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964B1 -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 Google Patents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964B1
KR102391964B1 KR1020160034329A KR20160034329A KR102391964B1 KR 102391964 B1 KR102391964 B1 KR 102391964B1 KR 1020160034329 A KR1020160034329 A KR 1020160034329A KR 20160034329 A KR20160034329 A KR 20160034329A KR 102391964 B1 KR102391964 B1 KR 10239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brake
fixing protrusion
motor devic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238A (ko
Inventor
차재권
Original Assignee
(주) 보쉬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쉬전장 filed Critical (주) 보쉬전장
Priority to KR102016003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9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장치에 잇어서, 모터장치 내 웜기어에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기존의 2가지 구성을, 편심을 이루는 단일개의 편심 브레이크만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재료비 및 제작비용 절감을 가지도록 하며, 편심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에 수직방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달리, 웜기어의 회전력에 비례하여 브레이크력 또한 증가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주연에 브레이크 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반전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MOTOR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USING ECCENTRIC BRAKE}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앉는 시트에는, 등받이를 전, 후방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시트 무빙용 장치(ex: 리클라이닝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운전에 적합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임의의 필요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트 무빙용 장치는 좌판이 설치되는 쿠션프레임과 등받이가 설치되는 시트백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작동레버를 작동하면 시트의 등받이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를 놓으면 조절된 각도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무비용 모터장치(100)는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프레임이 연접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시트백 프레임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시트 무빙용 장치는 시트 착석자가 레버를 직접 조작하여 작동시키는 수동식과,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전동모터의 힘으로 동작하는 전동식이 있다.
이 중, 전동모터를 이용하는 상기 전동식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아마츄어가 기어하우징(110)에 내설되어 있고, 아마츄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단부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웜(140)이 형성되고, 이러한 웜(140)이 웜기어(130)와 치합되어, 웜기어(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웜기어(130)는 아마츄어의 웜(14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아마츄어와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 스핀들에 형성이 되는 것인데,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핀들은 회전하면서 아마츄어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직선 추력으로 변환된다.이러한 스핀들의 일단은 차량의 시트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핀들의 전, 후 움직임에 따라 시트를 전, 후 작동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웜(1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기어(130)의 급작스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하우징(110) 내부 윔휠기어(130) 하단에는 종래에, 브레이크 링(150) 및 판 스프링(160)이 삽입되어져 있었다.
이는 판 스프링(160)이 브레이크 링(150)을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웜기어(13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웜기어(130)와 외주연이 접촉되는 브레이크 링(150)의 경우에는, 기어하우징(110)의 저면에 돌출된 고정돌기(111) 외주연에 체결돌기(112)가 돌출되도록 하고, 이러한 체결돌기(112)가 대응되며 체결되는 홈(151)을 브레이크 링(150) 내주연에도 함몰형성하여, 상호간 홈(151)과 체결돌기(112)가 체결되면서 브레이크 링(150)이 기어하우징(110) 저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웜기어(130)의 회전력 감속을 위해 판 스프링(160) 및 브레이크 링(150) 이라는 2가지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삽입하여야 했고, 브레이크 링(150)을 기어하우징(110) 내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링(150)에는 홈(151)을 파고, 기어하우징(110)의 고정돌기(110) 외주연에는 체결돌기(112)를 부가로 돌출시키는 작업을 해야했기에, 작업공수 증가 및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구성의 경우, 웜기어(130)에는 판 스프링(160)이 상부로 들어올리는 지속적인 수직력에 의한 브레이크가 걸려있어, 웜기어(1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전원이 차단되어 정지된 후, 반대방향인 역방향(반전 작동)으로 작동을 하게 되는 경우, 반전 작동시마다 충격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종래의 구성을 단순화시키면서도 보다 높은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킬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 모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시트를 조작하기 위한 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회전되는 웜기어에 브레이크력을 발생시켜 급작스런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 링의 2개 구조를, 편심 브레이크라는 단일의 한개 구조로 변경하여 원가 및 조립시의 비용 절감 및 공수절감이 가능토록 하고, 편심 브레이크의 구조로 인하여 웜기어의 회전력에 비례하여 높은 브레이크력이 발생되는 형태가 되어, 기존에 판 스프링을 통해 수직으로 내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부재를 추가로 더 형성하면 작동 반전시 발생되는 기존의 충격음을 줄일수도 있는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단으로서, 자동차 시트를 작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모터장치의 기어하우징(10) 내부 저면 중앙에 돌출되되, 회전축(11)이 대응끼워지는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 상기 고정돌기(20)의 상면에 대응설치되되, 상기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며회전축(11)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천공되며, 외주연에 치합되는 