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354Y1 -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 Google Patents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354Y1
KR0118354Y1 KR2019950007983U KR19950007983U KR0118354Y1 KR 0118354 Y1 KR0118354 Y1 KR 0118354Y1 KR 2019950007983 U KR2019950007983 U KR 2019950007983U KR 19950007983 U KR19950007983 U KR 19950007983U KR 0118354 Y1 KR0118354 Y1 KR 0118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ower body
insertion hole
copper wire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657U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광우
주식회사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우, 주식회사진광 filed Critical 김광우
Priority to KR201995000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354Y1/ko
Publication of KR9600356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6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의 중성선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전선과 개폐기나 변압기등의 접지용 인출선으로 사용되는 동선을 연결하기 위한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를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3)로 분리 형성하여 상하부몸체(1)(3)의 조립부위에 삽입부(4)(5)와 조립요홈(7)(7') 및 돌조(8)(8')를 형성하고 하부몸체(3)에 단턱(10)을 가지는 삽입공(9)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9)에 링(11)을 삽입하며, 삽입부(4)(5)와 링(11)내부에 알루미늄전선(6)와 접속단부를 박피시킨 구리전선(12)을 각각 삽입하고, 압착기를 사용하여 압착 일체화시켜서 되는 것이다.
접속부의 동일재질끼리의 접촉으로 전해부식을 방지하고 수분침투 및 대기접속 방지로 단선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하며 구리전선 접속부의 완충역할로 절단위험성을 방지하며, 조립구성과 압착기 사용으로 인하여 접속작업이 간편하여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제 3 도 (a)(b)는 압착전후의 상태를 보인 제 2 도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몸체3 : 하부몸체
4, 5 : 삽입부6 : 알루미늄전선
7, 7' : 조립요홈8, 8' : 조립돌조
9 : 삽입공11 : 링
12 : 구리전선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架空配電線路)의 중성선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전선과 개폐기나 변압기등의 접지용 인출선으로 사용되는 동선(銅線)을 연결하기 위한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알루미늄선용분기슬리브를 사용하여 왔으나 알루미늄과 구리가 이질접속되므로 이의 경계면에 수분, 습기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면 이온화 전위가 낮은 알루미늄이 용해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접속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전해부식이 가속화되어 단선사고등을 일으키며 동종의 금속접속 일지라도 특별히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구조가 아니면 이러한 것들에 의해 금속접속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접촉불량의 원인이 되며 최악의 경우 단선사고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현장작업면에 있어서도 기준의 분기술 리브에 알루미늄전선과 구리전선을 삽입하고 압축하는 과정에서 고정이 불완전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전선의 흔들림등으로 인한 분기슬리브 이탈의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은 알루미늄 슬리브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형성하고 그 상하부 몸체에 각각 홈통형의 삽입부와 조립요홈 및 돌조를 형성함과 함께 하부몸체의 하단부에 단턱이진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하부몸체의 삽입부 사이에 중성선인 알루미늄전선을 삽입하고 하부몸체의 삽입공에 접속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접지인출선용 구리전선을 삽입한 후 압착기로 일체화 압착 시키므로서 접촉불량이나 단선사고를 방지하고 접속작업의 간편성을 이룰 수 있고 슬리브 및 접지 인출선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보는바의 본 고안에 의한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슬리브는 알루미늄으로된 상부몸체(1)와 그 상부몸체(1)의 조립부(2)에 조립되는 하부몸체(3)로 구성되는 바, 상하부몸체(1)(3)의 대면부에는 각각 홈통형의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이 삽입부(4)(5)사이에 가공배전선로의 중성선인 알루미늄전선(6)을 삽입하도록 되었다.
상하부몸체(1)(3)는 또한 조립부(2)의 상부양측벽에 조립요홈(7)(7')과 조립돌조(8)(8')가 형성되어 슬리브의 상하부몸체(1)(3) 조립시 조립요홈(7)(7')에 조립돌조(8)(8')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되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접지슬리브는 전술의 하부몸체(3)의 하단부에 단턱(10)이 진 삽입공(9)을 형성하고, 그 삽입공(9)내에 구리튜우브에 알루미늄 또는 주석도금을 한 링(11)을 삽입개재시킨 상태로 변압기나 개폐기에서 인출되는 접지용 구리전선(12)을 삽입접속 시키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하부몸체(3)의 삽입공(9)내에 링(11)을 삽입개재시킨 상태에서 먼저 상하부몸체(1)(3)의 삽입부(4)(5)내면을 부러시로서 부러싱하여 산화피막을 제거한 후 구리스에 금속산화물 입자를 혼합한 컴파운드를 도포하고, 그 컴파운드를 도포한 삽입부(4)(5)사이에 알루미늄전선(6)을 삽입한다.
