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673A -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 - Google Patents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673A
KR20000023673A KR1019997000130A KR19997000130A KR20000023673A KR 20000023673 A KR20000023673 A KR 20000023673A KR 1019997000130 A KR1019997000130 A KR 1019997000130A KR 19997000130 A KR19997000130 A KR 19997000130A KR 20000023673 A KR20000023673 A KR 2000002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onwoven
fabric
micro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874B1 (ko
Inventor
융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잉게 융
이레마-필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게 융, 이레마-필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잉게 융
Publication of KR2000002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finene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7Spun-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54Suppor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91Other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30Porosity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305Porosity decreasing in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 필터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름잡힌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필터 정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층은 그라마지 범위가 70g/㎡ 에서 200g/㎡, 바람직하게는, 110g/㎡ 에서 150g/㎡ 이며, 그 두께가 0.7 에서 1.5㎜ 이고, 섬유 두께가 2 에서 20㎛, 평균적으로 3에서 5㎛ 인 자기지지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의 단일층형태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PARTICLE FILLTER IN THE FORM OF A PLEATED NONWOVEN LAYER}
전통적으로, 자동차 내부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디자인이 사용되었다.
한 방법으로, 부직포 섬유가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망사 지지 시트에 의해 주름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스펀본디드(spunbonded)직물 또는 종이 케리어상에 놓여지고, 초음파점 또는 고용융점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소위 멜트브로운(meltbolwns)이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지지층이 없는 유일한 형태의 필터는 평평하고 주름이 없거나 필터 용기에 삽입될때 주름잡히지 않을 수 있는 소위 석질이다.
주름이 잡혀야 하는 모든 필터 재료는 실제로 사용될때 주름진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자체로서 일정한 강도를 보통 가져야 하는데, 이것이 종래에 이러한 부직포가 엷은 조각으로 잘리고, 지지층과 결합하는 이유이다.
상기 언급된 멜트브로운과 부직포 섬유는 고체성이 너무 적거나, 그 자체로 적절하게 오래 견디는 주름을 보장하기에는 너무 부드럽다.
지지층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 효율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멜트브로운 지지를 위한 스펀본디드 섬유의 비용이 합성물 전체 비용의 70%에 달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부직포 섬유용 망사 시트의 비용은 20%정도이지만, 전체 비용은 상기 언급한 디자인의 경우에서보다 훨씬 더 높다.
지지 소자는 기계적 안정성을 위하여 사용하지만, 여과 기술면에서는 실제로 무용하다. 스펀본디드 섬유는 5㎛ 이하범위의 입자만을 보유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입자들이 프리필터로 지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크기의 입자들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난방 챔버 또는 조절 챔버에 도달하기 전에 쌓인다. 더우기, 부직포 또는 망사 시트를 추가하는 것은 전체 얇은 합성물의 압력강하가 30%정도에 달할 정도로 증가하는 것을 항상 수반하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이것은 최근의 자동차가 정확하게 계산된 에너지 분배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난방/통풍/조절에 제한된 양의 에너지만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 부품 비용은 한정된 범위내에서 고려된다. 다른 한편, 장비의 편리성과 안정성에 대한 자동차 구매자의 요구는 더욱더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서, 가능한 압력 강하가 적은 입자 필터가 특히 필요하며, 저압은 소형의 통풍 모터를 수반하므로, 따라서, 에너지 소비가 작다. 더우기, 저차동 압력은 또한 일정량의 자동차내부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환풍기의 소음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 구동 편리성이 증가한다.
저차동 압력의 필터 시스템의 요구조건은 요구 여과력과 요구 사용 수명, 즉 필터가 교체될 필요가 있기 전에 자동차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총마일수에 대한 기간과 관련된다.
자동차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중에서 꽃가루만을 여과시키는 꽃가루 필터는 알레르기성 사람들에게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람들의 면역 시스템이 반응하는 알레르겐은 단백질이며, 이 단백질의 직경은 꽃가루 직경의 소부분일 뿐이다. 이들은 소위 MPPS(Most Pene-trating Particle Size) 인 입자 필터에서 가장 문제되는 범위에 있는 0.1㎛ 크기내에 있다. 결과적으로, 알레르기성 사람들을 위한 해결책은 적어도 50%의 여과력을 가져야만 하는데, 이러한 여과력은 입자가 예를 드면 NaCl 과 거의 같은 밀도를 가진 에어러졸에 의해 측정된다.
이러한 자동차 필터를 구성하는 것은 30,000 킬로미터의 사용 수명을 얻고자 하는 의도이다.
