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681B1 -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681B1
KR102389681B1 KR1020207007165A KR20207007165A KR102389681B1 KR 102389681 B1 KR102389681 B1 KR 102389681B1 KR 1020207007165 A KR1020207007165 A KR 1020207007165A KR 20207007165 A KR20207007165 A KR 20207007165A KR 102389681 B1 KR102389681 B1 KR 10238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member
gripping
tissue
engagemen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347A (ko
Inventor
라이언 브이 웨일스
라몬 에스테베즈
니컬러스 제이 마졸라
베스 베네쉬
넬리 응강가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2701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636A/ko
Publication of KR2020004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8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elastic retracting members connectable to a frame, e.g. hooked elastic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를 통한 루멘을 갖는 캡(304); 캡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연장 부재(320)를 포함하고; 연장 부재는 제1 결합 부재가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위치되도록 제1 결합 부재(30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우선권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그리고 모든 목적으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17년 10월 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66,596호의 35 USC § 119 하에서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의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조직 견인 디바이스(tissue retraction devices) 및 관련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은 최대 증가하는 형태의 관내 수술 중 하나이다. 의사는 조직 당김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내시경 캡과 같은 디바이스는 병변 내에 연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많은 양의 식염수 용액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차는 다중 디바이스 교환 및 연장된 절차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종종 당김이 내시경 캡에 의해 제공될 때, 의사는 타겟 조직 마진에 관하여 이들의 지지를 손실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조직 당김 디바이스는 먼저 타겟 조직 부위로 전달되고, 이어서 타겟 조직과 결합하기 전에 디바이스를 회수하기 위해 파지기(grasper)와 같은 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 프로세스는 시간 소모적이고 복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사가 박리하려고 시도하는 실제 조직은 자체로 의사가 절차 중에 사용하는 도구의 경로를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예에서, 의사가 이용하는 박리 도구의 방해를 또한 완화하면서 타겟 조직의 시각화를 개선하는 것을 보조하는 의료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의사에 의해 박리될 타겟 조직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들어올리고, 견인하도록 위치되고 제어되는 것이 가능한 조직 견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들 고려 사항을 유의하여, 본 개시내용의 개선이 유리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 다양한 양태에서, 일반적으로 의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조직 견인 디바이스, 방법 및 관련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직 견인 디바이스, 방법 및 관련 전달 시스템의 실시예는 시각화, 절차 시간 및 절차 복잡성과 같은 조직 견인 절차 주위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를 통한 루멘을 갖는 캡을 갖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 부재가 캡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연장 부재는 제1 결합 부재가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위치되도록 제1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캡의 근위 단부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한 각도는 약 90도일 수도 있다. 연장 부재는 스프링이 연장 부재 둘레에 배치되도록 제1 결합 부재의 스프링과 결합할 수도 있다. 클립이 캡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클립은 제2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클립은 제2 결합 부재의 스프링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클립은 제2 결합 부재를 캡 루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클립은 캡 루멘의 내부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캡 상에 결합될 때 제2 결합 부재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부를 갖는 탄성 부재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에서 각각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의 스프링에 연결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제2 결합 부재의 스프링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를 통한 루멘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조직 견인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 부재가 캡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 부재는 제1 결합 부재가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위치되도록 제1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한 각도는 약 90도일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캡 루멘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도 있다. 클립은 제2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캡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작업 채널을 통해 원위측으로 삽입된 파지 부재(grasping member) 및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배향된 캡을 포함하는 조직을 견인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가 파지 부재로 캡 내의 장착 위치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속박부에 의해 캡 내의 장착 위치에서 제2 결합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장착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원위측으로 병진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2 결합 부재를 잡아당기는 속박부에 의해 장착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조직 견인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gripping member)가 제1 단부에 근접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을 갖는 파지 부재가 제1 결합 부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은 한 쌍의 그립핑 부재의 각각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는 각각 실질적으로 볼록면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 중 하나의 볼록면은 한 쌍의 그립핑 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은 각각 실질적으로 오목면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 중 하나의 오목면은 한 쌍의 아암 중 다른 하나를 향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한 쌍의 그립핑 부재의 대응 그립핑 부재를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은 대응하는 그립핑 부재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 아암을 향해 굴곡되는 원위부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은 각각의 아암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핑거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는 핑거에 근접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의 아암과 핑거는 함께 한 쌍의 그립핑 부재 주위에 포켓을 형성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를 서로를 향해 작동 및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의 종축은 아암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파괴 가능 부재가 한 쌍의 그립핑 부재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원위 단부에 루프를 갖는 속박부가 파괴 가능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파괴 가능 부재는 그립핑 부재가 서로를 향해 압축될 때 분리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한 쌍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프링은 파지 부재에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그립핑 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하나의 그립핑 부재의 표면은 다른 그립핑 부재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카테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테터는 카테터의 나머지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루멘을 갖는 디바이스의 제1 작업 채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와 결합할 수도 있고 작업 채널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작업 채널은 내시경에 있을 수도 있다.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제2 작업 채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작업 채널은 내시경에 독립적이고, 외부에 있고 그리고/또는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내시경에 독립적이거나 외부에 있는 경우, 제2 작업 채널은 제1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원위 단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2 작업 채널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에 속박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제1 개방 단부, 제2 폐쇄 단부, 및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된 그 사이의 본체를 갖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싱은 제1 단부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2 단부까지 선형으로 천공될 수도 있다. 본체는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제2 폐쇄 단부로 연장하는 제1 단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단편이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제2 폐쇄 단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회전 가능 파지 클립에 속박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제1 파지 부재를 갖는 내시경의 제1 작업 채널을 후방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견인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내시경의 제2 작업 채널은 내시경의 원위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제2 파지 부재로 후방 로딩될 수도 있다.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는, 제1 파지 부재가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도록 로딩될 수도 있다.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결합 부재는, 제2 파지 부재가 제2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도록 로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파지 부재 및 제1 및 제2 결합 부재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캡 내에 캡슐화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의 제1 단부는 내시경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원위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의료 전문가는 결합 부재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제1 단부)를 타겟 조직을 향해 조작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결합 부재의 그립핑 부재 중 하나 이상 주위에서 파지 부재의 아암을 조작함으로써 결합 부재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는 결합 부재의 그립핑 부재 주위에서 그 아암을 개방하고 이어서 폐쇄할 수도 있어, 조직을 결합하기 위해 결합 부재의 제1 단부를 개방한다. 파지 조오는 결합 부재의 제1 단부가 타겟 조직에 인접하도록 결합 부재의 위치를 조작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그 아암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이에 의해 결합 부재를 해제하고 결합 부재의 제1 단부가 타겟 조직과 결합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유사하게 파지 부재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탄성 부재에 의해). 제2 결합 부재는 의료 전문가가 타겟 조직을 박리하는 동안 디바이스 및 타겟 조직을 고정하기 위해 타겟 조직의 다른 섹션 또는 건강한 조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의 모두가 박리될 타겟 조직에 부착되어야 하면, 탄성 부재는 타겟 조직을 인장 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일단 타겟 조직이 박리되면, 탄성 부재는 결합 부재를 서로를 향해 잡아당겨서, 신체 내강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타겟 조직을 견인한다.
