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59B1 -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 Google Patents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59B1
KR102392459B1 KR1020150123534A KR20150123534A KR102392459B1 KR 102392459 B1 KR102392459 B1 KR 102392459B1 KR 1020150123534 A KR1020150123534 A KR 1020150123534A KR 20150123534 A KR20150123534 A KR 20150123534A KR 102392459 B1 KR102392459 B1 KR 10239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hole
eco
ce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075A (ko
Inventor
장재철
권중록
Original Assignee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의 외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셀 커버의 외표면에 상기 배터리 셀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는 냉각 촉진 수단으로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는, 서로 적층되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표면에는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표면을 유동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셀 커버(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방열공(12d)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COVER HAVING COOLING HOLE FOR BATTERY CELL OF ECO-FRIENDLY VEHICLE}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배처리 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모듈에서 각 배터리 셀의 외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셀 커버의 외표면에 상기 배터리 셀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는 냉각 촉진 수단으로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단위 배터리 셀들이 모여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은 작동시 발열되는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안정적인 작동과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적정한 온도로 냉각되어야 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작동시 각 배터리 셀의 온도 증가로 인하여 내부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각 배터리 셀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각 배터리 셀의 열이 원활하게 방출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에서 급격한 에너지 변동이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셀 커버에서는 발열되는 각 배터리 셀에 장착된 배터리 셀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상기와 같이,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의 효율이 저하되고, 화재를 유발할 수 있든 문제점이 있다.
즉, 각 배터리 셀의 외측에는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셀 커버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고,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의해서 강제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송풍시켜 상기 배터리 셀들이 냉각되도록 하지만, 상기 배터리 셀의 발열에 대하여 방열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지는 않았다.
이로 인하여, 각 배터리 셀이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키지 못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냉각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998-048411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냉각을 촉진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 셀의 표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에 유동중인 공기와 상기 배터리 셀이 직접 열교환할 수 있도록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는, 서로 적층되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에는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을 유동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셀 커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방열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에는 상하로 인접하는 다른 배터리셀 커버와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은 서로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방열공의 수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상기 방열공의 연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공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에는 단면적이 큰 방열공이 배치되고, 둘레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은 방열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에는 단면적이 작은 방열공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배터리 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이 적층되면, 상부에 위치한 배터리 셀의 하부면에 장착된 배터리셀 커버의 안착돌기가 하부에 위치한 다른 배터리 셀의 상부면에 장착된 배터리셀 커버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 따르면,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에 방열공이 형성됨으로써,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배터리 셀이 직접 열교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공에 의해 각 배터리 셀의 냉각이 촉진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아울러, 각 배터리 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각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낮추어 각 배터리 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의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가 배터리 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가 적용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의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 셀(11)이 서로 적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커버(15)에 의해 구속되고, 측면은 하우징(14)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내부에서 각 배터리 셀(11)들의 배치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배터리 셀(11)은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터리셀 커버(12)가 장착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적층된다. 즉, '배터리셀 커버(12) - 배터리 셀(11) - 배터리셀 커버(12)'의 순을 상하로 조립되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유닛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고, 서로 적층된 배터리 셀(11)들은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11)의 전극과 버스바(1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11)들은 작동에 따라 발열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서로 인접합 배터리 셀(11)끼리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6)에도 외부로부터 배터리 모듈(10)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배터리 셀(11)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표면에는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 커버(12)와 적층시 간격을 형성하고,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a)는 대략 상기 배터리 셀(11)의 폭방향(도3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부(12a)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11)의 길이방향(도 3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지지부(12a)에는 안착돌기(12b)와 안착홈(12c)이 형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 커버(12)에서 상기 지지부(12a)에는 상기 지지부(12a)로부터 돌출되게 안착돌기(12b)가 형성되고, 또 다른 배터리셀 커버(12)에서 상기 안착돌기(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12c)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셀 커버(12)가 장착된 배터리 셀(11)을 서로 적층시킬 대, 상기 안착홈(12c)으로 상기 안착돌기(12b)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1) 간의 적층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배터리셀 커버(12)로부터 돌출된 상기 지지부(12a)에 의해 형성된 배터리 셀(11) 사이의 간극만으로는 상기 배터리 셀(11)의 냉각시키기 충분하지 않으므로, 상기 배터리 셀(11)에 냉각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에 상기 배터리셀 커버(12)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방열공(12d)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방열공(12d)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표면을 유동중인 공기가 상기 방열공(12d)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셀(1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셀(11)과 공기가 직접 열교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셀(11)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공(12d)은 서로 인접한 지지부(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공(12d)은 상기 배터리 셀(11)의 중앙부분에는 방열공(12d)이 많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셀(11)의 외측으로 갈수록 방열공(12d)의 개수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는 중앙부분에는 3개의 방열공(12d)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에 1개씩의 방열공(12d)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공(12d)은 상기 방열공(12d)의 연면적이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11)의 외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터리 셀(11)의 중앙부분에 방열공(12d)의 개수를 많게 하거나 방열공(12d)의 연면적을 크게하는 이유는 중앙부분의 배터리 셀(11)의 중앙부분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상하로 배치된 배터리 셀(11)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셀(11)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장착된 배터리셀 커버(12)에 의해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간극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동될 때, 상기 방열공(12d)에 의해서 냉각이 촉진된다.
즉,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방열공(12d)을 통하여 일부는 상기 배터리 셀(11)의 표면으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1)과 직접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셀(11)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11)의 냉각이 촉진되므로, 배터리 셀(11)과 배터리 모듈(1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이 올라가지 않게 되므로 배터리 셀(11) 또는 배터리 모듈(10)의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에 형성되는 방열공(12d)(12e)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방열공(12d)(12e)이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열공(12d)(12e)이 2가지 크기로 구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큰 방열공(12d)큰 방열공(12d)과 단면적이 작은 방열공(12e)이 각각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에서 상기 배터리 셀(11)의 중앙부분에서 방열작용이 더 활발하도록 하기 위해 직경이 서로 다른 방열공(12d)(12e)들이 배치되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방열공(12d)을 상기 배터리셀 커버(12)의 중간부위에 형성되도록 하고, 직경이 작은 방열공(12e)들은 상기 직경이 큰 방열공(12d)의 주변에 배치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1)의 중간부분에는 직경이 작은 방열공(12e)들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직경이 작은 방열공(12e)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그 부위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므로 방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 : 배터리 모듈 11 : 배터리 셀
12 : 배터리셀 커버 12a : 지지부
12b : 안착돌기 12c : 안착홈
12d, 12e : 방열공 13 : 버스바
14 : 프레임 15 : 커버

