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319B1 -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319B1
KR102390319B1 KR1020200092419A KR20200092419A KR102390319B1 KR 102390319 B1 KR102390319 B1 KR 102390319B1 KR 1020200092419 A KR1020200092419 A KR 1020200092419A KR 20200092419 A KR20200092419 A KR 20200092419A KR 102390319 B1 KR102390319 B1 KR 10239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lding
handle
kickboard
ha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192A (ko
Inventor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이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상 filed Critical 이주상
Priority to KR102020009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3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4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foot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바퀴 및 뒷바퀴가 장착되는 주행 본체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축, 상기 핸들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부 및 상부에는 발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의 일측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주행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보조부는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킥보드 {FOLDABLE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열 3륜형으로 구성되어 주행 안전성과 균형감이 향상되고, 간단하고 컴팩트한 폴딩 구조로 인해 휴대성과 거치성이 개선된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도시화는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구 집중에 따른 교통문제는 심화되고 있다. 이는 환경문제, 미세먼지 증가, 에너지 소비의 증가, 공간 부족 등 다양한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동 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전동 킥보드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전동 킥보드에 대한 시장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동 킥보드는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력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이동수단으로, 레저활동은 물론, 작동의 난이도가 낮으며 운전을 위한 별도의 자격증을 요구하지 않아 사람들의 출퇴근용 수단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다만, 전동 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가 급격하게 확산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휴대성이다. 기존의 전동 킥보드는 휴대성이 낮아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를 가지고 전철, 버스 등에 탑승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전동 킥보드를 가지고 매장, 카페, 사무실 등의 장소로 들어가기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성 및 거치성이 개선되고,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구조의 전동 킥보드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408호 (2016.12.3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열 3륜형으로 구성되어 주행 안전성과 균형감이 향상되고, 간단하고, 컴팩트한 폴딩 구조로 인해 휴대성과 거치성이 개선된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앞바퀴 및 뒷바퀴가 장착되는 주행 본체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축, 상기 핸들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부 및 상부에는 발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의 일측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주행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보조부는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보조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폭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사용자를 지지하는 접이식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일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의 후단부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축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전단부에 상기 핸들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 방향으로 폴딩되게 하는 접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와 상기 주행 본체부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핸들축이 회전된 다음, 상기 핸들축이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폴딩되면, 상기 핸들부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제2 결합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재와 상기 핸들부의 걸이부에 연결되어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어깨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보조부에는, 상기 주행 보조부가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면,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 후단 또는 상기 주행 보조부 후단에는 풋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핸들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액셀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에는, 상기 핸들축이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폴딩되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축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모드에서 접이식 킥보드는 2열 3륜형 주행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행모드에서 주행 보조부가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면, 주행 본체부 상부에 상기 주행 보조부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접이식 킥보드의 길이 및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축이 폴딩되고, 핸들부와 주행 본체부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휴대모드 시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보관성 및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모드 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어깨걸이부가 장착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킥보드(1000)는 주행 본체부(100), 핸들축(200), 핸들부(300) 및 주행 보조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킥보드(1000)는 앞바퀴(110) 및 뒷바퀴(120)가 장착되는 주행 본체부(100), 상기 주행 본체부(100)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축(200), 상기 핸들축(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부(300) 및 상부에는 발판부(420)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100)의 일측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보조바퀴(410)가 장착된 주행 보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접이식 킥보드(1000)는 상기 주행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앞바퀴(110) 또는 상기 뒷바퀴(12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및 상기 핸들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액셀레이터(330)를 더 포함하여, 전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주행모드에서 접이식 킥보드(1000)는 주행 본체부(100)의 주행 방향을 제 1열로, 주행 보조부(400)의 주행 방향을 제2열로 하는, 2열 3륜형 주행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본체부(1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사용자를 지지하는 접이식 발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주행 본체부(100)의 접이식 발판(130)과 상기 주행 보조부(400)의 발판부(420)에 두발을 올려 놓고 주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일렬로 발판에 두발을 올려 놓고 주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균형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발판(420) 구조로 인해 주행 본체부(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주행 시 바닥의 충격을 간접화하여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
주행 본체부(100)는 앞바퀴(110) 및 뒷바퀴(120)가 장착되며, 내부에는 모터 및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행 본체부(100)는 전단부에 조향을 담당하는 핸들축(2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핸들축(20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부(300)가 설치된다.
