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575B1 - 전력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전력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575B1
KR102387575B1 KR1020200122161A KR20200122161A KR102387575B1 KR 102387575 B1 KR102387575 B1 KR 102387575B1 KR 1020200122161 A KR1020200122161 A KR 1020200122161A KR 20200122161 A KR20200122161 A KR 20200122161A KR 102387575 B1 KR102387575 B1 KR 10238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gate electrode
trench
electrod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254A (ko
Inventor
하정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5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56Source regions
    • H01L29/0865Dis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73Drain regions
    • H01L29/0882Dis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6673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a step of recessing the gate electrode, e.g. to form a trench gat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의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도체층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 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타측벽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하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측벽 상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의 측벽들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웰 영역과, 상기 웰 영역 내 또는 상기 웰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하부의 필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바닥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실딩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반도체 소자{Power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력 전달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력 반도체 소자(power semiconductor device)에 관한 것이다.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과 고전류 환경에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러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력 스위칭이 필요한 분야, 예컨대 전력 변환, 전력 컨버터, 인버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반도체 소자로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력 모스펫(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고전압에 대한 내압 특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되며, 최근에는 부가적으로 고속 스위칭 동작을 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실리콘(Si) 대신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SiC)를 이용한 전력 반도체 소자가 연구되고 있다. 실리콘 카바이드(SiC)는 실리콘에 비해 밴드갭이 높은 와이드갭 반도체 소재로서, 실리콘에 비해서 고온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리콘 카바이드는 절연 파계 전계가 실리콘에 비해서 매우 높아서 고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카바이드는 실리콘에 비해 높은 항복전압을 가지면서도 열방출은 우수하여 고온에서 동작 가능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리콘 카바이드를 이용한 전력 반도체 소자의 채널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직 채널 구조를 갖는 트렌치 타입의 게이트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치 타입 게이트 구조에서는 트렌치 모서리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문제가 있어서, 이러한 트렌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고 있지만 수직 채널 구조에서 그 전계를 완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2011-0049249호(2011.05.1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렌치 모서리에서 전계 집중을 완화하여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실리콘 카바이드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전력 반도체 소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의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도체층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 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타측벽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하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측벽 상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의 측벽들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웰 영역과, 상기 웰 영역 내 또는 상기 웰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하부의 필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바닥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실딩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소오스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 사이로 신장되어 상기 실딩 영역에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소오스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의 사이 및 상기 소오스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 사이의 층간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실딩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바닥면을 둘러싸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측벽 하부 상으로 더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는 라인 타입으로 일 방향으로 신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트렌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트렌치들 내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트렌치들 내 타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들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드리프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 사이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된 채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웰 영역의 일부이고 반전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 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드리프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 사이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된 채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드리프트 영역의 일부이고, 축적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드리프트 영역 하부의 상기 반도체층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리프트 영역보다 고농도로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영역은 제 1 도전형을 갖는 실리콘 카바이드의 기판으로 제공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에 의하면, 트렌치 모서리에 전계 집중을 완화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러한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의 크기는 설명을 위해 과장되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한 구성이 다른 구성 상(on)에 있다고 지칭할 때, 그것은 다른 구성의 바로 상부에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개재된 구성이 또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반면에, 한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위에(directly on)” 있다라고 지칭할 때는 중간 개재 구성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소자(100)는 적어도 반도체층(105), 게이트 절연층(118),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반도체 소자(100)는 전력 모스펫(power MOSFE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물질층을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층의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을 지칭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반도체층(105)은 반도체 기판 상의 하나 또는 다층의 에피택셜층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105)은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SiC)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05)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카바이드의 에피택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카바이드(SiC)는 실리콘에 비해 밴드갭이 넓어, 실리콘에 비해서 고온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리콘 카바이드는 절연 파계 전계가 실리콘에 비해서 매우 높아서 고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카바이드를 반도체층(105)으로 이용한 전력 반도체 소자(100)는 실리콘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높은 항복전압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열방출 특성을 갖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반도체층(105)은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 107)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07)은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반도체층(105)의 일부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드리프트 영역(107)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실리콘 카바이드의 예피택셜층에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드리프트 영역(107)은 그 일부분이 상방으로 신장된 돌출부(107a)를 포함할 수 있다.
