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64B1 -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64B1
KR102393564B1 KR1020190145203A KR20190145203A KR102393564B1 KR 102393564 B1 KR102393564 B1 KR 102393564B1 KR 1020190145203 A KR1020190145203 A KR 1020190145203A KR 20190145203 A KR20190145203 A KR 20190145203A KR 102393564 B1 KR102393564 B1 KR 102393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drying
tablets
printing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534A (ko
Inventor
아즈사 히라노
야스츠구 츠루오카
히로노리 하이지마
료 이쿠타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37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57730B2/ja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convection means, e.g. by using a fan for blowing or suck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3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a head having a heater in th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의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는, 정제(T)가 반송되는 반송로(P)와, 반송로(P)에 있어서 정제(T)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12)와, 반송로(P)에 있어서 건조 장치(12)의 하류에 위치하여, 건조 장치(12)에 의해 건조한 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 장치(24)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생산성의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에 문자나 마크 등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해,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는 정제 인쇄 장치는, 컨베이어 등의 반송 장치에 의해 정제를 반송하고, 반송 장치의 상방에 배치된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의 노즐로부터, 인쇄 헤드 하방을 통과하는 정제를 향하여 잉크(예컨대, 가식성 잉크)를 토출하여,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한다.
통상,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한 정제는, 정제 표면과, 반송로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져, 정제 인쇄 장치의 반송로에 있어서 미끄러짐이 나빠, 반송로를 따라 흘러가기 어려워진다. 특히, 대량으로 정제를 흘러가게 하는 공급 장치, 예컨대 호퍼, 덕트 및 슈터에 있어서, 덕트로부터 반송로가 좁은 슈터에 정제를 흘러가게 하는 경우, 그 정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정제의 미끄러짐이 나빠, 정제가 흘러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슈터로 정제의 막힘이 생긴다. 이 때문에, 정제의 반송량이 내려가, 생산성이 저하한다.
또한, 정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그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 잉크가 정제에 스며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정제 상의 잉크는 건조하기 어려워져, 정제끼리의 접촉이나 정제의 표리 반전 반송 등에 의해, 정제나 반송로에의 인쇄 전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인쇄 품질이 저하하거나, 또한 장치 오염이 생기거나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7-08105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산성의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는, 정제가 반송되는 반송로와, 반송로에 있어서 정제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와, 반송로에 있어서 건조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여,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한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방법은, 정제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정제를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시고,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한 정제에 대하여, 반송로에 있어서 건조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는 인쇄 헤드 장치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생산성의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급 장치의 일부 및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량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율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4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5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5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관의 변형예 6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 및 하란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 및 하를 가리킨다. 또한, 정제(T)로서는, 일례로서, 코팅정이 이용된다. 이 코팅정으로서는, 예컨대 당의정이나 필름 코팅정 등을 들 수 있다.
(기본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는, 건조 공급 장치(10A)와, 정렬 반송 장치(10B)와, 제1 인쇄 장치(20)와, 제2 인쇄 장치(30)와, 회수 장치(40)와, 제어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인쇄 장치(20) 및 제2 인쇄 장치(30)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정제(T)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의 각 구성 요소인 건조 공급 장치(10A), 정렬 반송 장치(10B), 제1 인쇄 장치(20), 제2 인쇄 장치(30), 회수 장치(40)가 이 순서로 배치된 반송로(P)(이하, 부호 P를 생략함)에서 반송되면서 정제 공급, 인쇄, 회수의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반송로란, 정제 인쇄 장치(1)에 있어서 정제(T)가 반송되는 경로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로의 상류측은 건조 공급 장치(10A), 하류측은 회수 장치(40)가 된다.
건조 공급 장치(10A)는 공급 장치(11)와, 건조 장치(12)를 가지고 있다. 이 건조 공급 장치(10A)는, 정렬 반송 장치(10B)의 일단측, 즉 정제(T)의 반송 방향(A1)[이하, 단순히 반송 방향(A1)이라고 함]에 있어서의 상류의 일단측에 위치되어 있다. 건조 공급 장치(10A)는, 공급 장치(11) 내의 정제(T)를 건조 장치(12)에 의해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정제(T)를 정렬 반송 장치(10B)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건조 공급 장치(10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 장치(11)는 호퍼(11a)와, 덕트(11b)와, 진동 피더(슈터)(11c)를 가지고 있다. 호퍼(11a)는, 다수의 정제(T)를 수용하고, 그 수용한 복수의 정제(T)를 덕트(11b)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덕트(11b)는, 호퍼(11a)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고, 호퍼(11a)로부터 공급된 각 정제(T)를 진동 피더(11c)에 공급한다. 진동 피더(11c)는, 덕트(11b)의 하면으로부터 공급된 각 정제(T)에 진동을 부여하여 정제(T)의 중첩을 없애면서, 정렬 반송 장치(10B)에 각 정제(T)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 장치(11)에 있어서는, 정제(T)는 자기 중량에 의해 낙하하여 이동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공급 장치(11)에 있어서도 「정제(T)를 반송한다」라고 표현한다.
이 공급 장치(11)에 있어서, 예컨대 1시간당 10만정(10만정/H)의 정제(T)가 호퍼(11a) 내에 투입되지만, 호퍼(11a) 내에 투입된 모든 정제(T)가 곧바로 덕트(11b) 및 진동 피더(11c)를 통과하여 정렬 반송 장치(10B)에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 호퍼(11a) 내나 덕트(11b) 내, 진동 피더(11c) 내에는 다수의 정제(T)가 일시적으로 머물게 된다.
건조 장치(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건조부(12a)와, 제2 건조부(12b)와, 기체 공급부(12c)를 가지고 있다. 이 건조 장치(12)는, 제1 건조부(12a) 및 제2 건조부(12b)에 의해, 기체 공급부(12c)로부터 공급된 건조 기체(예컨대, 건조 에어)를 이용하여, 인쇄 전의 정제(T)를 건조시킨다. 건조 장치(12)로서는, 건조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장치 이외에도, 에어 등의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방사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히터, 또는 기체 및 히터를 병용하여 온풍이나 열풍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등 각종 건조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정제(T)가 코팅정인 경우에는, 코팅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코팅층이 녹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코팅층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는 건조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후의 건조 장치에서도 마찬가지임).
제1 건조부(12a)는 삽입관(12a1)을 가지고 있다. 삽입관(12a1)은 덕트(11b)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삽입관(12a1)의 일단은 기체 공급부(12c)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은 폐쇄되어 있다. 덕트(11b) 내에 위치하는 삽입관(12a1)의 부분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급기구)(H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관(12a1)은 덕트(11b) 내에 있어서 기체 통과성을 가지고 있다. 삽입관(12a1)의 관통 구멍(H1)은 덕트(11b)의 중심축 부근에도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11b)의 중심축 부근에서 반송되는 정제(T)도 건조 기체에 확실하게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여, 확실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관(12a1)은, 건조 기체를 공급하는 관통 구멍(H1)이 호퍼(11a)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삽입관(12a1)은, 덕트(11b)의 길이 방향의 1/2보다 호퍼 쪽에 관통 구멍(H1)이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호퍼(11a) 내의 공간도 제1 건조부(12a)에 의해 건조 기체로 채워지게 되어 있다.
