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99B1 -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 Google Patents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99B1
KR102386399B1 KR1020150023673A KR20150023673A KR102386399B1 KR 102386399 B1 KR102386399 B1 KR 102386399B1 KR 1020150023673 A KR1020150023673 A KR 1020150023673A KR 20150023673 A KR20150023673 A KR 20150023673A KR 102386399 B1 KR102386399 B1 KR 10238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drying basket
housing
discharg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331A (ko
Inventor
김기수
최현국
송규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물건을 집중 건조할 수 있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는 상단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바스켓;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토출부의 상부와 상기 건조바스켓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에 의하면, 실내제습뿐만 아니라 물건을 집중 건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범위가 확장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DEHUMIDIFIER COMPRISING BASKET FOR CLOTHING DRYING}
본 발명은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집중 건조할 수 있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장치로서,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제습부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춘 후 이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춘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기는 실내가 건조한 겨울철에는 사용 빈도가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습기를 실내제습 외에 다른 용도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제습공기를 통해 젖은 신발이나 세탁물과 같은 건조대상물을 집중 건조할 수 있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단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바스켓;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토출부의 상부와 상기 건조바스켓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공기토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공기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바스켓의 내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공기토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저부에 상기 건조바스켓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복수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공기토출부 측의 끝단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컨트롤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건조바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통기그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제습뿐만 아니라 물건을 집중 건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범위가 확장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실내 제습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부분 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물건 건조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습기의 건조바스켓을 나타내는 부분 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실내 제습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습기의 물건 건조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하우징(110), 제습부(120), 제습물통(130), 송풍팬(140), 토출그릴(145), 건조바스켓(150), 가이드부(160) 및 통기그릴(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 후술할 제습부(120), 제습물통(130) 및 송풍팬(14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기정화필터(미도시), 가습유닛(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제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공기토출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외부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습부(120)는 냉매의 증발작용이 발생하는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습물통(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습부(120)에 의해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은 상기 제습물통(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공기흡입부(114)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어 제습부(120)를 통과한 후 공기토출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송풍팬(14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을 토출시키는 원심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토출그릴(145)은 하우징(110)의 공기토출부(112)에 장착되어, 이물질이 공기토출부(11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바스켓(150)은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세탁물, 젖은 신발과 같은 건조대상물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바스켓(15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 일부분에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바스켓(150)은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스형태의 부재가 하우징(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로서,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와 건조바스켓(15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160)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바스켓(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건조바스켓(1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공기토출부(1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60)는 이동 동작이 사용자가 손으로 밀어서 수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가이드부(160)에 모터로 회전되는 바퀴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6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바스켓(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토출부(112)의 상부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므로, 공기토출부(112)를 통해 토출되는 제습공기는 실내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부(16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부(160)는 공기토출부(112)에서 토출되는 제습공기를 건조바스켓(150)의 내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를 실내제습에 사용하는 경우에 가이드부(160)를 건조바스켓(150)의 상부로 배치하여 제습공기가 실내로 직접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세탁물이나 젖은 신발 같은 건조대상물을 집중건조 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이드부(160)를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에 배치시키고 건조대상물을 건조바스켓(150)에 수납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를 가동시킴으로써 제습공기를 통해 건조바스켓(150)에 수납된 건조대상물을 집중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60)는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건조바스켓(15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부(112)에서 직상방으로 토출되는 제습공기가 건조바스켓(150)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60)는 복수의 프레임(161,1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161,162)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61,162)은 제1 프레임(161) 및 제2 프레임(1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61)과 제2 프레임(16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와 건조바스켓(1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61)과 제2 프레임(162)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161)과 제2 프레임(162)은 가요성 막(163)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막(163)은 불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61)과 제2 프레임(162)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제1 프레임(161) 및 제2 프레임(1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70)은 하우징(1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161)과 제2 프레임(162)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건조바스켓(150)의 상부부터 공기토출부(112)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70)는 공기토출부(112) 측의 끝단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프레임(1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가이드레일(170)의 경사진 형태를 따라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62)의 저면은 건조바스켓(15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60)는 컨트롤패널(18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180)은 제1 프레임(161)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기그릴(190)은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되며, 공기토출부(112)와 건조바스켓(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그릴(19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통기성 그릴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실내제습 기능에 더해, 하우징(110)에 직접 구비되는 건조바스켓(150)에 건조대상물을 수납하고 건조바스켓(150)에 제습공기를 분사하여 건조대상물을 집중 건조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제습기 110: 하우징
112: 공기토출부 114: 공기흡입부
120: 제습부 130: 제습물통
140: 송풍팬 145: 토출그릴
150: 건조바스켓 160: 가이드부
161: 제1 프레임 162: 제2 프레임
163: 가요성 막 170: 가이드레일
180: 컨트롤패널 190: 통기그릴

Claims (8)

  1.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건조바스켓;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토출부의 토출유로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공기토출부의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공기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바스켓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공기토출부와 대향하는 측에 상기 공기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건조바스켓을 향하여 흐르는 유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공기토출부 측의 끝단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건조바스켓 사이에 배치되는 통기그릴을 더 포함하는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150023673A 2015-02-16 2015-02-16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KR10238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73A KR102386399B1 (ko) 2015-02-16 2015-02-16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73A KR102386399B1 (ko) 2015-02-16 2015-02-16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31A KR20160101331A (ko) 2016-08-25
KR102386399B1 true KR102386399B1 (ko) 2022-04-15

Family

ID=5688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673A KR102386399B1 (ko) 2015-02-16 2015-02-16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3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218B1 (ko) * 2011-11-02 2012-05-02 윤정수 피복류용 건조실을 갖는 제습기
JP2014200544A (ja) * 2013-04-08 2014-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湿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49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218B1 (ko) * 2011-11-02 2012-05-02 윤정수 피복류용 건조실을 갖는 제습기
JP2014200544A (ja) * 2013-04-08 2014-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31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29B1 (ko) 제습기
RU26898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сушения и увлажнения, осушитель-очиститель воздуха, увлажнитель-очиститель воздуха и способ их эксплуатации
US9689579B2 (en) Dehumidifier
KR102479048B1 (ko) 제습기
TWI810248B (zh) 送風裝置、空氣調和機及除濕機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KR102302545B1 (ko) 제습기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KR20130065262A (ko) 제가습 장치
KR20160101789A (ko) 제습기
KR102386399B1 (ko) 건조바스켓을 포함하는 제습기
KR20150103909A (ko) 공기조화장치
JP2019215100A (ja) 除湿機
KR101534170B1 (ko) 제습기
JP7150493B2 (ja) 空気調和機
KR101957682B1 (ko) 제가습 장치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2003202127A (ja) 除湿機
KR102377169B1 (ko) 제습기용 물건 건조 키트
JP2007237121A (ja) 除湿機
KR20170097454A (ko) 제습기능을 가지는 에어커튼 장치
JP2015098998A (ja) 除湿機
JP2019098201A (ja) 除湿装置
JP2014004043A (ja) 除湿乾燥機構
KR20110000999A (ko) 제습기 및 그 건조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