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387B1 -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387B1
KR102389387B1 KR1020200160244A KR20200160244A KR102389387B1 KR 102389387 B1 KR102389387 B1 KR 102389387B1 KR 1020200160244 A KR1020200160244 A KR 1020200160244A KR 20200160244 A KR20200160244 A KR 20200160244A KR 102389387 B1 KR102389387 B1 KR 10238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foreign material
material removal
rotation shaf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to KR102020016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08B1/002
    • B08B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1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중앙에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121)을 형성하고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돌기(122)를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유도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외부 비산 및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Cleaner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비산 및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제철소 또는 발전소에서 원료 및 연료 등을 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회전하는 브러시모를 이용하여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일정기간이 지날수록 이물질이 수많은 브러시모 사이로 달라붙어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벨트 표면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주변으로 쉽게 비산되면서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축의 외경에 브러시모를 형성하거나 또는 원형으로 형성한 수많은 브러시모를 회전축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이물질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 및 충격 등으로 인해서 브러시모가 쉽게 분리 또는 이탈하면서 사용수명 및 내구성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38845호(1997.07.29.)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431호(2004.05.14.)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547호(2004.05.3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8359호(2005.04.27.)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541호(2005.08.1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3065호(2008.10.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6706호(2016.05.2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0897호(2017.10.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4165호(2019.04.3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1092호(2019.08.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086호(2020.02.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유도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주변설비 등으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1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중앙에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121)을 형성하고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돌기(1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 표면에서 제거하는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며, 타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에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홈(121a)과 타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돌기(121b)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공(111);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131)을 형성하는 결합몸체(132); 상기 결합몸체(132)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110)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공(111)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향하도록 점차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경사부(111a); 상기 체결구(133)의 하부에 상기 경사부(111a)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3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유도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벨트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외부 비산 및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물질 제거날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물질 제거날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1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중앙에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121)을 형성하고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돌기(122)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110)은 벨트 컨베이어의 지정위치에 설치하되 일측에 모터 및 감속기 등과 같은 구동수단(미 도시함)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10)과 결합공(121)은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서로 동일한 다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회전상태에서 서로 헛돌지않고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기존의 브러시모 방식을 탈피하여 벨트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한 이물질이 고착 및 비산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중앙에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121)을 형성하고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돌기(122)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 및 이물질 제거돌기(122)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회전과 동시에 벨트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 표면에서 제거하는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부(122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이물질 제거날(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벨트 표면에서 제거한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며, 타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에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홈(121a)과 타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돌기(121b)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장착하여 벨트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서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서로 맞닿도록 긴밀하게 밀착시켜 외측으로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공(111);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131)을 형성하는 결합몸체(132); 상기 결합몸체(132)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110)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3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결합공(111)은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지정위치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133)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133)는 상기 결합몸체(132)의 일측에 나사 결합하여 하부가 상기 결합공(111)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1)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향하도록 점차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경사부(111a); 상기 체결구(133)의 하부에 상기 경사부(111a)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3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밀착부(133a)가 상기 경사부(111a)와 맞닿게 되면서 상기 결합몸체(132)를 상기 회전축(110)의 내측으로 점차 이동시킴으로써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밀착시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110: 회전축 111: 결합공
111a: 경사부
120: 고정유닛 121: 결합몸체
122: 통공 123: 체결구
123a: 밀착부
200: 이물질 제거날 210: 이물질 제거돌기
211: 결합공 211a: 결합홈
211b: 결합돌기 212: 유도부

Claims (6)

  1.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축(11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벨트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설치하여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을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30);을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중앙에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121)을 형성하고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돌기(122)를 형성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벨트 표면에서 제거하는 이물질을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며, 타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전방에 결합돌기(121b)를 형성하고 후방에 결합홈(121a)을 형성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에 서로 마주보는 일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홈(121a)과 타측의 이물질 제거날(120)의 결합돌기(121b)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이물질 제거날(120)은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이물질 제거돌기(122)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30)은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공(111); 상기 회전축(110)의 외경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131)을 형성하는 결합몸체(132); 상기 결합몸체(132)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110)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11)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110)의 중간을 향하도록 점차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경사부(111a); 상기 체결구(133)의 하부에 상기 경사부(111a)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밀착부(13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00160244A 2020-11-25 2020-11-25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8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44A KR102389387B1 (ko) 2020-11-25 2020-11-25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44A KR102389387B1 (ko) 2020-11-25 2020-11-25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87B1 true KR102389387B1 (ko) 2022-04-22