본 개시내용의 비한정적인 예가 개략적이며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각의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는 통상적으로 단일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명료화를 위해, 모든 구성요소가 모든 도면에 도면 부호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예시가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게 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내강 내의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캡 및 결합 부재를 갖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의 등각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디바이스의 우측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견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10f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단지 전형적인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라는 것이 주목된다. 이에 따라,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근위 단부"는 의료 전문가에게 가장 가깝게 놓인 디바이스의 단부를 칭하고, "원위 단부"는 의료 전문가로부터 가장 멀리 놓인 이식된 또는 위치설정된 디바이스 또는 물체의 단부를 칭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은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및/또는"을 포함하는 그 개념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 "몇몇 실시예", "다른 실시예" 등의 참조는, 설명된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특정 특징, 구조, 및/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그러나, 이러한 언급은 반드시 모든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및/또는 특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특정 특징, 구조, 및/또는 특성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때, 명백히 반대로 언급되지 않으면, 명시적으로 설명되건 아니건간에, 이러한 특징, 구조, 및/또는 특성은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상이한 도면의 유사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숙독되어야 한다. 반드시 실체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닌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혈관내 절차, 소화관 및/또는 담도관을 따르는 절차, 흉부 절차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의료 절차는 신체 내의 제거를 위해 의도된 조직(예를 들어, "타겟 조직")에 접근하기 위해 의료 디바이스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몇몇 현재의 의료 절차(예를 들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경구 내시경 근박리술(Peroral Endoscopic Myotomy: POEM), 담낭 절제술, 비디오 보조 흉강경 수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에서, 의사는 암성 병변에 접근하여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 또는 유사한 의료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절차의 부분으로서, 의사는 타겟 조직 부위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또한 타겟 조직을 견인하기 위해 절개 디바이스가 그를 통해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내시경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몇몇 예에서, 내시경은 의사가 조직 박리 절차를 시각화하고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는 특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내시경은 내시경이 내비게이팅되고 타겟 조직 부위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 신체 내강을 조명하도록 설계된 라이트 및/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몇몇 내시경은 절개 부재, 파지 부재 또는 다른 부속 의료 디바이스가 그를 통해 전개되어 이용될 수도 있는 루멘(예를 들어, 작업 채널)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의사가 신체 내(예를 들어, 소화관, 복강, 흉강 등 내)로부터 암성 병변을 견인하는 데 더 능숙해지고 있지만, 견인 방법은 계속 비효율적이고 시간 소모적이다. 예를 들어, 몇몇 예에서, 조직 박리 프로세스의 열악한 시각화는 장시간 조직 박리 절차를 야기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의사가 박리하려고 시도하는 실제 조직은 자체로 의사가 절차 중에 사용하는 도구의 경로를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예에서, 의사가 이용하는 박리 도구의 방해를 또한 완화하면서 타겟 조직의 시각화를 개선하는 것을 보조하는 의료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의사에 의해 박리될 타겟 조직의 영역을 들어올리고 견인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타겟 조직을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들어올리고, 그리고/또는 견인하도록 설계된 조직 견인 디바이스 및 전달 시스템과 같은 의료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 및 방법을 보충할 수도 있는 몇몇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그대로 그리고 모든 목적으로 여기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가출원 제62/473,9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 내에 또한 있을 수도 있는 전달 카테터(102) 내에 로딩된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 채널은 의료 디바이스의 루멘일 수도 있다. 작업 채널은 다양한 의료 디바이스가 그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의료 전문가는 주어진 의료 절차의 경과에 걸쳐 작업 채널을 통해 다양한 의료 디바이스를 전달하거나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2)는 작업 채널을 통해 연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카테터(102)의 원위 단부는 결국 작업 채널 외부로 타겟 조직(150)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할 수도 있다. 작업 채널은 내시경(104)과 같은 내시경 또는 복강경, 또는 바늘의 루멘, 카테터, 가이드 튜브 등의 작업 채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카테터(102) 내에서 결합 부재(108)에 근접하고 그리고/또는 파지하는 파지 부재(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110)가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108)를 연결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신체 내강(152) 내에서 타겟 조직(150)의 견인을 위해 타겟 조직(150)을 향해 지향된다. 조직 견인 시스템의 근위부(160)는 신체 내강(152) 외부로 연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106)는 카테터(102)의 원위 단부 외부로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전진(예를 들어, 압박, 전개 등)시킬 수도 있다. 카테터(102) 내에 위치될 때, 파지 부재(106)는 폐쇄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파지 부재(106)의 아암 또는 조오가 폐쇄되어 서로 접촉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100)를 파지할 수도 있음).
