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53A -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53A
KR20210048153A KR1020190132077A KR20190132077A KR20210048153A KR 20210048153 A KR20210048153 A KR 20210048153A KR 1020190132077 A KR1020190132077 A KR 1020190132077A KR 20190132077 A KR20190132077 A KR 20190132077A KR 20210048153 A KR20210048153 A KR 2021004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module
parking
electric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13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153A/ko
Publication of KR2021004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설치부 및 복수의 주차부가 구비된 파킹 공간,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전원라인,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마련된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주요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반적인 산업 분야에서 친환경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전기자동차의 사용 증가에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제반 시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소 등의 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전소 등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 본체가 바닥에 설치되어 마련되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며, 제한된 공간에서 충전기 본체가 사용중인 경우 다른 차량이 충전기 본체를 이용하기 위해 다른 곳에 정차해야 되거나, 적지 않은 시간을 기다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충전기 본체가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전류를 제공하는 전원선이 우천 등으로부터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충전기 본체와 전원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매립 설치될 필요가 있었고, 이에 따라서 매립 또는 방수에 필요한 시공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며, 충전소의 설치 이후에도 이를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6749호(2017년 07월 27일, 공개)
본 실시 예는 차량 등에 배터리 등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실시 예는 충전모듈이 충전이 필요한 차량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충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주차부 및 상기 복수의 주차부 상방에 마련된 설치부가 구비된 파킹 공간;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전원라인;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마련된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충전모듈이 체결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페라이트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모듈은 고주파용 코어 및 집전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일단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전원라인에 체결되며, 타단이 상기 충전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삽입되어 하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타단이 상기 충전모듈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전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모듈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라인은 라인 형상의 제1 전원라인 및 메쉬부 형상의 제2 전원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2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은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차량과 체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충전모듈의 내부에 마련된 릴 장치에 감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및 커넥터는 복수개 마련됨으로써 인접한 복수개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의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차부의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충전모듈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파킹 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충전 가능한 상기 주차부 및 사용가능한 상기 충전 모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즉시 충전할 수 있는 상기 주차부의 위치 및 사용 가능한 상기 충전모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즉시 충전할 수 있는 상기 주차부가 없는 경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충전이 가능한 상기 주차부의 위치 및 사용 가능한 상기 충전모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듈이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릴 장치가 상기 케이블을 회수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차량 등에 배터리 등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충전모듈이 설치부에 마련되므로 충전모듈의 매립, 방수 등의 처리가 불필요하여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충전모듈이 이동되어 충전이 필요한 차량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충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차량(C) 등에 구비되는 고전압배터리 등을 충전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초소형 모빌리티, 또는 전동 킥보드 등의 1인 이동 수단 등 그 형태를 가리지 않고 고전압배터리를 사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든 이동 수단의 차량(C)에 대해서 배터리 충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파킹 공간(100)에 마련된다. 파킹 공간(100)은 복수의 주차부(120)가 구비된다. 주차부(120)는 차량(C) 등이 주차 또는 정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구역에 주차 라인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파킹 공간(100)의 상부에는 설치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설치부(110)는 복수의 주차부(120)의 상방에 마련되도록 구비된다. 설치부(110)는 주차장의 천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복수의 주차부(120)의 측방에 설치된 기둥이나 벽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치부(110)는 복수의 주차부(120) 상방에서 후술하는 레일부(500)가 설치될 수 있는 있도록 구비된다. 파킹 공간(100)은 주차장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차량(C) 등의 충전을 위한 장소로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라인(200)은 파킹 공간(100)의 설치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라인(200)은 급전선로 등으로 구비되어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라인(200)은 후술하는 전력공급부(300)와 충전모듈(400)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은 차량(C) 등의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라인(200)은 파킹 공간(100)의 설치부(110)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라인(200)은 복수의 주차부(12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300)는 파킹 공간(100)의 설치부(110)에 마련될 수 있고, 전원라인(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300)는 전원라인(200)에서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전류를 충전모듈(400)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모듈(400)은 