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275B1 -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275B1
KR102394275B1 KR1020190131297A KR20190131297A KR102394275B1 KR 102394275 B1 KR102394275 B1 KR 102394275B1 KR 1020190131297 A KR1020190131297 A KR 1020190131297A KR 20190131297 A KR20190131297 A KR 20190131297A KR 102394275 B1 KR102394275 B1 KR 10239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ip bar
length
clip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551A (ko
Inventor
민병옥
Original Assignee
민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옥 filed Critical 민병옥
Priority to KR102019013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2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 또는 SMC, 칼라강판 등의 벽면 마감재(이하 벽체 배수판이라 칭함)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클립바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구조의 지지대로 다단의 연결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몸체(10)의 일측에 클립바를 연결지지하는 클립결합부(20)와,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절결홈(110)과, 상기 절결홈(110)에 선택적 위치결정을 위한 치열(112)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대(120)와, 상기 탄성대(120)에 구비되어 밀착 결합 되는 타 몸체의 상기 치열(112)에 치합하거나 또는 탄성 후퇴하여 치열(112)에서 이탈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130),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CLIP BAR SUPPORT}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 또는 SMC, 칼라강판 등의 벽면 마감재(이하 벽체 배수판이라 칭함)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클립바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구조의 지지대로 다단의 연결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배수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 중 클립바를 기반으로하는 모델이 있다.
즉, 벽체 배수판의 둘레에 클립바의 탄성슬롯에 압입되는 압입편을 설치하여 벽면에 클립바를 설치한 후 상기 클립바의 탄성슬롯에 압입편을 압입하여 배수판을 설치한다.
벽체 배수판 설치를 위한 클립바를 시공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과 클립바를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방법은, 말그대로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킨 후 양 날개부에 못을 타정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벽면의 평활도가 양호한 경우에 적용한다.
그 외에 벽면으로부터 클립바를 이격시켜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첫째 벽면과 근접한 상하 슬라브에 런너를 타정 설치하고, 이에 클립바의 상하단을 삽입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클립바의 단면이 가늘어 힘을 가하면 쉽게 휘어져 벽체 배수판의 설치가 불가하다.
따라서 클립바가 휘지 않도록 보강이 필요하다.
클립바가 휘지 않도록 보강하는 방법으로 첫째 클립바의 단면을 확장하여 버팀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클립스터드 제조를 위한 별도 금형을 제작하여 별도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가공비 인건비 등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클립바가 휘지않도록 보강하는 두번째 방법으로는, 벽면에 칼블럭을 박고 이에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대를 설치한 후 이 지지대에 클립바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도 11과 같이 칼블럭을 박기 위해 벽면에 일일이 드릴로 구멍을 뚫고, 이에 너트형 몸체(60)를 칼블럭으로 박아 고정한 후 볼트형 몸체(50)를 체결하고 각 볼트형 몸체(50)의 단부의 돌출길이를 나사회전으로 조절한 후 그 선단에 형성된 클립바 클립(52)에 클립바를 설치하는 공정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공정을 수행해야 하고, 또 길이조절을 위한 너트형몸체(60), 볼트형 몸체(50)가 필요하고, 또 길이의 확장이 더 필요할 때에는 일측은 너트(72) 타측은 볼트(74)로 이루어진 길이별 중간 연결재(70) 등과 같은 각종 부품들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각각의 금형제작비용, 제품 제조비용 등이 상승하게 되고, 또 설치시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나사회전 및 각 몸체의 조립을 위한 나사회전 등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 결국 최종 설치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부품없는 한 패턴의 구조로된 한 몸체로 클립바를 독립적 또는 다단 연결로 신속간편하게 자유로운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클립바를 연결지지하는 클립결합부와,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절결홈과,
상기 절결홈에 선택적 위치결정을 위한 치열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에 구비되어 밀착 결합 되는 타 몸체의 상기 치열에 치합하거나 또는 탄성 후퇴하여 치열에서 이탈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치열은 절결홈 양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타 몸체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의 사이드 지지부에는 밀착 연결되는 타측 몸체의 양측에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지지부 사이에 상기 몸체의 절결홈 사이로 삽입되어 양측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타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립결합부에는 상기 타측 몸체가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 삽입된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외측지지부의 걸림턱이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조절을 위한 두 몸체의 연결은, 대향되는 상기 스토퍼를 회피하도록 상기 각 몸체를 맞대응 밀착시켜 상기 사이드 지지부가 서로의 몸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각 구성요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단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아주 단순 심플한 구조이어서, 제조를 위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금형 추출시간이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금형만 제작하면 되므로 초기 제품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시 복수의 몸체를 맞대응 밀착시키면 각 몸체의 가이드가 서로의 몸체를 지지하여 견고하게 서로를 연결하고, 상기 탄성대를 통해 상기 스토퍼를 후퇴시켜 선택적 위치에 치열을 맞물림하여 위치를 고정하므로 연결을 위한 조작이 매우 신속간편하고, 이러한 길이조절 작업을 통한 전체 클립바 설치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타의 부품없이 하나의 패턴으로된 몸체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길이조절 기능이 완벽히 수행되므로 부품관리가 매우 용이해지고,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에서 시공까지의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지지대에 클립바가 결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클립결합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길이 조절 지지대의 연결상태도
도 9은 본 발명 클립결합부를 생략한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다단 연결 상태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평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몸체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지지대에 클립바가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클립결합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길이 조절 지지대의 연결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클립결합부를 생략한 도 8의 B-B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의 다단 연결 상태도이며,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는,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그 일측의 클립결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중앙부에 길이 방향의 절결홈(110)을 구성하고, 상기 절결홈(110)에는 톱니 또는 기어치와 같은 일정간격 형태의 치열(112)을 구성하는데, 이 치열(112)은 상기 절결홈(110)의 내부 일측 또는 양측에 구성한다.