파지 부재(106)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카테터(102) 외부로 전개할 수도 있다. 조직 견인 시스템이 타겟 조직(150)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의료 전문가는 파지 부재(106)를 카테터(102) 내에서 원위측으로 전진시킬 수도 있어, 파지 부재(106)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의 근위 단부에 접촉하고 이를 카테터(102) 외부로 압박하게 한다. 핸들(166)이 파지 부재(106)의 개방 및/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106)가 카테터(102)의 외부로 원위측으로 전진될 때, 의료 전문가는 파지 부재(106)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도록 핸들(166)을 조작할 수도 있다. 일단 파지 부재(106)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카테터(102) 외부로 압박하면, 파지 부재(106)는 신체 내강(152) 내에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위치설정하고 그리고/또는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106) 및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는 카테터(102)가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을 통해 전진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106) 및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의 모두는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되고 전진되기 전에, 카테터(102) 내에 미리 로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단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만이 카테터(102)에 미리 로딩되고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 내에서 전진될 수도 있고, 파지 부재(106)는 카테터(102)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파지 부재(106)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고, 접촉하고 그리고/또는 파지하는 위치에서 원위측으로 전진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조직 견인 디바이스는 카테터(102) 없이 내시경 또는 다른 루멘의 작업 채널 아래로 전진될 수도 있다.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서 설명된 조직 견인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카테터(102) 및 파지 부재(106)가 서로에 대해 이동될(예를 들어, 병진, 회전 등) 수도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 카테터(102)의 원위 단부가 타겟 조직(150)에 인접하여 위치되면(파지 부재(106)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에 인접하여 위치됨), 의료 전문가는 제어 부재(162)와 핸들 부재(166)의 모두를 파지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을 핸들(166)을 통하고 손가락들을 제어 부재(162)의 원위면과 결합하여). 이는 파지 부재(106)가 카테터(102)에 대해 원위측으로 이동하도록 파지 부재(106)를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면서 의료 전문가가 카테터(102)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대 이동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카테터(102)의 원위 단부 외부로 압박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전문가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전개하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 파지 부재(106)를 전진하는 대신에, 의료 전문가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파지 부재(106)를 고정 위치에 유지하면서 전달 카테터(102)를 근위측으로 견인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카테터(102)의 근위측 견인은 조직 견인 디바이스(100)를 전개하여, 이에 의해 이를 카테터(102)로부터 해제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작업 채널(202)을 갖는 내시경(20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조직 견인 디바이스(200)는 작업 채널(202) 내에 로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카테터(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작업 채널(202) 내에 포함될 수도 있거나, 카테터가 내시경(204)을 대체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00)는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208f)(예를 들어, 아암 또는 조오) 및 스프링일 수도 있는 제2 단부(208s)를 갖는 제1 결합 부재(208)를 포함한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209)가 제1 단부(208f)와 제2 단부(208s) 사이에서(예를 들어, 제1 단부(208f)에 근위측에서) 결합 부재(208) 상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210)는 제1 결합 부재(208)의 제2 단부(208s)를 제2 결합 부재(208)의 제2 단부(208s)에 연결한다. 탄성 부재(210) 둘레의 정렬 부재(214)가 탄성 부재(21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스위블(212)의 일 측면 상의 탄성 부재(210)의 각각의 부분이 스위블(212)의 다른 측면 상의 탄성 부재의 각각의 부분에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블(212)을 포함한다. 케이싱(216)이 제2(근위) 결합 부재(208)의 제1 단부(208f)를 커버할 수도 있다. 케이싱(216)은 제1 개방 단부, 제2 폐쇄 단부, 및 이들 사이의 본체를 갖는다. 케이싱(216)은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 부재(208)의 제1 단부(208f)를 분리하여 작업 채널(20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아암을 갖는 파지 부재(206)가 결합 부재(208) 및 케이싱(216)에 근접하여 이들을 압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직 견인 디바이스(200)가 예를 들어 내시경(204) 또는 카테터(102)의 작업 채널(202)의 원위 단부 외부로 전개된 후, 파지 부재(206)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200)를 신체 내강(152) 내의 타겟 조직(150)에 위치설정하고 그리고/또는 부착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립핑 부재(209)는 파지 부재(206)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그립핑 부재(209)는 파지 부재(206)가 결합, 부착, 그립핑, 잡기, 포착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립핑 부재(209)는 결합 부재(208)의 한 쌍의 그립핑 부재(209)를 서로를 향해 압축함으로써, 파지 부재(206)가 결합 부재(208)의 제1 단부(208f)(예를 들어, 조오 또는 아암)를 효율적으로 획득, 위치설정(및/또는 재배치) 및 개폐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립핑 부재(209)는 파지 부재(206)의 아암에 합치하는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립핑 부재(209)는 파지 부재(206)의 아암과의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기 위해 만곡된 그리고/또는 텍스처링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결합 부재(208)의 제1 단부(208f)와 제2 단부(208s) 사이에 위치된 그립핑 부재(209)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립핑 부재는 결합 부재의 다른 부분을 따라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의 구성 및 위치에 따라, 그립핑 부재는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및/또는 제2 단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결합 부재는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부는 조직을 압착/파지/보유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편향될 수도 있는 한 쌍의 조오일 수도 있다. 결합 부재의 제2 단부는 조직 결합 구성(예를 들어, 제1 단부의 조오가 폐쇄된 상태)에서 조직을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를 유지할 수도 있는 스프링일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가 결합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들 그립핑 부재의 압축은 제2 단부에서 스프링 코일에 대항하여 작용함으로써 제1 단부가 개방되도록 구동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결합 부재에 대한 실시예는 조직을 결합하기 위한 제1 단부에서의 조오, 제2 단부에서의 스프링, 및 단부 사이의 그립핑 부재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부에서 압축 조오, 제2 단부에서 한 쌍의 그립핑 패드, 및 단부 사이의 스프링의 "옷핀"구성이 적합할 수도 있다.
