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58B1 -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58B1
KR102388158B1 KR1020210079752A KR20210079752A KR102388158B1 KR 102388158 B1 KR102388158 B1 KR 102388158B1 KR 1020210079752 A KR1020210079752 A KR 1020210079752A KR 20210079752 A KR20210079752 A KR 20210079752A KR 102388158 B1 KR102388158 B1 KR 10238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xing
unit
presen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세길
양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새
Priority to KR102021007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58B1/ko
Priority to PCT/KR2022/095108 priority patent/WO20222710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35Elect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92Surface coating material o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된 필터부를 프레임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거쳐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부 및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포함하는 필터부(10), 및 상기 필터부(10)를 수납하는 프레임부(20)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청정 또는 환기에 사용되는 주름진 형태의 필터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최소한의 면적에만 필터부 고정용 도포부를 적용하여 필터의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켜 필터의 청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부의 휨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Filter for air cleaner and ventilation,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름진 형태를 가지는 필터 부재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공기 청정 및 환기 효능을 향상시킨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대기 오염, 황사, 미세 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실내 및 실외공기의 심각한 오염을 수반하였으며, 이렇게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사용은 이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필수가 되었다.
현재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미세먼지 필터는 대부분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방식으로 제조된 정전필터를 많이 사용하여 왔다. 멜트 블로잉(Melt blowing) 방식은 부직포 섬유 제조 시에 정전하를 부가하거나 또는 정전하가 부가된 고분자 필름을 섬유화한 후에 다시 부직포화하여 제조되며, 부직포형 에어필터의 포집기구들 외에 정전기력에 의한 포집기구가 추가되어 여과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 여과 성능이 좋기 때문에 지금까지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공기청정 필터들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필터 원단을 주름진 형태로 만든 필터 부재를 필터 프레임에 고정시켜 제조된다. 그런데, 통상 일정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필터 부재가 길어지면 필터 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층이 완전히 두껍지 않은 이상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필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들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필터 부재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도 3과 같이 다층 구조의 원단 제조하여 제조된 필터부재(210)를 제조하고, 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로 절곡 가공시킨 다음, 상기 주름진 필터부재(210)을 평평하게 펼친 상태에서 핫-멜트를 이용하여 필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팅(211)시켜 상기 필터부재(210)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방법의 경우, 핫-멜트 코팅(211, 주름진 형태의 절곡을 따라 핫-멜트 코팅이 이어진 상태)은 다음 도 3과 같이 필터부재(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씩 일정하게 반복되어 필터부재(2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은 우수할 수 있으나, 필터 고유의 특성인 오염물질의 여과 면적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압력 손실이 높아지고, 바람의 통과율이 적어져 필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10-0893478(특허문헌 1)에서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포함된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100)는 돌출부(112)와 함몰부(12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도록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절곡 구조이고,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예각을 갖는 모서리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공기 중의 황사 또는 산화황이나 산화질소 화합물을 포집 제거하기 위한 알루미노 케이산 아연 코팅층(120)이 형성된 필터모듈(도 1 참조)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2005-205253(특허문헌 2)에서는 전후면이 통기용으로 개구한 직사각형 틀 1에 부직포를 주름형에 절곡한 여과재 2를 수납하고, 에어가 유출되는 여과재 2 후면측에서 복수의 평판형 빗살 스태빌라이저 3을 주름과 직교 방향으로 장착하고 에어가 유입하는 여과재 2의 전면측의 각 정상부를 3개의 핫멜트 수지조 4에서 접착해 주름과 직교 방향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도 2 참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필터부재를 휘어지지 않도록 안정하게 고정하는 역할은 물론 필터 효율도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부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0893478 일본공개특허 2005-205253
본 발명에서는 공기청정 또는 환기에 사용되는 주름진 형태의 필터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최소한의 면적에만 필터부 고정용 도포부를 적용하여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켜 필터 청정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필터부의 휨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부 및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수납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는 상기 필터부의 주름진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지지층,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활성탄층/지지층, MB 정전필터층/스크림층/활성탄층/지지층, 및 스크림층/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활성탄층/지지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은 중량 10~40g/㎡인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지지층은 중량 50~120g/㎡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상기 활성탄층은 중량 10~250g/㎡인 카본이고, 상기 스크림층은 중량 5~30g/㎡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된 필터부를 프레임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는 상기 필터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청정 또는 환기에 사용되는 주름진 형태의 필터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최소한의 면적에만 필터부 고정용 도포부를 적용하여 필터의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켜 필터의 청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부의 휨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변경된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필터 사용시 통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압력 손실을 줄여 공기 청정기 및 환기용 필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필터 모듈 도면이고,