Family

ID=8145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244A KR102389387B1 (ko) 2020-11-25 2020-11-25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87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45U (ko) 1995-12-11 1997-07-29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크리너 부러쉬 롤러
JP2672709B2 (ja) * 1990-06-09 1997-11-05 川本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JP2728653B2 (ja) * 1996-03-28 1998-03-18 株式会社メイキコウ リンクベルト式ローラーコンベア
KR200350431Y1 (ko) 2003-10-22 2004-05-14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351547Y1 (ko) 2003-05-09 2004-05-31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씨 엔지니어링 벨트 클리너
KR20050038359A (ko) 2003-10-22 2005-04-27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392541Y1 (ko) 2005-05-11 2005-08-19 김영길 컨베이어 벨트클리너
KR100863065B1 (ko) 2007-05-17 2008-10-10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443291Y1 (ko) * 2007-05-01 2009-02-06 대한동방 주식회사 크리너용 와이퍼롤러
EP2042450A1 (en) * 2007-09-29 2009-04-01 düspohl Maschinenbau GmbH Transport device in a profile coating machine
KR20160056706A (ko)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여명이엔지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KR20170110897A (ko) 2016-03-24 2017-10-12 대한동방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브러쉬 롤러장치
KR20190044165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영산정공 벨트 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20190091092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기명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KR20200011086A (ko) 2018-07-24 2020-02-03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브러쉬 롤러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2709B2 (ja) * 1990-06-09 1997-11-05 川本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KR970038845U (ko) 1995-12-11 1997-07-29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크리너 부러쉬 롤러
JP2728653B2 (ja) * 1996-03-28 1998-03-18 株式会社メイキコウ リンクベルト式ローラーコンベア
KR200351547Y1 (ko) 2003-05-09 2004-05-31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씨 엔지니어링 벨트 클리너
KR200350431Y1 (ko) 2003-10-22 2004-05-14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50038359A (ko) 2003-10-22 2005-04-27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392541Y1 (ko) 2005-05-11 2005-08-19 김영길 컨베이어 벨트클리너
KR200443291Y1 (ko) * 2007-05-01 2009-02-06 대한동방 주식회사 크리너용 와이퍼롤러
KR100863065B1 (ko) 2007-05-17 2008-10-10 이종주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EP2042450A1 (en) * 2007-09-29 2009-04-01 düspohl Maschinenbau GmbH Transport device in a profile coating machine
KR20160056706A (ko)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여명이엔지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KR20170110897A (ko) 2016-03-24 2017-10-12 대한동방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브러쉬 롤러장치
KR20190044165A (ko)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영산정공 벨트 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20190091092A (ko) 2018-01-26 2019-08-05 주식회사기명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KR20200011086A (ko) 2018-07-24 2020-02-03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브러쉬 롤러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279B2 (en) Self cleaning shredding device having movable cleaning rings
FI59748B (fi) Klinga foer raspningsmaskin foer fordonsdaeck
EP2759348A1 (en) Sorting screen for sorting material and rotor body for such a sorting screen
KR10238938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68716B1 (ko) 폐지류 파쇄장치
CN107899986B (zh) 一种林业链条锯锯齿清理装置
JP4093986B2 (ja) 貝表面清浄機
KR101121841B1 (ko) 청소용 블레이드모듈체
KR101330189B1 (ko) 브러시 요소, 조립체, 브러싱 장치 및 결합/분리 방법들
US6957471B2 (en) Cleaning rings for insulator driven by wind
KR101431618B1 (ko) 기어 구동식 수동 면도기
KR101942909B1 (ko) 근채류 탈피장치
JPH02221013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クリーナ
KR20220001932U (ko) 청소차용 브러시 모듈
JP4153863B2 (ja) ワッシャ磨き装置
JP2006043644A (ja) 貝表面清浄機の掃除具用の掻取り具と、それを用いた貝表面清浄機の掃除具
JP4822421B2 (ja) アスファルト面取装置のグラインダー
JP4624305B2 (ja) 除雪装置
KR200385195Y1 (ko) 청소차의 브러시
KR200217101Y1 (ko) 생선껍질 제거장치
KR102587357B1 (ko) 절삭형 건식 세미기
CN215738749U (zh) 边刷及清洁机器人
JP3195802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付着物除去装置
JP5460652B2 (ja) 皮剥装置
AU2002229399B2 (en) Self cleaning shredding device having movable cleaning 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