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722B1 -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722B1
KR102388722B1 KR1020150163349A KR20150163349A KR102388722B1 KR 102388722 B1 KR102388722 B1 KR 102388722B1 KR 1020150163349 A KR1020150163349 A KR 1020150163349A KR 20150163349 A KR20150163349 A KR 20150163349A KR 102388722 B1 KR102388722 B1 KR 10238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yer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527A (ko
Inventor
최종현
강기녕
김선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722B1/ko
Priority to US15/336,944 priority patent/US10609826B2/en
Priority to CN201611047913.4A priority patent/CN106782107B/zh
Publication of KR2017005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H01L27/3225
    • H01L51/0097
    • H01L51/5012
    • H01L51/5237
    • H01L51/5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면에 위치하는 커버층;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에 위치하는 하우징; 및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커버층, 및 상기 하우징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태블릿 PC, 게임기 등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 장치에 대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대화면化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를 평판 형태로 출시되는 제품이 증가하면서 표시 장치의 형태를 설계하는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표시 장치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대화면의 표시 장치는 한 손에 들기에는 그립감이 좋지 않고, 손에서 떨어뜨리기 쉽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립감이 향상되고,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면에 위치하는 커버층;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에 위치하는 하우징; 및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커버층, 및 상기 하우징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의 최소 직경은 10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경로에 있는 상기 커버층과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와 상기 관통홀 내부를 분리하는 임의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커버층을 통과하는 제1관통공; 상기 표시 패널을 통과하는 제2관통공;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제3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3관통공의 내주면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과 인접한 영역에 신호 입력 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입력 소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 상기 표시 패널의 제1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하부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과 인접한 영역에 신호 감지 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감지 소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 상기 표시 패널의 제1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하부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에 무선 충전 연결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충전 연결 단자 사이에 절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안착된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층;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영역을 봉지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부 위에 위치하는 투명 커버층; 상기 기판,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상기 봉지층, 상기 투명 커버층, 및 상기 하우징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층의 측면은 상기 봉지층으로 둘러싸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봉지층은 유기막과 무기막이 적어도 한 층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의 측면은 상기 무기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신호 입력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 소자는 버튼, 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신호 감지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감지 소자는 광 센서, 촉각 센서, 압각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 측벽에 무선 충전 연결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연결 단자를 커버하는 절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하고, 패턴의 미스-얼라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표시 장치(1)에 형성된 관통공(40)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를 한 손으로 잡는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표시 장치(1)의 관통공(40)을 이용하여 벽(W)에 설치된 고리(70)에 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관통공(4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관통공(4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관통공(40)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관통공(4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형성된 소자(P)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소자(P)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12b는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 휠(wheel)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13b는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 버튼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표시 장치의 관통공을 충전기의 연결 단자로 응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는 휴대 전화, 태블릿 PC, 게임기 등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커버층(10), 표시 패널(20)과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커버층(10), 표시 패널(20)과 하우징(30)을 동시에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40)을 구비한다.
표시 패널(20)은 기판(21)과, 기판(21) 위에 형성된 표시층(22)과, 표시 층(22)을 봉지하는 봉지층(23)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활성 영역(AA)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NA)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봉지층(23) 위에 커버층(10)이 위치하고, 기판(21) 측으로 하우징(30)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40)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경로(L) 상에 있는 커버층(10)과 하우징(30)에는, 손가락이 관통공(40)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1) 외부와 관통홀(40) 내부를 분리하는 임의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다. 비교 예로, 도 1 및 2에 도시된 스피커 포트(50)의 경우, 커버층(10)과 표시 패널(20)에는 관통공(51, 52)이 형성되어 있지만, 스피커 요소(53)가 배치된 하우징(3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하우징(30)에 의해 관통공의 경로가 차단된다.