도 2는 특허문헌 2에 따른 에어 필터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핫멜트 코팅층이 필터부재 전체에 코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된 사진(a)과 종래 핫멜트 코팅층이 필터부재 전체에 코팅된 사진(b)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되는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 내지 9는 각각 비교예 1과 실시예 1, 비교예 2와 실시예 2, 및 비교예 3과 실시예 3의 청정화능력 측정 결과이고,
도 10 내지 12는 각각 비교예 1과 실시예 1, 비교예 2와 실시예 2, 및 비교예 3과 실시예 3의 압력손실 측정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100)를 설명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11)을 포함하는 필터부(10), 및 상기 필터부(10)를 수납하는 프레임부(2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필터부(10)는 실제로 오염된 공기를 세정하여 깨끗한 공기로 청정하거나,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2층 이상의 원단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지지층,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활성탄층/지지층, MB 정전필터층/스크림층/활성탄층/지지층, 및 스크림층/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활성탄층/지지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를 구성하는 멜트 브로운(Melt blown, MB) 정전필터층은 중량 10~40g/㎡인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10)를 구성하는 지지층은 중량 50~120g/㎡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층은 중량 10~250g/㎡인 카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림층은 활성탄층과 같이 절곡 가공시 MB 정전필터층이 파손되어 활성탄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량 5~30g/㎡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필터부(10)는 소정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프레임부(20)에 수납되게 되며, 상기 주름 간격은 최종 제조되는 공기 청정기 필터 및 환기용 필터의 크기 및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다음 도 5 (a)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부(10)가 주름진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11)을 포함하는 데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정화시켜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의 여과 면적을 최대로 늘려 압력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바람이 잘 통할 수 있어 필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10)의 고정을 위한 필터 고정용 도포부(11)가 도포되는 도포 면적을 최소화시키면서 필터부(10)가 휘지 않도록 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소정의 원단을 이용하여 필터부(10)를 제조하고, 상기 필터부(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도록 절곡 가공시킨 다음, 상기 주름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름진 형태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의 일부 면에만 필터 고정용 도포부(11)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과 같이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도포시키는 경우, 다음 도 5(a)의 우측 사진,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는 주름진 형태로 절곡된 필터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름을 형성하는 삼각형 모양의 꼭지 부분에만 도포부가 형성된다.
이는 다음 도 5 (b)에서와 같이 종래 방법으로 형성된 핫-멜트 코팅층(211)이 필터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한 줄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경우와는 그 도포 면적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방법에서는 상기 핫-멜트 코팅층(211)이 본 발명과 같이 필터부의 주름을 형성하는 삼각형 꼭지점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주름진 형태를 따라 계속 이어져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여과를 담당하는 필터부의 실제 여과 면적을 계산해 보면, 본 발명과 같은 구조를 가질 때 그 여과 면적은 종래 방법에 비해 월등히 커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는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공지된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환기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키는 단계, 상기 필터부 제조용 원단을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도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된 필터부를 프레임부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필터부(10)에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도포시킬 때, 주름진 형태로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본 발명과 같이 최소의 면적에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형성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며, 종래와 같이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지 않고 이를 편 상태에서 도포하게 되면 필터에 필요한 유효 여과 면적이 줄어들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라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주름진 형태로 절곡 가공시킨 다음, 이를 주름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음 도 6과 같이 필터부를 세운 상태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도포시킨다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다음 도 3의 종래 방법과 같이 주름진 형태를 다시 펴서 도포시키는 것과는 반대되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절곡 가공시킨 형태를 유지하면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형성시키게 되면, 다음 도 5(b) 및 6에서와 같이 실제로 주름이 있는 꼭대기(삼각형 부분)에만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되게 되어 필터부를 펼치게 되면 상기 주름이 있는 꼭대기(삼각형 부분)를 제외한 부분에는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는 종래 도 3의 방법으로 핫-멜트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부의 경우 다음 도 5(b)에서와 같이 필터부를 펼치더라도 상기 핫-멜트 코팅층이 주름이 있는 꼭대기(삼각형 부분)를 제외한 부분에서도 모두 형성된 것과는 상이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11)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필터부를 필터 프레임부에 수납시킨 다음에 수행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 프레임부(20)는 PET 부직포를 압착시켜 상기 필터부(10)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프레임부(20)의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2 : 공기 청정기 필터 제조