상기의 이론에 따라, 섬유들이 그 자체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서 주름이 잡혀 질 수 있는, 부직포 섬유과 멜트브로운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직포 섬유 직물은 열에 의해서 또는 접합재에 의해서 안정해지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차동 압력을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높은 배기율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멜트브로운 직물이 예를 들면, 자동차 내장 필터 박스에 사용되기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만들어지기 위하여, 130 g/㎡ 이상의 그라마지(grammage)가 얻어져야 한다. 멜트브로운 섬유의 직경은 거의 2㎛ 범위내에 있다. 주어진 그라마지와 섬유 직경에 의해, 수용 불가능한 차동 압력이 예측되어야 한다.
본 발며의 목적은 낮은 차동 압력과 긴 사용 수명으로서 비용 효율적 생산성 및 공정성을 모두 성취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필터 정렬 형태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필터는 이를 테면 공기의 순환 필터로 사용되고, 특히 자동차 내장 필터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형태의 필터를 제조할때, 층들내에 놓인 재료는 주름이 잡히는데, 즉, 콘서티나-형(concertina-type)의 주름으로 정렬되고, 이 주름들 서로간의 거리는 위에 고착된 가장자리 조각에 의해서 또는 프레임내에 조여짐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정된다. 그 다음에, 이러한 디자인의 필터는 교체를 위하여 필터 프레임내에 삽입된다.
도 1 은 마이크로-스펀본딩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스펀본디드 섬유의 경우에 섬유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는 이론의 도면.
도 2 는 유출측상의 부직포 섬유 정렬의 도면.
도 3 은 유입측상의 부직포 섬유 정렬의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잡힌 부직포를 프레임내에 포함한 필터 정렬 투시도.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의 목적은 그라마지 범위가 70g/㎡ 에서 200g/㎡,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g/㎡ 이며, 그 두께가 0.7 에서 1.5㎜ 이고, 섬유 두께가 2 에서 20㎛, 평균적으로 3에서 5㎛ 인 부직포 재료를 사용하는 자기지지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의 단일층에 의해 얻어진다.
유리하게, 부직포는 유입측보다 유출측상에 더 높은 섬유 밀도를 가지며, 부직포는 PP 또는 PES 또는 PC 로 만들어진 순등급 직물이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부 공기용 필터로 상기 형태의 필터 정렬을 사용하는 것과 또한 관련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태의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의 제조는 DE 41 23 122 A1 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놀랍게도, 필요한 매개 변수가 관찰되면서, 이러한 형태의 제조 기술은 라이닝이나 지지대 없이도 그 자체만으로 주름이 잡혀지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부직포층을 만들어낸다. 탁월한 이점은 고유의 강도가 사실상 등방성인 점, 즉, 부직포의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강도가 얻어진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상기 형태의 부직포층이 우수한 필터 특성을 갖는, 3 에서 5㎛의 섬유 두께를 갖지만, 다른 한편으로 또한 20㎛이상의 더 두꺼운 섬유가 종래 기술의 라이닝 지지층과 대조적으로, 특히 차동 압력 증가면에서, 필터 특성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고, 천연 지지 구조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가능하다는 사실 때문이다. 특히, 그후의 초음파 처리와 캘린더 가공에 의해 유리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유입측상의 더 낮은 섬유 밀도와 더 높은 조도는 도달하는 입자가 신뢰성 있게 보유되는 것을 돕는 반면, 유출측상의 더 높은 섬유 밀도와 더 낮은 조도는 여과된 공기 영역에 어떤 입자도 도달하지 못하도록 한다.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의 전형적인 제조 공정에서, 이러한 디자인은 제조하는 동안 직물이 필터내에 삽입될 때 부직포가 놓여지는 부직포측이 유출측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경 기술의 필터 재료와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필터 재료는 예를 들면 상표 Helsatech 8504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나타나있다.
배경기술 예시 실시예
그라마지 (g/㎡): 100 130
두께 (㎜): 0.8 1.0
섬유 두께 (㎛): 거의 3 2-20(섬유 묶음에 의해
더 큰 두께가 얻어질 수 있다)
섬유 방향 임의로 유출측에는 시트의 세로 방향,
유입측에는 낮은 섬유 밀도
섬유 구조 각층의 섬유 밀도가 진보성:
다른 3층 박막 유출측에는 높은 섬유 밀도
유입측에는 낮은 섬유 밀도
섬유 재료 PP/PES PP
굴곡 강도(스크랜커 세로방향 9.6 세로방향=교차방향 26.7
공정, DIN 53864)(cN/㎠) 교차방향 12.2
이 섬유들은 함께 결합하여 단단한 주름 매트가 되기 위하여 압력을 받을때 비교적 뜨거워진다.
