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597A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3597A KR20130033597A KR1020110097341A KR20110097341A KR20130033597A KR 20130033597 A KR20130033597 A KR 20130033597A KR 1020110097341 A KR1020110097341 A KR 1020110097341A KR 20110097341 A KR20110097341 A KR 20110097341A KR 20130033597 A KR20130033597 A KR 20130033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battery module
- spacer
- unit cell
- heat dissip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된 다수 개의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의 외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로, 상기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방열부재에 대칭적으로 요철 형상의 양각 비드가 형성되어, 냉각유로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강성이 증가하는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 전지 모듈에서, 단위전지 외면에 2장의 방열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고, 하나의 단위전지가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상기의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단위전지를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단위전지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상, 각각의 단위전지에 온도 차가 생긴다. 특히, 적층하는 단위전지의 개수가 증가하면, 모든 단위전지를 균일한 온도로 하여, 즉 온도차를 작게 하면서 냉각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다수의 단위전지를 적층하는 대용량의 이차전지는, 단위전지의 온도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단위전지의 온도차가 각각의 단위전지의 잔류 용량을 불균일하게 하여, 특정한 단위전지의 수명을 짧게 하기 때문이다. 전지는 온도에 따라 충방전의 효율이 변화되므로, 온도 차가 생기면 각각의 단위전지를 동일한 전류로 충방전해도 잔류 용량에 차가 생긴다. 잔류 용량에 차가 생기면, 잔류 용량이 커지는 전지는 과충전되기 쉽고, 또한 잔류 용량이 작아지는 전지는 과방전되기 쉬워져, 과충전이나 과방전에 의해 특정한 단위전지의 열화를 가속시켜, 대용량 이차전지의 수명을 짧게 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은 다수의 전지를 적층하여, 대전류로 충방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점에서, 제조 비용이 매우 고가가 되므로, 어떻게 하여 수명을 길게 할지가 중요하다. 특히, 다수의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용의 배터리 시스템이 될수록 제조 비용이 높아지므로,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다수의 전지를 적층할수록, 전지 간 온도차가 커져 수명이 짧아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 모듈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이 적용된 기기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단위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의 고유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내부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6-0102851 (2006년09월28일 공개)에 단위전지 사이에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 일측에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쿨링 채널이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 외부를 금속 재료의 케이스로 미리 감싼 뒤에 방열 플레이트를 설치하므로, 조립공정이 증가하고 생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 모듈의 방열 플레이트의 주름구조의 경우는 단위전지의 접촉부위가 마주보는 두 단위전지에 있어서 각각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대칭성이 없으며, 단위전지를 지지하기 어렵고, 균일한 냉각유로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냉각유로의 단면적이 적어 방열 성능이 떨어지며, 방열 플레이트와 단위전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스웰링이 발생하는 경우 방열 플레이트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각유로의 단면적이 증대되고, 냉각유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방열 성능이 우수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단위전지의 충방전 반복시에 단위전지가 부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경우에도 냉각유로의 표면이 단위전지의 표면과 떨어지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이 입체적으로 흡수되도록 하여 가해진 충격에 의한 단위전지의 변형이나 손상, 파손을 최소화하며 강성을 증가시키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외면에 2장의 방열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에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철 형상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드는 외부로 돌출된 양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장의 방열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각 구조의 비드가 서로 연결되어, 스페이서 내부에 중공 형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는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포물선, 튜브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는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 부재는 표면에 절연성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는 양측의 상기 단위전지에 의해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상기 스페이서들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 부재는 양측단에 상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는 각형 전지 또는 파우치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각 단위전지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전지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은 단위전지 외면에 설치된 스페이서에 의해 냉각유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방열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양각 구조의 비드들이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단위전지면에 작용하는 면 압력 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에 의해 단위전지를 구속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단위전지를 적층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발생되는 스웰링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내부 쇼트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단위전지의 충방전 반복시에 단위전지가 부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경우에도 유로의 표면이 단위전지의 표면과 떨어지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하지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이 입체적으로 흡수되도록 하여 가해진 충격에 의한 단위전지의 변형이나 손상, 파손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양각 비드가 형성된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이차 전지 