상기 절결홈(110)의 일측 단부에는 탄성대(120)를 구비하고, 이 탄성대(120)에 스토퍼(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0)에는 상기 치열(112)에 맞물림되는 멈춤치(132)를 구성한다. (도 3 참조)
이때, 상기 스토퍼(130)의 멈춤치(132)는 연결되는 타 몸체(10)를 밀착 연결했을 때 상기 밀착 몸체(10)의 치열(112)에 맞물림되는 곳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의 상단에는 연결되는 상기 타 몸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13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스토퍼(130)는 타몸체와 결합할 때 제2걸림턱(134)에 의해 치열(112)에 의해 후퇴하면서 치열(112)과 멈춤치(132)가 일치하면 탄성대(120)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면서 치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2걸림턱(134)이 치열(112)의 단부에 걸림되어 일단 결합된 몸체(10)는 스토퍼(130)가 후퇴하지 않는한 걸림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양측(폭방향)에는 연결되는 타 몸체(10)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140)를 구성한다. 또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는 연결되는 타 몸체(10)가 삽입될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삽입 밀착된 타측 몸체(10)의 양측을 걸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제1걸림턱(14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양측 사이드에는 몸체(10)와 몸체를 연결할 때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의 제1걸림턱(142)이 각 몸체(1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조립홈(160)을 형성한다. 이때 양측 조립홈(160)의 간격을 상기 제1걸림턱(142)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하여 결합시 제1걸림턱(142)에 의해 양측 사이드 지지부(140)가 탄력적으로 후퇴했다 결합하여 결합된 몸체(10)의 이탈이 어렵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 사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절결홈(110) 양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150)를 형성한다. 이 내측지지부(150)는 그 두께에 의해 절결홈(110) 쪽으로 몸체(10)가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결국 사이드 지지부(140) 사이로 연결 결합된 몸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클립결합부(20)는 대체로 상기 몸체(10)와 직각방향을 이루는데 양측에 길이방향의 결합홈(210)을 구성한다. 이 결합홈(210)은 클립바(30)의 날개부(310)를 탄성결합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클립결합부(20) 상기 타측 몸체가 삽입 안내되는 제3지지부(220)를 형성한다. 즉, 결합되는 상기 타측 몸체(10)를 수용하여 슬라이딩 이동시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3지지부(220)에는 제3걸림턱(222)이 형성되어 일단 삽입된 타측 몸체(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도 7 참조)
즉, 상기 제3지지부(220)와 제3걸림턱(222)은 클립결합부(20)가 동일한 방향을 취하도록 하여 연결할 때 필요한 것으로, 클립결합부(20)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서로의 몸체(10)를 일측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40) 만으로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력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그런데 제3지지부(220) 및 제3걸림턱(222)이 더 지지해주므로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길이조절 지지대는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 패턴은 상기 각 몸체(10)의 스토퍼(130)와 사이드 지지부(140)가 서로 대향되도록하여 밀착 결합한다. 이때 각 몸체(10)의 방향은 클립결합부(20)가 동향을 이루도록 하여도 되고, 그 반대 방향을 취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독립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몸체(10)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또는 재단하여 사용한다.
재단하여 사용할 때에는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재단함으로써 재단된 부위의 사용이 필요없거나 또는 재단된 부분을 사용하여 소폭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한다.