제2 건조부(12b)는 복수의 노즐(12b1)을 가지고 있다. 각 노즐(12b1)은, 진동 피더(11c)의 주위로부터 건조 기체를 진동 피더(11c)의 반송로를 향하여 분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진동 피더(11c)의 하면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1c1)이 형성되어 있어, 건조 기체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노즐(12b1)의 일단은 각각 기체 공급부(12c)에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타단은 급기구로서 개방되어 있다.
기체 공급부(12c)는, 건조 기체(예컨대, 건조 에어)를 제1 건조부(12a) 및 제2 건조부(12b)에 공급한다. 기체 공급부(12c) 내의 건조 기체는 삽입관(12a1)에 공급되어, 삽입관(12a1) 내를 통과하여 각 관통 구멍(H1)으로부터 분출되어, 덕트(11b)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덕트(11b) 내 및 호퍼(11a) 내의 각 정제(T)가 건조된다. 또한, 기체 공급부(12c) 내의 건조 기체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각 노즐(12b1)에 공급되어, 각 노즐(12b1)의 급기구로부터 분출되어, 진동 피더(11c) 내에 공급된다. 이때, 진동 피더(11c)에는, 그 주위로부터 건조 기체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진동 피더(11c) 내의 각 정제(T)가 건조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정렬 반송 장치(10B)는, 정렬 피더(13)와, 전달 피더(14)를 가지고 있다. 이 정렬 반송 장치(10B)는, 제1 인쇄 장치(20)의 일단측, 즉 반송 방향(A1)에 있어서의 상류의 일단측에 위치되어 있다. 정렬 반송 장치(10B)는, 정렬 피더(13) 및 전달 피더(14)에 의해 정제(T)를 제1 인쇄 장치(2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정렬 반송 장치(10B)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정렬 피더(13)는, 공급된 정제(T)를 2열로 정렬하여, 전달 피더(14)를 향하여 반송한다. 전달 피더(14)는, 정렬 피더(13) 상에 2열로 배열되는 각 정제(T)를, 순차적으로 정제(T)의 상측으로부터 흡인하여 유지하고, 유지한 각 정제(T)를 제1 인쇄 장치(20)까지 2열로 반송하여 제1 인쇄 장치(20)에 건네 준다. 또한, 정렬 피더(13) 및 전달 피더(14)로서는, 예컨대 벨트 반송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인쇄 장치(20)는, 반송 장치(21)와, 검출 장치(22)와, 제1 촬상 장치(인쇄용의 촬상 장치)(23)와, 인쇄 헤드 장치(24)와, 제2 촬상 장치(검사용의 촬상 장치)(25)와, 건조 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21)는, 반송 벨트(21a), 구동 풀리(21b), 복수(도 1의 예에서는, 3개)의 종동 풀리(21c), 모터(21d), 위치 검출기(21e) 및 흡인 챔버(21f)를 가지고 있다. 반송 벨트(21a)는 무단형의 벨트이고,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에 가설되어 있다.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는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구동 풀리(21b)는 모터(21d)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21d)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위치 검출기(21e)는, 인코더 등의 기기이고, 모터(21d)에 부착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기(21e)는 전기적으로 제어 장치(50)에 접속되어 있고,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50)는,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의 위치나 속도, 이동량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반송 장치(21)는, 모터(21d)에 의한 구동 풀리(21b)의 회전에 의해 각 종동 풀리(21c)와 함께 반송 벨트(21a)를 회전시켜, 그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를 도 1 중 화살표(A1) 방향[반송 방향(A1)]으로 반송한다.
반송 벨트(21a)의 표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상의 흡인 구멍(21g)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흡인 구멍(21g)은, 각각 정제(T)를 반송 벨트(21a) 표면에 흡착하는 관통 구멍이고, 2개의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반송 방향(A1)을 따라 평행하게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각 흡인 구멍(21g)은, 흡인 챔버(21f)에 형성된 흡인로를 통해 흡인 챔버(21f) 내에 접속되어 있고, 그 흡인 챔버(21f)에 의해 흡인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인 챔버(21f)에는, 펌프 등의 흡기 장치가 흡입 기관(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흡기 장치의 작동에 의해 흡인 챔버(21f)의 내부는 감압된다. 또한, 흡입 기관은, 흡인 챔버(21f)의 측면[반송 방향(A1)과 평행인 면]의 대략 중앙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흡기 장치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검출 장치(22)는, 복수의 검출부(22a)(도 3의 예에서는, 2개)를 가지고 있다. 검출부(22a)는, 정렬 반송 장치(10B)에 의해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정제(T)가 공급되는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으로서 반송 방향(A1)에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에 정제(T)의 반송로마다 하나씩 배열되어, 반송 벨트(21a)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부(22a)는, 레이저 광의 투수광(投受光)에 의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위치[반송 방향(A1)의 위치]를 검출하고, 하류에 위치하는 각 장치의 트리거 센서로서 기능한다. 검출부(22a)에서는, 반사형 레이저 센서 등 각종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검출부(22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50)에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촬상 장치(23)는, 복수의 촬상부(23a)(도 3의 예에서는, 2개)를 가지고 있다. 촬상부(23a)는, 검출 장치(22)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으로서 반송 방향(A1)에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에 정제(T)의 반송로마다 하나씩 배열되어, 반송 벨트(21a)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촬상부(23a)는, 전술한 정제(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가 촬상부(23a)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화상(인쇄용의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제어 장치(50)에 송신한다. 촬상부(23a)로서는, CCD(전하 결합 소자)나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촬상부(23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촬상용의 조명도 마련되어 있다.
인쇄 헤드 장치(24)는, 잉크젯 방식의 복수의 인쇄 헤드(24a)(도 3의 예에서는, 2개)를 가지고 있다. 인쇄 헤드(24a)는, 제1 촬상 장치(23)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으로서 반송 방향(A1)과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에 정제(T)의 반송로마다 하나씩 배열되어, 반송 벨트(21a)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인쇄 헤드(24a)는, 복수의 노즐(24b)(도 3 참조: 단, 도시에서는 4개만 표시)을 구비하고, 이들 노즐(24b)로부터 개별로 잉크를 토출한다. 이 인쇄 헤드(24a)는, 노즐(24b)이 배열되는 정렬 방향이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도록(예컨대 직교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쇄 헤드(24a)로서는, 압전 소자, 발열 소자 또는 자왜 소자 등의 구동 소자를 갖는 각종의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인쇄 헤드(24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촬상 장치(25)는, 복수의 촬상부(25a)(도 3의 예에서는, 2개)를 가지고 있다. 촬상부(25a)는, 인쇄 헤드 장치(24)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으로서 반송 방향(A1)에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에 정제(T)의 반송로마다 하나씩 배열되어, 반송 벨트(21a)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촬상부(25a)는, 전술한 정제(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가 촬상부(25a)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화상(검사용의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촬상부(25a)는, 취득한 화상을 제어 장치(50)에 송신한다. 촬상부(25a)로서는, 전술한 촬상부(23a)와 마찬가지로,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촬상부(25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촬상용의 조명도 마련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건조 장치(26)는, 인쇄 헤드 장치(24)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예컨대 반송 장치(21)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건조 장치(26)는, 2열의 반송로에 공통의 건조 장치이고, 반송 벨트(21a) 상의 각 정제(T)에 도포된 잉크를 건조시킨다. 건조 장치(26)로서는, 에어 등의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방사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히터, 또는 기체 및 히터를 병용하여 온풍이나 열풍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등 각종 건조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 장치(26)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건조 장치(26)의 상방을 통과한 정제(T)는,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21c)측의 단부 부근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흡인 작용이 정제(T)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정제(T)는 반송 벨트(21a)에 유지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제1 인쇄 장치(20)로부터 제2 인쇄 장치(30)에 전달된다.
