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032B1 -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032B1
KR102389032B1 KR1020210116749A KR20210116749A KR102389032B1 KR 102389032 B1 KR102389032 B1 KR 102389032B1 KR 1020210116749 A KR1020210116749 A KR 1020210116749A KR 20210116749 A KR20210116749 A KR 20210116749A KR 102389032 B1 KR102389032 B1 KR 10238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ce cake
tteokbokki
packaging container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케이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케이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케이푸드
Priority to KR102021011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떡볶이떡생산유닛, 제1컨베이어유닛, 떡볶이떡배출유닛, 떡볶이떡분산유닛, 제2컨베이어유닛, 조리양념생산유닛, 제3컨베이어유닛, 조리양념배출유닛, 제1포장용기공급유닛, 제1포장유닛, 제4컨베이어유닛, 운반유닛, 제2포장용기공급유닛, 제2포장유닛, 제5컨베이어유닛, 이물질검사유닛, 및 떡볶이떡동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떡볶이떡을 전문적으로 포장하기에 적합하고, 떡볶이떡과 떡볶이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양념을 동시에 포장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리양념을 준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떡볶이의 조리가 가능하며, 이물질을 검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소비자가 떡볶이떡을 보다 안전하게 섭취가능하다.

Description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 RICE CAKE FOR TOKPOKKI PACKING SYSTEM }
본 발명은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볶이용 떡의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라인방식을 원형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품을 포장하는 자동포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회전식 자동포장장치는 파우치와 같은 봉지를 탑재하여 충진물을 주입하고, 입구를 봉합하여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635822호(2016.07.05.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발효식품 자동 포장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발효식품도 자동으로 포장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손쉽게 대량으로 포장하여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데 비해, 떡볶이떡 자동포장 시스템에 대하여는 아직 구체적인 기술이 개시되지 않고, 자동포장이 가능한 기존의 설비를 이용할 뿐이다. 즉, 떡볶이떡과 관련하여 전문적으로 자동포장하는 장치가 개시된 바 없어 떡볶이떡에 최적화된 자동포장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58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떡볶이떡을 전문적으로 포장하기에 적합한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떡볶이떡과 떡볶이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양념을 동시에 포장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을 검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하게 섭취가능한 떡볶이떡을 제공할 수 있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은, 떡볶이용 가래떡을 반죽하여 사출하고 절단하며 냉각시켜 떡볶이떡을 생산하는 떡볶이떡생산유닛; 상기 떡볶이떡생산유닛으로부터 생산된 상기 떡볶이떡을 이동시키는 제1컨베이어유닛;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이동된 떡볶이떡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떡볶이떡배출유닛; 상기 떡볶이떡배출유닛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떡볶이떡배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떡볶이떡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존재하며 하측 외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배치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 주위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터리 형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호퍼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며 상기 떡볶이떡이 분산되며 분산된 상기 떡볶이떡의 무게를 계량하여 미리 정해진 중량이 될 때까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떡볶이떡을 분산배치가능한 떡볶이떡분산부, 및 상기 떡볶이떡분산부에 배치되는 상기 떡볶이떡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떡볶이떡분산유닛; 분산된 상기 떡볶이떡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유닛; 상기 생산된 떡볶이떡에 소비자가 직접 추가하여 떡볶이로 조리가능한 조리양념을 생산하는 조리양념생산유닛; 상기 조리양념생산유닛으로부터 생산된 조리양념을 이동시키는 제3컨베이어유닛; 상기 제3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조리양념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조리양념배출유닛; 상기 조리양념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양념포장용기를 공급하고, 상기 양념포장용기를 보관하는 양념포장용기거치부, 상기 양념포장용기를 상기 양념포장용기거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하는 양념포장용기그립부, 및 상기 양념포장용기그립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조리양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양념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조리양념생산유닛에서 생산하는 조리양념을 주입가능하게 하는 양념포장용기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포장용기공급유닛; 상기 제1포장용기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양념포장용기에 생산된 상기 조리양념이 미리 정해진 양이 수용된 후 상기 개구를 열압착하여 진공 포장하는 제1포장유닛; 포장된 상기 조리양념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4컨베이어유닛; 상기 제2 및 제4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동된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떡볶이떡과 포장된 상기 조리양념을 함께 배치하도록 운반하는 