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26B1 -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26B1
KR102391426B1 KR1020200170767A KR20200170767A KR102391426B1 KR 102391426 B1 KR102391426 B1 KR 102391426B1 KR 1020200170767 A KR1020200170767 A KR 1020200170767A KR 20200170767 A KR20200170767 A KR 20200170767A KR 102391426 B1 KR102391426 B1 KR 10239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lightweight
pipe
bubble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규
송명신
이웅걸
송현진
Original Assignee
동창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창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창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4Charge or discharge systems therefor
    • B28C5/4244Discharging; Concrete conveyor means, chutes or spouts therefor
    • B28C5/4255Discharging; Concrete conveyor means, chutes or spouts therefor using transporting belts, e.g. mounted on a foldabl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021/049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concrete mixing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conve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 기포발생부;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 및 타설관을 포함하는 타설부;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관에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타설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의 기포 재생 및 재혼합을 수행하고 이송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날개; 및 상기 관형태의 몸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분사관을 통하여 내부의 회전 날개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FACILITIES FOR DEPOSITING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AND FOAM REGENERATION-MIXING-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공동주택의 바닥 단열층에 사용되는 시멘트 2차 제품으로, 최근 들어 건물의 단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행이 중단된 광산의 폐갱도의 안정화를 위한 방안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지반 붕괴 및 싱크홀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도1의 종래 현장 타설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원료 투입부(1), 슬러리 혼합부(2), 기포 발생부(3), 기포 및 슬러리 혼합부(4), 및 기포 콘크리트 타설부(5)로 구성된다.
상기 원료투입부(1)는 시멘트와 경량 첨가물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 이는 벨트 콘베이어의 전단에 호퍼(원료 투입구)를 설치하여, 호퍼에 원료를 채워 놓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가 돌아가면서 호퍼에 채워진 원료가 콘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송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슬러리 혼합부(2)는 분체 원료(시멘트)와 경량첨가물, 혼합수(물)가 동시에 투입되어 혼합되는 기능부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통안에 임펠라가 설치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설치 형태에 따라 수직형 믹서나 수평형 믹서로 구분된다. 이러한 혼합부(2)는 짧은 시간내에 원료를 혼합해야 하므로, 임펠라의 성능에 따라 교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믹서 2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포발생부(3)는 기포제를 기포군으로 만드는 기능부로, 이는 기포액 약 2∼를 희석한 용액을 저장하는 기포제 희석액 저장용기와, 상기 기포제 희석액을 펌핑하기 위한 분무기용 투입펌프와,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콤프레셔와, 투입펌프에 의해 이송된 기포제 희석액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기포군을 생성하는 발포기로 구성된다. 기포군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제조 시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포군의 품질에 따라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최종 품질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타설은, 기포발생부(3)에서 발생시킨 기포군과 혼합부(2)에서 혼합된 분체원료와 혼합수를 다시 혼합하여(4) 적용대상지까지 압송하여 타설(5)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55032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타설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장소에 도달하기까지 기포군의 소포를 다량 발생시키며, 혼합된 기포와 콘크리트 슬러리의 분리현상을 야기하므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중요한 특성을 상실시킨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종래 타설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의하면 장거리 타설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이송 속도가 크게 저하된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의 효율적인 해결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장거리 타설시에도 기포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며, 기포와 콘크리트 슬러리의 분리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이송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설 작업을 중지한 상태에서 내부 회전날개에 묻은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을 공기분사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장치의 효율 및 내구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 기포발생부;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 및 타설관을 포함하는 타설부;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관에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타설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의 기포 재생 및 재혼합을 수행하고 이송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날개; 및 상기 관형태의 몸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분사관을 통하여 내부의 회전 날개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공기분사관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진행방향의 관형태의 몸체와 20~70도의 각도를 형성하여 공기분사시 회전날개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일정한 간극을 갖는 펄스 형태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다수개가 타설관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각각의 공기분사장치의 펄스 형태의 압축 공기 분사는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각각의 