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103B1 -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103B1
KR102386103B1 KR1020210082356A KR20210082356A KR102386103B1 KR 102386103 B1 KR102386103 B1 KR 102386103B1 KR 1020210082356 A KR1020210082356 A KR 1020210082356A KR 20210082356 A KR20210082356 A KR 20210082356A KR 102386103 B1 KR102386103 B1 KR 10238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able
delivery vehicle
rai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교
김인창
이근택
Original Assignee
대영채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채비(주) filed Critical 대영채비(주)
Priority to KR102021008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60L3/0015Prevention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가 이동하여 충전 대기중인 택배차량에 충전 할 수 있게 되므로서, 충전효율 및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지면에 지주를 세우고 지주 위에 설치된 레일(110) 또는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레일(110), 레일(110)에서 주행하는 다수개의 충전기(120)를 포함하고, 충전기(120)의 일측면에 측면감지센서(S1)가 구비되어, 충전기(120)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충전기(120)의 저면에 택배차량 감지센서(S2)가 구비되어, 택배차량이 충전기(1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충전기(120)의 이동을 중지하는 것으로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Smart Moving Charging System for Logistics Systems}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차 충전기가 이동하여 충전 대기중인 여러대의 택배차량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인해 택배산업 시장은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9년 전체 택배 물동량은 27억9천개로 우리나라 인구 5,000만명으로 단순 계산 시 연간 1인당 53.8개, 즉 매주 1회 이상 택배를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택배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택배 배송을 위한 화물차가 더욱 많이 필요해졌으며, 메이저 물류/택배 회사들은 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이행하고자 전기화물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택배 차량의 1일 평균 운행거리는 약 42km로 다른 화물 운송에 비해 운행거리가 짧아 하루일과를 마치고 차고지에서 완속 충전을 하면 되므로 업무의 Loss가 전혀 없기 때문에 소형 전기화물차를 도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차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인 종래 전기차용 충전기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전금액 및 충전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충전량이나 충전요금을 조작하는 조작부(30)와 전기 자동차(50)의 배터리와 접속되는 충전 케이블(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작부(30)는 터치패드가 사용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차용 충전기는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40)을 전기차에 연결하고 조작부(30)를 조작하여 전기차(50)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차용 충전기는, 충전기 1대당 주차공간을 전기차 1대가 차지하고 있어야 하며, 기존의 충전 완료된 전기차를 이동시키고 다른 전기차를 주차해야만 충전을 재개할 수 있으므로, 택배차량과 같이 여러대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충전을 대기하는 택배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면서, 충전효율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6537호 (2012.07.0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충전기의 경우 충전기 1대당 커버할 수 있는 주차공간은 전기차 1대만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무빙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충전기가 이동을 하여 충전 대기중인 전기차에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효율 및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은,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지면에 지주를 세우고 지주 위에 설치된 레일 또는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레일, 레일에서 주행하는 다수개의 충전기를 포함하고, 충전기의 일측면에 측면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충전기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충전기의 저면에 택배차량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택배차량이 충전기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충전기의 이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기는, 박스형상의 몸체 전후로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레일관통공과, 몸체의 내부저면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축결합된 구동휠과, 몸체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랏켓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종동휠과, 구동휠 및 종동휠에 감겨져 있는 벨트와, 원통형 구조이고, 외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이 권취되며, 종동휠과 축결합 된 드럼과, 드럼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기는, 드럼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가이드하여, 케이블이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가이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롤러는, 바닥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2개의 판재형상으로 구비된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압롤러와, 가압롤러의 아래쪽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비된 구동롤러와, 케이블에 구비된 걸림돌기와, 지지플레이트의 타측에서 구동롤러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받침판과, 가압롤러의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장공과, 회전축의 상면에 구비된 받침커버와, 받침커버의 하단부에서 회전축을 감싸는 지지링과, 지지링의 내면에 형성된 면압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무빙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동일 공간에 최소의 충전기로 여러대의 택배차량을 동시에 충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기가 이동을 하여 충전 대기중인 택배차량에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효율 및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차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레일에 충전기가 결합된 상태도.
도 4는 충전기의 내부구조 사시도.