알루미늄전선(6) 삽입과정에서 접지 슬리브의 상부몸체(1)에 대한 하부몸체(3)의 조립은 상부몸체(1)의 조립부(2) 양측에 형성된 조립요홈(7)(7')에 하부몸체(3)의 양측벽에 돌출형성한 조립돌조(8)(8')를 결합시키므로서 정확히 조립되도록 하고, 기준분기 슬리브의 문제점인 알루미늄전선(6)으로 부터의 유동과 이탈을 방지하며 압착작업의 능률이 개선되도록 한다.
다음에, 전술의 상부몸체(1)에 조립된 하부몸체(3)의 삽입공(9)내에 접지용 구리전선(12)을 삽입하는바, 삽입공(9)내에는 먼저 구리튜우브에 알루미늄 또는 주석을 도금한 링(11)을 삽입하고 삽입공(9) 외단부의 단턱(10)내면에 방수그리스를 도포한 다음 링(11)속으로 접속단부를 박피한 구리전선(12)을 삽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하부몸체(1)(3)와 알루미늄전선(6) 및 접지용구리전선(12)이 조립된 다음에는 압착기를 사용하여 이들을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므로서 접지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로, 구리전선(12)과 삽입공(9)내의 링(11)이 동일한 재질끼리 접촉을 하게 되므로 전해부식을 방지하고, 둘째로, 삽입부(4)(5)내면과 삽입공(9)의 단턱(10)내면에 컴파운드와 방수구리스를 도포함에 따라 수분의 침투와 대기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산화피막형성을 막아주므로 단선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첫째로, 삽입공(9)의 단턱(10)부에는 구리전선(12)이 절연피복상태로 삽입되도록 하여 바람등의 진동으로 인한 전선을 보호하는 완충역할을 하므로서 접속부분이 절단되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넷째로,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3)가 조립요홈(7)(7')과 조립돌조(8)(8')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결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가공 배전선로의 중성선인 알루미늄전선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폐기나 변압기등의 접지용 인출선인 구리전선의 접속이 간편하며, 또한 압착기를 사용과 접지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몸체(1)의 조립부(2)내면에 삽입부(4)와 조립요홈(7)(7')을 형성하고 하부몸체(3)의 상하단부에 삽입부(5)와 조립돌조(8)(8') 및 단턱(10)을 가지는 삽입공(9)을 형성하여 삽입부(4)(5)내에 알루미늄전선(6)을 끼운 상태로 조립요홈(7)(7')에 조립돌조(8)(8')가 끼워지도록 상부몸체(1)와 하부몸체(3)를 조립하고, 하부몸체(3)의 삽입공(9)내에 끼워진 링(11)속에 외피가 단턱(10)내에 삽입되도록 박피된 접지용 구리전선(12)을 삽입한 후 상하부몸체(1)(3)를 압착기를 사용하여 압착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KR2019950007983U 1995-04-19 1995-04-19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KR0118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83U KR0118354Y1 (ko) 1995-04-19 1995-04-19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83U KR0118354Y1 (ko) 1995-04-19 1995-04-19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57U KR960035657U (ko) 1996-11-21
KR0118354Y1 true KR0118354Y1 (ko) 1999-02-01

Family

ID=1941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983U KR0118354Y1 (ko) 1995-04-19 1995-04-19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3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10A (ko)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10A (ko)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57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5985B1 (en) Wire connector
US6658735B2 (en) Crimping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ic cables
US5429529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hielded-cable end
US8246390B2 (en) Integral bonding attachment
US20150017833A1 (en) Terminal crimped wire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EP0391520A1 (en) Shield connections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2844993B2 (ja) ジョイント端子の防水接続方法
US4946408A (en) Male circuit board terminal
US4707566A (en) Electrical crimp connection
CA2443597C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EP0626101B1 (en) Wire connector
KR0118354Y1 (ko) 압축형 이질금속 접지 슬리브
KR100296483B1 (ko) 전기기기플러그용플러그브리지
JP6912295B2 (ja) 端子付き電線
US6948955B2 (en) Terminal of a medium voltage electrical cable
KR200272235Y1 (ko)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JP2985060B2 (ja) コネクタ
KR930007388Y1 (ko) 압축용 전선 슬리브
KR200219446Y1 (ko) 압축형 이종 금속 스리브
KR200282259Y1 (ko) 이질 금속 슬리이브
GB2212346A (en) Cable end seals
JPS6132367A (ja) 素線絶縁ケ−ブルの導体接続方法
JPS6122426B2 (ko)
KR950002550Y1 (ko) 터미널 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