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378B1 -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378B1
KR102391378B1 KR1020200152985A KR20200152985A KR102391378B1 KR 102391378 B1 KR102391378 B1 KR 102391378B1 KR 1020200152985 A KR1020200152985 A KR 1020200152985A KR 20200152985 A KR20200152985 A KR 20200152985A KR 102391378 B1 KR102391378 B1 KR 10239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ading box
swing unit
unit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뉴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빌리티 filed Critical (주)뉴빌리티
Priority to KR102020015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the weight of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3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movement of the element
    • B60P1/3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movement of the element the other movement being later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레일(210);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레일(210)과 교차하게 배치된 제2 레일(220);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스윙 유닛(310);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스윙 유닛(320); 및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서로 간섭 없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는 조인트 블록(4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Horizontal restoration device of the cargo box}
본 발명은 도로 사정에 따라 화물 차량이 기울어지더라도 적재함을 수평 자세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 화물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화물 차량은 적재함을 갖추고 있다. 한편으로, 화물 차량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캐리어 로봇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도로는 도로 사정에 따라 평탄한 길, 오르막길, 내리막길,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굽은 길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고, 포장 형태에 따라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로 구분될 수 있다.
화물 차량은 도로 사정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고, 아울러 적재함이 기울어질 수 있으며, 화물의 형태에 따라 쓰러지거나 쏟아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로봇을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음식을 배달할 때 경사진 도로 또는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면 적재함이 기울어짐에 따라 국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즉, 도로 사정에 따라 화물 차량 또는 캐리어 로봇의 자세가 기울어지더라도 적재함이 수평 상태로 능동적으로 복원되거나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KR 10-0501385 B1 KR 10-1461852 B1 KR 20-1998-045707 U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사정에 따라 카 유닛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적재함이 능동적으로 수평 자세로 복원되거나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레일(210);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레일(210)과 교차하게 배치된 제2 레일(220);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스윙 유닛(310);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스윙 유닛(320); 및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서로 간섭 없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는 조인트 블록(4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제1 레일(210)의 원호와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원호는 중심이 같고, 상기 제2 레일(220)의 원호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원호는 중심이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은 제1 휠(314)이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1 레일(21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되고,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은 제2 휠(324)이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2 레일(22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제1 레일(21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휠(31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휠(3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가드레일(212); 및 상기 제2 레일(22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휠(32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휠(32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드레일(2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조인트 블록(410)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안내하는 제1 롤러(412); 및 상기 제1 롤러(412)와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제2 롤러(4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1 브레이크 유닛(421); 및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2 브레이크 유닛(4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코일(436)에 전류가 흐르면 플런저(438)에 전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스윙 유닛(310, 320)의 각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은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조인트 블록(410)이 탑재되는 카 유닛(400); 및 상기 카 유닛(400)에 설치되고 주행 신호에 따라 모터 동력으로 주행하는 복수의 주행 휠(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상기 주행 신호가 있으면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주행 신호가 없으면 제동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상기 적재함(100)에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웨이트(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화물 차량, 캐리어 로봇 등의 카 유닛이 자세가 기울어지더라도 적재함은 능동적으로 수평 자세로 복원될 수 있고, 이로써 화물이 쏟아지거나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을 좀 더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의 (a)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3은 위에서 내려다본 방향의 도면이고, 도 4는 아래서 위로 올려다본 방향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서 스윙 유닛과 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전체적인 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부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 예이고, 도 10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예이고, 도 11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이 복합적으로 기울어진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 트럭 모양 아이콘이 나타내었지만, 그 트럭 모양 아이콘은 카 유닛이 어느 방향으로 서 있는지에 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의 (a)는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3은 위에서 내려다본 방향의 도면이고, 도 4는 아래서 위로 올려다본 방향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서 스윙 유닛과 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전체적인 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적재함(100), 레일 유닛(200), 스윙 유닛(300) 및 카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유닛(200)은 제1 레일(210)과 제2 레일(220)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스윙 유닛(300)은 제1 스윙 유닛(310)과 제2 스윙 유닛(32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 유닛(400)은 조인트 블록(41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은,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220)은,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레일(210)과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윙 유닛(310)은,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윙 유닛(320)은,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블록(410)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서로 간섭 없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9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9부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9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 예이고, 도 10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예이고, 도 11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가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이 복합적으로 기울어진 예이다.