웰 영역(well region, 110)은 반도체층(105)에 드리프트 영역(107)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웰 영역(110)은 반도체층(105)에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 영역(110)은 드리프트 영역(10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동작 시, 드리프트 영역(107)은 전하의 수직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소오스 영역(source region, 112)은 웰 영역(110) 상에 또는 웰 영역(110) 내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오스 영역(112)은 웰 영역(110) 또는 반도체층(105)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오스 영역(112)은 드리프트 영역(107)보다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보다 고농도로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드레인 영역(102)은 드리프트 영역(107) 하부의 반도체층(105)에 형성될 수 있고,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영역(102)은 드리프트 영역(107)보다 고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드리프트 영역(107)은 드레인 영역(102)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의 기판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레인 영역(102)은 제 1 도전형을 갖는 실리콘 카바이드의 기판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레인 영역(102)은 반도체층(105)의 일부로 이해되거나 또는 반도체층(105)과 별개의 기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116)는 반도체층(105)의 표면으로부터 반도체층(105)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116)는 반도체층(105)의 표면으로부터 웰 영역(110)을 관통하고 드리프트 영역(107)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렌치(116)의 개수는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성능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라인 타입 또는 행렬 구조 등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은 트렌치(116) 내 일측벽을 따라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은 트렌치(116) 내 타측벽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은 트렌치(116) 내에서 서로 이격되며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은 적절한 도전물, 예컨대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 질화물, 금속 실리사이드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은 트렌치(116) 내부로부터 반도체층(105) 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의 돌출된 부분은 웰 영역(110) 또는 소오스 영역(112) 상으로 더 신장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18)은 트렌치(116)의 측벽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18)은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과 반도체층(105)의 사이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과 반도체층(10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18)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카바이드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등의 절연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리프트 영역(107)은 트렌치(116)의 하부로부터 트렌치(116)의 측벽 상으로 더 신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리프트 영역(107)은 트렌치(116)의 하부로부터 트렌치(116)의 측벽 일부, 예컨대 트렌치(116)의 하부 상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웰 영역(110)은 드리프트 영역(107) 상의 반도체층(105)에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의 측벽들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 영역(110)은 트렌치(116)의 상부와 접하도록 게이트 절연층(118)에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딩 영역(shielding region, 111)은 트렌치(116)의 하부의 필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트렌치(116)의 바닥면을 둘러싸도록 반도체층(105)에 형성될 수 있다. 실딩 영역(111)은 반도체층(105) 또는 드리프트 영역(107)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딩 영역(111)은 웰 영역(110)과 같은 도핑 타입을 가지며, 웰 영역(110)과 같은 도핑 농도를 갖거나 또는 웰 영역(110)보다 낮은 도핑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실딩 영역(111)은 트렌치(116)의 바닥면을 둘러싸고 트렌치(116)의 측벽 하부 상으로 더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116)의 바닥 모서리 부분이 실딩 영역(111)에 의해서 충분하게 둘러싸일 수 있으므로, 트렌치(116)의 바닥 모서리 부분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것이 완화될 수 있다.
채널 영역(110a)은 드리프트 영역(107) 및 소오스 영역(112) 사이의 반도체층(105)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영역(110a)은 드리프트 영역(107)에서 소오스 영역(112)으로 이어지도록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에 인접하게 웰 영역(110)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채널 영역(110a)은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의 일 측면 또는 트렌치(116)의 일 측면(116b) 상의 웰 영역(110)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영역(110a)은 제 2 도전형을 갖고,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동작 시 채널 영역(110a)에 반전 채널(inversion channel)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영역(110a)은 소오스 영역(112) 및 드리프트 영역(107)과 반대되는 도핑 타입을 갖기 때문에, 채널 영역(110a)은 소오스 영역(112) 및 드리프트 영역(107)과 다이오드 정션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영역(110a)은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전하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지만, 게이트 전극층(120)에 동작 전압이 인가된 경우, 그 내부에 반전 채널이 형성되어 전하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영역(110a)은 웰 영역(110)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영역(110a)은 웰 영역(11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영역(110a)의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의 도핑 농도는 웰 영역(110)의 다른 부분과 같거나, 또는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하여 다를 수도 있다.
