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01B1 -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01B1
KR102392301B1 KR1020200070405A KR20200070405A KR102392301B1 KR 102392301 B1 KR102392301 B1 KR 102392301B1 KR 1020200070405 A KR1020200070405 A KR 1020200070405A KR 20200070405 A KR20200070405 A KR 20200070405A KR 102392301 B1 KR102392301 B1 KR 10239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formation
vehicle
ge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409A (ko
Inventor
김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앤피
Priority to KR102020007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60N2002/0268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통학 차량에 승하차 인원수를 파악하여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시점에서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전파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잔류 인원에 대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School vehicle pick-up and drop-off detection device using weight device}
본 발명은 개근장치를 이용한 통학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근장치를 이용하여 통학차량에 승차 인원 수와, 하차 인원수를 파악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을 때, 아동이 차량에 잔류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전국적으로 운행되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버스의 사고 발생 건수가 연간 일천 여건에 달하고 있다.
이렇게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어린이 통학 및 통원 사고의 빈발은 상당수의 통학(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특수학교), 통원(학원, 체육시설)용 차량이 안전에 무방비 상태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러한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 통학, 통원에 이용되는 차량에서 어린이가 안전한 승/하차 확인하는 것을 의무화하도록 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2011년에 발의되었고, 2015년 초부터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대한 신고의무화가 시행되었다.
이는 승차 시 승차한 어린이 확인 및 승차 시간 기록, 하차 시 하차한 어린이 확인 및 하차 시간 기록을 의무로 부과하여서 실질적인 어린이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현재 승/하차 어린이 확인 및 승/하차 시간은 통학이나 통원을 위해 차량에 탑승한 보조원(선생님)이 사무실에 도착하여서 일괄적으로 문서 작성에 그치고 있어, 차량 운행 종료 후 미 하차 인원의 존재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특히, 차량 운행을 종료하면 다음 운행시까지 창문이나 출입문을 전부 폐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어린이나 유치원생들이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창문이나 출입문을 전부 폐쇄하면 차량에 남은 어린이나 유치원생들을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어린이 통학이나 통원용 차량에서 차량 운행을 종료한 후 미 하차 인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 예로,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4-0085617호에 따르면, 정거장별로 승차 예정된 승차예정자정보와 하차 예정된 하차 예정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정거장마다 통학버스에 실제로 승차한 승차자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정거장별 승차 예정자 정보(211')를 비교하여 미승차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 승차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승차정보 처리부(231'), 정거장마다 통학버스에서 실제로 하차한 하차자 정보와 정거장별 하차 예정자정보(212')를 비교하여 미 하차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 하차자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하차정보 처리부(232'), 저장된 승차자정보와 미 승차자 정보와 하차자 정보 및 미 하차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233')를 포함하여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200')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선생님이 업무 시간에는 PC로, 차량운행 중에는 스마트폰으로 원생들의 실시간 승차 및 하차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차량 운행 중 승차 인원 및 하차 인원을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승차 인원 및 하차 인원을 확인하는 방법이므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후 미 하차 인원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승차 인원 및 하차 인원을 확인한 후, 미 하차 인원이 확인되면 이를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이므로, 미 하차 인원이 확인되어도 이를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해주고,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탐문을 하여 미 하차 인원을 찾는 방식이므로, 미 하차 인원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고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은 미 하차 인원이 어린이나 유치원생이고, 의자 밑에 앉아있거나 누워 있으면 창문으로도 쉽게 이를 발견하기 어려워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상태에서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를 탐지하고,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면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전파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한 차량 운행 종료 후 미 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학 차량 승하차 대상의 무게정보를 획득하는 무게감지센서부와, 획득된 무게정보를 저장하는 무게 데이베이스부와,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승하차 인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 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저장하는 탑승자DB와, 탑승자 DB에 저장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이 존재할 경우, 차량 운행 종료 시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무게감지 센서부는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거나 또는/및 통학차량의 보조 계단에 구비된다. 무게감지센서부는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중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되, 각각의 하중센서의 위치정보 및 고유 ID 정보를 저장한 무게감지센서DB를 더 구비한다.