지지층/활성탄층/MB 정전필터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필터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지지층은 중량 70g/㎡, 두께 0.4mm인 저융점 바인더 섬유(LM-PET)를 이용하여 통기도 420㎤/㎠/sec, MD 인장강도 12kg, MD 인장신율 30%인 PET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활성탄층은 중량 80g/㎡인 카본을 이용하여 Scattering 방식으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MB 정전필터층은 중량 30g/㎡인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하여, 평균 기공 크기(average pore size) 10㎛, 통기도 30㎤/㎠/s, 평량 110gsm, 차압 28Pa, 필터 효율 99.980%인 정전처리된 두께가 약 0.5mm로 제조된 PP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상기 각 층은 폴리올레핀 핫-멜트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필터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필터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서(절곡 가공시켜) 다음 표 1과 같은 주름 수(산)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주름이 형성된 필터 부 상부에 폴리올레핀계 핫 멜트를 이용하여 필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다음 도 6과 같이 형성시켰다.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코팅된 필터부를 PET 부직포를 압착시켜 제조된 필터 프레임부를 부착시켜, 다음 표 1의 모듈 크기를 가지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필터부를 이용하되, 필터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서(절곡 가공시켜) 주름을 만들기 전에 상기 필터부를 평평하게 핀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음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필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라인에 걸쳐 폴리올레핀계 핫 멜트층을 도포시켰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간격의 주름을 가지도록 절곡 가공시키고, 프레임부를 부착시켜 비교예 1~2에 따른 공기 청정기용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교예 3 : 공기 청정기 필터 제조
MB 정전필터층/스크림층/활성탄층/지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의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필터부를 제조하였다. 필터부를 구성하는 MB 정전필터층, 활성탄층, 지지층은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스크림층은 중량 10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필터부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나머지 과정은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3은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예 1 : 필터 청정화능력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 필터의 청정화능력(CADR)을 SPS-KACA 002-0132:2018 방식에 따라 시험 챔버 규격 8㎥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도 7 내지 9에 나타내었다.
청정화능력(㎥/min) 필터 모듈
1차 2차 3차 주름 수 (산) 모듈규격
실시예 1 5.46 5.38 5.28 52 381*313*35T
비교예 1 5.02 5.15 -
실시예 2 5.59 5.66 5.95 78
비교예 2 5.53 5.25 -
실시예 3 5.45 5.31 5.31 78
비교예 3 5.04 5.30 5.04
상기 표 1과 다음 도 7 내지 9의 결과를 참조하면,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필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라인 전체에 걸쳐 핫-멜트 코팅층을 형성시켜 제조된 비교예 1~3에 따른 필터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1~3과 같이 필터부의 상부 일부에만 형성시킬 때 청정화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본 발명과 같은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필터부의 최소 면적에만 형성시킴으로써 필터의 여과면적을 더 활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터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2 : 필터 압력손실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 필터의 압력손실 변화치를 KS B 6141 방식에 따라 시험 챔버 규격 8㎥, 풍동 평가 4~6CMM 기준에서 2회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와 도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압력손실(mmAq) 필터 모듈
1차 2차 주름수
(산)
모듈규격
4CMM 5CMM 6CMM 4CMM 5CMM 6CMM
실시예 1 3.70 4.70 5.70 3.70 4.60 5.70 52 381*313*35T
비교예 1 4.30 5.40 6.50 4.30 5.40 6.50
실시예 2 3.10 3.90 4.90 3.20 3.90 4.80 78
비교예 2 3.30 4.40 5.10 3.40 4.30 5.20
실시예 3 2.80 3.60 4.50 2.90 3.70 4.60 78
비교예 3 3.40 4.30 5.50 3.50 4.30 5.30
상기 표 2와 도 10 내지 12의 결과를 참조하면, 종래 방식으로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필터보다 본 발명 실시예 1~3에 따른 필터에서의 압력손실이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필터부의 일부에만 최소한의 면적으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형성시켜 제조된 필터는 종래 방법에 비해 필터부의 여과 면적을 극대화시켜 필터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필터부가 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중량 30g/㎡인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MB 정전필터층/중량 10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스크림층/중량 80g/㎡인 카본을 이용한 활성탄층/중량 70g/㎡, 두께 0.4mm인 저융점 바인더 섬유(LM-PET)를 이용하여 통기도 420㎤/㎠/sec, MD 인장강도 12kg, MD 인장신율 3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만 이루어진 지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주름진 형태의 꼭대기(삼각형 부분)에만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폴리올레핀 핫 멜트를 이용하여 필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필터 고정용 도포부를 포함하여 필터부를 펼치게 되면 상기 주름이 있는 꼭대기(삼각형 부분)를 제외한 부분에는 필터 고정용 도포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여과면적을 넓히고 필터부의 휨을 방지하도록 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수납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및 환기용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SPS-KACA 002-0132:2018 방식에 따라 시험 챔버 규격 8㎥에서 측정한 청정화능력(CADR)이 5.30㎥/min 이상이고,