도 5는 가이드롤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스프링과 회전축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스프링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8은 스프링의 와이어 구조에 관한 실시 예의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시스템'(100. 이하 무빙시스템'이라 한다)는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지면에 지주를 세우고 지주 위에 레일(110)을 설치하거나, 주차하는 공간의 벽면에 레일(110)을 설치한 후, 레일(110)에 다수개의 충전기(120)가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택배차량을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레일에 충전기가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에는 다수의 충전기(120)가 주행하는데, 주행 중의 각각의 충전기(120)가 충돌할 염려가 있어, 본 실시 예에서는 충전기(120)의 일측면에 측면감지센서(S1)가 구비되어 충전기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충전기(120)가 레일(110)을 주행할 때, 인접하는 다른 충전기(120)와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가까워 질 때는, 측면감지센서(S1)가 이를 감지하고 그 신호을 제어부(도시를 생략함)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충전기(120)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충전기(120)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기(120)의 저면에는 택배차량 감지센서(S2)가 구비되어 있어, 택배차량이 충전기(1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충전기(120)의 이동을 중지하고 충전기(120)의 케이블을 인출하여 택배차량에 충전을 시작한다.
충전하는 구체적 구성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충전기의 내부구조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몸체(127)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127)의 내부에는 레일관통공(121), 드럼(122), 가이드롤러(123), 벨트(124), 구동휠(125a), 종동휠(125b), 지지브라켓(126), 케이블가이드(128)가 구비되어 있다.
레일관통공(121)은, 박스형상의 몸체(127) 전후로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레일(110)이 관통됨으로서, 몸체(127)가 레일(110)의 상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몸체(127)가 레일의 상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공지 또는 주지, 관용기술인 모노레일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휠(125a)은, 몸체(127)의 내부저면에 구비된 구동모터(M1)에 축결합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한다.
종동휠(125b)은, 몸체(127)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랏켓(126)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벨트(124)는, 구동휠(125a) 및 종동휠(125b)에 감겨져 있어, 구동휠(125a)의 회전력을 종동휠(125b)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드럼(122)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외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으며, 종동휠(125b)과 축결합 되어 있어, 종동휠(125b)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서, 케이블을 인출 또는 인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가이드롤러(123)는, 드럼(122)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있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케이블가이드(128)는, 드럼(122)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어 있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가이드하여, 케이블이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충전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면, 케이블이 딱딱하게 굳어져서 케이블이 드럼(122)에서 풀리다가 내부부품에 걸리거나, 드럼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케이블가이드(128)가 케이블을 압박하는 형상으로 가압하면서 케이블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여, 케이블이 충전기 내부의 다른 부품에 걸리거나, 드럼(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충전기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택배차량의 주차공간에 진입하면, 택배차량과 가장 가까이 있는 충전기(120)가 택배차량의 상부로 이동하고, 충전기가 택배차량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택배차량감지센서(S2)가 택배차량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어 충전기를 택배차량의 상측에 정지시킨다.
충전기의 이동이 정지된 다음, 제어부가 충전기의 구동모터(M1)를 구동하면, 구동모터는 구동휠(125a)을 회전시키고, 구동휠 및 종동휠에 감겨져 있는 벨트(124)에 의하여 종동휠(125b)이 회전하고, 종동휠이 회전하면, 종동휠과 축결합되어 있는 드럼(122)이 회전한다.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에 감겨져 있는 케이블이 풀리면서 케이블이 하강하는데, 케이블은 케이블가이드(128)에 의하여 가압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롤러(123)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인출되는 것이므로, 케이블이 내부부품에 걸리거나 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하강하여 택배차량을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충전이 종료되면, 제어부가 위 충전순서와 역순으로 케이블을 드럼에 권취하여 인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가이드롤러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가이드롤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23)는, 가압롤러(210), 스프링(220), 구동롤러(230), 지지플레이트(240), 스톱퍼(25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플레이트(240)는, 바닥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2개의 판재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 지지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받침판(242)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스프링(220)이 결합되며, 중간부분에는 장공(241)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가압롤러(210)의 회전축(211)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가압롤러(210)는, 2개의 지지플레이트(240)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가압롤러의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211)은, 일측 지지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장공(241)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롤러(230)는, 가압롤러(210)의 아래쪽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2개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230)는 2개의 지지플레이트(240)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은 회전모터(M2)와 축 결합되어 있어,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한다.
