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36Y1 -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 Google Patents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36Y1
KR200237036Y1 KR2020010011436U KR20010011436U KR200237036Y1 KR 200237036 Y1 KR200237036 Y1 KR 200237036Y1 KR 2020010011436 U KR2020010011436 U KR 2020010011436U KR 20010011436 U KR20010011436 U KR 20010011436U KR 200237036 Y1 KR200237036 Y1 KR 200237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nonwoven fabric
ld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상
황병무
오필선
정임국
Original Assignee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유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유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협동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2020010011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36Y1/ko

Links

Landscapes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라는 섬유질의 특성을 지닌 필름을 사용하여 문자와 모양에 대한 시각적인 심미감을 더욱 유발하게 하고, 상기의 심미감으로 인해 포장지 내에 들어있는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향상시키며, 부직포와 나일론 필름의 합지를 위해 엘디피이 수지를 사용함으로 인해 접착제보다 물리적 결합이 우수하게 하여 전체적인 포장지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의 본 고안은 부직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나일론 필름을 접합시키고, 상기에서 합지된 필름에 다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를 합지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의 내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PACKING ENVELOPE USING TO THE NONWOVEN FABRIC AND SYNTHETIC RESINS}
본 고안은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부직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Polyethylene, 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나일론(Nylon) 필름을 접합시키고, 상기에서 합지된 필름에 다시 엘디피이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를 합지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의 내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함으로써, 부직포라는 섬유질의 특성을 지닌 필름을 사용하여 문자와 모양에 대한 시각적인 심미감을 더욱 유발하도록 하고, 상기의 심미감으로 인해 포장지 내에 들어있는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부직포와 나일론 필름의 합지를 위해 엘디피이 수지를 사용함으로 인해 접착제보다 물리적 결합이 우수하게 하여 전체적인 포장지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지는 농산물이나 가공된 물품등을 담아서 어느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지는 흡수력이 양호한 종이의 일측면에 방청제를 흡수시켜 약품처리시키고, 상기 종이의 타측면에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코팅하거나 합성수지 필름을 가열 접합시킴으로서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하여 합성수지층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지나, 이는 물품을 나타내는 문자나 모양에 대한 인쇄 형태가 은은하게 표출되지 못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실루엣의 효과가 발생되지 못하여 단순히 물품의 보관에만 사용되고, 물품에 대한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로 인해 종래에 사용되는 포장지는 생산성과 효율성에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점이 항상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부직포라는 섬유질의 특성을 지닌 필름을 사용하여 문자와 모양에 대한 시각적인 심미감을 더욱 유발하게 하고, 상기의 심미감으로 인해 포장지 내에 들어있는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향상시키며, 부직포와 나일론 필름의 합지를 위해 엘디피이 수지를 사용함으로 인해 접착제보다 물리적 결합이 우수하게 하여 전체적인 포장지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부직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나일론 필름을 접합시키고, 상기에서 합지된 필름에 다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를 합지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의 내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여주기 위한 외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B', 'C' 부분을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지 10 : 상단부재
11,21 : 부직포 필름 12,22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13,23 : 나일론 필름 14,24 : 인쇄부분
15,25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16,26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20 : 하단부재
상기한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앞서, 상기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에 대한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LDPE는 범용성 필름으로, 냉동식품의 포장에 적합하고, 방수과방습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열가공과 안전성이 있어 성형이 용이한 동시에 무득, 무취,무미로 위생이 좋고, 열접착성이 양호하여 제대 및 봉합이 용이하며, 원료비가 저렴한 동시에 소각처리 용이하고, 인장 및 인열강도가 있어 종, 횡방향의 강도차가 적으므로 제대에 방향성을 찾을 필요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LLDPE는 내수 및 내열성이 뛰어나고, 히트실성(강도, 열간실성, 협착물실성, 밀봉성)이 우수하며, 기계적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연포장에서 범용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투명성이 양호한 동시에 광택이 좋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고안을 보여주기 위한 외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B', 'C' 부분을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를 나타낸것이다.
즉, 본 고안은 농산물, 상기 농산물을 가공한 가공품 및 고기류를 가공한 육가공품 등을 포장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보관하여 판매하기 위한 포장지는 일정한 크기의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재 (10)와 하단부재(20)는 외측 둘레를 서로 접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에는 부직포 필름(11)(21)의 일측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일측면과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키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타측면에는 나일론 필름(13)(23)의 일측면과 접합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13)(23)의 타측면에는 물품에 대한 내용이 문자나 모양으로 표시되는 인쇄부분(14)(24)이 형성되고, 상기에서 접합된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5)(25)의 일측면과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키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5)(25)의 타측면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16)(26)의 일측면과 합지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를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16)의 일측면 외측둘레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26)의 일측면 외측둘레가 가열 용융되어 접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장지(1)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지(1)는 농산물, 상기 농산물을 가공한 가공품 및 고기류를 가공한 육가공품 등을 포장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지(1)는 일정한 크기의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 (20)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의 외측 둘레부분을 서로 접착시켜 일체화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는 부직포 필름(11)(21)의 일측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일측면을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키게 된다.
상기 접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타측면과 나일론 필름(13)(23)의 일측면을 접합시킨 다음 포장 물품에 대한 홍보와 제조회사 및 판매처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의 문자나 모양이 인쇄된 인쇄부분(14) (24)을 상기 나일론 필름(13)(23)의 타측면에 나타내게 된다.
상기의 인쇄가 완료되면, 다시 상기에서 접합된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수지(15)(25)의 일측면을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킨 후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5)(25)의 타측면에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16) (26)의 일측면을 합지시키게 되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16)의 일측면 외측둘레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26)의 일측면 외측둘레가 서로 마주보게 된 상태에서 가열 용융되어 접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포장지(1)는 통상적으로 규격봉투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10mm 규격으로 실링(sealing)한 후 외면 부위를 절단하여 사각형 형상의 봉투로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표면에 부직포라는 섬유질의 필름으로 백색의 색깔을 내며 섬유질의 촉감을 가지고 있어 일반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포장지와는 달리 고급스러운 차별성을 부여할 수가 있고, 내용물을 포장했을 때 상기 내용물을 볼 수가 있으며, 상기 부직포 사이로 비치는 인쇄부분이 은은하게 나타나게 되어 실루엣의 효과로 인한 고급스러움을 표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직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나일론(Nylon) 필름을 접합시키고, 상기에서 합지된 필름에 다시 엘디피이 수지를 가열 용융시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를 합지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의 내면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함으로써, 부직포라는 섬유질의 특성을 지닌 필름을 사용하여 문자와 모양에 대한 시각적인 심미감을 더욱 유발하게 하는 효과와, 상기의 심미감으로 인해 포장지 내에 들어있는 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부직포와 나일론 필름의 합지를 위해 엘디피이 수지를 사용함으로 인해 접착제보다 물리적 결합이 우수해지는 효과로 전체적인 포장지에 대한 생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고, 이를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농산물, 상기 농산물을 가공한 가공품 및 고기류를 가공한 육가공품 등을 포장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보관하여 판매하기 위한 포장지는 일정한 크기의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 (20)는 외측 둘레를 서로 접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에는 부직포 필름(11)(21)의 일측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일측면과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키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2)(22)의 타측면에는 나일론 필름(13) (23)의 일측면과 접합시키며,
    상기 나일론 필름(13)(23)의 타측면에는 물품에 대한 내용이 문자나 모양으로 표시되는 인쇄부분(14)(24)이 형성되고,
    상기에서 접합된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5)(25)의 일측면과 가열 용융시켜 접합시키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15)(25)의 타측면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16)(26)의 일측면과 합지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10)와 하단부재(20)를 일체화하기 위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16)의 일측면 외측둘레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26)의 일측면 외측둘레가 가열 용융되어 접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KR2020010011436U 2001-04-20 2001-04-20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KR200237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36U KR200237036Y1 (ko) 2001-04-20 2001-04-20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36U KR200237036Y1 (ko) 2001-04-20 2001-04-20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36Y1 true KR200237036Y1 (ko) 2001-10-12