운반유닛;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운반된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떡볶이떡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떡포장용기를 공급하고, 상기 떡포장용기를 보관하는 떡포장용기거치부, 상기 떡포장용기를 상기 떡포장용기거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떡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하는 떡포장용기그립부, 및 상기 떡포장용기그립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떡볶이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떡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떡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하는 떡포장용기개방부를 포함하는 제2포장용기공급유닛; 상기 떡포장용기에 수용된 떡볶이떡과 포장된 조리양념을 진공 포장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제2포장유닛; 상기 포장된 제품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5컨베이어유닛; 상기 제5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제품 내부에 포함된 금속을 감지하는 금속감지부와, 상기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컨베이어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감지으로부터 금속이 감지되거나 상기 중량측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중량의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제품을 제외대상제품으로 설정하는 이물질검사유닛; 및 상기 이물질검사유닛을 통과한 제품에 냉기를 부여하여 상기 제품을 동결하는 떡볶이떡동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유닛은, 상기 제외대상제품에 마킹(marking)하는 마킹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유닛은, 상기 제외대상제품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동결유닛에 의한 동결조건은 -18℃이하에서 12시간이상 동결하고 품온을 -18℃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동결유닛에 의해 동결된 제품을 묶어 제품세트로 포장하는 세트포장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떡볶이떡을 전문적으로 포장하기에 적합하고, 떡볶이떡과 떡볶이를 조리할 수 있는 조리양념을 동시에 포장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리양념을 준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떡볶이의 조리가 가능하며, 이물질을 검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소비자가 떡볶이떡을 보다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의 구성을 포장대상인 떡과 조리양념의 이동과정을 따라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떡볶이떡분산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제1포장용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제2포장용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이물질검사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들을 떡볶이떡과 조리양념의 이동과정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의 구성을 포장대상인 떡과 조리양념의 이동과정을 따라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떡볶이떡분산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제1포장용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제2포장용기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이물질검사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은 떡볶이떡생산유닛(100), 제1컨베이어유닛(200), 떡볶이떡배출유닛(300), 떡볶이떡분산유닛(400), 제2컨베이어유닛(500), 조리양념생산유닛(600), 제3컨베이어유닛(700), 조리양념배출유닛(800), 제1포장용기공급유닛(900), 제1포장유닛(1000), 제4컨베이어유닛(1100), 운반유닛(1200), 제2포장용기공급유닛(1300), 제2포장유닛(1400), 제5컨베이어유닛(1500), 이물질검사유닛(1600), 및 떡볶이떡동결유닛(1700)을 포함할 수 있다.
떡볶이떡생산유닛(100)은 떡볶이용 가래떡을 반죽하여 사출하고 절단하며 냉각시켜 떡볶이떡을 생산할 수 있다. 떡볶이떡생산유닛(100)의 세부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에서 다루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떡볶이떡생산유닛(100)으로부터 생산되는 떡볶이용 떡은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쌀 또는 밀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떡볶이떡생산유닛(100)으로부터 쌀떡 또는 밀떡이 생산될 수 있다.
컨베이어유닛은 제1 내지 제5컨베이어유닛(200, 500, 700, 1100, 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컨베이어유닛(200)은 떡볶이떡생산유닛(100)으로부터 생산된 상기 떡볶이떡을 후술하는 떡볶이떡배출유닛(3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떡볶이떡배출유닛(300)은 제1컨베이어유닛(200)으로부터 이동된 떡볶이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떡볶이떡배출유닛(300)은 떡볶이떡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고, 자세하게는 떡볶이떡을 후술하는 떡볶이떡분산유닛(400)으로 배출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떡볶이떡분산유닛(400)은 떡볶이떡배출유닛(300)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될 수있다. 떡볶이떡분산유닛(400)은 호퍼부(410)와 떡볶이떡분산부(420) 및 센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부(410)는 떡볶이떡배출유닛(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떡볶이떡배출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떡볶이떡을 수용할 수 있다. 즉, 호퍼부(410)는 상부와 하부가 적어도 일부 개구된 내부공간이 존재하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의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떡볶이떡을 수용할 수 있다. 호퍼부(410)는 하측 외면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에 수용된 떡볶이떡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떡볶이떡분산부(420)는 호퍼부(41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떡볶이떡분산부(420)는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로터리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호퍼부(410)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떡볶이떡은 복수 개의 관통공에 의해 분산되며 떡볶이떡분산부(420)에 옮겨질 수 있다. 떡볶이떡분산부(420)는 분산된 떡볶이떡의 무게를 계량하여 미리 정해진 중량이 될 때까지 호퍼부(410)로부터 공급되는 떡볶이떡을 분산배치가능하다.
