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584B1 -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 Google Patents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584B1
KR102389584B1 KR1020200069749A KR20200069749A KR102389584B1 KR 102389584 B1 KR102389584 B1 KR 102389584B1 KR 1020200069749 A KR1020200069749 A KR 1020200069749A KR 20200069749 A KR20200069749 A KR 20200069749A KR 102389584 B1 KR102389584 B1 KR 10238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insertion hole
sleeve
sleeve body
metal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810A (ko
Inventor
이선호
김금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슬리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일 측에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슬리브에 의하지 않고서도 개폐기 리드선 및 피뢰기 리드선을 본선과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HETEROZYGOUS METAL SLEEVE FOR AN INTEGRAL CONNECTION OF LEAD WIRES}
본 발명은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드선을 통합 접속하기 위한 이질금속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에 AL전선(Aluminum wire)과 동전선(Copper wire)의 접속을 위해서는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를 사용하여 압축접속을 시행하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가공개폐기(41, 차단기, Recloser)의 리드선(31, 동선)과 배전선로 전력선 점퍼선(AL전선)을 접속하는데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31)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다.
피뢰기(42)는 선로나 전기기기를 뇌서지(lightning surge)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주로 선로 개폐장치(Recloser, Sectionalizer, 차단기, 구분개폐기) 전원측 및 부하측 각상 및 주상 변압기 1차측에 설치된다.
현재 피뢰기(42)의 1차 리드선(32)을 전력선 본선(33)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전선 상호간 및 알루미늄과 동선을 접속하는 단일 재질의 분기 슬리브(52)를 사용하고 있다.
피뢰기(42)의 1차 리드선(32, 동전선)과 전력선 본선(33, AL전선) 및 개폐기(41) 리드선(31, 동선)과 전력선 점퍼선(AL전선)과의 접속은 각각 분기슬리브(52) 및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51) 2개의 자재를 사용하여 2가지 공정의 활선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자재비 및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83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슬리브에 의하지 않고서도 개폐기 리드선 및 피뢰기 리드선을 본선과 접속할 수 있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슬리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일 측에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복수의 삽입구는, 개폐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피뢰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는 전력선 본선이 삽입되는 하나의 본선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이질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바디는 동(Cu) 재질과 알루미늄(Al) 재질이 양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슬리브 바디 내측에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일 측은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타 측은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상기 슬리브 바디의 일 측은 동(Cu)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는, 외관을 형성하는 슬리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일 측에는 개폐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피뢰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는 전력선 본선이 삽입되는 하나의 본선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바디는 동(Cu) 재질과 알루미늄(Al) 재질이 양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상기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가 형성된 일 측이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선 삽입구가 형성된 타 측이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슬리브 바디 내측에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일 측은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타 측은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선로 리클로져(Recloser), 섹셔널라이저(Sectionalizer), 차단기, 구분개폐기 등의 개폐장치에는 뇌서지 및 이상전압으로부터 기기를 보호기 위하여 전원측 및 부하측의 각상에 피뢰기를 설치하고 있는데 피뢰기 1차 리드선을 전력선 본선에 직접 분기슬리브로 접속하여 시공하는 것을 개선하여, 전력선 본선에 접속하지 않고 개폐기 리드선과 전력선 점퍼선과 함께 접속하여 2가지 작업공정(피뢰기 1차 리드선과 전력선 접속, 개폐기 리드선과 전력선 접속)을 동시에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기존 피뢰기 1차 리드선 전력선 본선 접속을 하지 않으므로 특고압선로 접속개소 감소 및 설비 단순화로 접속 충전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선로고장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폐기 및 피뢰기 리드선접속용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를 현장에 적용시 분기슬리브 및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의 2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슬리브 자재비 및 작업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공사비의 절감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종래의 개폐기, 피뢰기 및 접속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2의 좌측에서 본 형상, 도 3b는 도 2의 우측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에 전선 삽입 후 압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3a는 도 2의 좌측에서 본 형상, 도 3b는 도 2의 우측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를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개폐기의 리드선을 전력선 점퍼선에 접속하기 위해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를 사용하고, 또한 피뢰기의 리드선을 전력선 본선에 접속시키기 위해 별도의 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2개소 이상의 슬리브를 대신하여 개폐기의 리드선과 피뢰기의 리드선을 전력선 본선에 동시에 접속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이다.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10)는 외관상 실린더 형상의 슬리브 바디(11)의 양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슬리브 바디(11)의 일 측에는 리드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삽입구는 2개일 수 있으며, 하나는 개폐기(41)의 리드선(31)이 삽입되는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12)이고, 다른 하나는 피뢰기(42)의 리드선(32)이 삽입되는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13)로 구성된다.