조직 견인 디바이스의 탄성 부재(210)는 제1 결합 부재(208)를 제2 결합 부재(208)에 속박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는 밴드, 로프, 코드, 가죽 끈, 스트랩, 스트랜드 등일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는 다양한 단면 기하학 형상,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는 생흡수성일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는 제1 결합 부재(208) 및 제2 결합 부재(208)의 모두의 제2 단부(208s)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10)는 결합 부재의 제2 단부(208s) 상의 스프링의 코일 사이의 압축력에 의해 각각의 결합 부재(208)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10)의 하나 또는 양 단부는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208) 주위에서 루프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는 매듭, 접착제, 핀 및/또는 스냅으로 결합 부재(208)에 연결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의 탄성 품질은 결합 부재(208)를 서로에 대해 인장 상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인장은, 탄성 부재(210)에 의해 연결되고 타겟 조직(150)과 결합된 결합 부재(208)가 신체 내강(152)으로부터 그리고/또는 대향하는 결합 부재(208)를 향해 타겟 조직(150)을 잡아당기고/견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의료 전문가가 탄성 부재(210)를 더 쉽게 볼 수 있게 하도록 더 밝게 착색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10)의 대향 단부들은 특정 결합 부재(208)에 대응할 수도 있는 특정 단부를 식별하기 위해 색상이 변할 수도 있다. 착색된 탄성 부재(208)는 또한 안료가 더 긴 길이에 걸쳐 신장됨에 따라 색상이 밝아질 수도 있어, 의료 전문가가 절차 중에 결합 부재에 의해 조직 상에 인가되는 연신율의 정도 및 장력의 상대량을 식별하게 한다. 탄성 부재(210)는 하나 이상의 스위블(212)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스위블(212)은 탄성 부재(210)의 2개의 세그먼트 섹션 사이에 위치되고 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스위블(212)은 제1 결합 부재(208) 및 탄성 부재(210)의 제1 세그먼트가 제2 결합 부재(208) 및 탄성 부재(210)의 제2 세그먼트에 대해 회전하는 것(예를 들어, 조직 견인 디바이스(200)의 중심축 주위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함)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위블(212)은 완전한 회전(예를 들어, 360도 회전)을 제공하도록 또는 부분 회전(예를 들어, 360도 미만의 회전)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위블(212)은 대안적인 디자인 구성, 특징, 기하학 형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조직 견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2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렬 부재(214)는 사보(sabot), 페어링(fairing), 스캐폴딩(scaffolding), 분리기, 하우징, 커버, 쉘, 분할 튜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탄성 부재(210)(예를 들어, 도 2)를 따라 다수의 정렬 부재(214)를 포함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탄성 부재를 커버하는 하나의 정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디바이스는 정렬 부재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정렬 부재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그 내에서 연장하는 루멘을 갖는 관형 부재일 수도 있다. 루멘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할 수도 있다. 도 2는 정렬 부재(214)를 관형 부재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정렬 부재(214)의 다른 단면 형상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정렬 부재(214)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삼각형, 난형, 정사각형 등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214)가 탄성 부재(210)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10)는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214)를 통해 연장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214)는 탄성 부재(210) 및/또는 결합 부재(208)가 그 자체 또는 디바이스(200) 또는 내시경(204)의 다른 구성요소 상에 말리고 그리고/또는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길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근위 단부(304p), 원위 단부(304d) 및 그를 통한 루멘(302)을 갖는 캡(304)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위 단부(304p)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캡(304)은 원위방향으로 연장하는 캡(304)의 원위 단부(304d) 상에 배치된 연장 부재(320)를 갖는다. 연장 부재(320)는 제1 결합 부재(308)를 장착 위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연장 부재(320)는 제2 단부(308s)의 스프링이 연장 부재(320)를 둘러싸도록 제2 단부(308s)와 결합한다. 연장 부재(320)는 결합 부재(308)의 스프링을 수용하는 포스트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제1 결합 부재(308)는 루멘(302)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각도는 약 90도이지만, 0 내지 270도, 및 그 사이의 임의의 각도와 같은 다른 배향의 각도가 고려된다. 약 90도의 각도는 그립핑 부재(309)를 루멘(302)의 종축에 수직으로 배향한다. 파지 부재는 내시경 외부로 그리고 루멘(302) 내로 원위측으로 병진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제1 결합 부재(308)의 수직 그립핑 부재(309)의 유지부를 파지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308)가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파지 부재는 제1 결합 부재(308)의 제2 단부(308s)가 연장 부재(320)로부터 활주 이탈하도록 루멘(302)을 통해 더 원위측으로 병진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이어서 제1 결합 부재(308)를 신체 내강 내의 타겟 조직을 향해 위치설정할 수도 있다. 캡(304)은 제2 결합 부재(3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클립(322) 또는 다른 구성의 부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립(322)은 제2 결합 부재(308)의 제2 단부(308s)에서 스프링과 결합할 수도 있다. 클립(322)은 제2 결합 부재(308)를 장착 위치에서 루멘(302)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배향은 제1 결합 부재에 실질적으로 수직/직교일 수도 있다. 