공기분사장치의 펄스 형태의 압축 공기 분사는 동일한 리듬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설관은 길이가 0.1 km 이상이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2 m ~20 m당 1개가 구비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회전날개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의 형태이거나,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거나, 하나의 축상에 고정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은 일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개는 기포 재생 및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의 재혼합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회전날개가 단차를 형성하는 특징으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날개가 고정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타설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설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 상기 관형태의 몸체 양말단에 형성되는 타설관 결합부;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관형태의 몸체 외부에는 공기분사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와 관형태의 몸체는 공기분사관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공기분사관은 공기분사시 회전날개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진행방향의 관형태의 몸체와 20~7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회전날개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의 형태이거나,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거나, 하나의 축상에 고정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은 일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개는 기포 재생 및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의 재혼합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회전날개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타설관에 하나 이상의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장거리 타설시에도 기포량의 감소를 최소화하며, 기포와 콘크리트 슬러리의 분리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이송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포함되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며,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타설 작업을 중지한 상태에서 내부 회전날개에 묻은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을 공기분사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장치의 효율 및 내구성 저하 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 및 6은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의 일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래 설명과 도면은 당업자가 설명되는 장치와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논리적으로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구성 요소와 기능은 명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과정의 순서는 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의 부분과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대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타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부(3)에서 발생시킨 기포군과 혼합부(2)에서 혼합된 분체원료와 혼합수를 다시 혼합하여(4) 적용대상지까지 압송(5)하여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타설부(5)에서 타설 대상지까지의 거리는 짧게는 10m, 길게는 수 킬로미터 이상(예: 폐탄광의 갱도를 메우는 경우)이 되기도 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를 장거리로 압송하는 경우, 압송시의 마찰에 의해 기포군이 소멸되거나, 기포와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최종 타설 장소에서는 설계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목표 물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거리 이송을 위한 이송 압력도 약해져서 이송 속도가 너무 느려지거나 이송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타설부(5)는 혼합부(4)의 믹서에 의해 혼합된 슬러리를 타설공간까지 이송하는 기능부로, 이는 주로 모노펌프를 이용하고 있다. 모노펌프는 철제 케이스 안에 스테이트라고 부르는 고무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테이트 내부에 로타라고 부르는 철제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철제 회전체인 로타가 회전하면서 슬러리를 가압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이송펌프는 슬러리가 이송될 때, 로타나 스테이트가 쉽게 마모된다. 이로 인해 로타나 스테이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 이송압의 감소로, 기포의 소포량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저층 시공시보다 고층 시공시의 이송량이 감소하고 제품 비중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100)는 기포 콘크리트 장거리 압송 시에 발생하는 기포의 소실, 분리 및 이송압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포 콘크리트 압송장치 중간에 별도의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를 설치함으로써, 압송 시에 소포되는 기포를 재생하고, 분리되는 기포를 콘크리트와 재혼합하여 최종 타설 장소까지 초기에 발포된 기포의 양 및 균일 혼합 상태를 유지하며, 적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100)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110); 기포발생부(120);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130); 및 타설관(142)을 포함하는 타설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타설관(142)에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는 타설관(142)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10);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슬러리의 기포 재생 및 재혼합을 수행하고 이송력을 증가시키는 회전날개(11); 및 상기 관형태의 몸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분사관(21)을 통하여 내부의 회전 날개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20);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공기분사관(21)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진행방향의 관형태의 몸체(10)와 20~70도의 각도를 형성하여 공기분사시 회전날개(1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관(21)은 회전날개(11)에 공기를 분사하여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회전날개에 붙는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분사되는 공기 자체에 의한 기포재생을 목적으로 분사되므로,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여 