웜(42)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4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체결되되, 고정돌기(20)의 축중심에 중앙홀(31)이 편심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되는 웜기어(40)의 내주연에 밀착접촉되면서, 웜기어(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웜기어(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 브레이크(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용 모터장치에서, 웜기어에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인 기존의 2가지의 구성을, 편심을 가지는 단일개의 구성으로 사용하여, 원가 및 조립 비용 절감, 조립공수 축소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판 스프링 등에 의해 상부의 수직으로 발생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비해, 편심을 가지는 브레이크를 사용함에 따라, 웜 또는 웜기어의 회전력이 높아질수록, 브레이크력도 높아져 그 효과가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형 브레이크에 고무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시트 모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브레이크의 편심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자동차 시트를 작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모터장치의 기어하우징(10) 내부 저면 중앙에 돌출되되, 회전축(11)이 대응끼워지는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 상기 고정돌기(20)의 상면에 대응설치되되, 상기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며회전축(11)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천공되며, 외주연에 치합되는 웜(42)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4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체결되되, 고정돌기(20)의 축중심에 중앙홀(31)이 편심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되는 웜기어(40)의 내주연에 밀착접촉되면서, 웜기어(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웜기어(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 브레이크(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 시트를 작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모터장치의 기어하우징(10) 내부 저면 중앙에 돌출되되, 회전축(11)이 대응끼워지는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 둘레에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내입홈(22); 상기 고정돌기(20)의 상면에 대응설치되되, 상기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며회전축(11)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천공되며, 외주연에 치합되는 웜(42)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4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체결되되, 고정돌기(20)의 축중심에 중앙홀(31)이 편심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되는 웜기어(40)의 내주연에 밀착접촉되면서, 웜기어(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웜기어(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 브레이크(30); 상기 다수의 내입홈(22)에 대응삽입되도록,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 내주연에 다수 형성되어, 고정돌기(20)와의 접촉을 통해, 편심 브레이크(30)의 브레이크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브레이크 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 브레이크(30)는 웜기어(40)가 작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을시, 외주연이 웜기어(40)의 내주연과 밀착접촉되어, 웜기어(40)가 작동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고, 웜기어(40)가 회전작동시에는, 외주연이 웜기어(40)의 내주연과 밀착접촉됨으로써, 웜기어(40)의 회전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급작스런 시트작동을 사전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부재(50)는 상기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 내주연 둘레에 다수 함몰형성되는 설치홈(32)에 설치되되, 일측은 설치홈(32)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내입홈(22)에 대응삽입되도록 중앙홀(31)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돌기(20), 웜기어(40), 편심 브레이크(30)를 포함하거나, 고정돌기(20), 내입홈(22), 웜기어(40), 편심 브레이크(30), 브레이크 부재(5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들인 고정돌기(20), 웜기어(40), 편심 브레이크(30)(및 내입홈(22), 브레이크 부재(50) 등)를 포함하는 것은 자동차 시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자동차 시트용 모터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 및 작동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서술하고 있으며, 이는 널리 공지된 기술로써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차 시트용 모터장치의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아마츄어가 기어하우징에 내설되어 있고, 아마츄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단부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웜이 형성되고, 이러한 웜이 웜기어와 치합되어, 웜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웜기어는 아마츄어의 웜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아마츄어와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 스핀들에 형성이 되는 것인데,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핀들은 회전하면서 아마츄어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직선 추력으로 변환된다.이러한 스핀들의 일단은 차량의 시트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핀들의 전, 후 움직임에 따라 시트를 전, 후 작동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돌기(20)는 전술된 기어하우징(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어하우징(10) 중 웜기어(40)가 설치되는 부분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돌기(20)는 웜기어(40)의 저면을 향해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고, 고정돌기(20)의 중앙에는 회전축(11) 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홀(2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웜기어(40)는 전술된 기어하우징(10)의 삽입홀(21)이 형성된 부분에 장착되되, 상기 삽입홀(21)의 상면에 올려지는 형태가 되며, 외주연에는 웜(42)이 대응치합되어, 웜(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웜기어(40)의 중앙에서 상, 하를 관통하며 천공된 관통홀(41)의 경우, 전술된 고정돌기(20)의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로써, 회전축(11)은 웜기어(40) 상면에서부터 웜기어(40)를 관통홀(41)에 끼워진 후, 후술될 편심 브레이크(30)를 관통한 후, 하단부의 고정돌기(20)의 삽입홀(21)까지 대응삽입된다.