모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방열부재는 프레스로 형성되어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쿨링 채널이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출력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 모듈(1000)을 구성하는 단위전지(110)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균일한 냉각유로를 형성하여 방열 성능이 우수한 이차 전지 모듈(1000)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0)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110)가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며, 상기 단위전지(110)의 외면에 2장의 방열부재(130)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페이서(1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00)은 다수 개의 단위전지(100), 상기 단위전지(110) 일측에 설치되는 전극탭(120), 상기 단위전지(110)의 외면에 2장의 방열부재(130)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페이서(140)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전지(110)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이며, 상기 전극탭(120)은 전류를 내보내는 양극의 전극탭(120)과 전류를 받아들이는 음극의 전극탭(120)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2장의 방열부재(130)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각 구조의 비드(131)가 서로 연결되어, 스페이서(140) 내부에 중공 형태의 냉각유로(160)를 형성한다. 상기 냉각유로에는 냉각 기체가 흐르며, 상기 냉각 기체는, 공기나 냉매로 열 교환한 공기, 혹은 냉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냉각 상기 스페이서(140)는 단위전지(110) 외면마다 설치되며, 스페이서(140) 내부에 냉각유로(160)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냉각 기체의 유량의 편차가 줄어들어 이차 전지 모듈(1000)의 방열 성능이 우수하고 단위전지(110)들의 균일한 냉각이 가능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부재(130)에 요철 형상의 비드(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드(131)는 외부로 돌출된 양각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드(131)는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131)는 상기 방열부재(13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상기 비드(131)는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비드(131)들이 상호 평행한 배열 구조로 형성되며, 2장의 방열 부재 각각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페이서(140) 내부에 균일한 냉각유로(160)가 형성되며, 단위전지면(110)에 작용하는 면 압력도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드(131)는 단면이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이거나, 반원형, 포물선, 튜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재(130)에 상기와 같은 요철 형상의 비드(131)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2장의 방열부재(130)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각 구조의 비드(131)가 서로 연결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40) 내부에 중공 형태의 냉각유로(16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중공 형상의 냉각유로(160)를 형성함으로써, 완전히 충전된 스페이서(140)보다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의 열 전도율보다 공기의 열 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단열 효과는 더 높다. 또한 완전히 충전된 스페이서(140)보다 재료량을 저감시켜 제조비용이 감소하며, 이차 전지 모듈(1000)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단위전지(110) 외면마다 내부에 중공 구조의 냉각유로(160)가 형성된 스페이서(140)를 사용함으로써, 적층된 단위전지(110)들 중 최외면의 단위전지(110)의 냉각 능력이 다른 단위전지(110)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단위전지(110)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방열부재(130)는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 부재는 단위전지(1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스틸, 구리,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산화알루미늄 또는 금속복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상기 방열부재(130)는 표면에 절연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물질은 절연성 수지재일 수 있으며, 상기 방열부재(13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14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140)는 도 4의 양각 구조의 비드(131)가 구비된 방열부재(130) 2장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140)는 2장의 방열부재(130)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각 구조의 비드(131)가 서로 연결되어, 스페이서(140) 내부에 중공 형태의 냉각유로(160)를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140)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외부로 돌출된 양각 구조의 비드(131)들이 레이저, 초음파 등을 이용한 용접 방법으로 연결되어, 2장의 방열부재(130)가 결합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두 장의 방열부재(130)를 결합한 구조의 스페이서(140)의 경우, 단위전지(100)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0)을 구성하는 방열부재(130)는 서로 대칭구조로 프레스에 의해 제작되어, 형상 설계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다. 결과적으로 단위전지 면을 최대한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이는 단위전지의 수명 및 성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연장 유지시켜준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140)는 양측의 상기 단위전지(110)에 의해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스테인리스스틸, 구리,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산화알루미늄은 열 전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 변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기의 금속들로 비드(131)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131)가 결합되어 냉각유로를 형성하므로, 양측의 단위전지(110)에 의해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더욱 쉽게 일어난다. 