결합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회전날개(1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능이 중요하므로, 회전날개의 형태에 따라 효과적으로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분사관(21)은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력 배가 등의 목적을 위하여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날개에 붙는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날개의 전부분이 분사되는 공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개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공기분사장치(20)는 일정한 간극을 갖는 펄스 형태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 날개에 회전력도 더 크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회전날개에 붙는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 제거효과도 더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사장치(20)로는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콤프레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장치(20)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100)의 본체 위치 등에 위치시키고, 그로부터 관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장치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타설관(142)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각각의 공기분사장치의 펄스 형태의 압축 공기 분사는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공기분사장치의 펄스 형태의 압축 공기 분사는 동일한 리듬을 갖도록 통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 날개에 회전력도 더 크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이송 속도도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타설관(142)은 길이가 0.1 km 이상이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는 2 m ~20 m당 1개가 구비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 개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회전날개(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의 형태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축상에 고정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은 일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레이트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개의 플레이트가 바람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재생 및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의 재혼합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회전날개가 단차를 형성하는 특징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는 계단식으로 방향성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몸체(10)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지지부재(12);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회전축(13);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날개(11)가 고정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12)는 예를 들어, 관형태의 몸체(10) 내벽에 지지막대(14)를 매개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 공지된 수단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장치(100)를 사용한 시공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a) 기포 콘크리트용 분체 원료를 원하는 양만큼 계량하여 투입하기 위한 원료정량 계량 및 투입단계;
(b) 정량의 혼합수를 유입받아 상기 (a)단계로부터 투입된 분체 원료를 슬러리화 하는 물과 분체를 정량 혼합하는 단계;
(c) 기포제 원액과 혼합수를 정량 투입시켜 혼합된 기포제 희석액을 압축공기를 이용해 발포하는 기포군 생성 단계;
(d) 상기 (b)단계와 (c)단계에 의해 생성된 기포 콘크리트용 슬러리와 기포군을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기포 혼합 슬러리를 균일한 품질로 펌핑하는 단계; 및
(f)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를 조절하여 기포량, 기포 및 슬러리 혼합도,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100)의 타설관(1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설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10); 상기 관형태의 몸체 양말단에 형성되는 타설관 결합부(15);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지지부재(12);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회전축(13);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11)가 구비되며,
상기 관형태의 몸체(10) 외부에는 공기분사장치(2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20)와 관형태의 몸체(10)는 공기분사관(21)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공기분사관(21)은 공기분사시 회전날개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진행방향의 관형태의 몸체(10)와 20~7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회전날개(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의 형태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축상에 고정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은 일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개의 플레이트가 바람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재생 및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의 재혼합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회전날개가 단차를 형성하는 특징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는 계단식으로 방향성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포재생장치(160)있어서, 상기 타설관 결합부(15)는 플랜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 공지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에 관하여 위에서 기술된 부분은 그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100) 및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160)에 있어서, 상기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이 그대로 채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관형태의 몸체 11: 회전날개
12: 회전축 지지부재 13: 회전축
14: 회전축 지지부재 고정 막대 15: 타설관 결합부
100: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110: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
120: 기포발생부
130: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
140: 타설부 142: 타설관
144: 타설노즐 150: 펌프
160: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180: 유량계 제어기 190: 유량계

Claims (12)

