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15B1 -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15B1
KR102392215B1 KR1020200144478A KR20200144478A KR102392215B1 KR 102392215 B1 KR102392215 B1 KR 102392215B1 KR 1020200144478 A KR1020200144478 A KR 1020200144478A KR 20200144478 A KR20200144478 A KR 20200144478A KR 102392215 B1 KR102392215 B1 KR 10239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resin layer
bag
contain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20014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광목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으므로 다수회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목(12)과, 광목(12)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층(14)을 포함하는 적층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층(14)이 내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봉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Food packing bag and packing vessel}
본 발명은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다수회 반복 사용가능한 내구성을 가지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용 비닐포장제를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식품포장제로 직물에 밀랍이 코팅된 포장제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랍이 코팅된 포장제는 표면이 끈적한 느낌을 주어 사용감이 좋지 않고, 밀랍이 용융온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밀랍이 제품에 묻어나거나 또는 뜨거운 제품을 포장하기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종래 비닐포장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온도 에 덜 영향을 받는 등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친환경 포장제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8039호(2002. 05. 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8017호(2004. 06. 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광목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으므로 다수회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광목(12)과, 광목(12)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층(14)을 포함하는 적층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층(14)이 내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봉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지층(14)은 생분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목(12)의 경사 및 위사 중 일부는 구리섬유(1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포장 용기(B)에 있어서, 상기 용기(B)는 상부가 열가소성 수지부(18)와, 상기 수지부(18)의 저면에 부착된 광목(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지층(14)의 두께를 통상의 비닐봉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도 광목(12)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므로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회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합성수지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측면에서도 환경친화적이다. 더욱이, 수지층(14)이 생분해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 후 폐기하더라도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광목(12)에 구리섬유(15)가 사용된 경우에는 구리섬유(15)에 의해 봉지가 형태유지성을 가지기 때문에 봉지의 상단부를 말아서 쉽게 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이 용기에 적용된 경우에는 용기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지부(18)가 취성이 약한 수지로 이루어지더라도 광목(16)에 의해 수지부(18)의 취성이 보완되어 용기가 쉽게 깨지지 않으므로 용기를 다수회 반복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사용된 적층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적층체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목(12)과, 광목(12)의 일면에 적층된 수지층(14)으로 이루어진 적층체(10)로 이루어진다.
광목은 무명실을 씨실과 날실로 하여 짠 무명천으로서, 엷은 누런색을 띄는 것이 특징이다. 유연제처리나 형광표백제, 화학원료를 사용한 나염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이 없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튼튼하면서도 가격도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상기 수지층(14)은 상기 광목(12)에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연질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층(14)은 생분해성을 가지는데, 이를 위해 수지층(14)에는 PLA 등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가 함유된다. 수지층(14)이 생분성을 가지면, 본 발명이 전체적으로 생분해성을 가져서 자연분해되므로 본 발명의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PLA는 취성으로 인하여 유연성이 다소 낮은 단점을 가지므로 PLA를 필름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PLA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종류의 수지를 블렌딩하거나 가소제를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블렌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지층(14)의 유연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광목(12)에 의해 수지층(14)의 유연성이 보완되기 때문에 수지층(14)에 PLA가 사용되는 경우에 수지층(14)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종류의 수지 또는 가소제를 상대적으로 많이 첨가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수지층(14)의 PLA함량이 향상되므로 상대적으로 수지층(14)의 생분해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층체(10)는 슬롯다이(slot die)방식으로 수지층(14)을 형성하면서 수지층(14) 위에 광목(12)을 배치하여 갭롤러(gap roller) 사이로 통과시켜 광목(12)을 수지층(14) 위에 가압시킨 다음, 수지층(14)을 경화시켜서 제조된다. 그리고 제조된 적층체(10)를 이용하여 공지된 봉지제조방법으로 봉지(A)를 만들되, 수지층(14)이 봉지(A)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봉지를 만든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지층(14)에 의해 방수성이 부여되고, 광목(12)에 의해 포장제로서의 적절한 내구성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광목(12)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포장제로서 요구되는 내구성을 가지므로 수지층(14)을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도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비닐봉지는 0.02~0.04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되는데, 본 발명의 수지층(14)은 이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도 포장제로 사용에 문제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포장봉지에 비해 내구성이 뒤떨어지지 않으면서도 합성수지의 사용량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아울러 세척하여 다수회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이다. 더욱이, 수지층(14)이 생분해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사용 후 폐기하더라도 생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식품포장용으로 사용이 바람직한데, 과일, 야채는 물론이고, 생선, 육류 또는 빵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포장에도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목(12)의 경사 및 위사 중 일부는 구리섬유(1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광목(12)에 구리섬유(15)가 소정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된다. 이러한 광목(12)은 직조시에 경사 및 위사 사이에 구리섬유(15)를 배치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리섬유(15)가 사용된 광목(12)을 이용하면 적층체(10)가 구리섬유(15)에 의해 형태유지성을 가지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A)도 형태유지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A)에 식품을 담고, 봉지(A)의 상단부를 말아서 오므려 놓으면, 구리섬유(15)에 의해 봉지(A)가 펴지지 않고 말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봉지(A)의 상단을 묶거나 또는 별도의 끈을 이용하지 않아도 봉지를 봉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구리섬유(15)가 과도하게 가늘면 구리섬유(15)에 의한 형태유지성을 기대하기 곤란하므로 구리섬유(15)는 다소 굵은 것을 사용하는데, 적어도 광목(12)의 경사 , 유사 보다 굵은 섬도를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이 광목(12)에 구리섬유(15)가 포함되면 구리섬유에 의해 봉지에 형태유지성이 부여되는 것은 물론이며, 구리섬유(15)에 의해 봉지에 항균성도 부여되므로 위생적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포장용기에 적용된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B)는 상부가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식품을 담을 수 있는 다소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데, 용기(B)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부(18)와, 수지부(18)의 저면에 부착된 광목(1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형상으로 수지부(18)를 사출성형하고, 사출성형된 수지부(18)의 외측면에 광목(16)을 대고 초음파융착 또는 열융착시켜서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용기(B)는 표면에 부착된 광목에 의해 용기(B)의 내구성이 보강되므로 수지부(18)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도 용기로서 사용이 손색이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환경친화적이다.
