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67B1 - 짐걸이 훅 - Google Patents

짐걸이 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67B1
KR102385967B1 KR1020207034135A KR20207034135A KR102385967B1 KR 102385967 B1 KR102385967 B1 KR 102385967B1 KR 1020207034135 A KR1020207034135 A KR 1020207034135A KR 20207034135 A KR20207034135 A KR 20207034135A KR 102385967 B1 KR102385967 B1 KR 10238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ain
sub
belt
h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658A (ko
Inventor
긴야 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 인터내셔널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 인터내셔널 그룹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 인터내셔널 그룹
Publication of KR2021000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47G29/083Devices for suspending handbags from tables, chai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짐걸이 훅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장착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짐걸이 훅(10)으로서, 베이스(20)와, 장착 베이스(20)에 장착되고, 피장착부에 감겨지는 벨트(81)와, 베이스에 원주상의 주넥부(61)가 그 중심선을 회전 중심축(R)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주넥부에 일부가 개방된 원고리형의 주훅본체(64)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주훅부재(60)와, 주넥부에 원통상의 부넥부(7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고, 부넥부에 일부가 개방된 원고리형의 부훅본체(73)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부훅부재(70)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짐걸이 훅
본 발명은 유모차나 쇼핑 카트에 장착하여 가방류나 장바구니 등의 짐을 거는 짐걸이 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나 쇼핑 카트를 사용할 때, 가방류나 장바구니를 핸들바에 매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짐걸이 훅을 장착하고, 이 짐걸이 훅에 가방류를 걸 수 있으면 편리하다. 이 때문에, 짐걸이 훅으로서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짐걸이 훅은 핸들바에 고정시키는 장착 부품과, 이 장착 부품에 장착된 S자 형상 혹은 하방에 반 S자 형상의 훅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훅 부품은 장착 부품에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장착되어, 가방류를 원하는 방향으로 매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하나의 훅 부품에는 하나의 짐밖에 걸 수 없고, 짐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추가의 짐걸이 훅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훅 부품이 고정되어 있으면 짐을 거는 방향이 고정되기 때문에, 연직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짐의 중심 위치에 따라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훅 부품이 회전하여 짐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핸들바에 고정시킬 때, 벨크로(hook-and-loop fastener)를 사용하는 타입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구조는 간단하지만, 사용자가 감을 때마다 벨크로의 앞과 뒤를 확인해야 하고, 짐이 많을 때나 급할 때 다루기 힘들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4528호(단락 번호 [0023], 도 5 및 도 7) 국제 공개 2014/030402 팜플렛(단락 번호 [0007] 및 도 3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5286호(단락 번호 [0019] 및 도 3∼도 5)
종래, 이와 같은 짐걸이 훅은 다양한 타입의 것이 개발되었지만,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고,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짐걸이 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장착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짐걸이 훅으로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부에 감겨지는 벨트(10)와,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장착된 원주상의 주넥부(61)와, 이 주넥부(6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주훅본체(64)를 갖는 주훅부재(60)와, 상기 주넥부(61)에 장착된 부넥부(72)와, 이 부넥부에 장착되고,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부훅본체(73)를 갖는 부훅부재(70)를 구비하고, 상기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는 상기 베이스(20)에 대해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높이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베이스(20)에 대해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켰을 경우, 상기 부훅본체(73)가 상기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를 협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짐걸이 훅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짐걸이 훅이 장착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짐걸이 훅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짐걸이 훅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짐걸이 훅의 장착 베이스 및 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짐걸이 훅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보충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짐걸이 훅의 벨트 유닛의 권회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짐걸이 훅의 벨트 유닛의 권회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짐걸이 훅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짐걸이 훅(10)이 장착된 유모차(K)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짐걸이 훅(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짐걸이 훅(10)의 베이스 본체(30) 및 훅 유닛(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짐걸이 훅(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보충도이다. 또한, 이들 도 중, W는 가방류나 장바구니 등의 짐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부훅본체(73)가 주훅본체(64)와 동일한 방향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부훅본체(73)가 주훅본체(64)와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짐걸이 훅(10)은 유모차(K)의 핸들바(피장착부)( Ka)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짐걸이 훅(10)은 핸들바(Ka)에 대향 배치되는 장착 베이스(20)와, 이 장착 베이스(20)에 대해 회전축(R) 주위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훅 유닛(50)과, 장착 베이스(20)에 장착되고, 핸들바(Ka)에 감겨지는 벨트(81)와, 핸들바(Ka)에 감겨진 벨트(81)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벨트(83)를 구비한다.