모터는 상기 앞바퀴(110) 또는 상기 뒷바퀴(120)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액셀레이터(330)의 작동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모터는 당업계에서 킥보드의 구동원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주행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는 접이식 킥보드(1000)의 어느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시 후술하는 핸들축(200)의 안장부(220)에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는 다수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구현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거리나 모터의 출력에 따라 정력 전압 및 전류가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보조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폭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주행 본체부(100)와 주행 보조부(40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주행 보조부(400)를 지면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접이식 킥보드(10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주행 본체부(100)의 일측에 사선방향으로 연결된 주행 보조부(400)는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지면을 가압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주행 보조부(400)가 상기 주행 본체부(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폭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상시 힘을 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접이식 킥보드(1000)의 방향 전환시 보다 안정적인 코너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주행 본체부(100) 후단 또는 주행 보조부(400) 후단에는 풋 브레이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풋 크레이크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주행 본체부(100)의 뒷바퀴(120) 또는 상기 주행 보조부(400)의 보조바퀴(410)와 마찰을 일으켜 접이식 킥보드(10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모드 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행모드 시 주행 보조부(400)는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부(300)는 핸들축(200)을 기준으로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주행 보조부(400)는 주행 본체부(100)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행 보조부(400)가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면, 상기 주행 본체부(100) 상부에 상기 주행 보조부(40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접이식 킥보드(1000)의 길이 및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모드 시 접이식 발판(130) 또한 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이식 킥보드(1000)의 크기가 보다 더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보행모드 시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핸들부(300)를 파지할 수 있으며, 보행 속도에 맞추어 접이식 킥보드(1000)를 견인하여 갈 수 있다.
한편, 접이식 킥보드(1000)는 주행 보조부(400)가 폴딩되면 모터 또한 보행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터의 최고 속도가 기 설정된 보행모드인 경우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액셀레이터(330)를 과도하게 작동시키더라도 모터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 실수로 인한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행모드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를 파지 후 도보상태에서 견인이 가능한 속도인 약 2 내지 4km/h의 속도로 주행이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보조부(400)에는, 상기 주행 보조부(400)가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면,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4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거치부(430)는 상기 주행 보조부(400)에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행 보조부(400)가 폴딩되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접이식 킥보드(1000)를 보다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 시 어깨걸이부가 장착된 접이식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휴대모드 시 접이식 킥보드(1000)의 폴딩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부(300)의 일단부에는 제1 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주행 본체부(100)의 후단부에는 제2 결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축(200)은 상기 주행 본체부(100) 방향으로 폴딩되게 하는 접철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이식 킥보드(1000)는 핸들축(200)이 상기 핸들부(300)와 상기 주행 본체부(100)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회전된 다음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향해 폴딩되면, 상기 핸들부(300)의 제1 결합부(310)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제2 결합부(140)가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접이식 킥보드(1000)는 핸들축(200)이 폴딩되고, 핸들부(300)와 주행 본체부(100)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휴대모드 시 부피가 효과적으로 줄고, 안정적인 구조로 인해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휴대모드 시 핸들축(200)은 손잡이로도 이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주행 본체부(100)의 제2 결합부(140)는 내측면에 손잡이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모드 시 사용자는 상기 제2 결합부(140)를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축(200)에는, 상기 핸들축(200)이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향해 폴딩되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부(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안장부(220)는 넓은 보드 형상을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모드 시 사용자는 상기 안장부(220)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이식 킥보드(1000)는 휴대모드 시 접철부재(210)와 핸들부(300) 타단에 형성된 걸이부(320)에 연결되어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어깨걸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깨걸이부(500)는 벨트 또는 와이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어깨에 매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이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휴대모드 시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접이식 킥보드