비교 측정 배경기술의 예시에 따른
일련 재료 마이크로-스펀본드
3.8 ㎥/min 의 압력 강하 60 Pa 40 Pa
(유입 표면 0.06㎡)
0.3-0.5㎛의 입자 직경을 50% 50%
가진 NaCl을 사용한 여과 능력
일반도로 공기 50,000㎥ 를 여과 300 Pa 80 Pa
시킨 노화 테스트 거리에서
노화시킨 후에 3.8 ㎥/min 의 용량 흐름
에서의 압력 강하
응축지 <5㎎/g < 0.5㎎/g
MVSS 302 에 따른 30 mm/min 연소되지 않음
연소비 (DIN 75200)
여과 매개물 충수 3 1
재료 성분 PP/PES PP
작동 온도 -40-100℃ -40-100℃
종래기술의 필터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여과력과는 무관하게 부가적으로 사용 수명이 향상되는 점이 탁월하다.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설명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스펀본딩 공정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다른 필터 정렬에서 사용되는 섬유 정렬을 도시한다. 한편, 10에서 33㎛두께의 섬유로 된 "코어"가 제공되고 다른 한편 각각의 돌출한 섬유끝은 1 에서 3㎛ 두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와 3 을 비교하면, 도 2 는 섬유들이 비교적 높은 섬유 밀도를 가지고 유출측상에 세로로 정렬되어 있는 반면, 도 3 은 섬유들이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일정치 않게 유입측에 놓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는 측면에 직선으로 대략 그려진 주름잡힌 부직포, 즉 겹쳐진 부직포의 필터 배치를 도시한다. 주름잡힌 부직포(1)는 세로측(3)과 좁은 부분(4)을 가지며 순등금 플라스틱 재료만 폐품 처리시 처리되도록 부직포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2) 안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여과 필터는 압력 강하가 적으며, 저압은 소형의 통풍 모터를 수반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적다. 더우기, 저차동 압력은 또한 일정량의 자동차 내부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환풍기의 소음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종래기술의 필터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Claims (8)

  1. 주름잡힌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필터 정렬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그라마지 범위가 70g/㎡ 에서 200g/㎡, 바람직하게는, 110g/m2내지 150g/㎡ 이며, 그 두께가 0.7 에서 1.5㎜ 이고, 섬유 두께가 2 에서 20㎛, 평균 섬유 두께가 3에서 5㎛ 인 자기지지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의 단일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은 유입측보다 유출측에서 더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은 PP 또는 PES 또는 PC로 만들어진 순등급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조후에 상기 마이크로-스펀본디드 직물은 초음파 및/또는 캘린더링으로 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정렬을 통과하는 흐름 속도는 250m3/m2보다 작으며, 초기 압력 손실은 50Pa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평평한 필터 박스안에 놓여지고, 프레임의 재료는 부직포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점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주름이 잡혀지고, 10㎜에서 100㎜ 범위의 주름 높이를 가진 평평한 필터 상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섬유는 유입측에서 꼬이고 일정치않으며 유출측에서 견고하게 세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정렬.
KR10-1999-7000130A 1996-07-12 1997-07-10 주름잡힌 부직포층 형태의 미세 입자 필터 KR10047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8184A DE19628184A1 (de) 1996-07-12 1996-07-12 Partikelfilter in Form eines plissierten schichtförmigen Vliesmaterials
DE19628184.9 199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673A true KR20000023673A (ko) 2000-04-25
KR100472874B1 KR100472874B1 (ko) 2005-03-07

Family

ID=779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130A KR100472874B1 (ko) 1996-07-12 1997-07-10 주름잡힌 부직포층 형태의 미세 입자 필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10250A (ko)
EP (1) EP0910454B1 (ko)
KR (1) KR100472874B1 (ko)
AT (1) ATE201330T1 (ko)
AU (1) AU3621897A (ko)
BR (1) BR9710279A (ko)
DE (2) DE19628184A1 (ko)
ES (1) ES2157077T3 (ko)
PT (1) PT910454E (ko)
WO (1) WO19980022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937B1 (ko) * 2002-12-03 2003-10-30 (주)성신엔지니어링 심층여과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745B2 (en) 2001-01-26 2002-10-15 Freudenberg Nonwovens Limited Partnership Minipleat synthetic air filter assembly
EP1385597A1 (en) * 2001-05-02 2004-02-04 HOLLINGSWORTH &amp; VOSE COMPANY Filter media with enhanced stiffness and increased dust holding capacity
DE10137161C5 (de) * 2001-07-30 2009-04-09 Mann+Hummel Innenraumfilter Gmbh & Co. Kg Filterelement
US20030203696A1 (en) * 2002-04-30 2003-10-30 Healey David Thomas High efficiency ashrae filter media
DE10322527A1 (de) * 2003-05-19 2004-12-23 Windhager Handelsges. M.B.H. Schutzbespannung für Gebäudeöffnungen