웰 콘택 영역(114)은 소오스 영역(112) 내에 또는 웰 영역(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 콘택 영역(114)은 웰 영역(110)으로부터 소오스 영역(112)을 관통하여 신장되고, 제 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웰 콘택 영역(114)은 하나 또는 복수로 소오스 영역(11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웰 콘택 영역(114)은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웰 영역(110)보다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이 더 고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소오스 전극층(140)은 소오스 영역(112) 및 실딩 영역(111)에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오스 전극층(140)은 적절한 도전물,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오스 전극층(140)은 소오스 영역(112)에 접하도록 소오스 영역(112) 상에 형성되고, 트렌치(116) 내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 사이로 신장되어 실딩 영역(1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116) 내에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 소오스 전극층(140)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트렌치(116) 내에 도전층을 형성한 후 이를 분할하여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의 스플릿 게이트 구조를 형성한 후, 그 사이에 소오스 전극층(140)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30)은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과 소오스 전극층(140)의 사이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과 소오스 전극층(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과 소오스 전극층(140) 사이가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130)은 적절한 절연물, 예컨대 산화층, 질화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력 반도체 소자(100)에 있어서, 제 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은 서로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되 n형 및 p형 중 각각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형은 n형이면 제 2 도전형이 p형이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반도체 소자(100)가 N형 모스펫인 경우, 드리프트 영역(107)은 N- 영역이고, 소오스 영역(112), 드레인 영역(102)은 N+ 영역이고, 웰 영역(110), 채널 영역(110a) 및 실딩 영역(111)은 P- 영역이고, 웰 콘택 영역(114)은 P+ 영역일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동작 시, 전류는 드레인 영역(102)으로부터 드리프트 영역(107) 및 채널 영역(110a)을 통해서 소오스 영역(112)으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전술한 전력 반도체 소자(100)에 있어서, 실딩 영역(111)은 트렌치(111)의 바닥면 및 바닥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트렌치(116)의 바닥면에서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의 하단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소오스 전극층(140)을 트렌치(116) 내부를 통해서 실딩 영역(111)에 연결함으로써, 오프 상태 시 공핍층을 더 확대하여 전하 공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반도체 소자(100)에서 게이트 절연층(118)에 걸리는 전계 마진을 높여,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트렌치(116)의 바닥면의 전계를 낮추고, 게이트 절연층(118)에 걸리는 전계를 낮춤으로써, 트렌치(116)의 깊이를 더 깊게 할 수 있어서 정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0a)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0a)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100)를 이용하거나 일부 변형한 것이고, 따라서 서로 참조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소자(100a)에서, 트렌치(116)는 라인 타입으로 일 방향으로 신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웰 영역(110)은 트렌치(116)의 양측면들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16)가 라인 타입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제 1 게이트 전극층(120a)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120b)도 일 방향으로 신장되게 라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100a)에 따르면, 트렌치(116) 하부의 전계 집중을 완화하여, 게이트 절연층(118)에 걸리는 전계 마진을 높여, 전력 반도체 소자(100a)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0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100b)는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100) 및 도 2의 전력 반도체 소자(100a)를 이용하거나 일부 변형한 것이고, 따라서 서로 참조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소자(100b)에 있어서, 복수의 트렌치들(116)이 일 방향으로 신장된 라인 타입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들(120a)은 트렌치들(116) 내 일측벽을 따라서 형성되고, 복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b)은 트렌치들(116) 내 타측벽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게이트 전극층들(120a)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b)은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로 소오스 전극층(140)이 실딩 영역(111)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은 트렌치 타입으로 반도체층(105) 내에 형성되고, 트렌치들(116)과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신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웰 영역(110)은 트렌치들(116)의 사이의 반도체층(105)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드리프트 영역(107)은 트렌치들(116) 또는 제 1 및 제 2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을 가로질러 드레인 영역(102) 상에 배치되고, 트렌치들(116) 사이로 더 신장되어 웰 영역(110)과 접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100b)에 있어서, 트렌치들(116) 내 제 1 및 제 2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은 스트라이프 타입 또는 라인 타입으로 병렬적으로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100b)에 따르면, 트렌치(116) 하부의 전계 집중을 완화하여, 게이트 절연층(118)에 걸리는 전계 마진을 높여, 전력 반도체 소자(100b)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반도체 소자들(100c, 100d)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전력 반도체 소자들(100c, 100d)은 전력 반도체 소자(100)에서 채널 구조를 변형한 것이고 서로 참조될 수 있는 바, 실시예들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반도체 소자(100c)에 있어서, 채널 영역(107b)은 드리프트 영역(107) 및 소오스 영역(112) 사이의 반도체층(105)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영역(107b)은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고, 전력 반도체 소자(100b)의 동작 시 그 내부에 축적 채널(accumulation channel)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영역(107b)은 소오스 영역(112) 및 드리프트 영역(107)과 동일한 도핑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소오스 영역(112), 채널 영역(107b) 및 드리프트 영역(107)은 통상적으로(normally)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실리콘 카바이드의 반도체층(105) 구조에서, 탄소 클러스터가 게이트 절연층(118)에 형성되면서 발생된 음의 차지(negative charge)의 영향으로 채널 영역(107b)의 밴드가 위로 휘면서 포텐셜 장벽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에 동작 전압이 인가되어야, 채널 영역(107b)에 전하 또는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는 축적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영역(107b)에 축적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에 인가되어야 하는 문턱 전압은 도 1 내지 도 3의 채널 영역(110a)에 반전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층들(120a, 120b)에 인가되어야 하는 문턱 전압보다 크게 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영역(107b)은 드리프트 영역(107)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영역(107b)은 드리프트 영역(107)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리프트 영역(107)은 채널 영역(107b)을 통해서 소오스 영역(1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채널 영역(107b) 부분에서, 드리프트 영역(107)과 소오스 영역(112)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영역(107b)은 트렌치(116)의 측벽과 웰 영역(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 영역(107b)의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의 도핑 농도는 드리프트 영역(107)의 다른 부분과 같거나, 또는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하여 다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널 영역(107b1)은 트렌치(116)의 측벽과 웰 영역(110) 사이에 배치되고 나아가 소오스 영역(112)과 웰 영역(110) 사이로 더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영역(107b1)은 측벽과 웰 영역(110) 사이의 수직 부분과 소오스 영역(112)과 웰 영역(110) 사이의 수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영역(107b1)은 드리프트 영역(107)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소자들(100c, 100d)에 의하면 도 1의 전력 반도체 소자(100)의 장점에 부가하여, 문턱 전압을 낮추는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전력 반도체 소자들(100c, 100d)은 도 2 및 도 3의 전력 반도체 소자들(100a, 100b)과 같이 라인 타입 또는 어레이 타입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력 반도체 소자