제2 인쇄 장치(30)는 반송 장치(31)와, 검출 장치(32)와, 제1 촬상 장치(인쇄용의 촬상 장치)(33)와, 인쇄 헤드 장치(34)와, 제2 촬상 장치(검사용의 촬상 장치)(35)와, 건조 장치(36)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31)는 반송 벨트(31a), 구동 풀리(31b), 복수(도 1의 예에서는, 3개)의 종동 풀리(31c), 모터(31d), 위치 검출기(31e) 및 흡인 챔버(31f)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인쇄 장치(30)를 구성하는 각 요소는, 전술한 제1 인쇄 장치(2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인쇄 장치(30)의 반송 방향은 도 1 중 화살표(A2) 방향[반송 방향(A2)]이다.
회수 장치(40)는 불량품 회수 장치(41)와, 양품 회수 장치(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수 장치(40)는, 제2 인쇄 장치(30)의 건조 장치(36)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2)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불량품 회수 장치(41)에 의해 불량품의 정제(T)를 회수하고, 양품 회수 장치(42)에 의해 양품의 정제(T)를 회수한다.
불량품 회수 장치(41)는 분사 노즐(41a)과, 수용 장치(41b)를 가지고 있다. 분사 노즐(41a)은 제2 인쇄 장치(30)의 흡인 챔버(31f)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분사 노즐(41a)은, 반송 벨트(31a)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불량품의 정제(T)]를 향하여 기체(예컨대, 에어)를 분사하여, 반송 벨트(31a)로부터 정제(T)를 낙하시킨다. 이때, 분사 노즐(41a)로부터 분사된 기체는, 반송 벨트(31a)의 흡인 구멍[도 3에 나타내는 흡인 구멍(21g)과 동일함]을 통과하여 정제(T)에 닿는다. 분사 노즐(41a)은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 장치(41b)는 반송 벨트(31a)로부터 낙하한 정제(T)를 수취하여 수용한다.
양품 회수 장치(42)는 기체 분출부(42a)와, 배출 반송 장치(배출 피더)(42b)와, 건조 장치(42c)와, 수용 장치(42d)를 가지고 있다. 이 양품 회수 장치(42)는, 불량품 회수 장치(41)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2)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기체 분출부(42a)는, 제2 인쇄 장치(30)의 반송 장치(31) 내로서, 그 반송 장치(31)의 단부[즉 반송 벨트(3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31c)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기체 분출부(42a)는, 예컨대 인쇄 처리 중, 항상 반송 벨트(31a)를 향하여 기체(예컨대, 에어)를 분출하여, 반송 벨트(31a)로부터 정제(T)를 낙하시킨다. 이때, 기체 분출부(42a)로부터 분출된 기체는, 반송 벨트(31a)의 흡인 구멍[도 3에 나타내는 흡인 구멍(21g)과 동일함]을 통과하여 정제(T)에 닿는다. 기체 분출부(42a)로서는, 예컨대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2)에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의 개구를 갖는 에어 블로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체 분출부(42a)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불량품 회수 장치(41)를 통과한 정제(T)는, 반송 벨트(3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반송 벨트(3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31c)측의 단부 부근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흡인 작용이 정제(T)에 작용하지 않게 되지만, 기체 분출부(42a)를 마련함으로써, 반송 벨트(31a)로부터 정제(T)를 확실하게 낙하시켜 배출 반송 장치(42b)에 공급할 수 있다.
배출 반송 장치(42b)는, 반송 벨트(31a)의 하면으로부터 낙하한 정제(T)를 수취하고, 수취한 정제(T)를 수용 장치(42d)까지 반송한다. 또한, 배출 반송 장치(42b)로서는, 예컨대 벨트 반송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는 기체 통과성을 갖는 무단형의 벨트이다. 기체 통과성을 갖는 벨트로서는, 메쉬형의 벨트나 복수의 둥근 구멍을 갖는 벨트 등,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각종 재질의 벨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 반송 장치(42b)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건조 장치(42c)는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를 가지고 있다. 이 건조 장치(42c)는, 건조 기체(예컨대, 건조 에어)를 이용하여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에 의해, 배출 반송 장치(42b)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를 건조시킨다. 이 건조 장치(42c)는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건조 장치(42c)로서는, 건조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장치 이외에도, 에어 등의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방사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히터, 또는 기체 및 히터를 병용하여 온풍이나 열풍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등 각종 건조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건조부(42c1)는,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방에, 정제(T)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고,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건조 기체(예컨대, 건조 에어)를 분출한다. 이 상건조부(42c1)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기체 공급부(12c)(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 공급부(12c)로부터 공급된 건조 기체를 건조 처리에 이용한다. 상건조부(42c1)의 케이스는,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이 하방을 향하여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 상면의 반송면에 덮어 씌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상건조부(42c1)의 케이스 중에는, 건조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고, 노즐로부터 건조 기체가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 상면을 향하여 분출된다. 이 건조 기체는, 배출 반송 장치(42b)의 반송로를 따라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류단이나 하류단을 향하여 흘러간다. 이에 의해, 상건조부(42c1)의 케이스 내의 공간은 항상 건조 분위기로 유지된다.
하건조부(42c2)는, 배출 반송 장치(42b)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배출 반송 장치(42b)의 내부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건조 기체(예컨대, 건조 에어)를 분출한다. 이 하건조부(42c2)도, 상건조부(42c1)와 마찬가지로,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기체 공급부(12c)(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 공급부(12c)로부터 공급된 건조 기체를 건조 처리에 이용한다. 하건조부(42c2)의 케이스는, 상면이 개구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이 상방을 향하여 배출 반송 장치(42b)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하건조부(42c2)의 케이스 중에는, 건조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고, 노즐로부터 건조 기체가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 하면을 향하여 분출된다. 이 건조 기체는, 상건조부(42c1)로부터 분출된 건조 기체와 함께, 배출 반송 장치(42b)의 반송로를 따라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류단이나 하류단을 향하여 흘러간다. 이에 의해, 하건조부(42c2)의 케이스 내의 공간은 항상 건조 분위기로 유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상건조부(42c1)의 케이스의 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 커버(42c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측면 커버(42c3)는, 상건조부(42c1)의 반송 방향(A1)과 평행한 양 측면의 전역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직 방향으로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 근방까지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커버(42c3)에 의해, 반송 방향(A1)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상건조부(42c1)와 배출 반송 장치(42b)로 형성된다. 이 공간에 분출된 건조 기체는,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류단이나 하류단을 향하여 흘러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류단이나 하류단을 향하여 흐르는 기류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공간 내에는 건조 기체가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공간 내는 건조 기체로 충만한 양압 분위기로 되어 있어, 외부의 습도가 높은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 내는 항상 건조 분위기로 유지된다. 또한, 하건조부(42c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의 케이스에 배치되는 노즐의 형태는 어떠한 형태여도 좋고, 예컨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의 개구를 마련하여, 이들 개구로부터 건조 기체를 분출하는 파이프를 1개 이상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프는,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A1)을 따르도록 마련되어도 좋고,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A1)과 수평으로 교차하도록(예컨대, 직교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수용 장치(42d)는, 배출 반송 장치(42b)의 하류단, 즉 배출 반송 장치(42b)에 있어서의 제2 반송 장치(31)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되어, 정제 인쇄 장치(1)의 케이스 밖에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 장치(42d)는, 건조 장치(42c)에 의해 잉크가 건조한 정제(T)를 배출 반송 장치(42b)로부터 수취하여 수용한다.