참고로, 호퍼부(410)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떡볶이떡은 중력 또는 기계장치의 힘에 의해 배출되므로 떡볶이떡분산부(420)에 제대로 배치되지 않고 주변으로 구르거나 버려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떡볶이떡분산부(420)는 상기 떡볶이떡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높이의 벽(미도시)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43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떡볶이떡분산부(420)에 배치되는 떡볶이떡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컨베이어유닛(500)은 떡볶이떡분산유닛(400)에서 분산된 떡볶이떡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리양념생산유닛(600)은 조리양념을 생산하기 위한 구성이다. 소비자는 조리양념생산유닛(600)으로 생산된 조리양념을 떡볶이떡에 직접 추가하여 떡볶이로 조리할 수 있다.
제3컨베이어유닛(700)은 조리양념생산유닛(600)으로부터 생산된 조리양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조리양념이 유동성을 가지는 경우에 제3컨베이어유닛(700)은 조리양념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컨베이어유닛(700)은 비록 ‘컨베이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조리양념을 튜브와 같은 관체를 통해 공기압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조리양념이 이동되기만 하면 상기 조리양념을 이동시키는 방식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조리양념배출유닛(800)은 제3컨베이어유닛(700)으로부터 이동된 조리양념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리양념배출유닛(800)은 조리양념이 후술하는 양념포장용기에 담기도록 하방을 향해 배치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포장용기공급유닛(900)은 조리양념배출유닛(800)의 노즐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조리양념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양념포장용기(미도시)를 공급할 수 있다. 제1포장용기공급유닛(900)은 양념포장용기거치부(910)와 양념포장용기그립부(920) 및 양념포장용기개방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념포장용기거치부(910)는 양념포장용기를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다.
양념포장용기그립부(920)는 양념포장용기를 양념포장용기거치부(910)로부터 인출하여 양념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할 수 있다.
양념포장용기개방부(930)는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개구를 더욱 크게 개구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념포장용기그립부(9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양념포장용기개방부(930)는 조리양념을 공급하기 위해 양념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함으로써 조리양념생산유닛(600)에서 생산하는 조리양념을 주입할 수 있다.
참고로, 제1포장용기공급유닛(900)은 어느 한 떡볶이떡의 포장에 대응되는 하나의 조리양념이 수용된 어느 한 양념포장용기가 마련될 수 있으나, 어느 한 떡볶이떡의 포장에 복수의 조리양념이 각각 수용된 복수 개의 양념포장용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포장이 완료된 어느 한 떡볶이 제품에는 하나의 조리양념이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의 조리양념이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어느 한 떡볶이 제품에 하나의 조리양념이 각각 수용된 복수의 양념포장용기가 포함되고, 소비자로 하여금 떡볶이 제품의 양을 선택적으로 나누어 여러번 떡볶이 조리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제1포장유닛(1000)은 제1포장용기공급유닛(900)으로부터 공급되는 양념포장용기에 생산된 조리양념이 미리 정해진 양이 수용된 후 개구를 열압착하여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제4컨베이어유닛(1100)은 포장된 조리양념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유닛(1200)은 제2 및 제4컨베이어유닛(500, 1100)에 의해 이동된 미리 정해진 양의 떡볶이떡과 포장된 조리양념을 함께 배치하도록 운반할 수 있다.
제2포장용기공급유닛(1300)은 운반유닛(1200)에 의해 운반된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떡볶이떡을 수용가능하도록 떡포장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2포장용기공급유닛(1300)은 떡포장용기거치부(1310)와 떡포장용기그립부(1320) 및 떡포장용기개방부(1330)를 포함할 수 잇다.
떡포장용기거치부(1310)는 일측이 개구된 떡포장용기를 보관할 수 있다.
떡포장용기그립부(1320)는 떡포장용기를 떡포장용기거치부(131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떡포장용기그립부(1320)는 떡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할 수 있다.
떡포장용기개방부(1330)는 떡포장용기의 개구를 더욱 크게 개구시키기 위한 것으로, 떡포장용기그립부(132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떡포장용기개방부(1330)는 떡볶이떡을 공급하기 위해 떡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떡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떡볶이떡과 포장된 조리양념을 개구로 투입할 수 있다.
제2포장유닛(1400)은 떡포장용기에 수용된 떡볶이떡과 포장된 조리양념을 진공 포장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제2포장유닛(1400)은 떡포장용기의 개구된 부분을 열압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물질검사유닛(1600)은 금속감지부(1610)와 중량측정부(1620), 마킹수단(1630) 및 디스플레이수단(1640)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감지부(1610)는 제5컨베이어유닛(1500)에 의해 이동되는 제품 내부에 포함된 금속을 감지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620)는 제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중량측정부(16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떡볶이떡분산유닛(400)의 센서부(430)와 동일할 수 있다.