하중센서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중센서는 승하차 대상에 의해 상부에서 가압될 경우, 무게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무게정보에 고유 ID정보를 탑재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게감지신호를 무게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이어서 연산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또한 연산부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산부는 무게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게감지신호에 포함된 무게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승차 또는 하차상태를 판단하여 승차 인원수 또는 하차인원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승차 인원수 또는 하차인원수를 기반으로 승하차인원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탑승자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단부는 탑승자 DB에 저장된 승차인원수정보와, 하차인원수정보가 일치할 경우, 잔류 인원수가 0인 것으로 판단하되, 승차인원수정보>하차인원수정보일 경우, 승차인원수정보에서 하차 인원수정보를 가감하여 잔류인원수를 산출하고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어서 산출된 잔류인원수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 구비된 무게감지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무게정보 변화량을 산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센서가 복수개 구비되었을 때, n(n=1,2,3...)번째 무게정보를 획득한 하중센서의 위치와, n+1번째 무게정보를 획득한 하중센서의 위치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연산부는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무게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조하여, 일치하는 무게감지 센서부로부터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를 독출하고, 무게감지센서DB에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와,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 각각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대조함으로로써 해당 하중센서의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중센서의 위치정보가 제2높이이고,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중센서의 위치정보가 제1높이일 때, 제1높이<제2높이일 경우, 승차상태로 판단하고 승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하고, 제2높이<제1높이일 경우, 하차상태로 판단하고 하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 구비된 무게감지 센서부는, 승하차 대상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에의해 획득되는 무게정보가 변화할 경우, 해당 시점에 획득되는 무게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연산부에 전송하고, 연산부는 무게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무게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조하여, 일치하는 무게감지 센서부로부터 직전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를 독출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정보에서 직전에 획득된 무게정보를 가감하여 연산함으로써 무게정보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양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승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하되,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음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하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하되, 가변범위(W1)는, 승하차 대상 1명의 무게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상태에서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는지를 탐지하고,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면 실시간으로 이를 자동으로 운전자에 전파하여, 차량 종료 후 미 하차 인원이 존재하는 것을 운전자가 인지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를 통해, 차량 내의 미 하차 인원을 대상으로 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의 하중센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의 연산부의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학 차량 승하차 대상의 무게정보를 획득하는 무게감지센서부(10)와, 획득된 무게정보를 저장하는 무게 데이베이스부와,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승하차 인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30)와, 연산 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저장하는 탑승자 DB(40)와, 탑승자 DB(40)에 저장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50)와,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이 존재할 경우, 차량 운행 종료 시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무게감지센서부(10)는 고유 ID정보가 부여된 하중센서(11)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되, 각각의 하중센서(11)의 위치정보 및 고유 ID 정보를 저장한 무게감지센서 DB(12)를 더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의 경고신호 생성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및 스피커모듈을 통해 청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통학 차량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app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게감지센서부(10)는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거나 또는/및 통학차량의 보조 계단 바닥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승하차 대상이 차량에 탑승할 경우, 바닥에 구비된 하중센서(11)를 가압하게 되며, 하중센서(11)는 승하차 대상에 의해 상부에서 가압될 경우, 무게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하중센서(11)는 획득된 무게정보에 고유 ID정보를 탑재하여 무게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게감지신호를 무게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하고, 이어서 연산부(30)에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중센서(11)가 보조 계단 바닥면에 구비될 경우,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각각의 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각각의 무게감지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무게정보 획득 순서에 따라 승하차 대상의 진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무게감지 장치는 계단의 상면에 구비되고, 승하차 대상은 하나 이상의 계단을 밟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동작을 수행하되, 높이가 가장 높은 계단에 구비된 제1무게감지 장치에서 무게정보가 획득되고, 이어서 제1 무게감지 장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 제2무게감지장치로부터 무게정보가 획득될 경우, 하차하는 상태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의 연산부의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연산부(30)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산부는 무게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게감지신호에 포함된 무게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승차 또는 하차상태를 판단하여 승차 인원수 또는 하차인원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승차 인원수 또는 하차인원수를 기반으로 승하차인원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탑승자 DB(4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판단부(50)는 탑승자 DB에 저장된 승차인원수정보와, 하차인원수정보가 일치할 경우, 잔류 인원수가 0인 것으로 판단하되, 승차인원수정보>하차인원수정보일 경우, 승차인원수정보에서 하차 인원수정보를 가감하여 잔류인원수를 산출하고 잔류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이어서 산출된 잔류인원수 데이터를 도2의 제어부(6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연산부(30)가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 구비된 무게감지센서부(10)로부터 획득된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무게정보 변화량을 산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 구비된 무게감지센서부(10)는, 승하차 대상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에의해 획득되는 무게정보가 변화할 경우, 해당 시점에 획득되는 무게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연산부(30)에 전송하고, 연산부(30)는 무게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무게데이터베이스부(20)에서 대조하여, 일치하는 무게감지센서부(10)로부터 직전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를 독출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정보에서 직전에 획득된 무게정보를 가감하여 연산함으로써 무게정보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양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승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하되,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음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하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한다. 