  1.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 기포발생부;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 및 타설관을 포함하는 타설부;를 포함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관에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타설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관형태의 몸체; 상기 관형태의 몸체 양말단에 형성되는 타설관 결합부; 상기 관형태의 몸체 내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재에 수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관형태의 몸체 외부에는 공기분사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와 관형태의 몸체는 공기분사관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공기분사관은 공기분사시 회전날개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진행방향의 관형태의 몸체와 20~7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일정한 간극을 갖는 펄스 형태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다수개가 타설관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타설관은 길이가 0.1 km 이상이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는 2 m 내지 20 m당 1개가 구비되며,
    상기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 혼합부에서는
    (a) 기포 콘크리트용 분체 원료를 원하는 양만큼 계량하여 투입하기 위한 원료정량, 계량 및 투입, 및 (b) 정량의 혼합수를 유입받아 상기 (a)로부터 투입된 분체 원료를 슬러리화 하는 물과 분체의 정량 혼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기포발생부에서는
    (c) 기포제 원액과 혼합수를 정량 투입시켜 혼합된 기포제 희석액을 압축공기를 이용해 발포하는 기포군 생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경량 콘크리트 슬러리와 기포 혼합부에서는
    (d) 상기 (b)와 (c)에 의해 생성된 기포 콘크리트용 슬러리와 기포군의 혼합 및 (e) 상기 (d)의 기포 혼합 슬러리에 대한 펌핑이 이루어지며,
    상기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에서는
    (f) 기포량, 기포 및 슬러리 혼합도,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이송속도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기분사장치의 펄스 형태의 압축 공기 분사는 동일한 리듬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의 형태이거나,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거나, 하나의 축상에 고정된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은 일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5개 이상으로 나뉘어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날개는 각각의 회전날개가 단차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70767A 2020-12-08 2020-12-08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KR102391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67A KR102391426B1 (ko) 2020-12-08 2020-12-08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67A KR102391426B1 (ko) 2020-12-08 2020-12-08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26B1 true KR102391426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767A KR102391426B1 (ko) 2020-12-08 2020-12-08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032A (ko) 1999-02-02 2000-09-05 정순착 현장 타설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0417771B1 (ko) * 1999-05-07 2004-02-11 광 수 최 기포콘크리트용 혼합기
JP2007155215A (ja) * 2005-12-05 2007-06-21 Kurosaki Harima Corp 不定形耐火物の吹付け施工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吹付け材料
KR101876152B1 (ko) * 2017-12-27 2018-07-06 김창구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032A (ko) 1999-02-02 2000-09-05 정순착 현장 타설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0417771B1 (ko) * 1999-05-07 2004-02-11 광 수 최 기포콘크리트용 혼합기
JP2007155215A (ja) * 2005-12-05 2007-06-21 Kurosaki Harima Corp 不定形耐火物の吹付け施工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吹付け材料
KR101876152B1 (ko) * 2017-12-27 2018-07-06 김창구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363A (en) Mobile train for backfilling tunnel liners with cement grout
CN100535257C (zh) 喷射搅拌施工方法及喷射搅拌装置
CA1282057C (en) Mobile mixer, preferably having counterrotational emptying, for building materials, in particular concrete
US41859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insulating material
CN202520323U (zh) 一种井巷用混凝土湿喷工艺装备
KR100317818B1 (ko) 현장 타설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장치
WO2019167862A1 (ja) 管路ミキサ及びこれを用いた混合物の製造供給方法
CN105089274B (zh) 一种全机械化建墙施工系统中的喷筑机器人
US20120199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Mortar
AU2018274977A1 (en)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inuous stream of foamed cement product and a Mixing and Pump Apparatus, System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a Stream of Foamed Cement Material
CN110603125A (zh) 用于制造混凝土建筑材料的方法
CN212250060U (zh) 一种混凝土喷射机
KR102391426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혼합-이송 장치
CN209812772U (zh) 一种用于道路建设的泡沫混凝土施工装置
KR101876152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기포재생장치
US201202800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Mortar
KR101872454B1 (ko) 혼합처리장비의 교반축에 연약지반개량용 분말형 재료들을 1.5 Shot 방식으로 공급하는 계량 혼합 압송과정이 일체화된 분체 자동공급용 플랜트
JP2004156275A (ja) 軽量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AU2016100927A4 (en)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inuous stream of foamed cement product and a mixing and pump apparatus, system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a stream of foamed cement material
JP3185655B2 (ja) 石炭灰改良処理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S607810Y2 (ja) ロ−タ式吹付け機
CN219974564U (zh) 离层注浆充填处理矸石二级站缓冲池及水池联合布置结构
RU2301147C2 (ru) Установка мобильная смесительно-осреднительная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створов
SU9721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и нанесени набрызгполимерной смеси
CN105041342B (zh) 一种组合式湿式混凝土喷射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