DE10332439B3 (de) * 2003-07-16 2004-12-30 Sandler Ag Zweilagen-Synthetik Filterelement
DE102005055607B3 (de) * 2005-11-22 2007-03-22 Helsa-Automotive Gmbh & Co. Kg 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6047316A1 (de) * 2006-10-06 2008-04-10 Pfannenberg Gmbh Filterlüfter
US20100212272A1 (en) * 2009-02-24 2010-08-26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suitable for ashrae applications
EP4083294A4 (en) * 2019-12-23 2023-06-14 Toray Industries, Inc. SPONNONWOVEN FABRIC, FILTER MEDIUM FOR DUST COLLECTORS, PLEATED FILTERS, DUST COLLECTOR PLEATED FILTERS AND LARGE AIR VOLUME PULS-JET TYPE DUST COLL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2429A (en) * 1971-07-06 1974-04-09 Johnson & Johnson Surgical face mask
GB1453447A (en) *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4011067A (en) * 1974-01-30 1977-03-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ter medium layered between supporting layers
US4116648A (en) * 1976-10-27 1978-09-26 Aktiebolaget Electrolux Multi-layer filter dust bag for a vacuum cleaner
US4164400A (en) * 1976-12-21 1979-08-14 Scott/Chatham Company Filters
US4257791A (en) * 1976-12-21 1981-03-24 Lydall, Inc. Filter
JPS58109113A (ja) * 1981-12-21 1983-06-29 Japan Vilene Co Ltd 「あ」材の製造方法
US4589894A (en) * 1984-04-11 1986-05-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Disposable filter for a vacuum cleaner
US4650506A (en) * 1986-02-25 1987-03-17 Donaldson Company, Inc. Multi-layered microfiltration medium
US4761311A (en) * 1987-02-19 1988-08-02 The Mead Corporation Process for glossing a developer sheet and an apparatus useful therein
US4917942A (en) * 1988-12-22 1990-04-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woven filter material
DE4123122A1 (de) * 1991-07-12 1993-01-14 Irema Filter Gmbh & Co Indust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vliesbahn
US5501794A (en) * 1991-12-31 1996-03-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ve filter with flexible tensioning members
DE9209362U1 (de) * 1992-07-11 1993-11-11 Minnesota Mining & Mfg Filtervorrichtung zum Filtern von Gasen und/oder Flüssigkeiten
DE4427817C1 (de) * 1994-08-05 1996-02-29 Freudenberg Carl Fa Patronenfil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tronenfil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937B1 (ko) * 2002-12-03 2003-10-30 (주)성신엔지니어링 심층여과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874B1 (ko) 2005-03-07
ATE201330T1 (de) 2001-06-15
US6110250A (en) 2000-08-29
DE19628184A1 (de) 1998-01-15
PT910454E (pt) 2001-10-30
WO1998002228A1 (de) 1998-01-22
ES2157077T3 (es) 2001-08-01
BR9710279A (pt) 1999-08-10
EP0910454A1 (de) 1999-04-28
AU3621897A (en) 1998-02-09
EP0910454B1 (de) 2001-05-23
DE59703606D1 (de)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932B (zh) 包括具有梯度的波形过滤层的过滤介质
JP494454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JP5346301B2 (ja) 波形フィルタ材およびフィルタ要素
US5800586A (en) Composite filter media
US20200215471A1 (en) Filter media including oriented fibers
JP5774964B2 (ja) 濾過媒体
US8491689B2 (en) Joined filter media pleat packs
JP3386170B2 (ja) フィルター装置
US11123668B2 (en) Filter media including a filtration layer comprising synthetic fibers
CN101652168A (zh) 过滤元件及其方法
KR100678338B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00023673A (ko) 주름잡힌 부직포층형태의 입자 필터
US20050011173A1 (en) Synthetic, duolayer, filter element
AU641744B2 (en) Filter
WO1993012862A1 (en)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fluids
JP2014176798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使用方法、フィルタ枠及びフィルタ装置
JPH04161209A (ja) キャビンフィルター
JP6143503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CA2260066C (en) Particle filter in the form of a pleated nonwoven layer
CN111809307A (zh) 过滤介质和制造这种过滤介质的方法
CN114040811A (zh) 具有改进的灰尘负载的过滤介质
KR100352506B1 (ko) 공기청정용 필터 여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2221352A (ja) 空調用ダク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4346805A (ja) 濾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