제어 장치(50)는 화상 처리부(51), 인쇄 처리부(52), 검사 처리부(53) 및 기억부(54)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1)는 화상을 처리한다. 인쇄 처리부(52)는 인쇄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검사 처리부(53)는 검사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54)는 처리 정보나 각종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50)는 건조 공급 장치(10A)나 정렬 반송 장치(10B), 제1 인쇄 장치(20), 제2 인쇄 장치(30), 회수 장치(40)를 제어하고, 또한 제1 인쇄 장치(20)나 제2 인쇄 장치(30)의 개개의 검출 장치(22, 32)로부터 송신되는 정제(T)의 위치 정보, 제1 인쇄 장치(20)나 제2 인쇄 장치(30)의 개개의 촬상 장치(23, 25, 33, 35)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배출 반송 장치(42b)의 반송 속도(예컨대, 30 ㎜/s)는, 반송 장치(21)나 반송 장치(31)의 반송 속도(예컨대, 380 ㎜/s)에 비해서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배출 반송 장치(42b)의 반송 속도는, 반송 장치(21)의 반송 속도나 반송 장치(31)의 반송 속도의 10분의 1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배출 반송 장치(42b)에 있어서의 정제(T)의 이동 속도는, 인쇄 시의 정제(T)의 이동 속도보다 느리다.
(인쇄 공정)
다음에, 전술한 정제 인쇄 장치(1)가 행하는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인쇄에 요하는 인쇄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가 제어 장치(50)의 기억부(54)에 기억된다. 그리고, 공급 장치(11)의 호퍼(11a)에 인쇄 대상의 정제(T)가 다수 투입되면, 정제(T)는 호퍼(11a)로부터 덕트(11b)에 유입된다. 덕트(11b) 내에 유입된 정제(T)는, 진동 피더(11c)에 의해 정렬 피더(13)에 순차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하여, 정렬 피더(13)에 의해 2열로 배열되어 이동한다. 이 2열로 이동하는 정제(T)는, 전달 피더(14)에 의해 제1 인쇄 장치(20)의 반송 벨트(21a)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반송 벨트(21a)는, 모터(21d)에 의한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의 회전에 의해 반송 방향(A1)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벨트(21a) 상에 공급된 정제(T)는 반송 벨트(21a) 상에서 2열로 배열되어 소정의 이동 속도로 반송되어 간다. 또한, 반송 벨트(31a)도 모터(31d)에 의한 구동 풀리(31b) 및 각 종동 풀리(31c)의 회전에 의해 반송 방향(A2)으로 회전하고 있다.
여기서, 호퍼(11a) 내에 다수(예컨대, 수십만 정)의 정제(T)가 투입되면, 호퍼(11a) 내에 투입된 모든 정제(T)가 곧 덕트(11b) 및 진동 피더(11c)를 통과하여 정렬 반송 장치(10B)에 공급되는 것은 아니고, 호퍼(11a)나 덕트(11b), 진동 피더(11c) 내에는 다수의 정제(T)가 일시적으로 머물게 된다. 이들 정제(T)는, 제1 건조부(12a) 및 제2 건조부(12b)에 의해 건조된다. 즉, 호퍼(11a)나 덕트(11b) 내에는, 건조 기체가 제1 건조부(12a)로부터 공급되고, 호퍼(11a)나 덕트(11b) 내의 공간은, 건조 기체에 의해 채워지는 것 같은 상태로 되어, 그 내부 습도[정제(T)의 주변 습도]도 저하하여, 호퍼(11a)나 덕트(11b) 내의 정제(T)는 건조한다. 이때, 호퍼(11a)나 덕트(11b) 내의 정제(T)는, 십수 분부터 한 시간 정도, 건조 기체의 공간 내에 머물기 때문에, 확실하게 건조되게 된다. 또한, 덕트(11b)로부터 진동 피더(11c)로 이동한 정제(T), 즉 진동 피더(11c) 내의 정제(T)에는, 제2 건조부(12b)로부터 건조 기체가 분무되기 때문에, 정제(T)의 건조가 촉진된다.
또한, 건조 기체의 공급 개시의 타이밍은, 정제(T)를 공급하기 시작하기 전에 정제 인쇄 장치(1)의 기동(ON)과 동시에 건조 기체를 공급하여, 정제(T)가 공급되는 타이밍보다 이전의 단계에서 공급 장치(11) 내[호퍼(11a) 내, 덕트(11b) 내 및 진동 피더(11c) 내]가 건조 상태가 되는 타이밍이다.
제1 인쇄 장치(20)에서는, 전술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 장치(22)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정제(T)의 위치 정보[반송 방향(A1)의 위치]가 취득되어, 제어 장치(50)에 입력된다. 이 정제(T)의 위치 정보는 기억부(54)에 보존되어 후처리에서 이용된다. 다음에,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전술한 정제(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타이밍에 제1 촬상 장치(23)에 의해 촬상되고, 촬상된 화상이 제어 장치(50)에 송신된다. 제1 촬상 장치(23)로부터 송신된 개개의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예컨대, 도 3에 있어서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에서의 정제(T)의 위치 어긋남]가 화상 처리부(51)에 의해 생성되어, 기억부(54)에 보존된다. 이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에 대한 인쇄 조건(잉크의 토출 위치나 토출 속도 등)이 인쇄 처리부(52)에 의해 설정되어, 기억부(54)에 보존된다.
계속해서, 반송 벨트(21a) 상의 개개의 정제(T)는, 전술한 정제(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타이밍, 즉 정제(T)가 인쇄 헤드 장치(24)의 하방에 도달한 타이밍에, 전술한 인쇄 조건에 기초하여 인쇄 헤드 장치(24)에 의해 인쇄가 실행된다. 인쇄 헤드 장치(24)의 각 인쇄 헤드(24a)에 있어서, 각 노즐(24b)로부터 잉크가 적절하게 토출되어, 그 정제(T)의 상면에 문자(예컨대 알파벳, 가타카나, 번호)나 마크(예컨대 기호, 도형) 등의 식별 정보가 인쇄된다.
식별 정보가 인쇄된 정제(T)는, 전술한 정제(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타이밍에 제2 촬상 장치(25)에 의해 촬상되고, 촬상된 화상이 제어 장치(50)에 송신된다. 제2 촬상 장치(25)로부터 송신된 개개의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T)마다의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를 나타내는 인쇄 위치 정보가 화상 처리부(51)에 의해 생성되어, 기억부(54)에 보존된다. 그 인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에 대한 인쇄 양부가 검사 처리부(53)에 의해 판단되어, 정제(T)마다의 인쇄 양부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쇄 양부 결과 정보가 기억부(54)에 보존된다. 예컨대, 인쇄 패턴이 정제(T)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검사 후의 정제(T)는,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건조 장치(26)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때, 정제(T)에 도달(착탄)한 잉크는, 정제(T)가 건조 장치(26)의 상방을 통과하는 동안에 건조 장치(26)에 의해 건조되고, 잉크가 건조한 정제(T)는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가,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21c)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 흡인 작용이 정제(T)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정제(T)는 반송 벨트(21a)의 하면에 유지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제1 인쇄 장치(30)로부터 제2 인쇄 장치(30)에 전달된다.