100 주행 본체부
110 앞바퀴
120 뒷바퀴
130 접이식 발판
140 제2 결합부
200 핸들축
210 접철부재
220 안장부
300 핸들부
310 제1 결합부
320 걸이부
400 주행 보조부
410 보조바퀴
420 발판부
430 거치부
500 어깨걸이부

Claims (10)

  1. 앞바퀴 및 뒷바퀴가 장착되는 주행 본체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축;
    상기 핸들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핸들부; 및
    상부에는 발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의 일측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보조바퀴가 장착된 주행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보조부는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일정 폭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킥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사용자를 지지하는 접이식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일단부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의 후단부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축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전단부에 상기 핸들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행 본체부 방향으로 폴딩되게 하는 접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와 상기 주행 본체부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핸들축이 회전된 다음, 상기 핸들축이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폴딩되면, 상기 핸들부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주행 본체부의 제2 결합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재와 상기 핸들부의 걸이부에 연결되어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어깨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보조부에는, 상기 주행 보조부가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폴딩되면,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 후단 또는 상기 주행 보조부 후단에는 풋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앞바퀴 또는 상기 뒷바퀴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핸들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액셀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에는, 상기 핸들축이 상기 주행 본체부를 향해 폴딩되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축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0200092419A 2020-07-24 2020-07-24 접이식 킥보드 KR10239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19A KR102390319B1 (ko) 2020-07-24 2020-07-24 접이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419A KR102390319B1 (ko) 2020-07-24 2020-07-24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92A KR20220013192A (ko) 2022-02-04
KR102390319B1 true KR102390319B1 (ko) 2022-04-25

Family

ID=8026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419A KR102390319B1 (ko) 2020-07-24 2020-07-24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3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39Y1 (ko) * 2000-06-27 2000-11-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절첩시 손잡이 고정구를 구비한 스쿠터
KR200231365Y1 (ko) * 2001-02-10 2001-07-19 유재현 킥 보드
KR200231351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전동식 주행용 보드
CN101058329A (zh) * 2007-04-03 2007-10-24 林龙钦 便携式电动代步机
CN104354812A (zh) * 2014-10-16 2015-02-18 郭家旺 一种新型便携式踏板车
CN204821916U (zh) * 2015-05-29 2015-12-02 金豪 一种电动滑板车
CN205952205U (zh) * 2016-05-19 2017-02-15 南京快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折叠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08B1 (ko) 2014-12-31 2017-01-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전동 킥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939Y1 (ko) * 2000-06-27 2000-11-15 주식회사오토엠아이티 절첩시 손잡이 고정구를 구비한 스쿠터
KR200231351Y1 (ko) * 2001-02-06 2001-07-19 주식회사 디지털 피봇 전동식 주행용 보드
KR200231365Y1 (ko) * 2001-02-10 2001-07-19 유재현 킥 보드
CN101058329A (zh) * 2007-04-03 2007-10-24 林龙钦 便携式电动代步机
CN104354812A (zh) * 2014-10-16 2015-02-18 郭家旺 一种新型便携式踏板车
CN204821916U (zh) * 2015-05-29 2015-12-02 金豪 一种电动滑板车
CN205952205U (zh) * 2016-05-19 2017-02-15 南京快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折叠滑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92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2089B2 (en) Single-wheel electric balancing scooter
US8490732B2 (en) Electric wheeled apparatus powered by battery packs
CN106672141B (zh) 折叠式滑板车
AU2471199A (en) Children's ride-on vehicle with independently driven and reversible wheels
KR102425553B1 (ko) 접이식 킥보드
KR102390319B1 (ko) 접이식 킥보드
KR20160120945A (ko) 압전소자를 적용한 전동킥보드
US20160039443A1 (en) Walking conveyance cart
CN201056275Y (zh) 可手动操作的滑板车
CN112789216B (zh) 电动独轮车
WO2022230965A1 (ja) 車両
CN105730601A (zh) 便携自平衡装置
WO2017173805A1 (zh) 一种可折叠代步车
CN206171672U (zh) 一种折叠便携电能代步车
CN102556236B (zh) 微型电动车
CN201863947U (zh) 单轮电能车
CN205801340U (zh) 一种滑板车
JP3232835U (ja) 電動キックボード
CN204801985U (zh) 一种多功能折叠滑板车
CN214189927U (zh) 滑板车
CN207837764U (zh) 分体式电动轮椅
CN108248743A (zh) 防摔型儿童踏板车
CN219115636U (zh) 一种便于折叠的滑板车
CN216185714U (zh) 一种电动三轮滑板车
CN202219815U (zh) 微型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