관통공(40)은 커버층(10)을 통과하는 제1관통공(41)과, 표시층(22)을 통과하는 제2관통공(42)과, 하우징(30)을 통과하는 제3관통공(43)이 경로(L)를 따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제1관통공(41), 제2관통공(42), 및 제3관통공(43)의 내주면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관통공(40)은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 이상 들어 갈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공(40)의 최소 직경은 10 밀리미터(mm) 이상, 100 밀리미터(mm)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대형화되거나, 표시 장치(1)가 평판 형태로 제조될 경우, 표시 장치(1)를 한 손으로 잡아 지지하기가 어려워 진다. 즉 그립감이 불편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40)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1)에 대한 그립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표시 장치(1)에 형성된 관통공(40)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를 한 손으로 잡는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 포트(50)가 배치된 위치를 표시 장치(1)의 상단, 스피커 포트(50)가 배치된 반대 위치를 표시 장치(1)의 하단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표시 장치(1)의 좌하단에 위치하는 관통공(40)에 다섯 번째 손가락을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를 감싸 잡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표시 장치(1)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관통공(40)에 두 번째 손가락을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를 감싸 잡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표시 장치(1)의 하단 중앙에 위치하는 관통공(40)에 두 번째 손가락을 걸어서 표시 장치(1)를 잡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관통공(40)에 손가락만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W)에 설치된 고리(70)에 표시 장치(1)의 관통공(40)을 이용하여 거치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관통공(4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우하단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좌상단과 좌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d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e는 원형 형태의 표시 장치(2)의 중앙에 관통공(40)이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40)의 위치는 도 6a 내지 6e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관통공(4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관통공(40)이 타원형인 예, 도 7b는 관통공(40)이 정사각형에 가깝고 모서리가 라운드 된 형상인 예, 도 7c는 관통공(40)이 직사각형에 가깝고 모서리라 라운드 된 형상인 예, 도 7d는 관통공(40)이 육각형에 가까운 형상인 예 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40)의 형상은 도 7a 내지 7d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a 내지 도 8b는 관통공(40)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2개의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좌상단과 좌하단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2개의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좌하단과 우상단에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40)의 개수 및 위치는 도 8a 내지 8b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9a 내지 도 9b는 관통공(4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에 걸쳐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비활성 영역(NA)에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같이 관통공(40)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활성 영역(AA)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관통공(40)이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 내부에만 형성될 경우,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버튼, 휠, 스위치와 같은 신호 입력 소자나 광 센서, 촉각 센서, 압각 센서, 지문 인식 센서와 신호 감지 소자를 형성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활성 영역(AA)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관통공(40)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3)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활성 영역(AA)이 표시 장치(3)의 전면(front surface)에 형성된 제1활성 영역(AA1)과 표시 장치(3)의 측면(side surface)에 형성된 제2활성 영역(AA2)을 포함한다.
도 10에는 제2 활성 영역(AA2)이 표시 장치(3)의 일 측면에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활성 영역(AA2)은 표시 장치(3)의 다른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40)의 위치는 도 9a 내지 9b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층(10)은 표시 패널(20)에서 방출되는 이미지가 투과할 수 있도록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층(10)은 표시 패널(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층(10)의 표시 패널(20)의 전면(front)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3)와 같이 표시 장치(3)의 측면에 활성 영역이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3)의 측면에 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이 안착되는 하우징(30)은 하나의 바디(body)를 이루는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32) 또는 후방(33)의 일부가 다른 바디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우징(30)의 측면(32)의 두께를 표시 패널(20)의 두께와 커버층(10)의 두께를 합한 것과 동일하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30)의 측면(32)의 높이는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 하다.
하우징(30)은 표시 패널(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은 금속, 글라스, 세라믹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은 유리, 금속 또는 유기물 기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21)은 잘 휘어지거나 구부러지거나 접거나 돌돌 말 수 있도록 유연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21)은 초박형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21)은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기판(21)과 표시층(22) 사이에 배리어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배리어층(미도시)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기판(21)을 통하여 표시층(22)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리어층(미도시)은 금속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은 AlO3, SiO2,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이 단일막으로 형성되거나 다층막으로 적층 될 수 있다.