제2 인쇄 장치(30)에서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가 행해진다. 검사 후의 정제(T)는, 반송 벨트(3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건조 장치(36)의 상방을 통과한다. 그리고, 잉크가 건조한 정제(T)는 불량품 회수 장치(41)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불량품의 정제(T)는, 분사 노즐(41a)에 의한 기체의 분사에 의해 반송 벨트(31a)의 하면으로부터 낙하하여, 수용 장치(41b)에 의해 회수된다. 한편, 양품의 정제(T)는 불량품 회수 장치(41)를 통과하여, 양품 회수 장치(42)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양품의 정제(T)는, 흡인 작용이 정제(T)에 작용하지 않게 되며, 기체 분출부(42a)에 의한 기체의 분출에 의해 반송 벨트(31a)의 하면으로부터 낙하하여, 배출 반송 장치(42b)에 인도된다.
양품의 정제(T)는 배출 반송 장치(42b)에 의해 반송되고, 그 반송 도중에 정제(T)가 건조 장치(42c)의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에 의해 건조된다. 배출 반송 장치(42b)의 벨트 상의 정제(T)에는,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로부터 건조 기체가 분무되기 때문에, 정제(T)의 건조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정제(T)가 배출 반송 장치(42b)보다 상류의 반송로에서 습기에 의해 수분을 포함하여도, 그 정제(T)는 배출 반송 장치(42b)에 의한 반송 중에 상건조부(42c1) 및 하건조부(42c2)에 의해 확실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배출 반송 장치(42b)의 상방에 있어서, 측면 커버(42c3)(도 4 참조)에 의해 구획된 칸막이 공간 내는 건조 기체에 의해 채워지는 것 같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 내부 습도도 저하하여, 칸막이 공간 내의 정제(T)는 건조한다. 이때, 배출 반송 장치(42b)의 반송 속도는, 인쇄 시의 반송 속도에 비해서 매우 늦게 되어 있으므로, 칸막이 공간 내의 정제(T)는, 십수분 정도 건조 기체의 공간 내에 머물기 때문에, 정제(T)가 확실하게 건조되게 된다. 또한, 이는 정제(T)에 인쇄된 잉크에도 적용되어, 건조한 잉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잉크의 건조가 불충분하여도 확실하게 잉크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장치(42c)에 의해 건조된 정제(T)는, 배출 반송 장치(42b)에 의해 수용 장치(42d)의 상방까지 반송되어, 배출 반송 장치(42b)의 하류단으로부터 낙하하여, 수용 장치(42d)에 의해 회수된다.
이러한 인쇄 공정에서는, 정제(T)에 대한 인쇄 전에, 정제(T)는 건조 장치(12)에 의해 확실하게 건조된다. 이에 의해, 정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정제(T)의 표면과, 다른 정제(T)나, 공급 장치(11) 등의 반송로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져, 정제(T)의 미끄러짐이 나빠져, 정제(T)가 반송로를 따라 흘러가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반송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T)는 인쇄 전에 건조 장치(12)에 의해 확실하게 건조되기 때문에, 인쇄 시 잉크가 정제(T)에 스며들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정제(T) 상의 잉크는 신속하게 건조되기 때문에, 정제끼리의 접촉이나 정제의 표리 반전 반송 등에 의해, 정제나 반송로에의 인쇄 전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전의 정제(T)는, 건조 장치(12)에 의해 공급 장치(11) 내, 즉 호퍼(11a), 덕트(11b) 및 진동 피더(11c) 내에 있어서 건조된다. 이 공급 장치(11) 내에서는, 정제(T)가 십수 분부터 한 시간 정도 머물게 되기 때문에, 정제(T)를 확실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즉, 공급 장치(11) 내, 즉 인쇄 헤드 장치(24)가 정제(T)에 인쇄를 행할 때의 정제(T)의 이동 속도보다 정제(T)의 이동 속도가 느린 위치에서, 정제(T)가 건조 장치(12)에 의해 건조되게 되기 때문에, 정제(T)를 확실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 인쇄 장치(1)에 정제가 투입된 후에 건조 공급 장치(10A)에 의해, 정제(T)는 공급 장치(11) 내에서 건조 분위기 속에 수용되기 때문에, 정제(T)가, 정제 인쇄 장치(1)에 투입되기 전에 충분히 건조된 정제여도, 체류 시간이 긴 공급 장치(11) 내의 공기에 의해 흡습하는 것을 억제하고, 정제(T)가, 정제 인쇄 장치(1)에 투입되기 전에 수분을 포함한 정제여도, 그 정제(T)를 적절한 건조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정제(T)가 정제 인쇄 장치(1)에 투입되어, 인쇄되기까지의 동안에, 적절하게 습도 관리된 분위기 내에서 건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 전의 정제(T)는, 공급 장치(11)로부터 제1 인쇄 장치(20)에 이르는 반송로에 있어서, 대량으로 투입된 정제(T)를 인쇄 시에 정렬시키기 위해, 호퍼(11a)에서 덕트(11b) 사이, 진동 피더(11c)에서 전달 피더(14) 사이의 공간 등, 상류보다 하류 쪽이 반송로가 좁은 공간을 통과하여 반송된다. 공급 장치(11) 내에 있어서, 정렬 피더(13)로 정렬되기 전에, 건조 장치(12)에 의해 정제(T)를 건조시킴으로써, 반송로가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에, 정제(T)의 표면과, 다른 정제(T)나, 공급 장치(11) 등의 반송로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져, 정제(T)의 미끄러짐이 나빠져, 정제(T)가 반송로를 따라 흘러가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반송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후의 정제(T)는 건조 장치(26)나 건조 장치(36)에 의해 건조되고, 그 건조 후, 정제(T)의 건조 상태는, 건조 장치(42c)에 의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정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정제(T)의 미끄러짐이 나빠져, 인쇄 후의 정제(T)와 반송로의 맞스침에 따른 반송로에의 잉크 전사, 인쇄 후의 정제끼리의 맞스침에 따른 다른 정제(T)에의 잉크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정제(T)가 흡인 유지되지 않는 반송이 되는 경우, 예컨대 양품 회수 장치(42) 등에서는 유효하다. 또한, 정제(T)가 흡인 유지되어 있었다고 해도, 반송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정제(T)가 어긋나게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잉크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장치(26)나 건조 장치(36)에서는, 정제(T)에 인쇄된 잉크도 건조된다. 그러나, 정제(T)의 표면 상태나 잉크의 종류에 따라서는, 건조 장치(26)나 건조 장치(36)에서는 충분히 잉크가 건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건조 장치(42c)에 의해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어, 잉크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다.