Claims (10)

  1. 서로 적층되어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에는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을 유동하는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셀 커버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방열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셀 커버의 표면에는 상하로 인접하는 다른 배터리셀 커버와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은 서로 인접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방열공의 개수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상기 방열공의 연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공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에는 단면적이 큰 방열공이 배치되고,
    둘레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은 방열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중앙부분에는 단면적이 작은 방열공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배터리 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장착되는 배터리셀 커버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이 적층되면, 상부에 위치한 배터리 셀의 하부면에 장착된 배터리셀 커버의 안착돌기가 하부에 위치한 다른 배터리 셀의 상부면에 장착된 배터리셀 커버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KR1020150123534A 2015-09-01 2015-09-01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KR10239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34A KR102392459B1 (ko) 2015-09-01 2015-09-01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34A KR102392459B1 (ko) 2015-09-01 2015-09-01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75A KR20170027075A (ko) 2017-03-09
KR102392459B1 true KR102392459B1 (ko) 2022-04-29

Family

ID=584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534A KR102392459B1 (ko) 2015-09-01 2015-09-01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091A (zh) * 2018-01-08 2018-04-24 深圳市浩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防震散热面板及新能源汽车电池
KR102071134B1 (ko) * 2018-04-13 2020-01-29 ㈜ 에이치엠지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
KR102523702B1 (ko) * 2018-07-03 2023-04-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KR20200104626A (ko)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방열을 위한 냉각 커버를 갖는 배터리 셀 조립체
KR102280326B1 (ko) * 2021-06-08 2021-07-22 덕양산업 주식회사 열폭주 지연 구조 및 가스 배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091A (ja) * 2013-03-28 2014-10-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蓄電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39B1 (ko) 1996-12-17 2000-03-15 정몽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냉각 장치
KR100658677B1 (ko) * 2004-12-07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20130033597A (ko) * 2011-09-27 2013-04-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140110232A (ko) * 2013-03-06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지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2091A (ja) * 2013-03-28 2014-10-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蓄電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75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459B1 (ko)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CN108475832B (zh) 在电池的边缘表面上使用直接冷却法的电池组
KR101475602B1 (ko) 전력 변환 장치
KR102392458B1 (ko) 방열돌기가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JP5899420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9245730A (ja) 電池接続具
JP3159901U (ja) 車用バッテリー放熱モジュール
KR101590394B1 (ko) 이차전지모듈
US20150050539A1 (en) Spacer for a battery, battery and motor vehicle
JP6283379B2 (ja) コンデンサの配置構造
JP7397112B2 (ja) 自動車用バッテリデバイス、自動車、及びバッテリデバイスの動作方法
JP7172579B2 (ja) 電気機器
CN109415967B (zh) 高电压冷却风扇马达单元
EP3392956A1 (en) Cooling system comprising two heatpipes connected connected in series
KR20160076121A (ko) 에너지 저장 유닛의 냉각 모듈
JP2011138960A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
US11424513B2 (en) Connection module
KR102092137B1 (ko) 냉각수 가열식 히터
JP3185148U (ja) 放熱機構を備えたモータ駆動装置
JP5942792B2 (ja) 電池パックの冷却構造
JP2019169390A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70246964A1 (en) Device unit
US20240128540A1 (en) Battery unit
KR20140085011A (ko) 공냉식 냉각장치
JP7314334B2 (ja) 冷却設備及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