장착 베이스(20)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본체(30)와, 이 베이스 본체(30)에 대해,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장착된 요동 베이스(4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본체(30)는 판형상의 플레이트 부재(31)를 갖고 있다. 플레이트 부재(31)에는 후술하는 벨트(81)를 통과시키는 제1 구멍(32) 및 제2 구멍(33)과, 후술하는 접속 핀(62)을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베이스(40)는 플레이트 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레이트 부재(41)는 기단측에 있어서 봉형상의 요동 핀(42)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31)에 대해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부재(41)에는 플레이트 부재(4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뚫린 후술하는 벨트(81)를 통과시키는 제1 구멍(43)과, 이 제1 구멍(43)에 연통하고, 플레이트 부재(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단측에 개구하여 후술하는 보강 벨트(83)를 통과시키는 가로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훅 유닛(50)은 주훅부재(60) 및 부훅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주훅부재(60)는 원주상의 주넥부(61)와, 주넥부(61)의 하단에 접속된 일부가 개방된 원고리상의 주훅본체(64)를 갖는다. 주넥부(61)의 상단면에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구멍을 베이스 본체(30)의 관통 구멍(34)에 위치 맞춤시킨 상태에서 접속 핀(62)에 의해 주훅부재(60)는 베이스 본체(30)에 거의 수직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주넥부(61)의 중심선은 회전 중심축(R)이다.
여기서, 접속 핀(62)의 외경과 관통 구멍(34)의 내경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주훅부재(60) 전체를 상기 베이스 본체(30)에 대해 중심축(R) 회전으로 사람의 손으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훅부재(60)를 돌릴 때, 일정한 토크가 필요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 핀(62)과 관통 구멍(34)의 감합을 꽉 끼게 끼워 맞추거나, 혹은 상기 접속 핀(62)의 체결력을 조정함으로써 그 저항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훅부재(60)를 돌리는데 필요한 토크는 5∼40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5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cN·m이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R)∼주훅부재(60)의 역점까지의 거리(h1)는 4㎝이고, 이 예의 토크는 24cN·m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넥부(61)와 주훅본체(64)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넥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주넥부와 베이스 본체(3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훅본체와 주넥부재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주넥부(61)의 원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3)는 상술한 부훅부재(7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는 짐(W)의 탈락 방지를 위해 약간 위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훅본체(64)의 원고리의 중심 위치(C1)는 회전 중심축(R)에서 개방부(65)측으로 약간 시프트되어 있다.
부훅부재(70)는 원통상의 부넥부(71)를 갖는다. 부넥부(71)의 내경은 주넥부(61)의 외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에 의해, 부넥부(71)는 주넥부(61)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여기서도, 부넥부재(70)를 돌리기 위해서는 일정한 토크가 필요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5∼40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5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c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cN·m이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R)∼주훅부재(60)의 역점까지의 거리(h2)는 3.5㎝이고, 이 예의 토크는 20cN·m이다.
부넥부(71)는 원주면에서 돌출된 브래킷(72)을 갖는다. 이 브래킷(72)에는 일부가 개방된 원고리상의 부훅본체(73)가 접속된다. 부훅본체(73)의 개방부(74)는 짐의 탈락 방지를 위해 약간 위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훅본체(73)의 원고리의 중심 위치(C2)는 회전 중심축(R)에서 시프트되어 있다.
주훅부재(60)의 주넥부(61)와 부훅부재(70)의 부넥부(71)는 서로 회전 중심축(R) 회전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가 상이한 방향을 향했을 경우,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에서 부훅본체(73)는 이간한다(도 5의 실선 참조).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가 동일한 방향을 향했을 경우, 즉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가 한 곳에 모였을 때,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를 부훅본체(73)가 협색하도록 부훅본체(73)는 주훅본체(64)보다도 소형이고, 주훅본체(64)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겹치는 형상(겹치는 양은 도 2에 나타내는 t1)을 갖는다(도 5의 파선 참조). 구체적으로는 부훅부재(7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친 높이는 주넥부(61)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또는 주넥부(61)의 높이보다도 약간 높다.