가변범위(W1)는, 승하차 대상 1명의 무게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승차 또는 하차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중센서(11)가 복수개 구비되었을 때, 무게감지센서부(10)로부터 n번째 생성된 무게감지 신호가 연산부에 전달되었을 경우, 무게감지 신호를 수신한 연산부(30)는 n(n=1,2,3...)번째 무게정보를 획득한 하중센서(11)의 위치와, n+1번째 무게정보를 획득한 하중센서(11)의 위치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산부(30)는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무게데이터베이스부(20)에서 대조하여, 일치하는 무게감지센서부(10)로부터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를 독출하고, 무게감지센서 DB(12)에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와,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 각각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대조함으로로써 해당 하중센서(11)의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중센서(11)의 위치정보가 제2높이이고, 직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중센서(11)의 위치정보가 제1높이일 때, 제1높이<제2높이일 경우 승차상태로 판단하고 승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하고, 제2높이<제1높이일 경우 하차상태로 판단하고 하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가 복수개이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센서가 구비된 높이가 높아질 경우, 승차상태로 판단하고 승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센서가 구비된 높이가 낮아질 경우, 하차상태로 판단하고 하차 인원수를 1만큼 가산할 수도 있다. 이때 승차상태 또는 하차상태의 종료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승하차 대상이 차량에 승하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승차상태 또는 하차상태의 종료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은 기술한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에게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그 밖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 상태 또는 하차 상태의 종료시점을 판단하는 또다른 방법은, n번째 수집된 무게감지신호가 수집된 시점에서, 승하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하고 n+1번째 무게감지 신호가 수집되되, n번째 수집된 무게감지 신호를 생성한 센서의 높이와. n+1번째 수집된 무게감지 신호를 생성한 센서의 높이가 일치할 경우, n번째 수집된 무게감지 신호는 승차상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무게감지센서부
11 : 하중센서
12 : 무게감지센서DB
20 : 무게 데이베이스부
30 : 연산부
40 : 탑승자DB
50 : 판단부
60 : 제어부

Claims (7)

  1. 통학 차량 승하차 대상의 무게정보를 획득하는 무게감지센서부와, 획득된 무게정보를 저장하는 무게 데이베이스부와, 무게정보를 기반으로 승하차 인원수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 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저장하는 탑승자DB와, 상기 탑승자 DB에 저장된 승하차 인원수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차량 내부에 잔류 인원이 존재할 경우, 차량 운행 종료 시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 센서부는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거나 또는/및 통학차량의 보조 계단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되,
    통학차량 내부 바닥에 구비된 무게감지 센서부는, 승하차 대상의 승차 또는 하차 동작에의해 획득되는 무게정보가 변화할 경우, 해당 시점에 획득되는 무게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상기 연산부에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무게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무게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유ID정보를 무게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조하여, 일치하는 무게감지 센서부로부터 직전에 획득된 무게감지 신호를 독출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게정보에서 직전에 획득된 무게정보를 가감하여 연산함으로써 무게정보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양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승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하되, 산출된 무게정보 변화량이 음수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가변범위(W1)보다 클 경우 하차 인원수를 적어도 1 이상 가산하되, 상기 가변범위(W1)는, 승하차 대상 1명의 무게보다 작게 설정되는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70405A 2020-06-10 2020-06-10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KR10239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05A KR102392301B1 (ko) 2020-06-10 2020-06-10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05A KR102392301B1 (ko) 2020-06-10 2020-06-10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09A KR20210153409A (ko) 2021-12-17
KR102392301B1 true KR102392301B1 (ko) 2022-05-12

Family

ID=7903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405A KR102392301B1 (ko) 2020-06-10 2020-06-10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6B1 (ko) * 2014-11-12 2016-04-12 송상훈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KR200483811Y1 (ko) * 2017-05-23 2017-06-27 김보근 아동 보호차량 탑승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92A (ko) * 2014-05-09 2015-11-18 옥윤선 통학차량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시스템
KR20190116778A (ko) * 2018-04-05 2019-10-15 (주)로뎀기술 지능형 승하차 알림 장치를 이용한 어린이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26B1 (ko) * 2014-11-12 2016-04-12 송상훈 차량 탑승객 안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차량 탑승객 안전 관리 방법
KR200483811Y1 (ko) * 2017-05-23 2017-06-27 김보근 아동 보호차량 탑승인원 자동 확인 무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09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9868B (zh) 一种自动驾驶汽车判断乘客身份的系统
CN108830477B (zh) 一种共享汽车
US1156874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05096543B (zh) 一种基于行车记录仪的车辆救援方法及系统
DE102017121069A1 (de) Insassenvalidierungssysteme und - verfahren
DE102017120978A1 (de) Fahrgastüberwachungssysteme und -verfahren
US201201128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vehicle safety
CN107640154A (zh) 新手司机驾驶辅助系统
CN114834474B (zh) 一种基于驾驶人实时状态监测的主动安全辅助驾驶系统
CN113460062A (zh) 驾驶行为分析系统
CN112041201B (zh) 用于控制对车辆特征的访问的方法、系统和介质
US20230234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KR20210042579A (ko) 주행 중인 차량 내 승차인원 검지를 위한 승차위치 확인 및 합산 방법
KR102392301B1 (ko) 무게감지장치를 이용한 통학 차량 승하차 감지 장치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216612A (zh) 获取飞机乘客重量重心的系统和方法
KR20200054378A (ko) 차량 내 승객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958573A (zh) 一种应用于智能车辆中的行车控制方法
CN113401157B (zh) 基于透明显示车窗的座位信息系统、方法及轨道车辆
CN111497700B (zh) 一种车载酒精检测方法
Jain et al. Assessment of driver’s distraction using perceptual evaluations, self assessments and multimodal feature analysis
CN110991334A (zh) 校车的用车人员监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与介质
CN111899369B (zh) 一种智能校车点名系统及其控制方法
CN117494589B (zh) 基于车身颜色的车辆事故预测方法、设备和存储介质
US20230295963A1 (en) Door control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door control, and method for doo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