스프링(220)은, 지지플레이트(240)의 일측 상면에 측방향으로 구비된 받침판(242)과 가압롤러(210)의 회전축(211)에 결합되어, 탄성력으로 회전축(211)을 매개로 가압롤러를 가압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220)의 결합관계에 관한 구체적 구성은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후술하는 도 6에서 스프링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톱퍼(250)는, 지지플레이트(240)의 타측에서 구동롤러(230)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스톱퍼에 걸림으로써, 케이블이 하강하는 길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구동모터(M1)가 구동되어 케이블이 인출되기 시작하면, 동시에 제어부는 회전모터(M2)도 구동한다.
회전모터가 구동되면 구동롤러(230)가 회전되고, 구동롤러에 감겨져 있는 케이블이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구동롤러의 상측에 구비된 가압롤러(210)가 스프링(220)의 탄성가압력에 의하여 케이블을 가압함으로써, 케이블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정렬하여 택배차량의 충전위치로 정확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이 인출될 때, 케이블이 일정한 길이까지 인출되면 케이블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스톱퍼(250)에 걸림으로써, 케이블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바닥에 닿게 됨으로서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스프링의 결합관계에 관한 구체적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서 스프링과 회전축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확대하여 명확하게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0)은, 지지플레이트(24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받침판(242)의 저면과, 지지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장공(241)의 외부로 돌출된 가압롤러(210)의 회전축(211)의 상면에 구비된 받침커버(224)에 결합되어 있으며, 받침커버(224)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211)을 감싸는 지지링(221)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링(221)의 내면에는 면압베어링(222)이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면압베어링(222)은 소결함유베어링으로서,
소결함유베어링은, 기공을 제외한 기지 부분이 구리합금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가지며, 구리합금상은 기공을 제외한 기지 부분의 전체 조성에 차지하는 중량부로 Cu 100 중량부에 대하여 Sn, Zn 중 어느 하나가 10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기공률은 10 ~ 25 % 이며, 기공에는 흑연, 불화칼슘 중 어느 하나의 고체 윤활제 성분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면압베어링(222)은, 자신의 마모를 억제하면서, 회전축(211)의 마모도 억제하는 것과 더불어, 마찰이 최소화되어 윤활기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스프링(220)은 탄성력으로 회전축(211)을 가압하고 있으며, 가압된 회전축은 장공(241)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회전축과 축결합된 가압롤러(210)가 구동롤러(230)의 상면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을 가압함으로서,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정렬하여 인출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스프링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축(211)을 가압하는 스프링(220)은, 가압하는 과정에서 측방향 하중을 받으면, 스프링이 좌굴되어 가압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스프링의 좌굴현상으로 최소화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스프링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스프링(220)은 가이드볼트(223)를 포함하고, 형상이 변경된 받침판(242)과 하부커버(224)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점에 특징이 있다.
받침판(242)은, 외측면이 하부로 절곡되어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프링(220)의 상면이 삽입되면서, 스프링 상단부의 외면을 감싸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부커버(224)는, 외측면이 상부로 절곡되어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프링의 하면이 삽입되면서, 스프링 하단부의 외면을 감싸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하부커버는 지지링(2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스프링(220)은, 받침판(242)의 내부 저면과 하부커버(224)의 내부 상면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부여한다.
가이드볼트(223)는, 받침판(24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프링(220)의 중앙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스프링이 좌굴될 때, 가이드볼트의 측면이 스프링을 지지하여,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스프링(220)은 받침판(242) 및 하부커버(224)가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가이드볼트(223)가 스프링이 좌굴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스프링의 와이어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스프링의 와이어 구조에 관한 실시 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스프링(220)은, '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Y1) 및 '비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Y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220)의 중간부분에는 '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Y1)가 구비되어 이들의 제1 간격(C1)은 일정한 상태가 되고, '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Y1)의 상,하부에는 '비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Y2)가 구비되어 이들의 제2 간격(C2)은 제1간격(C1) 보다 넓게 권취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 구조를 갖는 스프링은, 와이어가 주기적인 형태와 비주기적인 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인출 또는 인입 중에 발생하는 횡방향의 힘과 모멘트가 가압롤러(210)의 회전축(21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220)이 좌굴되는 것을 최소화 되면서, 더불어서 가압롤러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 무빙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동일 공간에 최소의 충전기로 여러대의 택배차량을 동시에 충전 가능하게 하는 효과, 충전기가 이동을 하여 충전 대기중인 택배차량에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효율 및 주차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0: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시스템