이물질검사유닛(1600)은 제5컨베이어유닛(15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금속감지부(1610)로부터 금속이 감지되거나 중량측정부(1620)로부터 미리 정해진 중량의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제품을 제외대상제품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마킹수단(1630)은 제외대상으로 설정된 제외대상제품에 마킹할 수 있다. 다만, 마킹의 종류는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수단과 방법 및 종류가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수단(1640)은 제외대상으로 설정된 제외대상제품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할 수 있다. 즉, 촬영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제외대상제품을 제거할 때까지 제외대상제품을 계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떡볶이떡동결유닛(1700)은 이물질검사유닛(1600)을 통과한 제품에 냉기를 부여하여 제품을 동결할 수 있다.
이때, 떡볶이떡동결유닛(1700)에 의한 동결조건은 -18℃이하에서 12시간이상 동결하고 품온을 -18℃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떡볶이떡동결유닛(1700)에 의해 동결된 제품을 묶어 제품세트로 포장하는 세트포장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떡볶이떡생산유닛 200 : 제1컨베이어유닛
300 : 떡볶이떡배출유닛 400 : 떡볶이떡분산유닛
410 : 호퍼부 420 : 떡볶이떡분산부
430 : 센서부 500 : 제2컨베이어유닛
600 : 조리양념생산유닛 700 : 제3컨베이어유닛
800 : 조리양념배출유닛 900 : 제1포장용기공급유닛
910 : 양념포장용기거치부 920 : 양념포장용기그립부
930 : 양념포장용기개방부 1000 : 제1포장유닛
1100 : 제4컨베이어유닛 1200 : 운반유닛
1300 : 제2포장용기공급유닛 1310 : 떡포장용기거치부
1320 : 떡포장용기그립부 1330 : 떡포장용기개방부
1400 : 제2포장유닛 1500 : 제5컨베이어유닛
1600 : 이물질검사유닛 1610 : 금속감지부
1620 : 중량측정부 1630 : 마킹수단
1640 : 디스플레이수단 1700 : 떡볶이떡동결유닛

Claims (5)

  1. 떡볶이용 가래떡을 반죽하여 사출하고 절단하며 냉각시켜 떡볶이떡을 생산하는 떡볶이떡생산유닛;
    상기 떡볶이떡생산유닛으로부터 생산된 상기 떡볶이떡을 이동시키는 제1컨베이어유닛;
    상기 제1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이동된 떡볶이떡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떡볶이떡배출유닛;
    상기 떡볶이떡배출유닛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떡볶이떡배출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떡볶이떡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존재하며 하측 외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배치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 주위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터리 형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호퍼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며 상기 떡볶이떡이 분산되며 분산된 상기 떡볶이떡의 무게를 계량하여 미리 정해진 중량이 될 때까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떡볶이떡을 분산배치가능한 떡볶이떡분산부, 및 상기 떡볶이떡분산부에 배치되는 상기 떡볶이떡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떡볶이떡분산유닛;
    분산된 상기 떡볶이떡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유닛;
    상기 생산된 떡볶이떡에 소비자가 직접 추가하여 떡볶이로 조리가능한 조리양념을 생산하는 조리양념생산유닛;
    상기 조리양념생산유닛으로부터 생산된 조리양념을 이동시키는 제3컨베이어유닛;
    상기 제3컨베이어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조리양념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조리양념배출유닛;
    상기 조리양념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양념포장용기를 공급하고, 상기 양념포장용기를 보관하는 양념포장용기거치부, 상기 양념포장용기를 상기 양념포장용기거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하는 양념포장용기그립부, 및 상기 양념포장용기그립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조리양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양념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양념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조리양념생산유닛에서 생산하는 조리양념을 주입가능하게 하는 양념포장용기개방부를 포함하는 제1포장용기공급유닛;
    상기 제1포장용기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양념포장용기에 생산된 상기 조리양념이 미리 정해진 양이 수용된 후 상기 개구를 열압착하여 진공 포장하는 제1포장유닛;
    포장된 상기 조리양념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4컨베이어유닛;
    상기 제2 및 제4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동된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떡볶이떡과 포장된 상기 조리양념을 함께 배치하도록 운반하는 운반유닛;
    상기 운반유닛에 의해 운반된 미리 정해진 양의 상기 떡볶이떡을 수용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떡포장용기를 공급하고, 상기 떡포장용기를 보관하는 떡포장용기거치부, 상기 떡포장용기를 상기 떡포장용기거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떡포장용기의 개구된 일단의 양측을 파지(把持)하는 떡포장용기그립부, 및 상기 떡포장용기그립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떡볶이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떡포장용기 외측 양측면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떡포장용기의 상단을 개방하는 떡포장용기개방부를 포함하는 제2포장용기공급유닛;