도 2는 도로(G)가 평탄한 일반도로일 때를 보인 것으로, 적재함(100)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수평 자세를 유지한다.
이에 부연해 설명하면,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적재함(100)은 제2 휠(324)과 제2 레일(22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무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휠(324)이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2 휠(324) 간격이 넓을수록 적재함(100)은 좀 더 안정되게 무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적재함(100)은 제1 휠(314)과 제1 레일(21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무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휠(314)이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휠(314) 간격이 넓을수록 적재함(100)은 좀 더 안정되게 무게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G)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져 내리막 또는 오르막일 수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도로(G)는 수평이므로, 제2 휠(324)과 제2 레일(22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양쪽 무게가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적재함(100)은 수평 자세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도로(G)는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휠(314)과 제1 레일(21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이 낮은 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은 형태의 도로(G)에서 카 유닛(400)은 오른쪽이 낮은 자세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고, 만약, 적재함(100)이 카 유닛(400)이 기울어진 기울기와 같이 기울어져 있다면 적재함(100)과 레일 유닛(200)은 낮은 위치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제1 휠(314)은 제1 레일(210)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회전 운동함으로써 적재함(100)과 레일 유닛(200)이 낮은 위치 쪽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이 완료되면 적재함(100)의 무게 균형이 이루는 위치에서 멈춘다. 즉, 적재함(100)은 제1 휠(314)을 기준으로 양쪽에 무게 균형을 이루어 결국 수평 자세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휠(314)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제공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휠(314)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무게가 균형을 이룬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G)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카 유닛(400)의 좌우 어느 한쪽의 주행 휠(440)이 장애물을 통과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도로(G)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고, 적재함(100)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제2 휠(324)과 제2 레일(22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흘러내리듯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적재함(100)의 양쪽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적재함(100)의 이동이 멈추며, 이로써 적재함(100)의 수평 자세를 이룰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도로(G)는 수평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하면, 제1 휠(314)과 제1 레일(21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전후 방향에 무게 균형을 이미 이루고 있으므로 적재함(10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휠(324)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제공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2 휠(324)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무게가 균형을 이룬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도로(G)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복합적인 형태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도로(G)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이로써 제2 휠(324)과 제2 레일(22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적재함(100)의 양쪽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시점에서 적재함(100)이 수평 자세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도로(G)가 전방이 낮게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휠(314)과 제1 레일(21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이 낮은 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적재함(100)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여 적재함(100)의 양쪽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시점에서 적재함(100)이 수평 자세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도로(G)가 기울어져 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쪽으로 적재함(100)이 능동적으로 이동하여 제1, 2 휠(314, 324)을 기준으로 양쪽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멈출 수 있고, 적재함(100)의 이동이 멈춘 위치에서 적재함(100)이 수평 자세를 이룰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경사진 도로에서 평탄한 도로로 전환되면, 예를 들어 도로(G)가 도 9의 (b)처럼 경사진 상태에서 도 2의 (b)처럼 수평 상태로 변화될 때, 카 유닛(400)이 후방이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전환될 것이고, 이로써 적재함(100)은 후방 쪽으로 이동하여 제1 휠(314)과 제1 레일(210)이 접촉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적재함(100)의 양쪽 무게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도로(G)의 기울기 사정에 따라 적재함(100)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 쪽으로 이동하면서 능동적으로 수평 자세를 복원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레일(210)의 원호와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원호는 중심이 같을 수 있고, 이로써, 카 유닛(400)의 측면에서 볼 때, 제1 레일(210)과 제2 스윙 유닛(320)의 간격이 일정할 수 있다. 이러하면, 제1 레일(210)이 제1 휠(314)에서 이동될 때 제2 스윙 유닛(320)이 조인트 블록(410)을 통과할 때 저항을 없앨 수 있으며, 좀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100)의 신속한 이동에 이바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레일(220)의 원호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원호는 중심이 같을 수 있고, 이로써, 카 유닛(400)의 정면에서 볼 때, 제2 레일(220)과 제1 스윙 유닛(310)의 간격이 일정할 수 있다. 