클립(302)은 루멘(302)의 내부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10)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308)를 연결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10)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308)의 각각의 제2 단부(308s)에 부착될 수도 있는데, 이 제2 단부는 스프링일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308)가 연장 부재(320)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탄성 부재(310)는 클립(322) 외부로 제2 결합 부재(308)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탄성 부재(310)를 통해 부착된 제2 결합 부재(308)와 함께 타겟 조직 내에 제1 결합 부재(308)를 위치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파지 부재(406)(예를 들어,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되는 RESOLUTIONTM 클립 디바이스와 같은 회전 가능 파지 클립, 한 쌍의 조오/아암 등을 가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406)는 카테터(402) 내에 그리고/또는 내시경(404)의 제1 작업 채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406)의 아암 또는 조오는 탄성 부재(410)의 단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다른 단부는 결합 부재(408)의 제2 단부(408s)에 부착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406), 탄성 부재(410) 및 결합 부재(408)는 내시경(404) 또는 카테터(402)의 근위 또는 원위 단부로부터 카테터(402) 내로 그리고/또는 내시경(404)의 작업 채널 내로 로딩될 수도 있고 또는 파지 부재는 근위측으로 로딩될 수도 있고 결합 부재(408)는 원위 단부로부터 로딩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408)는 파지 부재(406)에 근위측에, 인접하여 또는 원위측에 로딩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408)는 탄성 부재(410) 및/또는 파지 부재(406)에 의해 카테터(402) 외부로 압박되고 그리고/또는 잡아당겨질 수도 있다. 부가의 도구(예를 들어, 파지 부재)가 그립핑 부재(409)를 파지하고 조직을 결합 부재(408)의 제1 단부(408f)와 결합하기 위해 타겟 조직 부근에 도입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내시경(404)에 독립적이거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는 또는 내시경(404)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제2 작업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루멘을 갖는 디바이스의 독립적인 제2 작업 채널은 제1 작업 채널의 원위 단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원위 단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독립적인 제2 작업 채널은 독립적인 내시경, 제1 작업 채널과 동일한 내시경(404), 부가 카테터 또는 다른 관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결합 부재(408)(및/또는 결합 부재(408)에 속박되는 부가의 결합 부재)는 제2 작업 채널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406)가 제1 작업 채널로부터 원위측으로 전달될 때,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408)는 제2 작업 채널로부터 잡아당겨질 수도 있다. 결합 부재(408)가 제2 작업 채널 외부로 잡아당겨짐에 따라, 이는 90도로 각형성되어(즉, 작업 채널, 파지 부재(406), 또는 부가의 파지 부재에 수직임) 파지 부재(406)(또는 부가의 파지 부재)의 아암이 그립핑 부재(409)와 용이하게 인터페이스하게 한다.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한 쌍의 아암(520 또는 620)을 갖는 파지 부재(506 또는 6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506 또는 606)는 카테터(502 또는 602) 내에 로딩될 수도 있고 결합 부재(508 또는 608)를 파지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파지 부재(506 또는 606)는 결합 부재(508 또는 608)에 근접한 카테터(502 또는 602) 내에 로딩될 수도 있다. 결합 부재(508 또는 608)의 종축(즉, 제1 단부(508f 또는 608f)로부터 제2 단부(508s 또는 608s)까지)은 아암(520 또는 620) 중 하나 이상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각각의 아암(520 또는 620)은 한 쌍의 그립핑 부재(509 또는 609)의 각각 하나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아암(509 또는 609)은 다른 아암(520 또는 620)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오목면(521 또는 621)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520 또는 620)은 각각 그립핑 부재(509 또는 609) 중 적어도 하나를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509 또는 609)는 각각 한 쌍의 그립핑 부재(509 또는 609) 중 다른 하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볼록면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립핑 부재의 볼록면은 아암의 오목면에 합치하고 그 내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506 또는 606)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509 또는 609)를 서로를 향해 작동 및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아암(620)은, 각각 그립핑 부재(609) 중 적어도 하나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또한 대향 아암(620)을 향해 굴곡될 수도 있는 원위부(623)를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아암(620)은 각각의 아암(620)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핑거(624)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609)는 전달 중에 핑거(624)에 근접할 수도 있다. 아암(620)과 핑거(624)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609) 주위에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결합 부재가 전개되기 전에 원하지 않는 이동에 대해 고정되는 포켓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2개의 파지 부재(706)와 함께 단독으로 그리고/또는 카테터(702) 내에서 운반되어, 내시경(704)의 하나 또는 2개의 작업 채널 내로 내시경(704)을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706)는 작업 채널 내로 전방 로딩될 수도 있고(즉, 원위측으로) 또는 작업 채널 내로 후방 로딩될 수도 있다(즉, 근위측으로). 도 7의 파지 부재(706)는 내시경(704)의 원위 단부 외부로 연장하고 있다. 결합 부재(708)는 파지 부재(706)가 결합 부재(708) 둘레에 배치되도록 파지 부재(706)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양 결합 부재(708)는 내시경(704)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원위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양 결합 부재(708)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내시경(704)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배향될 수도 있다. 원통형 캡(730)은 내시경(704)의 원위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내시경(704)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캡(730)은 파지 부재(706) 및 결합 부재(708)를 캡슐화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은 환자의 외부에서 조립되고 이어서 환자의 신체 내강 내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캡(730)은 시스템의 삽입/전달 중에 신체 내강에 접촉하는 캡(730) 내부의 조립체에 대해 환자의 신체 내강을 보호할 수도 있다. 