Family

ID=7309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436U KR200237036Y1 (ko) 2001-04-20 2001-04-20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74B1 (ko) * 2013-04-03 2014-11-04 권오희 상품포장 가방용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74B1 (ko) * 2013-04-03 2014-11-04 권오희 상품포장 가방용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6388B2 (en) Self-closing packaging material
RU2136560C1 (ru) Упаковочная обертка, закрываемая круткой,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US20070042146A1 (en) Grease-resistant bag and related methods
US4084689A (en) Packaging article
US2830297A (en) Protective garment
CZ293402B6 (cs) Způsob balení předmětů a obal jím vytvořený
KR200237036Y1 (ko) 부직포와 합성수지를 이용한 포장봉투
US20070022716A1 (en) Method of packaging coffee and a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coffee
US2992117A (en) Food package
US20050244599A1 (en) Paper and foil wrap product
US20080029584A1 (en) Soap Bar Wrapper
CA2465093A1 (en) A wrapped food product
US20210276775A1 (en) Recyclable and absorbent food packaging
CA2932223A1 (en) Wrapper for soap bar
JP7102477B2 (ja) 多重袋
JP3876515B2 (ja) 半透明性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袋
RU2203843C2 (ru) Упаковка блистер
US20040238608A1 (en) Soap bar wrapper
JP2590315Y2 (ja) 食品用包装材料
KR101980015B1 (ko) 에어캡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포장재의 제조방법
CN214452664U (zh) 胶囊杯调味茶的包装结构
JPH0226834Y2 (ko)
JP3076195U (ja) 折 箱
KR200357034Y1 (ko) 합성수지 포장지
JP3679908B2 (ja) 真空包装材料および真空包装用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