표시층(22)은 무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전자 잉크 요소, 액정 표시 장치 소자, 또는 다른 적절한 표시 픽셀(P) 구조로부터 형성된 픽셀(P)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층(22)은 제1전극(221), 제2전극(222) 및 중간층(223)을 포함한다.
제1전극(221)은 다양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전극(221)은 패터닝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전극(22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인듐옥사이드(indium oxide: In2O3),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 galium oxide: IG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luminium zinc oxide: AZO)과 같은 투명도전성산화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221)은 은(Ag) 또는 은 합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23)은 유기 발광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223)은 유기 발광층과 함께,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222)은 다양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전극(222)은 리튬(Li), 칼슘(Ca), 불화리튬(Li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또는 은(Ag)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함유하는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222)은 커버층(10)으로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도록 절절한 투과율을 갖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222) 위에 봉지층(23)이 위치한다.
봉지층(23)은 복수의 무기층들로 만들어 지거나, 유기층과 무기층이 적어도 한층 이상 혼합되어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23)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23)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층(23)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층(22)과 상기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상기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 또는 플라즈마 증착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표시층(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봉지층(23)은 표시층(22) 상면을 봉지할 뿐만 아니라, 관통공(40)이 형성된 영역에서 관통공(40) 내주면과 인접하는 표시층(22)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1참조).
이때, 표시층(22)의 측면을 둘러싸는 최외각 봉지층(23)은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층(23)의 구조는 표시 장치(1) 외부의 산소나 수분과 같은 불순물이 표시 패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1a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공(40)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소자(P)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a은 관통공 주변 테두리 영역(45) 상부에 소자(60)를 형성한 예들 도시한 도면이다.
소자(60)는 광 센서, 음향 센서, 촉각 센서, 압각 센서, 지문 인식 센서와 신호 감지 소자일 수 있고, 버튼, 휠, 스위치와 같은 신호 입력 소자일 수 있다.
도 11b는 테두리 영역(45)의 상부에 소자(6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c는 테두리 영역(45)의 하부에 소자(6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d는 테두리 영역(45)의 관통공(40) 내주면에 소자(6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b와 같이 테두리 영역(45)의 상부에 소자(60)를 형성할 시, 표시 장치(1)의 커버층(10)에 소자(P)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자(P)는 봉지층(23)과 커버층(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자(P)는 커버층(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e는 소자(P)가 제1전극(61) 및 제2전극(62)으로 구성된 용량소자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용량 소자는 정정용량 방식, 저항용량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1e와 같이 테두리 영역(45)의 상부에 소자(60)를 용량소자로 형성할 시, 표시 장치의 커버층(10)에 제1전극(61)과 제2전극(6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e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인 제3전극(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61)과 제2전극(62)은 봉지층(23)과 커버층(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소자(P)들을 관통공(40) 주변의 테두리 영역(45)에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활성 영역(AA)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디자인 설계가 가능하고, 이러한 소자(P)들을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a는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 휠(wheel)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b는 단면도이다.
휠(46)을 회전하여 소정의 신호를 표시 장치(1)에 입력할 수 있는데, 도 12b와 같이 물리적인 회전을 인가 받아 회전이 가능한 휠(46)을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물리적인 휠(46) 부재에 터치에 의한 센싱을 할 수 있는 감지 소자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13a는 관통공 주변 테두리에 버튼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b는 단면도이다.