캡(730)은 신체 조직을 긁고/할퀴지 않기 위해 라운딩된 에지를 가질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808f)(예를 들어, 아암 또는 조오) 및 스프링일 수도 있는 제2 단부(808s)를 갖는 결합 부재(8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핑 부재(809)가 제1 단부(808f)와 제2 단부(808s) 사이에서(예를 들어, 제1 단부(808f)에 근위측에서) 결합 부재(808)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파괴 가능 부재(812)가 한 쌍의 그립핑 부재(809) 사이에 연결된다. 원위 단부에 루프를 갖는 속박부(810)가 파괴 가능 부재(812)에 연결된다. 결합 부재(808)는 속박부(810)가 파괴 가능 부재(812)에 부착된 상태로 신체 내강 내로 전달될 수도 있어, 속박부(810)가 작업 채널을 통해 근위측으로 그리고 작업 전문가를 향해 연장하게 된다. 의료 전문가는 속박부(810)를 조작함으로써 결합 부재(808)를 추적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속박부(810)는 의료 전문가가 결합 부재(808)를 파지 부재에 더 가깝게 잡아당기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임의의 시점에, 의료 전문가는 그립핑 부재(809)를 서로를 향해(예를 들어, 파지 부재로) 압축할 수도 있다. 그립핑 부재(809)가 서로를 향해 압축될 때, 파괴 가능 부재(812)는 파단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된 파괴 가능 부재(812)는 결합 부재(808)로부터 속박부(810)를 해제한다. 결합 부재(808)는 이어서 조직 내로 자유롭게 전개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811)는 결합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제2 단부(808s)에서). 탄성 부재(811)는 다른 결합 부재 또는 의료 기구에 부착될 수도 있다. 속박부(810)는 탄성 부재(110, 210, 310, 410, 710, 811, 910 등)에 대해 설명된 것을 포함하여, 스트링, 가요성 압출 재료, 탄성 부재, 가요성 편조 재료, 가요성 스탬핑 재료 등일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908f) 및 스프링일 수도 있는 제2 단부(908s)를 갖는 결합 부재(908), 및 한 쌍의 그립핑 부재(909)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910)는 결합 부재(908)의 제2 단부(908s)를 다른 결합 부재(908)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스프링(930)은 각각의 스프링(930)의 일 단부에서 파지 부재(906)의 각각의 아암(92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프링(930)의 다른 단부에서 다른 그립핑 부재(909)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그립핑 부재(909) 중 하나의 표면에 각각 접촉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906)는 그립핑 부재에 대해 스프링(930)을 압축함으로써 결합 부재(908)를 파지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906) 및 결합 부재(908)는 결합 부재(908)가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태로(즉, 각각의 결합 부재(908)의 제1 단부(908f)가 제2 단부(908s)에 대해 원위측에 있음) 카테터(902)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카테터(902)는 카테터(902)의 나머지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원위 단부(903)를 가질 수도 있다. 파지 부재(906)는 결합 부재(908)와 카테터(902)를 통해 원위측으로 전진될 수도 있다. 일단 파지 부재(906)가 카테터(902)의 더 좁은 원위 단부(903)에 도달하면, 원위 단부(903)는 아암(920)을 서로를 향해 압축할 수도 있다. 이 압축은 결합 부재(908f)의 제1 단부가 조직의 결합을 위해 개방될 수도 있도록 스프링(930) 및 결합 부재(908)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908)가 신체 내강 내에서 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제2 결합 부재(908)는 이어서 카테터(902)의 원위 단부(903)에서의 위치로 전진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908)가 전개된 후, 제2 결합 부재(908)는 제1 결합 부재(908)와 유사한 방식으로 신체 내강 내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908)가 제1 단부(908f)에서 타겟 조직에 그리고 제2 단부(908s)에서 탄성 부재(9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지 부재(906) 및 아암(920)은 파지 부재 아암(920)이 카테터(902)의 원위 단부(903)에 근접하도록 근위측으로 견인될 수도 있고, 스프링을 갖는 아암은 카테터의 감소된 직경에 의해 압축되지 않는다. 카테터(902) 및/또는 파지 부재(906)는 이어서 근위측으로 견인될 수도 있어, 제2 결합 부재(908)가 탄성 부재(910)에 부착되기 때문에 스프링(930) 사이에서 원위측으로 전진하고 자체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제2 결합 부재가 스프링(930)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부재(908) 및 파지 부재(906) 및 아암(920)은 이어서 제1 결합 부재(908)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있는 타겟 조직 내의 전개를 위한 동일한 위치 내로 카테터(902)의 원위 단부(903)까지 원위측으로 전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결합 부재(908)는 파지 부재(906) 상의 기구(907)에 의해 스프링(930) 사이의 전개 위치로 전진될 수도 있다. 기구(907)는 제2 파지 부재(908)를 카테터(902)의 원위 단부(903)에 압박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면, 여기에 또는 다른 위치에 설명된 조직 견인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제1 개방 단부(1001),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도 있는 제2 단부(1002), 및 그 사이의 본체를 갖는 케이싱(10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싱(1000)은 생분해성 재료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환자가 자연스럽게 케이싱(1000)을 무해하게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작을 수도 있다. 케이싱은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2의 케이싱(216)의 셋업). 케이싱(1000)은 제1 단부(1001)로부터 제2 단부(1002)까지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천공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분리 라인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케이싱(1000)은 케이싱(1000)이 제1 단편(1004a) 및 제2 단편(1004b)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분리 라인(1003)을 갖는다. 이 분리(즉, 10a 및 10b)는, 일단 케이싱(1000)이 카테터 및/또는 작업 채널에서 더 이상 제한되지 않고 신체 내강 내로 전개되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0)은 제1 단부(1001)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2 단부(1002)까지 천공 라인(1005)을 가질 수도 있다. 케이싱(1000)은 천공 라인(1005)을 따라 연결된 부분을 분리시키는 힘에 의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편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힘은 예를 들어 결합 부재의 제1 단부의 작동, 파지 부재의 압축력, 또는 파지 부재 및 케이싱 둘레로부터 카테터 또는 작업 채널에서의 구속의 해제일 수도 있다. 도 10e 및 도 10f에서, 케이싱(1000)은 케이싱(1000)의 대향 측면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분리 라인(1007)을 가질 수도 있다. 