즉, 클립결합부(20)가 있는 쪽을 F부, 그 반대쪽 R부라 할 때, 몸체(10)를 재단하여 나누어진 R부를 뒤집어 양측 사이드 지지부(140)를 F부의 후미부에 위치시킨 후 강제 밀착시키거나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F부의 후미부가 R부 양측의 사이드 지지부(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이드 지지부(140) 사이의 내측지지부(150)가 F부 후단의 절결홈(110) 내에 위치하여 F부의 후단이 내측으로 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F부의 절결홈(110) 내에 위치한 치열(112)에 치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만일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130)를 후퇴시켜 치열(112)에 치합된 스토퍼(130)를 분리시킨 후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다시 스토퍼(130)를 자유롭게 하면 스토퍼(130)가 탄성대(120)의 탄성력에 의해 해당 위치의 치열(112)에 치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각 몸체(10)를 상호의 상기 스토퍼(130) 또는 사이드 지지부(140)가 마주보도록 하여 밀착시키면 스토퍼(130)의 멈춤치(132)는 치열(112)에 치합되고, 각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40)는 벌어지면서 서로의 몸체(10)를 수용한 후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걸림턱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강제로 스토퍼(130)를 후퇴시켜 치열(112)에서 멈춤치(132)를 분리시키면 각 몸체(10)는 상대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40)에 지지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길이조절을 한 후 다시 스토퍼(130)를 자유롭게 하면 탄성대(1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멈춤치(132)가 치열(112)에 물리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는, 연결되는 각 몸체(10)들의 방향을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연결하여도 동이한 연결을 할 수가 있다. 단, 몸체(10)를 동일방향으로 위치시키면 한 몸체(10)의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와 제3지지부(220)가 서로의 몸체(10)를 지지하게 되고, 몸체(10)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연결을 하면 각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40)가 서로를 이중으로 지지하므로 더욱더 견고한 연결을 할 수 있다.(도 10 참조)
10 - 몸체 110 - 절결홈
112 - 치열 120 - 탄성대
130 - 스토퍼 132 - 멈춤치
134 - 제2걸림턱 140 - 사이드 지지부
142 - 제1걸림턱 150 - 내측지지부
160 - 조립홈 20 - 클립결합부
210 - 결합홈 220 - 제3지지부
222 - 제3걸림턱 30 - 클립바
310 - 날개부

Claims (10)

  1. 몸체(10)의 일측에 클립바를 연결지지하는 클립결합부(20)와,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절결홈(110)과,
    상기 절결홈(110)에 선택적 위치결정을 위한 치열(112)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대(120)와,
    상기 탄성대(120)에 구비되어 밀착 결합 되는 타 몸체의 상기 치열(112)에 치합하거나 또는 탄성 후퇴하여 치열(112)에서 이탈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130),
    상기 몸체(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타 몸체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140)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112)은 절결홈(110) 양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에는 밀착 연결되는 타 몸체의 양측에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14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140) 사이에 상기 몸체(10)의 절결홈(110) 사이로 삽입되어 양측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1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30)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타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걸림턱(1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결합부(20)에는 상기 타 몸체를 삽입 안내하는 제3지지부(2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조절을 위한 두 몸체(10)의 연결은, 대향되는 상기 스토퍼(130)를 회피하도록 각 몸체(10)를 맞대응 밀착시켜 사이드 지지부(140)가 서로의 몸체(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KR1020190131297A 2019-10-22 2019-10-22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KR10239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97A KR102394275B1 (ko) 2019-10-22 2019-10-22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97A KR102394275B1 (ko) 2019-10-22 2019-10-22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51A KR20210047551A (ko) 2021-04-30
KR102394275B1 true KR102394275B1 (ko) 2022-05-04

Family

ID=7574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97A KR102394275B1 (ko) 2019-10-22 2019-10-22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2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51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4203272B4 (de) Kettenführung
KR20180089545A (ko) 조절 가능한 헤드장착 구조
KR102394272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KR10239427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WO2015187008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ofiled-section elements
DE102006003588A1 (de) Schnallenvorrichtung, Spritzwerkzeug und Spritzgießverfahren
DE102013223968B4 (de) Verbindungs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Pfostens an einem Rahmenträger eines Fensters, einer Türe oder dgl. aus Kunststoff
DE2830384C3 (de) Reiterschiene für Schreibmaschinen
KR20170136623A (ko) 프로파일부 벨트 및 그 제조 방법
EP1852340B1 (en) Fastener particularly for a supporting rod and fender
EP1369304B1 (de) Vorrichtung zur formschlüssigen Befestigung von geformten oder extrudierten Kunststoffteilen, insbesondere an der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s
KR20210071397A (ko) 길이 조절 클립바 지지대
EP1867562A1 (en) Fastener for a fender and a supporting rod of cycles
EP1952080B1 (de) Kühlgerät
KR101370848B1 (ko) 파스너의 제조방법
KR200472011Y1 (ko) 박스의 조립 구조
KR20100002922A (ko) 금형조립체
KR101370847B1 (ko) 자동차의 내외장에 사용되는 파스너 제조방법
DE2807279A1 (de) Absatzplatte fuer eine langlaufskibindung
CN210395709U (zh) 塑料卡扣及装配式墙体
CN219820515U (zh) 倒扣成型组件
CN219346752U (zh) 一种空调面板卡位结构
CN220180033U (zh) 汽车零部件注塑模具隧道滑块加强结构
CN115142186B (zh) 编织工具梳栉
DE102009007721B4 (de) System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s an einem Trägerbaute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