탄성을 갖는 스페이서(140)를 사용함으로써,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발생되는 스웰링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내부 쇼트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며, 단위전지(110)의 충방전 반복시에 단위전지(110)가 부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경우에도 유로의 표면이 단위전지(110)의 표면과 떨어지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이 입체적으로 흡수되도록 하여 가해진 충격에 의한 단위전지(110)의 변형이나 손상, 파손을 최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테인리스스틸, 구리,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산화알루미늄 또는 금속복합재 등의 금속 부재로 스페이서(140)를 형성하는 경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열 전도성이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가공하기도 쉬운 장점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부재는 얇은 판상 형태의 금속 시트로 구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1000)은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된 다수 개의 단위전지(110) 외면에 스페이서(140)가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1000)은 상기 스페이서(140)와 상기 단위전지(110)가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각 단위전지 사이마다 설치되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전지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1000)은 스페이서(140)- 단일의 단위전지(110)- 스페이서(140)- 단일의 단위전지(110)... 구조로 형성되거나, 스페이서(140)- 둘 이상이 적층된 단위전지(110)- 스페이서(140)- 둘 이상이 적층된 단위전지(110)...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40)와 상기 단위전지(110)가 교대로 적층되어 단위전지를 구속하는 구조로, 단위전지를 적층하기 용이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차 전지 모듈(1000)은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14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140)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150)를 삽입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132)에 상기 연결부재(150)를 삽입하여 다수의 스페이서(140)를 연결하여 고정해 기구적인 강성을 갖는 하나의 배터리 팩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배터리 하우징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설치 단계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계속 참조하면, 다수 개의 단위전지(110)를 일렬로 배열시키고, 상기 단위전지(110) 외면에 2장의 방열부재(130)로 형성된 스페이서(140)를 배치한다.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140)가 일렬로 배열된 단위전지(110)를 내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140)의 양측에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다수의 연결홀(132)을 형성한다. 상기의 연결홀(132)에 막대 형태의 연결부재(150)를 너트(151)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수의 단위전지(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150)는 볼트일 수 있으며, 볼트와 연결홀(132) 사이를 너트(151)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수의 단위전지(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위전지(110)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라면 제한이 없으나, 각형 전지 또는 파우치 전지가 바람직하다.
11: 단위전지
20: 방열 플레이트
21: 쿨링 채널
1000: 이차 전지 모듈
110: 단위전지
120: 전극탭
130: 방열부재 131: 비드 132: 연결홀
140: 스페이서
150: 연결부재 151: 너트
20: 방열 플레이트
21: 쿨링 채널
1000: 이차 전지 모듈
110: 단위전지
120: 전극탭
130: 방열부재 131: 비드 132: 연결홀
140: 스페이서
150: 연결부재 151: 너트
Claims (11)
-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단위전지가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외면에 2장의 방열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에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철 형상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드는 외부로 돌출된 양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방열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양각 구조의 상기 비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스페이서 내부에 중공 형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포물선, 튜브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표면에 절연성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양측의 상기 단위전지에 의해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는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는 각형 전지 또는 파우치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각 단위전지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단위전지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341A KR20130033597A (ko) | 2011-09-27 | 2011-09-27 | 이차 전지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7341A KR20130033597A (ko) | 2011-09-27 | 2011-09-27 | 이차 전지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3597A true KR20130033597A (ko) | 2013-04-04 |
Family
ID=4843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7341A KR20130033597A (ko) | 2011-09-27 | 2011-09-27 | 이차 전지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3597A (ko)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44787A (ko) * | 2013-06-11 | 2014-12-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KR20160023379A (ko) * | 2014-08-22 | 2016-03-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CN105470428A (zh) * | 2015-12-30 | 2016-04-06 | 苏州科纽普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组的散热结构 |
WO2016175591A1 (ko) * | 2015-04-30 | 2016-1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06171A (ko) * | 2015-07-07 | 2017-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KR20170027074A (ko) * | 2015-09-01 | 2017-03-09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방열돌기가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
KR20170027075A (ko) * | 2015-09-01 | 2017-03-09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
KR20170043306A (ko) * | 2015-10-13 | 2017-04-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20170095040A (ko) * | 2016-02-12 | 2017-08-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90112572A (ko) * | 2018-03-26 | 2019-10-07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냉각용 블록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
WO2020256303A1 (ko) * | 2019-06-17 | 2020-12-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각부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
KR20210003607A (ko) | 2019-07-02 | 2021-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착형 쿨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WO2021034108A1 (ko) * | 2019-08-19 | 2021-02-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배터리모듈용 냉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