(반송량 및 전사율)
다음에, 복수의 건조 조건에 있어서, 정제(T)의 반송량 및 전사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도 5에는 각 조건 1~3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 및 중량 변화량마다의 반송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는 각 조건 1~3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 및 중량 변화량마다의 전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확인은, 인쇄할 수 있는 수량이, 인쇄 장치(20, 30)에 공급되어 반송되는 정제(T)의 수량에 의존함으로써, 인쇄 장치(20, 30)에 있어서의 정제(T)의 반송량(단위 시간당의 반송수)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쇄한 잉크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다른 정제(T)나 반송 부재 등에 잉크가 붙어 버린다고 하는 잉크의 전사 상태를, 후술하는 전사 시험에 의해 전사율을 측정하였다.
이 확인에서 사용하는 정제(T)의 샘플은, 소정의 흡습 상태로 된 정제(T)를 준비하였다. 이것은, 소정의 습도 환경에 정제(T)를 노출하여, 정제(T)의 흡습 상태가 포화할 때까지, 소정의 시간마다의 정제(T)의 중량을 전자 천칭으로 측정하여, 그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 방치하여 작성한 것이다. 소정의 습도 환경으로서, 상대 습도 70%(RH 70%), 상대 습도 50%(RH 50%), 상대 습도 6%(RH 6%)의 각 환경에서 중량이 포화한 정제(T)를 준비하였다. 소정의 습도 환경은, 고온 항습고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한 정제(T)의 상태를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로 하여, 각 습도(%)를 부기함으로써 나타낸다.
또한, 이때의 정제(T)는, 직경 φ7 ㎜, 두께 4.5 ㎜의 당의정을 이용하였다. 이 정제(T)의 RH 50% 환경에서 포화한 중량(포화 중량)을 기준 중량으로 하여, RH 70%, RH 6%의 각 환경에서 방치하여 포화하였을 때의 중량의 기준 중량으로부터의 변화량을 중량 변화량으로 한다. 이 중량 변화량은, 정제(T)가 함유하는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다음에, 정제 인쇄 장치(1)에 있어서, 인쇄 전에 건조하는 건조 장치(12)와 인쇄 후에 건조하는 건조 장치(26, 36, 42c)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인쇄 전의 건조, 인쇄 후의 건조의 유무를 조건으로 하여, 준비한 각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의 정제(T)를 인쇄하였다. 건조의 조건으로서, 후술하는 조건 1~3의 3 조건으로 하였다.
각 조건에 있어서, 7만정을 인쇄하였다. 이때, 1분간마다의 인쇄 처리한 정제수를 10분간분(10회) 계측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 산출한 측정 결과로부터 1시간당의 반송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 인쇄한 각 조건의 정제(T)로부터, 30개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유리병에 넣고 10회 상하로 흔들고, 그 후 □0.1 ㎜ 이상의 오물의 유무를 각 정제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오물이 있는 정제(T)의 수를 계측하고, 그 계측값으로부터 전사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인쇄전 건조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덕트(11b) 내에 건조 에어를 30 리터/분의 유량으로 공급하고, 진동 피더(11c)에 있어서, 상하로부터 각 50 리터/분의 유량으로 공급하고, 인쇄 후 건조는, 건조 장치(26, 36)는 건조 에어를 50 리터/분의 유량으로 공급하고, 건조 장치(42c)는 상건조부(42c1), 하건조부(42c2) 모두 50 리터/분의 유량으로 건조 에어를 공급하였다. 이때의 건조 에어의 상대 습도는, RH 6%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확인한 결과를,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의, 조건 1은 인쇄전 건조 및 인쇄후 건조가 없는 경우이다. 조건 2는 인쇄전 건조가 없고, 인쇄후 건조가 있는 경우이다. 조건 3은 인쇄전 건조 및 인쇄후 건조가 있는 경우이다.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란, 인쇄에 투입하는 정제를 소정의 시간 방치한 환경의 습도이다. 또한, 중량 변화량은 RH 50%의 중량으로부터의 변화량으로 나타내고, Δ0%란 RH 50%의 중량으로부터 중량이 변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며, Δ0.9%란 RH 50%의 중량으로부터 0.9%만큼 중량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고, Δ-1.0%란 RH 50%의 중량으로부터 1.0%만큼 중량이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이 중량 변화량은, 정제(T)가 함유하는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9%인 경우,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5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인 경우에는, 투입되는 정제(T)는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이고, 중량 변화량이 Δ-1.0%인 경우에는, 투입되는 정제(T)가 충분히 건조되어 있어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건 1, 2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9%인 경우에는, 반송량은 1시간당 25만정(25만정/H)이다. 조건 3에서는, 반송량은 1시간당 30만정(30만정/H)이다. 또한, 조건 1, 2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5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인 경우에는, 반송량은 1시간당 38만정(38만정/H)이다. 조건 3에서는, 반송량은 1시간당 42만정(42만정/H)이다. 또한, 조건 1, 2, 3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이고, 중량 변화량이 Δ-1.0%인 경우에는, 반송량은 1시간당 45만정(45만정/H)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건 1과 조건 2에서, 반송량은 어떤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라도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쇄후 건조는 반송량에 대해서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건 3에서는,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 RH 50%일 때에, 조건 1, 2에 대하여 반송량이 증가하고 있고, RH 6%에서는 어떤 조건이라도 반송량은 같다는 결과는, 정제(T)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반송량은 영향을 받으며, 건조되어 있을수록 반송량은 늘어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인쇄전 건조를 행함으로써, 투입하는 정제(T)의 건조 상태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라도 반송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의 샘플에 대응하는 수분을 포함하는 정도이면, 투입되는 정제(T)가 충분히 건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반송량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투입된 정제(T)가 충분히 건조됨으로써, 호퍼(11a), 덕트(11b), 진동 피더(11c)나 정렬 피더(13) 등의 정제(T)를 공급, 반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제끼리가 접촉하면서, 또는 정제(T)와 반송로가 접촉하면서 반송될 때, 각각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 등이 저감되어 반송 저항이 감소 혹은 막힘이 억제되어, 반송량이 증가하였다고 고려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에 있어서, 전달 피더(14), 제1 인쇄 장치(20)의 반송 장치(21), 제2 인쇄 장치(30)의 반송 장치(31)에서는, 정제(T)는 흡인 유지되어 반송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저항 등은 관계하지 않고, 그 때문에 인쇄후 건조에서의 건조의 촉진은, 반송량에 있어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건 1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9%인 경우에는, 전사율은 21%이고, 조건 2에서는 전사율은 10%이고, 조건 3에서는 전사율은 8%이다. 또한, 조건 1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50%이고, 중량 변화량이 Δ0%인 경우에는, 전사율은 5%이고, 조건 2에서는 전사율은 3%이고, 조건 3에서는 전사율은 0%이다. 또한, 조건 1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이고, 중량 변화량이 Δ-1.0%인 경우에는, 전사율은 0%이다.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이고, 중량 변화량이 Δ-1.0%인 경우에는, 조건 1의 전사율은 0%가 되고, 조건 2, 3의 전사율도 0%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이고, 투입되는 정제(T)가 충분히 건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사율은 잉크의 마르기 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결과는,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의 정제(T)와 같이 건조되어 있는 경우, 잉크가 매우 건조하기 쉬워 전사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사율은, 조건 1>조건 2>조건 3의 관계로 낮아지는 결과이고, 조건 1과 조건 2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습도 70%라도,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50%라도, 전사율은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후의 건조를 행하는 것이 전사율을 저감하는 것에 유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건 2와 조건 3에 있어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라도,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50%라도, 전사율은 저감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전의 건조를 행하는 것도 전사율을 저감하는 것에 유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 전사율의 저감은 주로 인쇄 후의 건조에 의하고 있었지만, 인쇄 전의 건조를 행함으로써 더욱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정제(T)가 어느 정도 건조되어 있으면, 잉크가 정제(T)의 표면에 인쇄되었을 때에 스며드는 분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용매 등의 증발을 빨라지게 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조건 3의 전사율이 다른 조건 1, 2의 전사율에 비해서 가장 낮다. 