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체결관(300) 내부유로 중단에는 체크밸브(31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가 주입될 때에만 체결관(300)의 내부유로를 개방시키는 체크밸브(310)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체크밸브(31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관(300) 내부에 체크밸브(310)가 구비되면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지므로,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마개를 이용하여 체결관(300)을 개폐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주입 작업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관(420)과 체결관(300)은 고압 환경에서도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경도가 높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은 두 개의 부품이 서로 맞닿는 경우 밀폐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공기주입관(420)의 외측면이 체결관(300)의 내측면에 직접 밀착되도록 구성되면, 공기주입관(420)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공기주입관(420)의 외측면과 체결관(30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공기주입관(420)의 외측면과 체결관(300)의 내측면 사이가 실링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관(420) 중 상기 체결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측면에는 오링(422)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링(422)이 공기주입관(4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면, 공기주입관(420)이 체결관(300)에 삽입되었을 때 공기주입관(420)의 외측면과 체결관(300)의 내측면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되므로,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 없이 모두 보드몸체(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동파워팩(400)을 보드몸체(100)에 장착시켜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작업은 상기 보드몸체(100)와 전동파워팩(400)을 바닥에 내려 놓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때 공기펌프(430)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기구(412)가 파워팩몸체(410)의 측면이나 저면에 형성되면 외기가 원활하게 공기펌프(430)로 흡입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팩몸체(4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펌프(430)와 연통되는 흡기구(4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공기 주입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서핑에 충분한 부력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고, 공기주입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드몸체(100)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로는 적절한 양의 공기가 주입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에는 보드몸체(100)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장치가 없어 공기 주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가사,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을 표시하는 별도의 압력계가 구비된다 하더라도, 보드몸체(100)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압력계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어야 하므로 공기주입 작업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측정값을 송신하는 압력센서(120)와, 상기 압력센서(120)로부터 송신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430)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차단센서(450)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120)와 차단센서(450)가 추가로 구비되면, 보드몸체(100) 내부로 충분한 양의 압축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공기펌프(430)의 동작이 자동으로 중단되어 더 이상 공기가 주입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보드몸체(100) 내부의 압력이 자동으로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드몸체(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압력센서(120)나, 상기 압력센서(120)로부터 송신된 측정값을 전달 받아 공기펌프(4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센서(450)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압력센서(120)와 차단센서(450)의 내부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보드몸체 110 : 인입부
120 : 압력센서 200 : 보드프레임
300 : 체결관 310 : 체크밸브
400 : 전동파워팩 410 : 파워팩몸체
412 : 흡기구 420 : 공기주입관
422 : 오링 430 : 공기펌프
440 : 배터리 450 : 차단센서

Claims (5)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보드 형상을 갖도록 연성시트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인입부(110)를 구비하는 보드몸체(100);
    상기 보드몸체(100)의 외측면 중 상기 인입부(110)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보드프레임(200);
    상기 보드프레임(200)의 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관(300); 및
    상기 인입부(1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워팩몸체(410)와, 상기 파워팩몸체(410)가 상기 인입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300)에 삽입되는 공기주입관(420)과, 상기 파워팩몸체(41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주입관(420)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430)와, 상기 파워팩몸체(41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펌프(4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40)를 구비하는 전동파워팩(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측정값을 송신하는 압력센서(120)와, 상기 압력센서(120)로부터 송신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보드몸체(100)의 내부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펌프(430)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차단센서(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300)은, 상기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내부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주입관(420)을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아니할 때에는 내부유로가 폐쇄되도록 내부유로 중단에 체크밸브(31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관(420) 중 상기 체결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오링(4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팩몸체(4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펌프(430)와 연통되는 흡기구(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5. 삭제
KR1020200181522A 2020-12-23 2020-12-23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KR10238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22A KR102387698B1 (ko) 2020-12-23 2020-12-23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22A KR102387698B1 (ko) 2020-12-23 2020-12-23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698B1 true KR102387698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22A KR102387698B1 (ko) 2020-12-23 2020-12-23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7042A1 (en) * 2017-12-21 2021-05-20 WBV Weisenburger Bau+Verwaltung GmbH Inflatable Surfboard Having a Drive Un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07A (ko) * 2001-08-02 2004-07-30 에스지지 페이턴츠 엘엘씨 내장형 팽창장치
KR200435686Y1 (ko) * 2006-09-29 2007-02-08 민병호 에어보트
KR20100030747A (ko) * 2008-09-11 2010-03-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외기형 추진기를 장착한 서프보드
KR100979508B1 (ko) 2008-06-11 2010-09-03 주식회사 스타마린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KR20170099204A (ko) * 2016-02-23 2017-08-31 오철규 부력 증진 및 길이 조절 가능한 구명보드
KR20190089168A (ko) * 2018-01-19 2019-07-30 라딘 악티에볼라그 전기적으로 동력을 공급받는, 워터-제트 추진식 서프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07A (ko) * 2001-08-02 2004-07-30 에스지지 페이턴츠 엘엘씨 내장형 팽창장치
KR200435686Y1 (ko) * 2006-09-29 2007-02-08 민병호 에어보트
KR100979508B1 (ko) 2008-06-11 2010-09-03 주식회사 스타마린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KR20100030747A (ko) * 2008-09-11 2010-03-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외기형 추진기를 장착한 서프보드
KR20170099204A (ko) * 2016-02-23 2017-08-31 오철규 부력 증진 및 길이 조절 가능한 구명보드
KR20190089168A (ko) * 2018-01-19 2019-07-30 라딘 악티에볼라그 전기적으로 동력을 공급받는, 워터-제트 추진식 서프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7042A1 (en) * 2017-12-21 2021-05-20 WBV Weisenburger Bau+Verwaltung GmbH Inflatable Surfboard Having a Drive Unit
US11673630B2 (en) * 2017-12-21 2023-06-13 WBV Weisenburger Bau+Verwaltung GmbH Inflatable surfboard having a driv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08B1 (ko)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KR102387698B1 (ko) 공기주입식 서프보드
US8336143B2 (en) Air mattress
KR101496337B1 (ko) 공기주입식 서핑용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48148A1 (en) Sailing Rig
US20150148141A1 (en) Inflatable play structure with integrated inflation mechanism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KR20150133923A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US20050023177A1 (en) Protective surfboard covering device
KR101577276B1 (ko) 공기주입식 서프 보드
US7682260B1 (en) System for anchoring inflatable structures
KR101757054B1 (ko) 입좌식 패들링 보트
CA2768845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00004641U (ko) 튜브(tube)겸용 산소공급기
US6467421B1 (en) Breach filling device
KR20140023526A (ko) 패들링 보드
KR200471085Y1 (ko)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KR100564395B1 (ko) 낚시용 배
US20050064773A1 (en) Surfcraft
US20170007933A1 (en) Liquid-inflatable toy
CN217999899U (zh) 一种增氧浮水泵及其浮体
US20060148345A1 (en) Surfboard drain and leash plug
KR200229771Y1 (ko) 부력용 장화
US9156531B2 (en) Tank storage device
CN21487542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新型充气冲浪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