특히, 폴리스틸렌은 용기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인데, 폴리스틸렌은 취성이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폴리스틸렌 등과 같이 취성이 약한 합성수지로 제조된 용기는 쉽게 깨지므로 반복 사용이 곤란한데, 본 발명은 수지부(18)가 취성이 약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더라도 광목(16)에 의해 수지부(18)의 취성이 보완되어 용기(B)가 쉽게 깨지지 않으므로 용기(B)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다.
더욱이 수지부(18)가 생분해성을 가지도록 PLA 등의 생분해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B)가 전체적으로 생분해성을 가지므로 사용 후 폐기되어도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광목(12)과, 광목(12)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층(14)을 포함하는 적층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지층(14)이 내측면을 이루고,
    상기 수지층(14)은 생분해성을 가지며,
    상기 수지층(14)은 PLA를 포함하고,
    상기 광목(12)의 경사 및 위사 중 일부는 구리섬유(15)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리섬유(15)는 광목의 경사, 위사보다 굵은 섬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봉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4478A 2020-11-02 2020-11-02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KR10239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78A KR102392215B1 (ko) 2020-11-02 2020-11-02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78A KR102392215B1 (ko) 2020-11-02 2020-11-02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215B1 true KR102392215B1 (ko) 2022-04-28

Family

ID=8144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478A KR102392215B1 (ko) 2020-11-02 2020-11-02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2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728A (ja) * 1997-11-11 1999-05-25 Mishima Paper Co Ltd 生分解性袋用紙
KR20000000511A (ko) * 1997-08-21 2000-01-15 시마자키사타루 식품랩천
KR100338039B1 (ko) 2000-04-07 2002-05-30 유만석 도전성 직물
JP2002227100A (ja) * 2001-02-01 2002-08-14 Daio Paper Corp 包装用袋用紙
KR100438017B1 (ko) 2001-05-28 2004-06-26 한용희 원단 라미네이팅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11A (ko) * 1997-08-21 2000-01-15 시마자키사타루 식품랩천
JPH11138728A (ja) * 1997-11-11 1999-05-25 Mishima Paper Co Ltd 生分解性袋用紙
KR100338039B1 (ko) 2000-04-07 2002-05-30 유만석 도전성 직물
JP2002227100A (ja) * 2001-02-01 2002-08-14 Daio Paper Corp 包装用袋用紙
KR100438017B1 (ko) 2001-05-28 2004-06-26 한용희 원단 라미네이팅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4368A (en) Package and packaging method
CA2907128C (en) Sealed fibrous container
US3040948A (en) Molded pulp article
KR102392215B1 (ko) 식품 포장봉지 및 포장용기
KR20190032415A (ko) 물-분해성 백
JP2008013881A (ja)
WO2018105185A1 (ja) 包装体
KR102647516B1 (ko) 폴리우레탄 양면디자인 도마
KR101151448B1 (ko) 곡물 포대 및 그 제조방법
JP2010260308A (ja) 合成樹脂シートと不織布との積層シート及びその積層シートによる容器並びに容器の成形方法
KR100903931B1 (ko) 포장용 스트레치 필름 제조방법
CN205633476U (zh) 一种复合编织袋
JP3822200B2 (ja) リボン巻き成形体
JP2021523067A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7036Y1 (ko)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KR101797098B1 (ko) 에어 스킨층이 형성된 발포수지 입술 뜯김 방지 원단 제조방법
KR200169131Y1 (ko) 포장상자
EP2921096B1 (en) Disposable hand cover
RU2021104131A (ru) Биоразлагаемое и компостируемое изделие для упаковки пищи из формованного или распушенного целлюло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ламинированной многослой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изделия для упаковки пищи
CN212048587U (zh) 薄膜袋体结构
WO2022168923A1 (ja) 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および当該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202897199U (zh) 一种土鸡蛋包装盒
US20230241872A1 (en) Packaging insert
CN207737750U (zh) 一种无纺布包装袋
US3551267A (en) Polypropylene fabric carpet w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