전력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주차부(1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은 복수의 주차부(12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바닥에 설치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충전기 본체 등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처리를 하거나 또는 매립하여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설치부(110)에 전력공급부(300)와 충전모듈(400)이 마련됨으로써 매립 또는 방수 등의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충전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하며, 설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및 2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레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500)는 설치부(110)에 설치되며, 복수의 주차부(12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은 체결부(405)를 통해 레일부(500)에 체결될 수 있고, 충전모듈(400)이 레일부(500)를 따라서 복수의 주차부(120) 상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차량(C) 등이 주차 또는 정차할 수 있는 복수의 주차부(120) 상부에서 충전모듈(400)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모듈(400)이 위치한 주차부(120)에 다른 차량(C)이 정차 또는 주차중인 경우, 충전모듈(400)이 레일부(500)를 따라서 이동되므로 다른 주차부(120)에서 충전모듈(40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이 파킹 공간(100)의 바닥이 아닌 설치부(110)에 마련되어 차량(C) 등과 충돌 또는 간섭되지 않으므로, 제한된 파킹 공간(100)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420) 및 케이블(420)과 연결되어 차량(C)과 체결되는 커넥터(44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420)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어 충전모듈(400)과 복수의 주차부(120)에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C)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넥터(440)는 충전이 필요한 차량(C)의 충전부와 연결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420)은 충전모듈(400)의 내부에 마련된 릴 장치(미도시)에 감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420)은 충전모듈(40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릴 장치(미도시)에 감긴 상태로 유지되며, 충전을 위해 충전모듈(400)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420)이 릴 장치(미도시)에서 풀리며 케이블(420)이 차량(C)의 충전부와 닿을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의 사용이 종료된 경우 케이블(420)은 릴 장치(미도시)에 다시 감겨 충전모듈(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440)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충전모듈(400)의 사용자가 표시부를 통해서 충전모듈(400)의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440)의 표시부(미도시)는 결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차량(C)의 배터리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커넥터(440)에서 카드 등을 통해 직접 결제하거나 모바일 폰 등 통신 수단을 이용해서 결제하는 방식으로 충전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충전모듈(400)은 복수개의 케이블(420', 420") 및 커넥터 (440', 4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차량(C)이 충전모듈(400)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중인 경우에도 이와 인접한 차량(C)이 함께 충전모듈(400)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시스템의 충전 가능 구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2개의 케이블(420', 420") 및 커넥터(440', 44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케이블(420) 및 커넥터(4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충전시스템의 전력공급부(300)는 페라이트 코어(320)가 구비될 수 있고, 충전모듈(400)은 집전코일(410) 및 고주파용 코어(430)가 구비될 수 있다.
급전선로 등의 전원라인(200)에 60kHz의 고주파 전력을 흐르게 하는 경우 자기장이 발생되며, 발생된 자기장은 페라이트 코어(320)를 통해 충전모듈(400)의 집전코일(410)로 흐르도록 유도된다. 그리고 충전모듈(400)의 고주파용 코어(430)도 페라이트 코어(320)와 함께 자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전선로 등의 전원라인(200)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이 충전모듈(400)의 집전코일(410)을 향하도록 유도된다. 그리고 집전코일(410)로 유도된 자기장은 집전코일(410)을 지나면서 다시 전력으로 변환되며, 이와 같은 전력이 차량(C)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케이블(420) 및 커넥터(44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충전시스템의 전력공급부(300)는 일단에 체결부(320)가 마련되어 전원라인(2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충전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부(300)는 일단이 마련된 체결부(320)를 통해 전원라인(200)에 체결되며, 타단이 충전모듈(400)과 연결되므로 설치부(110)에서 하방으로 충전모듈(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체결부(320)가 고리(320) 형상으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320)는 원형 또는 Y형 등 전원라인(200)과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충전시스템은 지지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는 일단이 설치부(110)에 함몰 형성된 홈(11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부(S)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설치부(110)에 삽입되어 충전모듈(400)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모듈(400)은 우선 전력공급부(300)에 의해 지지되며, 추가적으로 지지부(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모듈(400)은 복수개의 지지대가 마련됨으로써 충전모듈(40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은 3상 전원(V)과 연결된 3개의 전원라인(200)과, 3개의 전원라인(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3개의 전력공급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3개의 전력공급부(300)와 변압기(T)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전원(D)이 마련된다. 즉, 3상 전원(V)의 교류 전압이 변압기(T)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며, 직류 전압이 DC 전원(D)과 케이블(420) 및 커텍터를 통해 차량(C) 등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3상 전원(V)을 통해 충전모듈(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전원라인(200)으로 마련된 220V 전원을 통해 충전모듈(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충전시스템의 전원라인(200)은 라인 형상의 제1 전원라인(210) 및 메쉬부 형상의 제2 전원라인(2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부(300)는 제1 전원라인(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공급부(350) 및 제2 전원라인(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공급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원라인(210)은 라인 또는 선로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전원라인(220)은 철조망 등과 같은 메쉬(Mesh)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력공급부(350)는 일단이 제1 전원라인(210)에 걸림 체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충전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전력공급부(350)의 일단에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전원라인(210)과 체결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Y형 등 제1 전원라인(210)과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공급부(360)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전력공급부(360)는 일단이 제2 전원라인(220)과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전력공급부(350) 및 제2 전력공급부(360)는 충전모듈(4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충전모듈(40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은 한 쌍의 제2 전원라인(220', 220") 및 한 쌍의 제2 전력공급부(360', 3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시스템은 3상 전원과 연결된 제1, 2 전원라인(210, 220', 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제1, 2 전력공급부(350, 360', 360")가 마련된다. 