더불어, 이러한 웜기어(40)의 저면에는 후술될 편심 브레이크(30)가 대응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A)이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웜기어(40)의 내주연에 편심 브레이크(30)의 외주연이 밀착접촉되며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편심 브레이크(30)는 전술된 고정돌기(20)와 웜기어(4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중앙홀(31)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링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30)는 기어하우징(10)에 돌출된 상기의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중앙홀(31)이 대응되며 끼워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30)가 끼워진 고정돌기(20)는 전술된 웜기어(40)의 저면측 장착공간(A)에 내입되어져, 편심 브레이크(30)의 내주연은 고정돌기(20)와 접촉되어 있고, 편심 브레이크(30)의 외주연은 웜기어(40)의 내주연과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은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대응되며 끼워지되, 고정돌기(20)의 중심축 또는 웜기어(40)의 중심축, 또는 회전축(11)의 중심축과는 동일선상이 되지 않도록, 고정돌기(20)의 중심축 또는 웜기어(40)의 중심축, 또는 회전축(11)의 중심축에서 편심되는 중심축을 가지도록 한다.
이렇게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이 웜기어(40)의 중심축에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웜기어(40)가 회전시 이러한 편심에 의해, 장착공간(A) 내에서 편심 브레이크(30)의 외주연이 웜기어(40)의 내주연과 접촉되면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편심 브레이크(30)가 웜기어(40)의 중심축과 편심된 중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상호간이 접촉되어 있어도 브레이크력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동반회전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력은 웜기어(40)를 완전히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웜기어(40)의 급작스런 회전이 되거나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이러한 브레이크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시트를 제어시 무거운 무게로 갑작스런 동작이 될 수도 있기에) 차량의 시트조절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마찰을 주어 회전되는 웜기어(40)(또는 웜(42))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용도인 것이다.
(물론, 전원이 차단되어, 웜기어(40)가 정지되 상태라면,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30)는 웜기어(4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웜기어(40)(또는 웜(42))의 회전력이 높으면 높아질수록, 이러한 편심 브레이크(30)가 웜기어(40)에 가해지는 브레이크력도 당연히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력은 기존에, 도 1에서처럼 판 스프링이 고정위치된 브레이크 링을 상부로 밀어올려, 이렇게 밀어올려지는 브레이크 링이 웜기어와 접촉되며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것(웜기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가해지는 브레이크력은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브레이크력을 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구성은 동일하되,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브레이크 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기존에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 링의 2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으로 웜기어에 브레이크력을 발생시켰던 종래의 경우, 웜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다가, 전원이 차단된 후, 이번에는 웜기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반전 작동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던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링 부분에서 충격음이 발생하게 된다.
(웜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던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 링 또한 수직방향으로 웜기어를 밀어올리며 브레이크력을 발생은 시키지만, 웜기어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 링 또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아주미세하게 시계방향으로 위치가 쏠리게 된다. 이후, 전원을 차단되었다가 이번엔 반시계방향으로 웜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아주 미세하게 위치가 시계방향으로 쏠렸던 판 스프링과 브레이크 링이 웜기어의 회전방향을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원위치되면서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편심 브레이크(30)가 끼워지는 기어하우징(10)의 고정돌기(20) 외주연에, 다수의 내입홈(22)을 다수 함몰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다수의 내입홈(22)에 대응되며 끼워지며 밀착되는 브레이크 부재(50)를 편심 브레이크(30)의 내주연(중앙홀(31)) 둘레에 다수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브레이크 부재(5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편심 브레이크(30)의 내주연 둘레에는 다수의 설치홈(32)이 함몰 형성되어, 이러한 설치홈(32)에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부재(5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하고, 타단은 중앙홀(31)을 향해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서, 편심 브레이크(30)가 고정돌기(20)에 끼워질시, 고정돌기(20)의 다수 내입홈(22)에 브레이크 부재(50)의 돌출된 타단이 대응되며 접촉되어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내입홈(22) 및 설치홈(32)은 실시예에 따라, 사전설정된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브레이크 부재(50) 또한 그에 맞는 두께(너비)를 가질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내입홈(22) 및 설치홈(32)의 길이를 이와는 상반되게 아주 미세하게 함몰형성하고, 그로 인해 이러한 내입홈(22) 및 설치홈(32)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브레이크 부재(50) 또한 미세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기어하우징 11: 회전축
20: 고정돌기 21: 삽입홀
22: 내입홈 30: 편심 브레이크
31: 중앙홀 32: 설치홈
40: 웜기어 41: 웜
50: 브레이크 부재
A: 장착공간

Claims (4)

  1. 자동차 시트를 작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모터장치의 기어하우징(10) 내부 저면 중앙에 돌출되되, 회전축(11)이 대응끼워지는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