이러하면, 제2 레일(220)이 제2 휠(324)에서 이동될 때 제1 스윙 유닛(310)이 조인트 블록(410)을 통과할 때 저항을 없앨 수 있으며, 좀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100)의 신속한 이동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휠(314)이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1 레일(21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로써 적재함(100)이 제2 휠(324)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때, 제1 스윙 유닛(31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휠(324)이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2 레일(22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로써 적재함(100)이 제1 휠(314)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때, 제2 스윙 유닛(32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드레일(212)과 제2 가드레일(2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레일(210, 220)과 상기 제1, 2 가드레일(212, 222)은 도 3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 블록(23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드레일(212)은, 상기 제1 레일(2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휠(314)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휠(314)이 제1 레일(210)에서 주행할 때 제1 휠(31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드 레일(222)은, 상기 제2 레일(2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휠(324)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휠(324)이 제2 레일(220)에서 주행할 때 제2 휠(3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에서, 각각의 제1, 2 가드레일(212, 222)이 제1, 2 레일(210, 220)과 별개의 구성처럼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2 레일(210, 220)의 단면 형상으로 영문 대문자 L자 형성처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블록(410)은 도 6부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인트 블록(410)은 제1, 2 롤러(412, 4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41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러(412)의 사이로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이 통과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412)는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롤러(42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롤러(422)의 사이로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통과될 수 있다. 즉,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윙 유닛(310)과 제2 스윙 유닛(320)은 측면에서 볼 때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롤러(412)와 상기 제2 롤러(414)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롤러(412, 414)는 각각 제1, 2 스윙 유닛(310, 3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결국 상기 적재함(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적재함(100)의 좀 더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이동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 유닛(421)은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사익 제2 브레이크 유닛(422)은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적재함(100)의 이동을 의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G)가 경사진 상태에서 카 유닛(400)이 기울어져 있고, 이 상태에서 적재함(100)이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화물을 적재함(100)에 싣거나 내릴 수 있는데, 제1, 2 브레이크유닛(421, 422)이 작동하면 적재함(100)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물을 고정된 적재함(100)에 싣거나 내릴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카 유닛(400)에 상기 조인트 블록(410)이 탑재될 수 있고, 카 유닛(400)은 복수의 주행 휠(4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행 휠(440)은 상기 카 유닛(400)에 설치되고 주행 신호에 따라 모터 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신호는 전진 주행 신호, 후진 주행 신호, 좌선회 주행 신호 및 우선회 주행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상기 주행 신호가 있으면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주행 신호가 없으면 제동이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카 유닛(400)을 주행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에서 제동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카 유닛(400)이 주행하는 동안에 적재함(100)이 도로(G)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하면서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카 유닛(400)을 주행 정지시킬 때, 주행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 주행 휠(440)이 주행이 멈출 것이고, 이러하면 카 유닛(400)의 주행이 멈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을 제동 설정하여 적재함(100)의 현재 자세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 유닛(421)과 제2 브레이크 유닛(422)의 구성은 같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의 구성을 한꺼번에 설명한다.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보디(432), 코일(436) 및 플런저(43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디(432)는 스루 홀(43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루 홀(434)에 상기 제1, 2 스윙 유닛(310, 320)의 각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코일(436)은 상기 보디(432)의 한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런저(438)는 상기 코일(436)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438)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이 작동하면 상기 코일(436)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은 상기 플런저(438)를 이동시켜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을 압박하여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코일(436)에 자기장 형성을 해제하면 상기 플런저(438)의 자기장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은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코일(436)과 상기 플런저(438)로 형성된 전자석에 달라붙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이 상기 자력으로 붙들려 구속되거나 자력이 해제되어 구속 해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에 중앙 하부에 웨이트(11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적재함(10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웨이트(110)는 상기 적재함(100)의 무게 중심 변화에 영향을 크게 끼칠 수 있는 것으로써 도로(G)의 경사가 낮더라도 적재함(100)의 무게 균형을 맞추는 데에 좀 더 정확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는 도로 사정에 따라 화물 차량이 기울어지더라도 적재함을 수평 자세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적재함
110: 웨이트
200: 레일 유닛
210, 220: 제1, 2 레일
212, 222: 제1, 2 가드레일
230: 코너 블록
300: 스윙 유닛
310, 320: 제1, 2 스윙 유닛
312, 322: 제1, 2 스윙 프레임
314, 324: 제1, 2 휠
400: 카 유닛
410: 조인트 블록
412, 414: 제1, 2 롤러