그리고 3개의 전력공급부(350, 360', 360")와 변압기(T)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전원(D)이 마련된다. 즉, 3상 전원의 교류 전압이 변압기(T)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며, 직류 전압이 DC 전원(D)과 케이블(420) 및 커텍터를 통해 차량(C) 등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3상 전원을 통해 충전모듈(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전원라인(200)으로 마련된 220V 전원을 통해 충전모듈(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를 살펴보면, 3상 전원과 연결된 제2 전원라인(220', 220") 중 제2 전원라인(220")은 하나가 마련되며, 그 양측에 한 쌍의 제1 전원라인(210)과, 한 쌍의 제2 전원라인(22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충전모듈(400a, 400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충전모듈(400a, 400b)은 하나의 제2 전원라인(220")을 공유하며, 각각 다른 제1 전원라인(210) 및 제2 전원라인(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원라인(220")을 공유하며, 복수의 충전모듈(400a, 400b)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충전시스템은 동시에 다수의 차량(C)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충전모듈(400)에 이동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모듈(400)은 레일부(500) 상에서 이동됨으로써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동부(미도시)는 충전모듈(400)이 레일부(500)에 체결되기 위해 마련되는 체결부(405)에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부(405)에서 동작되어 레일부(500) 상에서 충전모듈(400)이 이동 또는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는 복수의 주차부(120)에 차량(C)의 정차 또는 주차 여부를 감지하며, 충전모듈(400)의 사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진입한 차량(C)에 충전 가능한 주차부(120) 및 사용 가능한 충전모듈(40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마련될 수 있거나 또는 파킹 공간(100) 이외 외부 서버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충전모듈(400)과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충전모듈(400)의 이동 또는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충전모듈(400)의 체결부에 마련된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충전모듈(400)이 레일부(500) 상에서 이동될 수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복수의 주차부(120)에 차량(C)의 정차 또는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주차부(120) 중 차량(C)이 정차 또는 주차하지 않은 주차부(120)의 정보를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충전모듈(400)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되지 않는 충전모듈(400)의 정보를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은 즉시 정차 또는 주차가 가능한 주차부(12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즉시 사용 가능한 충전모듈(400)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파킹 공간(100)에 이미 진입하여 충전을 하고 있는 차량(C) 및 복수의 충전모듈(400)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진입된 차량(C)이 곧바로 충전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의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즉시 충전할 수 있는 주차부(120)가 없는 경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충전이 가능한 주차부(120)의 위치 및 사용 가능한 충전모듈(40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주차부(120), 충전모듈(400) 및 차량(C)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1의 경우 복수의 주차부(120, 120', 120"), 복수의 충전모듈(400, 400'), 주차부(120)에 정차 또는 주차하고 있는 차량(C, C")과,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이 도시되었다. 복수의 주차부(120, 120', 120")는 제1 주차부(120), 제2 주차부(120'), 제3 주차부(120")로 정의하며, 복수의 충전모듈(400)은 제1 충전모듈(400), 제2 충전모듈(400')로 정의하고, 복수의 차량(C)은 이미 정차하고 있는 제1 차량(C), 제3 차량 (C")과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고 있는 제2 차량(C')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주차부(120)에 제1 차량(C)이 주차되어 제1 충전모듈(400)을 사용하며 제3 주차부(120)에 제3 차량(C")이 주차되었으나 제2 충전모듈(4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제2 차량(C')에 대해 사용 가능한 제2 주차부(120')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제2 충전모듈(400')에 대한 정보를 제2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주차부(120)에 제1 차량(C)이 주차되어 제1 충전모듈(400)을 사용하며 제3 주차부(120")에 제3 차량(C")이 주차되어 제2 충전모듈(400')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제2 차량(C')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충전모듈(400)이 없는 상태에 해당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충전모듈(400)과 제2 충전모듈(400')의 잔여 충전시간을 비교하여, 충전이 좀 더 빠르게 끝나는 충전모듈(400)에 대한 정보를 제2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충전모듈(400) 및 제2 충전모듈(400')의 잔여 충전시간이 각각 10분 및 20분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충전모듈(400)이 가장 빠르게 사용될 수 있는 충전모듈(400)에 해당되며, 이를 사용하기 위한 제2 주차부(120')의 위치를 제2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의 제어부와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입하는 차량(C)의 잔여 배터리량 정보를 제공받아 본 발명의 제어부가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커넥터(440)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가 통신을 통해 파킹 공간(100)에 진입하는 차량(C)에 대해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인식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제어부는 충전모듈(400)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릴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차량(C)의 배터리 충전을 완료한 충전모듈(400)의 경우 릴 장치(미도시)가 케이블(420)을 회수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제어함으로써 케이블(420)이 충전모듈(4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릴 장치(미도시)는 일측에 릴 장치(미도시)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릴 장치(미도시)가 케이블(420)을 회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파킹 공간 110 : 설치부
120 : 주차부 200 : 전원라인
300 : 전력공급부 400 : 충전모듈
420 : 케이블 440 : 커넥터
500 : 레일부 600 : 제어부

Claims (16)