    상기 고정돌기(20)의 상면에 대응설치되되, 상기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며회전축(11)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천공되며, 외주연에 치합되는 웜(42)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4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체결되되, 고정돌기(20)의 축중심에 중앙홀(31)이 편심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되는 웜기어(40)의 내주연에 밀착접촉되면서, 웜기어(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웜기어(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 브레이크(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2. 자동차 시트를 작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시트 모터장치에 있어서,
    모터장치의 기어하우징(10) 내부 저면 중앙에 돌출되되, 회전축(11)이 대응끼워지는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2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 둘레에 함몰형성되는 다수의 내입홈(22);
    상기 고정돌기(20)의 상면에 대응설치되되, 상기 삽입홀(21)과 동일중심축을 가지며회전축(11)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천공되며, 외주연에 치합되는 웜(42)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40);
    상기 고정돌기(20)의 외주연에 체결되되, 고정돌기(20)의 축중심에 중앙홀(31)이 편심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되는 웜기어(40)의 내주연에 밀착접촉되면서, 웜기어(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웜기어(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편심 브레이크(30);
    상기 다수의 내입홈(22)에 대응삽입되도록,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 내주연에 다수 형성되어, 고정돌기(20)와의 접촉을 통해, 편심 브레이크(30)의 브레이크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브레이크 부재(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브레이크(30)는
    웜기어(40)가 작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을시, 외주연이 웜기어(40)의 내주연과 밀착접촉되어, 웜기어(40)가 작동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고,
    웜기어(40)가 회전작동시에는, 외주연이 웜기어(40)의 내주연과 밀착접촉됨으로써, 웜기어(40)의 회전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급작스런 시트작동을 사전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재(50)는
    상기 편심 브레이크(30)의 중앙홀(31) 내주연 둘레에 다수 함몰형성되는 설치홈(32)에 설치되되, 일측은 설치홈(32)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내입홈(22)에 대응삽입되도록 중앙홀(31)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KR1020160034329A 2016-03-23 2016-03-23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KR10239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329A KR102391964B1 (ko) 2016-03-23 2016-03-23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329A KR102391964B1 (ko) 2016-03-23 2016-03-23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238A KR20170110238A (ko) 2017-10-11
KR102391964B1 true KR102391964B1 (ko) 2022-04-29

Family

ID=6013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329A KR102391964B1 (ko) 2016-03-23 2016-03-23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18B1 (ko) * 2020-02-11 2021-06-07 (주)영진웜 백래시 조절이 가능한 웜감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130A (ja) 1999-10-08 2003-03-25 エルゴ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 ベー ヴェー フレームによって支持されたシートおよびバックレストの組合せ
JP2010111263A (ja) 2008-11-06 2010-05-20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2196253A (ja) 2011-03-18 2012-10-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12231832A (ja) 2011-04-28 2012-11-2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3138716A (ja) 2011-12-28 2013-07-18 Ts Tech Co Ltd 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130A (ja) 1999-10-08 2003-03-25 エルゴ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 ベー ヴェー フレームによって支持されたシートおよびバックレストの組合せ
JP2010111263A (ja) 2008-11-06 2010-05-20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2196253A (ja) 2011-03-18 2012-10-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12231832A (ja) 2011-04-28 2012-11-2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3138716A (ja) 2011-12-28 2013-07-18 Ts Tech Co Ltd 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238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172B1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US11148569B2 (en) Turnover mechanism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JP4845911B2 (ja) ヒンジ機構およびその機構を有する乗物シート
US9610865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WO2017206569A1 (zh) 齿轮箱总成以及包括该齿轮箱总成的头枕驱动器
US20140008956A1 (en) Continuous manual recliner with integrated lock
KR101485252B1 (ko) 차량용 전동접이식 사이드뷰 미러의 구동장치
KR102391964B1 (ko)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KR101576382B1 (ko) 기어 박스
KR101393603B1 (ko) 웨지를 갖는 차량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JP2006160067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KR20190083763A (ko) 차량용 슬라이딩 기어박스
JP2018034545A (ja) 移動装置
JP2015150954A (ja) 車両用回転シート
US20180208081A1 (en) Seat driving device
WO2011150489A1 (en) Power drive assembly for a seat track assembly featuring compressible ribs
KR200489020Y1 (ko) 댐핑수단이 구비된 엑츄에이터장치
KR20110101897A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39097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385113B1 (ko) 댐핑여부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한 시트 무빙용 기어하우징 어셈블리
KR20190013041A (ko) 댐핑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가동부 조절용 서보모터
KR101621208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20200077083A (ko) 체결기능을 포함하는 기어 커버
KR20130063908A (ko)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