즉, 인쇄전 건조 및 인쇄후 건조의 양방을 행함으로써, 정제(T)가 충분히 건조하기 때문에, 전사율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70%보다 높아지면, 정제(T)나 잉크의 마름이 나빠져, 전사율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투입 정제 방치 환경 습도가 RH 6%보다 낮아지면, 정제(T)의 균열이나 깨짐이 생기기 쉬워져, 반송 도중 등에서 정제(T)의 균열이나 깨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사율의 증가, 또한 정제(T)의 균열이나 깨짐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습도가 6% 이상 70% 이하인 환경에 방치된 정제(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습도가 6% 이상 70% 이하인 환경에 존재한 정제(T)를 건조시킴으로써, 전사율의 증가, 또한 정제(T)의 균열이나 깨짐을 억제하면서, 생산성의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제(T)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12)가 마련되고, 건조 장치(12)에 의해 건조하여 반송 장치(2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에 대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즉, 정제(T)에 대한 인쇄 전에, 정제(T)는 건조 장치(12)에 의해 확실하게 건조한다. 이에 의해, 정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정제(T)의 미끄러짐이 나빠져, 정제(T)가 반송로를 따라 흘러가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반송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T)는 인쇄 전에 건조 장치(12)에 의해 확실하게 건조되기 때문에, 인쇄 시, 잉크가 정제(T)에 스며들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정제(T) 상의 잉크는 충분히 건조되기 때문에, 정제끼리의 접촉이나 정제의 표리 반전 반송 등에 의해, 정제나 반송로에의 인쇄 전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쇄 품질의 저하 및 장치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 장치(24, 34)로서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전사 롤이나 전사 패드를 이용한 전사 방식의 인쇄 헤드 장치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직선 형상의 삽입관(12a1)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의 삽입관(12a1)이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원환 형상의 삽입관(12a1)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리 형상으로서는, 원환 형상 이외에도, 예컨대 삼각환 형상이나 사각환 형상, 타원환 형상 등이 이용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의 삽입관(12a1)을 덕트(11b) 내에 마련하고, 그 십자 형상의 삽입관(12a1)과 높이 위치를 바꾸어 직선 형상의 삽입관(12a1)을 덕트(11b) 내에 배치하고, 이들 삽입관(12a1)이 평면에서 보아 방사형이 되도록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직선 형상의 삽입관(12a1)을 2개 이용하여, 이들 삽입관(12a1)을 그 높이 위치를 바꾸어 덕트(11b) 내에 배치하고, 이들 삽입관(12a1)이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이 되도록 덕트(11b) 내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삽입관(12a1)을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마련함으로써, 동수의 삽입관(12a1)을 동일한 평면 내에 마련한 경우보다, 각 삽입관(12a1)이 정제(T)의 반송을 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건조 장치(12)의 삽입관(12a1)을 대략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덕트(11b)에 삽입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히 관통하도록 덕트(11b)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관(12a1)을 덕트(11b)의 상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다 균등하게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삽입관(12a1)의 수를 늘려도 좋다. 삽입관(12a1)을 연직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 예컨대 덕트(11b)의 중앙부와 외연부에 삽입 배치하면, 보다 균등하게 정제(T)의 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관(12a1)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제(T)가 이동하는 방향에서 저항이 적어지는 것 같은 삽입관(12a1)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예컨대 삼각형이나 타원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건조 장치(12)의 삽입관(12a1)을 대략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덕트(11b)에 삽입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더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관(12a1)을 분지하도록 형성하고, 덕트(11b) 내의 삽입관(12a1)의 둘레면에 복수의 지관(12a2)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각 지관(12a2)은 삽입관(12a1)에 이어져 있고, 각 지관(12a2)에는, 삽입관(12a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관통 구멍(급기구)(H1)이 형성되고, 각 지관(12a2)은 기체 통과성을 가지고 있다. 각 지관(12a2)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서 삽입관(12a1)을 가운데로 하여 대향하도록,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관(12a1)의 연신 방향(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지관(12a2)의 배치에 더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관(12a2)이 수평 방향에서 삽입관(12a1)을 가운데로 하여 대향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관(12a1)의 형상이나 배치는, 정제(T)의 반송이 방해되지 않는 것이면 좋다. 또한, 삽입관(12a1)의 형상이나 배치는, 1부분에만 강하게 기체가 분무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골고루 기체가 덕트(11b) 내에 공급되어, 많은 정제(T)가 건조되고, 이들 많은 정제(T)의 건조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인쇄 전의 위치로서, 공급 장치(11) 내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정렬 반송 장치(10B) 내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의 전체를 커버(1A)로 덮고, 또한 건조 공급 장치(10A) 및 정렬 반송 장치(10B)를 커버(1B)로 덮고, 커버(1B) 내의 정렬 반송 장치(10B)측[정렬 반송 장치(10B) 부근]에 삽입관(12a1)을 삽입하여 마련한다. 이 삽입관(12a1)의 삽입 위치로서는, 정렬 피더(13)의 상방이나 전달 피더(14)의 하방이 이용된다. 또한, 호퍼(11a) 내에 삽입관(12a1)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 장치(24)가 정제(T)에 인쇄를 행할 때의 정제(T)의 이동 속도보다 정제의 이동 속도가 느린 위치로서, 공급 장치(11) 내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정렬 반송 장치(10B) 내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렬 전의 위치로서 공급 장치(11) 내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정렬 피더(13)보다 상류의 위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정제(T)를 2열로 반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열 수는 1열, 또는 3열이나 4열 이상이어도 좋고, 반송로의 수나 반송 벨트(13a, 21a, 31a)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반송 벨트(13a, 21a, 31a)의 흡인 구멍(13f, 21g)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정제(T)의 반송로마다 인쇄 헤드(24a)를 마련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하나의 인쇄 헤드(24a)에 의해 2열 이상의 정제(T)에 인쇄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24a)로서, 노즐(24b)이 1열로 배열되는 인쇄 헤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노즐(24b)이 복수열로 배열되는 인쇄 헤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반송 방향(A1)을 따라 인쇄 헤드(24a)를 복수 배열하여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인쇄 장치(20) 및 제2 인쇄 장치(30)를 상하로 거듭 배치하여, 정제(T)의 양면 또는 편면을 인쇄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제1 인쇄 장치(20)만을 마련하여, 정제(T)의 편면만을 인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건조 기체로서, 건조 에어를 이용하였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질소 등이어도 좋다. 건조하는 대상의 정제(T)가, 특히 산화를 싫어하는 경우,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 기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르곤이나 헬륨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건조 장치(26, 36, 42c)를 마련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그 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건조 장치(26)가 없고 2개의 건조 장치(36, 42c)가 있으면 좋고, 또한 2개의 건조 장치(26, 36)가 없고 하나의 건조 장치(42c)가 있으면 좋고, 건조 장치(42c)가 없고 건조 장치(26, 36)가 있으면 좋다. 또한, 잉크, 정제(T)의 종류에 따라서는 건조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3개의 건조 장치(26, 36, 42c) 모두가 없어도 좋다. 또한, 건조 장치(12)에 있어서도, 제1 건조부(12a)와 제2 건조부(12b) 양방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고, 어느 한쪽이 있으면 좋다. 단, 체류 시간이 보다 길어지는 제1 건조부(12a)를 구비한 쪽이 정제(T)의 건조에는 바람직하다.