  1. 복수의 주차부 및 상기 복수의 주차부 상방에 마련된 설치부가 구비된 파킹 공간;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된 전원라인;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마련된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부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충전모듈이 체결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페라이트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모듈은
    고주파용 코어 및 집전코일이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일단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전원라인에 체결되며, 타단이 상기 충전모듈과 연결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삽입되어 하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타단이 상기 충전모듈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전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모듈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은
    라인 형상의 제1 전원라인 및 메쉬부 형상의 제2 전원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2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공급부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은
    소정 길이를 갖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차량과 체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충전모듈의 내부에 마련된 릴 장치에 감기도록 마련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및 커넥터는 복수개 마련됨으로써 인접한 복수개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의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부의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충전모듈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파킹 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충전 가능한 상기 주차부 및 사용가능한 상기 충전 모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즉시 충전할 수 있는 상기 주차부의 위치 및 사용 가능한 상기 충전모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즉시 충전할 수 있는 상기 주차부가 없는 경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충전이 가능한 상기 주차부의 위치 및 사용 가능한 상기 충전모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킹 공간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모듈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듈이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릴 장치가 상기 케이블을 회수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KR1020190132077A 2019-10-23 2019-10-23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KR2021004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77A KR20210048153A (ko) 2019-10-23 2019-10-23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77A KR20210048153A (ko) 2019-10-23 2019-10-23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53A true KR20210048153A (ko) 2021-05-03

Family

ID=7591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77A KR20210048153A (ko) 2019-10-23 2019-10-23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15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866B1 (ko) * 2021-05-04 2021-12-10 서성일 천장형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86103B1 (ko) * 2021-06-24 2022-04-14 대영채비(주)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WO2022245007A1 (ko) * 2021-05-21 2022-11-24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KR102533136B1 (ko) * 2022-06-15 2023-05-17 이브이컴퍼니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충전케이블 이송장치
KR20230122335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포트맥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KR20230131039A (ko)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세홍 와이어웨이 연동형 전기차 충전용 전력선 분기장치 및 전기차 충전을 위한 주차공간 배선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749A (ko) 2016-01-18 2017-07-27 (주)한국전기차서비스 전기 차량 충전 제어 및 충전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749A (ko) 2016-01-18 2017-07-27 (주)한국전기차서비스 전기 차량 충전 제어 및 충전 관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866B1 (ko) * 2021-05-04 2021-12-10 서성일 천장형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2245007A1 (ko) * 2021-05-21 2022-11-24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KR102386103B1 (ko) * 2021-06-24 2022-04-14 대영채비(주) 물류시스템용 스마트 무빙 충전 시스템
KR20230122335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포트맥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KR20230131039A (ko)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세홍 와이어웨이 연동형 전기차 충전용 전력선 분기장치 및 전기차 충전을 위한 주차공간 배선시스템
KR102533136B1 (ko) * 2022-06-15 2023-05-17 이브이컴퍼니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충전케이블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8153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시스템
KR102618527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방법
EP2983267B1 (en) Electricity supply device, vehicle, and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CN104578328A (zh) 智能移动充电车系统及方法
KR101172715B1 (ko) 가선 없는 교통 시스템의 충전 시스템
WO2010090333A1 (ja) 移動体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201802728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with improved efficiency
KR102338866B1 (ko) 천장형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536026B2 (en) Compact passenger station structure containing vehicle charging components
CN204391833U (zh) 智能移动充电车系统
KR20180065844A (ko) 다세대 주택 전기 자동차 자동 충전 제어 시스템
CN105162211A (zh) 用于立体车库的汽车充电装置
JP2013076316A (ja) 機械式駐車装置
US20200376974A1 (en) Autonomous mobile vehicle charger system utilizing novel structural architecture to transport and deliver energy to a densely positioned array of energy users
CN109774503A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车位及其充电方法
CN105162221A (zh) 自动化集装箱码头全电动无人自动导航载运车自动充电车载装置及充电方法
CN106836894A (zh) 一种立体车库自动充电智能载车托盘系统
JP2014020106A (ja) 機械式駐車場
CN108340793B (zh) 充电系统及方法
CN210283951U (zh) 移动式充电装置
KR102538406B1 (ko) 차량간 충전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KR102525755B1 (ko) 모듈형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9266B1 (ko)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060026A (zh) 主动充电系统、停车场
CN108341308B (zh) 充电电缆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