102: 드레인 영역
105: 반도체층
107: 드리프트 영역
110: 웰 영역
111: 실딩 영역
112: 소오스 영역
114: 웰 콘택 영역
118: 게이트 절연층
120a: 제 1 게이트 전극층
120b: 제 2 게이트 전극층
130: 층간 절연층
140: 소오스 전극층

Claims (9)

  1. 실리콘 카바이드(SiC)의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도체층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 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타측벽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하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측벽 상으로 신장되도록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드리프트 영역;
    상기 드리프트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의 측벽들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웰 영역;
    상기 웰 영역 내 또는 상기 웰 영역 상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 소오스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하부의 필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바닥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의 측벽 상으로 더 신장되며, 제 2 도전형을 갖는 실딩 영역;을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 사이로 신장되어 상기 실딩 영역에 연결되는, 소오스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의 사이 및 상기 소오스 전극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 사이의 층간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렌치는 라인 타입으로 일 방향으로 신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트렌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트렌치들 내 일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1 게이트 전극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트렌치들 내 타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 2 게이트 전극층들을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 사이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된 채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웰 영역의 일부이고 반전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 2 도전형을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 사이의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된 채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드리프트 영역의 일부이고, 축적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 1 도전형을 갖는,
    전력 반도체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프트 영역 하부의 상기 반도체층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리프트 영역보다 고농도로 도핑되어 형성된,
    전력 반도체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영역은 제 1 도전형을 갖는 실리콘 카바이드의 기판으로 제공되고,
    상기 드리프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KR1020200122161A 2020-09-22 2020-09-22 전력 반도체 소자 KR10238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61A KR102387575B1 (ko) 2020-09-22 2020-09-22 전력 반도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61A KR102387575B1 (ko) 2020-09-22 2020-09-22 전력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54A KR20220039254A (ko) 2022-03-29
KR102387575B1 true KR102387575B1 (ko) 2022-04-19

Family

ID=809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61A KR102387575B1 (ko) 2020-09-22 2020-09-22 전력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9828B2 (en) * 2020-10-28 2023-09-26 Wolfspeed, Inc. Gate trench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improved deep shield connection patterns
US11610991B2 (en) 2020-10-28 2023-03-21 Wolfspeed, Inc. Gate trench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improved deep shield connection patterns
US12080790B2 (en) 2020-10-28 2024-09-03 Wolfspeed, Inc. Power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ngled gate trenches
CN118099221B (zh) * 2024-04-19 2024-08-20 深圳天狼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碳化硅功率器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963A (ja) * 2000-06-30 2002-03-22 Toshiba Corp 半導体素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895B1 (ko) 2009-11-04 2011-05-17 한국전기연구원 짧은 채널길이를 갖는 탄화규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CN103493208B (zh) * 2011-04-19 2017-03-22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836256B1 (ko) * 2016-06-24 2018-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963A (ja) * 2000-06-30 2002-03-22 Toshiba Corp 半導体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54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575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US886017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iode characteristic
KR102387574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US12107120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CN114141874A (zh) 功率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2377399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2223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9053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9155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9430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7400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9429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7146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KR102379156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4327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234511A9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4770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0527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KR102334328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7149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KR102309431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7147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4769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5055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8153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