버튼(47)에 압력을 인가하여 소정의 신호를 표시 장치(1)에 입력할 수 있는데, 도 13b와 같이 물리적인 압력을 인가 받아 상하 운동이 가능한 버튼(47)을 관통공 테두리 영역(45)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물리적인 버튼(47) 부재에 터치에 의한 센싱을 할 수 있는 감지 소자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표시 장치(1)의 관통공(40)을 충전기(80)의 연결 단자로 응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최근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유도 코일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유도 코일부는 표시 장치 내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늘어나기 때문에 슬림(slim)한 디자인을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충전기(80)의 돌출부(83)에 제1 유도 코일부(82)를 설치하고, 표시 장치(1)의 관통공(40)의 테두리 영역(45)에 제2 유도 코일부(81)와 같은 무선 충전 연결 단자를 형성하고, 돌출부(83)를 관통공(40)에 삽입하여 표시 장치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40)에 제2 유도 코일부(81)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의 슬림 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80)의 돌출부(83)를 관통공(40)에 삽입하여 충전을 하는 독특한 방식이 사용자의 흥미를 끌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의 테두리 영역(45)에는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는 제2 유도 코일부(81)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제1 유도 코일부(82)와 제2 유도 코일부(81)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커버층
20: 표시 패널
21: 기판
22: 표시층
23: 봉지층
30: 하우징
40: 관통공
41: 제1관통공
42: 제2관통공
43: 제3관통공
50: 스피커 포트
60: 소자
70: 고리
80: 충전기

Claims (21)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표시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을 봉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면의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커버층;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의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하우징;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기판, 상기 표시층, 상기 봉지층, 상기 커버층, 및 상기 하우징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표시층의 상면 및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표시층의 측면을 둘러싸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통과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통과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최소 직경은 10mm 이상, 100mm 이하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경로에 있는 상기 커버층과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외부와 상기 관통공 내부를 분리하는 임의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커버층을 통과하는 제1관통공;
    상기 표시 패널을 통과하는 제2관통공;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제3관통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3관통공의 내주면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인접한 영역에 신호 입력 소자가 더 구비된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 소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 상기 표시 패널의 제1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하부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인접한 영역에 신호 감지 소자가 더 구비된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 소자는,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 상기 표시 패널의 제1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상부 테두리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면에 가까운 상기 관통공의 하부 테두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에 무선 충전 연결 단자가 더 구비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주면과 상기 충전 연결 단자 사이에 절연부재가 더 구비된 표시 장치.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안착된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층;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을 봉지하고, 적어도 한 층 이상의 유기층과 무기층을 포함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투명 커버층;
    상기 기판,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상기 봉지층, 상기 투명 커버층, 및 상기 하우징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층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의 상면 및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신호 입력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 소자는 버튼, 휠,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신호 감지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감지 소자는 광 센서, 촉각 센서, 압각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 측벽에 무선 충전 연결 단자가 더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연결 단자를 커버하는 절연부재가 더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163349A 2015-11-20 2015-11-20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8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49A KR102388722B1 (ko) 2015-11-20 2015-11-20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5/336,944 US10609826B2 (en) 2015-11-20 2016-10-28 Display apparatus having a full-thickness through hole
CN201611047913.4A CN106782107B (zh) 2015-11-20 2016-11-21 具有全厚度的通孔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49A KR102388722B1 (ko) 2015-11-20 2015-11-20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527A KR20170059527A (ko) 2017-05-31
KR102388722B1 true KR102388722B1 (ko) 2022-04-21

Family

ID=5872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349A KR102388722B1 (ko) 2015-11-20 2015-11-20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09826B2 (ko)
KR (1) KR102388722B1 (ko)
CN (1) CN1067821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208B1 (ko) 2016-06-28 2023-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03962B1 (ko) 2016-09-02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83646B1 (ko) 2017-08-11 2020-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83315B1 (ko) 2017-09-11 2020-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0926B1 (ko) * 2017-12-27 2023-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이 가능한 표시 장치
USD933654S1 (en) * 2017-10-13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658332A (zh) * 2017-10-25 2018-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CN107786696A (zh) * 2017-12-13 2018-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幕及移动终端