110:레일 120:충전기
121:레일관통공 122:드럼
123:가이드롤러 124:벨트
125a:구동휠 125b:종동휠
126:지지브라켓 127:몸체
128:케이블가이드 210:가압롤러
211:회전축 220:스프링
221:지지링 222:면압베어링
223:가이드볼트 224:받침커버
230:구동롤러
240:지지플레이트 241:장공
242:받침판 250:스톱퍼
M1:구동모터 M2:회전모터
S1:측면감지센서 S2:택배차량 감지센서
Y1: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 Y2:비주기적으로 감긴 와이어

Claims (5)

  1. 삭제
  2.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지면에 세워진 지주 위에 설치된 레일(110) 또는 택배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레일(110),
    레일(110)에서 주행하는 다수개의 충전기(120)를 포함하고,
    충전기(120)의 일측면에 측면감지센서(S1)가 구비되어, 충전기(120)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충전기(120)의 저면에 택배차량 감지센서(S2)가 구비되어, 택배차량이 충전기(1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충전기(120)의 이동을 중지하고,
    충전기(120)는,
    박스형상의 몸체(127) 전후로 관통된 통공의 형상으로 구비된 레일관통공(121)과,
    몸체(127)의 내부저면에 구비된 구동모터(M1)에 축결합된 구동휠(125a)과,
    몸체(127)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브랏켓(126)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종동휠(125b)과,
    구동휠(125a) 및 종동휠(125b)에 감겨져 있는 벨트(124)와,
    원통형 구조이고, 외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이 권취되며, 종동휠(125b)과 축결합 된 드럼(122)과,
    드럼(122)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충전기(120)는,
    드럼(122)의 타측 상면에 구비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가이드하여, 케이블이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가이드(12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123)는,
    바닥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2개의 판재형상으로 구비된 지지플레이트(240)와,
    지지플레이트(240)의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압롤러(210)와,
    가압롤러(210)의 아래쪽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비된 구동롤러(230)와,
    케이블에 구비된 걸림돌기와,
    지지플레이트(240)의 타측에서 구동롤러(230)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스톱퍼(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지지플레이트(240)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받침판(242)과,
    가압롤러(210)의 회전축(211)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4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장공(241)과,
    회전축(211)의 상면에 구비된 받침커버(224)와,
    받침커버(224)의 하단부에서 회전축(211)을 감싸는 지지링(221)과,
    지지링(221)의 내면에 형성된 면압베어링(2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KR1020210082356A 2021-06-24 2021-06-24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KR10238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56A KR102386103B1 (ko) 2021-06-24 2021-06-24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56A KR102386103B1 (ko) 2021-06-24 2021-06-24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03B1 true KR102386103B1 (ko) 2022-04-14

Family

ID=8121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56A KR102386103B1 (ko) 2021-06-24 2021-06-24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1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37A (ko) 2010-11-30 2012-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8153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KR20210059094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37A (ko) 2010-11-30 2012-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8153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만도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KR20210059094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541B2 (en) Battery swapp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010240B (zh) 轨道客车车体
CN1531504A (zh) 货物电力驱动单元
CN205059593U (zh) 一种列车不停站实现旅客上下车的系统
US8342310B2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goods
CN115038661B (zh) 带自推进式自动轿厢的电梯系统
CN1075465A (zh) 人员输送系统
CN108861892A (zh) 自动收线系统及充电桩
CN102712448A (zh) 电梯制动装置
KR102386103B1 (ko)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CN104975738A (zh) 使用机器人的立体车库和轿厢汽车搬运机的立体车库
EP2767496A1 (en) An elevator
CN107575072A (zh) 一种公交车立体车库
US20160346710A1 (en) Wireless remote control orbiter based on 5g frequency band
CN207406072U (zh) 机械式立体停车设备用电动汽车充电线缆收放装置
CN204645766U (zh) 路边立体停车设备
CN114575642A (zh) 一种立体存车系统
CN114056176A (zh) 换电装置、换电站及换电方法
CN212923247U (zh) 一种智能线性往复输送设备
CN107187997A (zh) 自供电的电梯轿厢
CN210175711U (zh) 一种搬运装置及提升装置
CN114873472B (zh) 一种重卡换电用龙门单仓
CN202807926U (zh) 集装箱的移动装货和衡重装置
CN100441821C (zh) 带有车门保护机构的车辆分隔定位取送装置
CN207293835U (zh) 一种机械式立体停车设备用电动汽车充电线缆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