420: 브레이크유닛
421, 422: 제1, 2 브레이크유닛
432: 보디
434: 스루 홀
436: 코일
438: 플런저
440: 주행 휠

Claims (9)

  1.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레일(210);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제1 레일(210)과 교차하게 배치된 제2 레일(220);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스윙 유닛(310);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하고,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스윙 유닛(320); 및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윙 유닛(310)과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이 서로 간섭 없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하는 조인트 블록(410)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210)의 원호와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원호는 중심이 같고,
    상기 제2 레일(220)의 원호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원호는 중심이 같은 것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은 제1 휠(314)이 상기 제1 레일(21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1 레일(21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되고,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은 제2 휠(324)이 상기 제2 레일(220)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2 레일(220)에서 옆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21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휠(31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1 휠(3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가드레일(212); 및
    상기 제2 레일(22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휠(324)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제2 휠(32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드레일(222);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410)은,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안내하는 제1 롤러(412); 및
    상기 제1 롤러(412)와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안내하는 제2 롤러(414);
    를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윙 유닛(310)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1 브레이크 유닛(421); 및
    상기 조인트 블록(410)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윙 유닛(320)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2 브레이크 유닛(422);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코일(436)에 전류가 흐르면 플런저(438)에 전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스윙 유닛(310, 320)의 각 제1, 2 스윙 프레임(312, 322)은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410)이 탑재되는 카 유닛(400); 및
    상기 카 유닛(400)에 설치되고 주행 신호에 따라 모터 동력으로 주행하는 복수의 주행 휠(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브레이크 유닛(421, 422)은 상기 주행 신호가 있으면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주행 신호가 없으면 제동이 설정되는 것
    을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에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웨이트(110)
    를 포함하는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KR1020200152985A 2020-11-16 2020-11-16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KR10239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85A KR102391378B1 (ko) 2020-11-16 2020-11-16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85A KR102391378B1 (ko) 2020-11-16 2020-11-16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378B1 true KR102391378B1 (ko) 2022-04-27

Family

ID=8139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85A KR102391378B1 (ko) 2020-11-16 2020-11-16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053A (en) * 1984-11-02 1987-03-03 Koh Kanno Vehicle for use on inclined ground
KR19980045707U (ko)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화물 적재용 완충망
JP2001025488A (ja) * 1999-07-14 2001-01-30 Kojima Kiyoshi 身体障害者および高齢者用三輪式電動カート
JP2002323088A (ja) * 2002-02-01 2002-1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ニアモータ式制振装置
KR100501385B1 (ko) 2003-04-30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KR101461852B1 (ko) 2014-06-11 2014-11-13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 쏠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053A (en) * 1984-11-02 1987-03-03 Koh Kanno Vehicle for use on inclined ground
KR19980045707U (ko)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화물 적재용 완충망
JP2001025488A (ja) * 1999-07-14 2001-01-30 Kojima Kiyoshi 身体障害者および高齢者用三輪式電動カート
JP2002323088A (ja) * 2002-02-01 2002-1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ニアモータ式制振装置
KR100501385B1 (ko) 2003-04-30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KR101461852B1 (ko) 2014-06-11 2014-11-13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 쏠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6441B2 (en) Motor vehicle with dynamic balancing occupant riding portion
KR102534697B1 (ko) 차량 안내 시스템
JP2005075070A (ja) 車両装置
CN102431562A (zh) 单轨式自动引导车机构
JP6379982B2 (ja) 搬送装置
US20220315084A1 (en) Conveyance system and conveyance method
CN112351825A (zh) 多维转向架及轨道系统
KR102391378B1 (ko) 적재함의 수평 복원 장치
JPS61110611A (ja) 傾斜地用車輌
JP6243224B2 (ja) トラックロール式搬送台車
US3807313A (en) Linear motor-driven railway truck
CN210027666U (zh) 一种底盘结构和搬运车
US11338212B2 (en) Park ride with weight proportional water braking
JP6241774B1 (ja) 軌道および軌道走行システム
US1695373A (en) Vehicle body support
JP2019108092A (ja) 無人搬送車
KR102043724B1 (ko) 레일 운반 장치
KR20220044280A (ko)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
JP2609930B2 (ja) 軌道走行娯楽乗物
US4546707A (en) Rail-mounted conveyance
JPWO2008146434A1 (ja) 段差越え補助具
JPH0248288Y2 (ko)
JP2013193666A (ja) 鉄道車両
KR100739519B1 (ko) 레일 주행용 차량
JPWO2019180908A1 (ja) 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