케이싱(1000)은 분리 라인(1007)을 따라 분리될 수도 있고 파단 섹션(1008)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상기 및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전문가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제1 파지 부재를 갖는 내시경의 제1 작업 채널을 후방 로딩함으로써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셋업할 수도 있다. 내시경의 제2 작업 채널은 내시경의 원위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제2 파지 부재로 후방 로딩될 수도 있다.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는 제1 파지 부재가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되도록 후방 로딩될 수도 있다. 조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2 결합 부재는 제2 파지 부재가 제2 결합 부재의 제1 단부 둘레에 배치되도록 로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파지 부재 및 제1 및 제2 결합 부재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원통형 캡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의 제1 단부는 내시경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원위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상기 및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전문가는 의료 절차 중에 작업 채널, 카테터 및/또는 캡을 통해 및/또는 외부로 본 개시내용의 조직 견인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전진시킬 수도 있다. 이는 결합 부재를 압박 및/또는 조작하도록(예를 들어, 근위-대-원위 방향으로) 파지 부재 또는 다른 의료 기구를 전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를 작업 채널 및/또는 전달 카테터의 전방 및 외부로 환자의 신체 내강 내로 가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타겟 조직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상기 및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전문가는 결합 부재의 원위 단부(예를 들어, 제1 단부)를 타겟 조직을 향해 조작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결합 부재의 그립핑 부재 중 하나 이상 주위에서 파지 부재의 아암을 조작함으로써 결합 부재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는 결합 부재의 그립핑 부재 주위에서 그 아암을 개방하고 이어서 폐쇄할 수도 있어, 조직을 결합하기 위해 결합 부재의 제1 단부를 개방한다. 파지 조오는 결합 부재의 제1 단부가 타겟 조직에 인접하도록 결합 부재의 위치를 조작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는 그 아암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이에 의해 결합 부재를 해제하고 결합 부재의 제1 단부가 타겟 조직과 결합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유사하게 파지 부재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탄성 부재에 의해). 제2 결합 부재는 의료 전문가가 타겟 조직을 박리하는 동안 디바이스 및 타겟 조직을 고정하기 위해 타겟 조직의 다른 섹션 또는 건강한 조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의 모두가 박리될 타겟 조직에 부착되어야 하면, 탄성 부재는 타겟 조직을 인장 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일단 타겟 조직이 박리되면, 탄성 부재는 결합 부재를 서로를 향해 잡아당겨서, 신체 내강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타겟 조직을 견인한다.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그리고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단독으로 또는 시스템 또는 키트 내에서 또는 다른 부속품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절차의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복막, 복부, 기관지 또는 흉강, 혈관, 위장 또는 요로, 자궁, 방광, 폐 및 간 장기 등 내의 상태에 접근하고, 치료하거나 또는 진단하기 위해, 신체의 강, 내강, 관, 혈관 및 장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추가하여 본 개시내용의 변형, 수정 및 다른 구현예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어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상기 예시적인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대신에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조직 견인 디바이스이며,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를 통한 루멘을 갖는 캡;
    상기 캡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연장 부재; 및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종축을 갖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종축이 상기 캡 루멘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위치되도록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90도인, 조직 견인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내시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의 근위 단부는 상기 내시경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을 위해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스프링이 상기 연장 부재 둘레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스프링과 결합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제2 단부는 스프링 형태이고, 상기 스프링은 조직 결합 구성에서 상기 제1 단부를 유지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연장 부재로부터 활주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 부재는 포스트인, 조직 견인 디바이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핑 부재의 압축은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상에 배치된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제2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결합 부재를 장착 위치에서 상기 캡의 루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제2 단부에서 스프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캡의 루멘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그 사이의 길이부를 갖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원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에서 각각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는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내시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캡의 루멘 내로 그리고 상기 내시경의 외부로 원위측으로 병진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기 그립핑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직 견인 디바이스.