또한, 새롭게 건조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분출부(60) 및 기체 흡인부(70)가 건조 장치로서 마련되어 있다. 기체 분출부(60)는, 하면의 대략 전체면으로부터 반송 벨트(21a)의 상면을 향하여 건조 기체를 분출한다. 기체 흡인부(70)는 흡기구(71), 배기구(72) 및 내부 유로(73)를 가지고 있다. 흡기구(71)는, 인쇄 헤드 장치(24)의 직전 영역(상류 영역)의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개구이다. 이 흡기구(71)는, 기체 흡인부(70)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21a)측의 면으로서 반송 벨트(21a)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정제(T)의 반송 방향(A1)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72)는, 기체 흡인부(70)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21a)측의 면으로서 반송 벨트(21a)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정제(T)의 반송 방향(A1)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72)는, 흡인 챔버(21f)의 내부에 접속되어 있다. 내부 유로(73)는, 흡기구(71) 및 배기구(72)를 잇는 유로이며, 기체 흡인부(7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건조 장치에서는, 기체 분출부(60)로부터 인쇄 헤드 장치(24)의 직전 영역에 건조 기체가 분출된다. 또한, 흡인 챔버(21f)의 내부가 흡인되어, 기체 흡인부(70)의 배기구(72)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그리고, 배기구(72)에 이어지는 내부 유로(73)를 통해 흡기구(71)로부터, 인쇄 헤드 장치(24)의 직전 영역의 공기가 흡인된다. 즉, 기체 분출부(60)에 의해 인쇄 헤드 장치(24)의 직전 영역에 건조 기체를 분출하여, 기체 흡인부(70)에 의해 흡인함으로써, 인쇄 헤드 장치(24)의 직전 상류의 일대를 건조 영역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그 건조 영역을 통과하는 정제(T)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건조 기체의 공급 개시의 타이밍은 정제(T)를 공급하기 시작하기 전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덕트(11b)와 진동 피더(11c) 사이에 셔터를 마련하고, 공급한 정제(T)가 일정 시간 호퍼(11a) 및 덕트(11b) 내에 머물도록 한 뒤에, 건조 기체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전술한 정제로서는,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또는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로서는, 나정(언코티드 타블렛)이나 당의정, 필름 코팅정, 장용정, 젤라틴 피포정, 다층정, 유핵정 등이 있어, 경캡슐이나 연캡슐 등 각종 캡슐정도 정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의 형상으로서는, 원반형이나 렌즈형, 삼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이 있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가 의약용이나 음식용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잉크로서 가식성 잉크가 적합하다. 이 가식성 잉크로서는, 합성 색소 잉크, 천연 색소 잉크, 염료 잉크, 안료 잉크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정제 인쇄 장치 11 : 공급 장치
12 : 건조 장치 21 : 반송 장치
24 : 인쇄 헤드 장치 31 : 반송 장치
34 : 인쇄 헤드 장치 P : 반송로
T : 정제

Claims (16)

  1. 정제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와,
    상기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 장치를 통과한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 장치와,
    상기 인쇄 헤드 장치에 의해 인쇄된 복수의 상기 정제가 회수되는 회수 장치와,
    상기 인쇄 헤드 장치에 의해 상기 인쇄가 행해지는 상기 정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 내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반송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제를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 반송 장치 내에 마련되는 것인 정제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인쇄 헤드 장치가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할 때의 상기 정제의 이동 속도보다 상기 정제의 이동 속도가 느린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정제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갖는 정제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방사열을 공급하는 히터, 또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온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습도가 6% 이상 70% 이하인 환경에 존재한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9. 정제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정제를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시키고,
    상기 건조 장치를 통과한 상기 정제에 대하여, 상기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는 인쇄 헤드 장치에 의해 인쇄를 행하고,
    상기 인쇄 헤드 장치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상기 정제를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제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행해지고,
    상기 반송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 내에서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반송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제를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 반송 장치 내에서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는 것인 정제 인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 장치가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할 때의 상기 정제의 이동 속도보다 상기 정제의 이동 속도가 느린 위치에서,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정제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히터에 의해 상기 정제에 대하여 방사열을 공급, 또는 송풍기에 의해 상기 정제에 대하여 온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에 의해, 습도가 6% 이상 70% 이하인 환경에 존재한 상기 정제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KR1020190145203A 2017-09-19 2019-11-13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393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9119 2017-09-19
JP2017179119 2017-09-19
JPJP-P-2018-137093 2018-07-20
JP2018137093A JP7057730B2 (ja) 2017-09-19 2018-07-20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KR1020180112450A KR102078411B1 (ko) 2017-09-19 2018-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50A Division KR102078411B1 (ko) 2017-09-19 2018-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534A KR20190130534A (ko) 2019-11-22
KR102393564B1 true KR102393564B1 (ko) 2022-05-04

Family

ID=657191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50A KR102078411B1 (ko) 2017-09-19 2018-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0190145203A KR102393564B1 (ko) 2017-09-19 2019-11-13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50A KR102078411B1 (ko) 2017-09-19 2018-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96828B2 (ko)
KR (2) KR1020784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4761A1 (ja) 2015-05-29 2016-12-0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US20170158900A1 (en) * 2014-09-03 2017-06-08 Océ-Technologies B.V. Method of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050A (ja) 1993-09-20 1995-03-28 Video Jietsuto Japan Kk 錠剤またはカプセル剤に対する印刷方法
JP3481052B2 (ja) 1996-06-05 2003-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固形製剤供給装置及び固形製剤供給装置に用いられる乾燥剤
EP3225395B1 (en) * 2014-11-29 2021-11-10 Shibaura Mechatronics Corporatio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8900A1 (en) * 2014-09-03 2017-06-08 Océ-Technologies B.V. Method of printing
WO2016194761A1 (ja) 2015-05-29 2016-12-0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84318A1 (en) 2019-03-21
KR20190032251A (ko) 2019-03-27
US10596828B2 (en) 2020-03-24
KR20190130534A (ko) 2019-11-22
KR102078411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4781B2 (ja) 錠剤印刷装置
JP7230105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KR102018227B1 (ko) 정제 인쇄 장치
JP7405663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2018083701A (ja)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KR102053975B1 (ko) 정제 인쇄 장치
JP2024045345A (ja) 搬送処理装置
KR102393564B1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JP6980542B2 (ja) 錠剤印刷装置
JP7424852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7280704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2018000918A (ja) 錠剤印刷装置
KR102326410B1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JP7377137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2023013752A (ja) 錠剤印刷装置、錠剤印刷方法
JP2020014743A (ja) 可搬型センサ、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