KR20190108212A (ko) 2018-03-13 2019-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D914024S1 (en) * 2018-03-26 2021-03-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for telephone
US11201307B2 (en) * 2018-04-17 2021-1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2106203A (zh) * 2018-05-08 2020-1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移动终端
USD971211S1 (en) * 2018-07-23 2022-1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10541380B1 (en) 2018-08-30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comprising an opening and adjacent grooves
KR102608021B1 (ko) * 2018-09-03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30163A (ko) 2018-09-11 2020-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41420A (ko) 2018-10-11 2020-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601689B1 (ko) 2018-10-12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00051075A (ko) 2018-11-02 2020-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3634B1 (ko) 2018-12-04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91050A (ko) 2019-01-21 2020-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8212A (ko) 2019-03-08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09801956A (zh) * 2019-03-13 2019-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200120794A (ko) * 2019-04-11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20200145902A (ko) 2019-06-19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10002232A (ko) 2019-06-28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10005446A (ko) 2019-07-05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0778A (ko) * 2019-07-19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00526B (zh) * 2019-09-30 2021-08-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52729A (ko) 2019-10-30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2749A (ko) 2019-10-31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가 기기
KR20210113519A (ko) 2020-03-06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72947A (ko) 2020-11-25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4475A (ja) * 2008-07-02 2010-01-21 Casio Comput Co Ltd 指針盤用発光パネル及び指針盤用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CN103235637A (zh) * 2013-04-15 2013-08-07 李铁 一种便于单手拿持的智能终端
CN103997085A (zh) * 2014-05-06 2014-08-20 昆山佑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散热型无线充电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9927B2 (en) 2002-08-01 2004-05-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hadow mask array
KR100595446B1 (ko) 2004-01-19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367480B2 (ja) * 2006-11-28 2009-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759577B1 (ko) 2010-08-23 2017-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셀 tsp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구조
KR200454155Y1 (ko) 2011-04-27 2011-06-17 최동일 휴대폰 장착기구
US8922206B2 (en) 2011-09-07 2014-12-30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ing element combining a circular vertical hall magnetic field sensing element with a planar hall element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US8947627B2 (en) * 2011-10-14 2015-02-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openings
KR20140022584A (ko) 2012-08-14 2014-02-25 서재홍 스마트 ir 입력장치
US20140061610A1 (en) * 2012-08-31 2014-03-06 Hyo-Young MU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915084A (zh) 2012-10-09 2013-02-06 李铁 一种便于握持的平板电脑
KR101424519B1 (ko) * 2012-11-14 2014-08-01 윤성진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52075B1 (ko) * 2013-03-28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81328B1 (ko) 2013-12-27 2020-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우스기능을 갖는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00716B1 (ko) * 2014-08-26 2019-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6069B1 (ko) * 2015-07-29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4475A (ja) * 2008-07-02 2010-01-21 Casio Comput Co Ltd 指針盤用発光パネル及び指針盤用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CN103235637A (zh) * 2013-04-15 2013-08-07 李铁 一种便于单手拿持的智能终端
CN103997085A (zh) * 2014-05-06 2014-08-20 昆山佑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散热型无线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527A (ko) 2017-05-31
CN106782107A (zh) 2017-05-31
US10609826B2 (en) 2020-03-31
US20170150618A1 (en) 2017-05-25
CN106782107B (zh)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722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826641B2 (ja) 表示装置
US11003006B2 (en) Touch input device
JP6496421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含む圧力検出可能なタッチ入力装置
JP2020074239A (ja) 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TWI581140B (zh) 觸控面板及包含其之觸控裝置
JP2017097345A (ja) 電子機器
US9335855B2 (en) Top-emitting OLED display having transparent touch panel
EP3082166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043336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80232092A1 (en) Touch input device
TWI748466B (zh) 資料處理裝置
JP2015228366A (ja) 発光装置及び入出力装置
US11024653B2 (en) Display device
CN110023891B (zh) 压力触控结构、压力触控面板、显示装置
JP2017049995A (ja) 圧力感度調節が可能な圧力検出器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入力装置
EP3936984A1 (en) Digitiz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094766A1 (en) Touch module, touch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928733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90204959A1 (en) Touch input device
JP737659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2124543A1 (ja) 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102262549B1 (ko) 터치 패널
KR101895594B1 (ko)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JP2014048675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