    상기 떡포장용기에 수용된 떡볶이떡과 포장된 조리양념을 진공 포장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제2포장유닛;
    상기 포장된 제품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제5컨베이어유닛;
    상기 제5컨베이어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제품 내부에 포함된 금속을 감지하는 금속감지부와, 상기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컨베이어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감지으로부터 금속이 감지되거나 상기 중량측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중량의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제품을 제외대상제품으로 설정하는 이물질검사유닛; 및
    상기 이물질검사유닛을 통과한 제품에 냉기를 부여하여 상기 제품을 동결하는 떡볶이떡동결유닛;
    을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유닛은,
    상기 제외대상제품에 마킹(marking)하는 마킹수단;
    을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유닛은,
    상기 제외대상제품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
    을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동결유닛에 의한 동결조건은 -18℃이하에서 12시간이상 동결하고 품온을 -18℃이하로 유지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동결유닛에 의해 동결된 제품을 묶어 제품세트로 포장하는 세트포장유닛;
    을 더 포함하는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KR1020210116749A 2021-09-02 2021-09-02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KR10238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49A KR102389032B1 (ko) 2021-09-02 2021-09-02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49A KR102389032B1 (ko) 2021-09-02 2021-09-02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032B1 true KR102389032B1 (ko) 2022-04-20

Family

ID=8139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749A KR102389032B1 (ko) 2021-09-02 2021-09-02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69B1 (ko) * 2022-08-11 2023-09-13 백진열 게장 포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07B1 (ko) * 2013-12-31 2014-05-16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식품 공급장치
KR101635822B1 (ko) 2014-07-01 2016-07-05 한일기기(주)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KR102082955B1 (ko) * 2019-06-07 2020-02-28 이준영 브리또 제조 장치
KR20210034845A (ko) * 2019-09-23 2021-03-31 이기철 외부공기 유입방지구가 형성되는 회전식 식품 진공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07B1 (ko) * 2013-12-31 2014-05-16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식품 공급장치
KR101635822B1 (ko) 2014-07-01 2016-07-05 한일기기(주)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KR102082955B1 (ko) * 2019-06-07 2020-02-28 이준영 브리또 제조 장치
KR20210034845A (ko) * 2019-09-23 2021-03-31 이기철 외부공기 유입방지구가 형성되는 회전식 식품 진공포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69B1 (ko) * 2022-08-11 2023-09-13 백진열 게장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46625B2 (en) Infant formula container
US6285918B1 (en) Weighing and packaging system
KR102389032B1 (ko) 떡볶이용 떡 포장 시스템
EP3615897B1 (en) An array of different types of metering scoops for dosing a consumer product
JP6664837B2 (ja) 搬送装置及び計量包装システム
JP5546421B2 (ja) 計量包装検査システム
EP3173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hilling substance
JP5289201B2 (ja) 計量包装システム
JP3413218B2 (ja) 農産物の設定個数取出し装置
JP3488069B2 (ja) 一列化されて搬送されるカップ入り即席麺へスープ、具類を供給充填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104379455B (zh) 包裹产品品质控制和包装方法、以及包裹产品品质控制和包装设备
JP6078404B2 (ja) 包装装置及び包装用プログラム
KR20210155513A (ko) 중량선별 배제장치
JP4509832B2 (ja) 計量包装検査システム
CN205837340U (zh) 一种用于生产线的称量机
CN108812807A (zh) 一种冷冻玫瑰饼及其制备方法
JP5895259B2 (ja) 計量機能を有する包装機
JPH0712630A (ja) 複数充填材料からなる製品の重量異常検出装置
JP2008102058A (ja) 計量包装システム
CN206739736U (zh) 储物盒及具有其的冰箱
JPH06106658A (ja) 手提袋群包装前チェック排除手段を備えた製袋包装箱詰一貫装置
CN108139412A (zh) 用于检测包装食品中微生物的设备和方法
CN109105731A (zh) 一种冷冻蜜瓜饼及其制备方法
JP2023500335A (ja) 固体原材料を補充及び移送するためのユニット
KR20200048079A (ko) 후처리 기능이 구비된 중량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