    KS B 6141 방식에 따라 측정한 압력손실 값은 각각 풍동 평가 4CMM 기준에서 2.90mmAq 이하, 5CMM 기준에서 3.70mmAq 이하, 6CMM 기준에서 4.60mmAq 이하의 값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및 환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고정용 도포부는 상기 필터부의 주름진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포되어 상기 필터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형성시키는 것인 공기 청정기 및 환기용 필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79752A 2021-06-21 2021-06-21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KR10238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52A KR102388158B1 (ko) 2021-06-21 2021-06-21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PCT/KR2022/095108 WO2022271000A1 (ko) 2021-06-21 2022-06-20 공기 청정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52A KR102388158B1 (ko) 2021-06-21 2021-06-21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158B1 true KR102388158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752A KR102388158B1 (ko) 2021-06-21 2021-06-21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8158B1 (ko)
WO (1) WO2022271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1000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한새 공기 청정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253A (ja) 2004-01-20 2005-08-04 Akushii:Kk エアフィルタ
JP2008246389A (ja) * 2007-03-30 2008-10-16 Nitta Ind Corp 濾材交換型エアフィルタ
KR100893478B1 (ko) 2007-05-29 2009-04-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황사 또는 유해 먼지 제거 필터 모듈
KR20100024411A (ko) * 2007-06-11 2010-03-05 블뤼허 게엠베하 통합된 입자- 및/또는 연무질-여과 기능을 갖는 흡착 여과 재료 및 그것의 용도
KR20100104833A (ko) * 2009-03-19 2010-09-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산간 유로가 확보된 고유량 절곡형 카트리지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3021B1 (ko) * 2020-09-21 2021-03-29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캐빈 에어필터 미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에어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520A (ja) * 2014-06-17 2016-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フィルター、プリーツ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2075662B1 (ko) * 2019-10-22 2020-02-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필터
KR102388158B1 (ko) * 2021-06-21 2022-04-19 주식회사 한새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253A (ja) 2004-01-20 2005-08-04 Akushii:Kk エアフィルタ
JP2008246389A (ja) * 2007-03-30 2008-10-16 Nitta Ind Corp 濾材交換型エアフィルタ
KR100893478B1 (ko) 2007-05-29 2009-04-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황사 또는 유해 먼지 제거 필터 모듈
KR20100024411A (ko) * 2007-06-11 2010-03-05 블뤼허 게엠베하 통합된 입자- 및/또는 연무질-여과 기능을 갖는 흡착 여과 재료 및 그것의 용도
KR20100104833A (ko) * 2009-03-19 2010-09-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산간 유로가 확보된 고유량 절곡형 카트리지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3021B1 (ko) * 2020-09-21 2021-03-29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캐빈 에어필터 미디어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에어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1000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한새 공기 청정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1000A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8280B1 (en) Composite fil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81864B1 (ko)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미립자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매질
KR101248677B1 (ko) 기체 기류로부터 미립자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매질
EP2620205B1 (en) Waved filter media
US8491689B2 (en) Joined filter media pleat packs
US6254653B1 (en) Pleated fluid filter medium blend
US8257459B2 (en) Waved filter media and elements
KR100982235B1 (ko) 폴리올레핀 단섬유로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구성된정전필터층을 포함하는 에어필터
EP1374968B1 (en) Filter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filter using said element
KR102270152B1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척가능한 미세먼지필터 모듈
EP1790406B1 (de) 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A2765885A1 (en) Pleated filter with tridirectional scrim
ZA200208206B (en) Composite fil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388158B1 (ko) 공기 청정기용 및 환기용 필터와 이의 제조방법
JPH08120552A (ja) 複合繊維不織布
CN204799068U (zh) 包括具有三层的褶式空气过滤介质的框架式褶式空气过滤器
WO1993012862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fluids
JP7356971B2 (ja) フィルタ濾材と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ユニット
CA2453247A1 (en) A filter and a method for making a filter
KR20000023673A (ko)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
CN115803095A (zh) 过滤器组合件和具备该过滤器组合件的空气过滤器
JP2004209470A (ja) エアフィルターろ材、エアフィルターおよび洗浄再生フィルター
KR102621800B1 (ko) 나노 섬유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E10020091C1 (de) Filtermaterial
JP3362549B2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