KR1020207007165A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38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2987A KR20220057636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66596P 2017-10-02 2017-10-02
US62/566,596 2017-10-02
PCT/US2018/053800 WO2019070606A1 (en) 2017-10-02 2018-10-01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TRA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87A Division KR20220057636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347A KR20200041347A (ko) 2020-04-21
KR102389681B1 true KR102389681B1 (ko) 2022-04-21

Family

ID=639635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87A KR20220057636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37025607A KR20230116094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07007165A KR102389681B1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87A KR20220057636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37025607A KR20230116094A (ko) 2017-10-02 2018-10-01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99172A1 (ko)
EP (1) EP3634251A1 (ko)
JP (3) JP6970815B2 (ko)
KR (3) KR20220057636A (ko)
CN (2) CN117814875A (ko)
AU (1) AU2018345332B2 (ko)
CA (1) CA3072102C (ko)
WO (1) WO2019070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8244A1 (en) * 2018-03-14 2019-09-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ion device and delivery system
CN110731802A (zh) * 2018-07-20 2020-01-31 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牵引装置
WO2020232057A1 (en) * 2019-05-16 2020-11-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traction bands
EP4069096A1 (en) * 2019-12-05 2022-10-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5666410A (zh) * 2020-05-29 2023-01-31 柯惠有限合伙公司 用于内窥镜粘膜下剥离术的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107A (ja) * 2003-09-30 2005-04-21 Shinshu Tlo:Kk 医療用把持具および医療用把持具を体内に装着する装着方法
JP2006517831A (ja) * 2003-02-18 2006-08-03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用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6128A (ja) * 2005-11-17 2007-06-07 River Seiko:Kk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909U (ja) * 1982-04-05 1983-10-13 有限会社マルイ医科 動脈瘤クリップ鉗子
JPH05337123A (ja) * 1992-06-04 1993-12-21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用縫合結紮具
JPH05337124A (ja) * 1992-06-04 1993-12-21 Olympus Optical Co Ltd クリップアプリケ−タ
US6139563A (en) 1997-09-25 2000-10-31 Allegiance Corporation Surgical device with malleable shaft
US6626899B2 (en) * 1999-06-25 2003-09-30 Nidus Medical,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JP2007196012A (ja) 2000-10-16 2007-08-09 Olympus Corp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7094245B2 (en) * 2001-10-05 2006-08-22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through the scope endoscopic hemostatic clipping
US7105000B2 (en) * 2003-03-25 2006-09-1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jaw assembly with increased mechanical advantage
US20050250987A1 (en) * 2004-05-07 2005-11-10 Usgi Medical Inc. Remov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securing tissue
CN101087564B (zh) 2004-12-24 2010-06-02 奥林巴斯株式会社 结扎装置
EP1993452B1 (en) * 2006-03-10 2017-07-1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 clip device and a protective cap for drawing the target tissue into it before the clip is deployed
EP2101653B1 (en) * 2006-12-05 2016-02-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ation therapy hemostatic clip
JP2009279333A (ja) * 2008-05-26 2009-12-03 Fujifilm Corp クリップ処置具
CA2725776A1 (en) * 2008-06-19 2009-12-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tic clipping devices and methods
WO2010042844A2 (en) * 2008-10-10 2010-04-15 Surgiquest, Incorporated Internal retraction systems and devices
DE102010037468A1 (de) 2010-09-10 2012-03-15 Aesculap Ag Chirurgischer Clip
CN103124530B (zh) * 2010-09-22 2016-03-30 富士胶片株式会社 结扎装置和在该结扎装置中使用的夹子单元
EP2725986A4 (en) * 2011-06-28 2015-06-17 Novatract Surgical Inc GEWEBERETRAKTORANORDNUNG
CN104114105B (zh) * 2011-09-23 2017-06-30 外科透视有限公司 用于微创手术期间进行器官拉回的夹
KR20150048706A (ko) * 2012-06-22 2015-05-07 매크로프라타, 아이엔씨. 최소 침습, 수술 위장 치료용 다내강 카테터 견인기 시스템
DE102012211379A1 (de) * 2012-06-29 2014-03-27 Aesculap Ag Chirurgischer Clip mit Innenfeder
CA2915510C (en) * 2013-07-10 2017-09-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grasping and wound closing clipping device
WO2015153646A1 (en) 2014-03-31 2015-10-08 Adrian Edward Park Minimally invasive surgery tissue (mist) clip
US20150282790A1 (en) * 2014-04-08 2015-10-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closure device
JP6084347B1 (ja) * 2015-05-27 2017-02-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831A (ja) * 2003-02-18 2006-08-03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用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3107A (ja) * 2003-09-30 2005-04-21 Shinshu Tlo:Kk 医療用把持具および医療用把持具を体内に装着する装着方法
JP2007136128A (ja) * 2005-11-17 2007-06-07 River Seiko:Kk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636A (ko) 2022-05-09
AU2018345332B2 (en) 2020-10-29
KR20230116094A (ko) 2023-08-03
JP2020531203A (ja) 2020-11-05
KR20200041347A (ko) 2020-04-21
CN117814875A (zh) 2024-04-05
CN111163702B (zh) 2024-01-30
CN111163702A (zh) 2020-05-15
EP3634251A1 (en) 2020-04-15
CA3072102C (en) 2022-01-11
US20190099172A1 (en) 2019-04-04
WO2019070606A1 (en) 2019-04-11
JP2023126438A (ja) 2023-09-07
JP6970815B2 (ja) 2021-11-24
CA3072102A1 (en) 2019-04-11
AU2018345332A1 (en) 2020-01-30
JP2022009736A (ja) 2022-01-14
JP7315638B2 (ja)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681B1 (ko) 조직 견인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N104224242B (zh) 包含集成的滑动抓紧器的标本取出装置
JP5498935B2 (ja) 内視鏡用固定システム
US10952717B2 (en) Tissue retraction ba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40839B2 (en) Clip unit, mucous membrane lifting system, and mucous membrane lifting method
JP2020506028A (ja) 組織引張装置及び送出システム
JP2024056976A (ja) 組織牽引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3966188A (zh) 用于内窥镜手术的牵引系统及其使用方法
CN116056620A (zh) 医疗系统、装置及相关方法
CN211325240U (zh) 一种辅助牵拉装置和辅助系统
US20230012728A1 (en) Tissue 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30248345A1 (en) Tissue 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n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thereof
US20170325840A1 (en) Percutaneous Gastrointestinal Access System and Method
US2023024834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action
EP3393330B1 (en) Tissue remov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