그래서,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12)에 개폐기 리드선(31)이 삽입되고,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13)에 피뢰기 리드선(32)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슬리브 바디(11) 중앙부에 형성된 격벽(15)을 기준으로 슬리브 바디(11)의 다른 일 측에는 전력선 본선(33)이 삽입되는 본선 삽입구(14)가 형성되어, 본선 삽입구(14)에 전력선 본선(33)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여기서, 슬리브 바디(11)는 이질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즉, 격벽(15)을 기준으로 리드선 삽입구(12, 13) 측 바디는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본선 삽입구(14) 측 바디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접속시 전선 접속부에서 일질 금속 간에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슬리브 바디(11)의 각 삽입구에 개폐기 리드선(31), 피뢰기 리드선(32), 전력선 본선(33)을 삽입하고, 도 4와 같이 한번에 압축하여 개폐기 리드선(31)과 피뢰기 리드선(32)을 접속시킨다.
즉, 지중케이블 입상주 케이블헤드와 전력선 본선과 접속시 본 발명 슬리브를 활용하여 케이블헤드 보호용으로 설치하는 피뢰기 1차 리드선과 동시접속 가능하고, 피뢰기 리드선 분기슬리브 활선 압축 및 개폐기 리드선 압축형 이질금속슬리브(Compression Type Bimetal Sleeves) 압축의 2가지 공정 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이질금속 슬리브
11 : 슬리브 바디
12 :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13 :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
14 : 본선 삽입구
15 : 격벽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외관을 형성하는 슬리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일 측에는 개폐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피뢰기의 리드선이 삽입되는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타 측에는 전력선 본선이 삽입되는 하나의 본선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바디는 동(Cu) 재질과 알루미늄(Al) 재질이 양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상기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가 형성된 일 측이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선 삽입구가 형성된 타 측이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슬리브 바디 내측에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일 측은 동(Cu) 재질로 형성되고, 타 측은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리드선 삽입구 및 상기 피뢰기 리드선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 슬리브.
KR1020200069749A 2020-06-09 2020-06-09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KR10238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49A KR102389584B1 (ko) 2020-06-09 2020-06-09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49A KR102389584B1 (ko) 2020-06-09 2020-06-09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10A KR20210152810A (ko) 2021-12-16
KR102389584B1 true KR102389584B1 (ko) 2022-04-25

Family

ID=7903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49A KR102389584B1 (ko) 2020-06-09 2020-06-09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5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61Y1 (ko) * 2003-05-29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JP2009048779A (ja) 2007-08-13 2009-03-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c型スリー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354Y1 (ko) 1995-04-19 1999-02-01 김광우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KR20030029721A (ko) * 2001-10-10 2003-04-1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이질금속 분기슬리브
KR20120115786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승호전기 이탈방지형 이질금속 슬리브
HK1245006A2 (zh) * 2018-03-29 2019-06-14 Jean Chi Yan Wong 連接高壓電纜的過渡接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61Y1 (ko) * 2003-05-29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JP2009048779A (ja) 2007-08-13 2009-03-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c型スリ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10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3809B2 (en) Multiphase busbar system
EP2903015A1 (en) Circuit breaker
KR10129179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180116848A (ko)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20130010619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04538558U (zh) 一种绝缘遮蔽罩
KR102389584B1 (ko)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US9312669B2 (en) Resistor,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switchgear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US20090160597A1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KR200324461Y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0262224Y1 (ko) 3상 지상변압기용 2차측 케이블의 소손 방지구조
KR200235038Y1 (ko) 전력선용 접지기구
KR20030029721A (ko) 피뢰기용 이질금속 분기슬리브
KR101476707B1 (ko) 격자구조형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20662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728405B2 (ja) 低圧幹線におけるケーブル線路構造
KR100755501B1 (ko) 통합 수배전반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43887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040103871A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CN211062669U (zh) 一种防触电断路器结构
KR101231766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17832966A (zh) 一种汇流排
CN2314497Y (zh) 变压器开关组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