KR102223646B1 (ko) * | 2019-09-16 | 2021-03-05 | 주식회사 에스이에너지 |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US11450908B2 (en) | 2019-05-30 | 2022-09-20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having path through which coolant introduced therein flows when thermal runaway occurs, and battery pack and ESS comprising the same |
KR102449766B1 (ko) | 2022-03-18 | 2022-10-04 | 덕양산업 주식회사 | 배터리모듈용 냉각플레이트 |
EP4012823A4 (en) * | 2019-09-24 | 2023-01-0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FR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EACH HAVING THE SAME BATTERY MODULE |
KR20240133824A (ko) | 2023-02-27 | 2024-09-05 | 대한전열공업(주) | 양면냉각형 배터리모듈용 냉각장치 |
-
2011
- 2011-09-27 KR KR1020110097341A patent/KR201300335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44787A (ko) * | 2013-06-11 | 2014-12-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KR20160023379A (ko) * | 2014-08-22 | 2016-03-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US10446812B2 (en) | 2015-04-30 | 2019-10-15 | Lg Chem, Ltd. |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WO2016175591A1 (ko) * | 2015-04-30 | 2016-1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06171A (ko) * | 2015-07-07 | 2017-01-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KR20170027074A (ko) * | 2015-09-01 | 2017-03-09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방열돌기가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
KR20170027075A (ko) * | 2015-09-01 | 2017-03-09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방열공이 형성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셀 커버 |
KR20170043306A (ko) * | 2015-10-13 | 2017-04-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CN105470428A (zh) * | 2015-12-30 | 2016-04-06 | 苏州科纽普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新能源电池组的散热结构 |
KR20170095040A (ko) * | 2016-02-12 | 2017-08-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90112572A (ko) * | 2018-03-26 | 2019-10-07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냉각용 블록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
US11450908B2 (en) | 2019-05-30 | 2022-09-20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having path through which coolant introduced therein flows when thermal runaway occurs, and battery pack and ESS comprising the same |
WO2020256303A1 (ko) * | 2019-06-17 | 2020-12-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각부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
US12002939B2 (en) | 2019-06-17 | 2024-06-0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including cooling member,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10003607A (ko) | 2019-07-02 | 2021-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밀착형 쿨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WO2021034108A1 (ko) * | 2019-08-19 | 2021-02-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배터리모듈용 냉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
KR102223646B1 (ko) * | 2019-09-16 | 2021-03-05 | 주식회사 에스이에너지 |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EP4012823A4 (en) * | 2019-09-24 | 2023-01-0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FR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EACH HAVING THE SAME BATTERY MODULE |
KR102449766B1 (ko) | 2022-03-18 | 2022-10-04 | 덕양산업 주식회사 | 배터리모듈용 냉각플레이트 |
KR20240133824A (ko) | 2023-02-27 | 2024-09-05 | 대한전열공업(주) | 양면냉각형 배터리모듈용 냉각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33597A (ko) | 이차 전지 모듈 | |
CN110100351B (zh) | 包括具有百叶窗翼片形状的导热媒介的电池组 | |
US9484592B2 (en) |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of improved stability and high cooling efficiency | |
JP4860715B2 (ja) | 冷媒流束の分配均一性が改善され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ケース | |
US9865904B2 (en) | Battery cell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 |
KR100944980B1 (ko) | 냉각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JP5540114B2 (ja) | 改善された冷却効率の、中型又は大型のバッテリパック | |
US9991569B2 (en) | Battery module | |
CN210123771U (zh) | 电池模组和电池包 | |
KR100648697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JP5540070B2 (ja) |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 |
US8951655B2 (en) |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 |
JP5242697B2 (ja) | 放熱特性が優れたバッテリーセル及びそれを使用する中または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 |
EP3154103A1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a housing floor with integrated cooling | |
JP5866373B2 (ja) | 冷却効率の優れたバッテリパック | |
EP3358668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having same | |
KR102184753B1 (ko)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KR20130086678A (ko) |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 |
JP6157813B2 (ja) | 組電池 | |
KR101181849B1 (ko) |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 |
KR20150131759A (ko) |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20120133655A (ko) | 전지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EP4340098A1 (en) | Battery cooling fin and battery coo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0648720B1 (ko) | 이차 전지의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 |
KR200464432Y1 (ko) | 단위 전지의 온도 제어에 효율적인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