여기에서,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가 동일한 방향을 향했을 경우의, 부훅본체(73)에 의한 주훅본체(64) 개방부(65)의 협색 치수(D2)는 원래의 개방 치수(D1)의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래의 개방 치수는 2㎝이며, 협색되었을 때의 개방 치수는 4㎜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브래킷(72)에서 부훅본체(73)에 걸친 연속되는 직선 부분은 회전 중심축(R)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훅본체(73)의 최하점(G2)과 부훅본체(73)의 원고리 중심(C2)을 지나는 직선은 회전 중심축(R)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이에 의해, 부훅본체(73)가 회전했을 때, 부훅본체(73)는 주훅부재(60)에 간섭하지 않는다(도 2의 치수(D3) 참조).
벨트(81)는 보강 벨트(83)와 함께 벨트 유닛(80)을 구성한다. 벨트(81)는 전체적으로 핸들바(Ka)에 감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있다. 벨트(81)의 결합부(P)에 있어서 보강 벨트(83)의 일단이 벨트(81)의 표면에 꿰매 붙여져 결합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P)에 있어서 벨트(81)의 표면에 보강 벨트(83)가 꿰매 붙여져 있기 때문에 결합 부분이 두꺼워지고, 벨트(81)가 제2 구멍(33)에서 빠지는 경우가 없고, 벨트 유닛(80)이 장착 베이스(2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81)의 표면(81a)에는 전체면에 벨크로의 루프면이 형성되고, 뒷면(81b)에는 전체면에 벨크로의 훅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중, 81c는 벨트(81)의 일단, 81d는 타단을 나타내고 있다. 벨크로의 훅면과 루프면은 누름으로써 결합하여 일정한 결합력을 갖고, 박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강한 힘이 필요로 된다.
보강 벨트(83)의 표면(83a)은 아무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고, 뒷면(83b)의 선단(83c)측에는 벨크로의 훅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중, 83c는 보강 벨트(83)의 선단을 나타내고 있다. 보강 벨트(83)의 길이는 결합부(P)로부터 벨트(81)의 타단(81d)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짐걸이 훅(10)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사용된다. 맨 처음에 짐걸이 훅(10)을 유모차(K)의 핸들바(Ka)에 고정한다. 고정할 때, 장착 베이스(20)를 핸들바(Ka)에 가깝게 하고, 벨트(81)의 일단(81c)측을 핸들바(Ka)에 감는다. 핸들바(Ka)에 감겨진 벨트(81)의 일단(81c)측의 위로부터 벨트(81)의 타단(81d)측을 감는다. 이 때, 벨트(81)의 일단(81c)측의 표면(81a)의 루프면에 벨트(81)의 타단(81d)측의 뒷면(81b)의 훅면이 걸어 맞춰져, 결합한다. 또한, 그 위로부터 보강 벨트(83)를 핸들바(Ka)에 감으면 보강 벨트(83)의 뒷면(83b)의 훅면이 선단(83c)측에서 벨트(81)의 타단(81d)측의 표면(81a)의 루프면에 걸어 맞춰져, 결합한다.
즉, 벨트(81)의 표면(81a)과 뒷면(81b)이 결합하고, 벨트(81)의 표면(81a)과 보강 벨트(83)의 뒷면(83b)이 결합하고, 벨트 유닛(80)의 전체가 핸들바(Ka)에 감겨져 고정된다. 도 6은 이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벨트(81)의 일단(81c)측을 먼저 핸들바(Ka)에 감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벨트(81)의 타단(81d)측을 먼저 핸들바(Ka)에 감을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할 때, 장착 베이스(20)를 핸들바(Ka)에 가깝게 하고, 벨트(81)의 타단(81d)측을 핸들바(Ka)에 감는다. 핸들바(Ka)에 감겨진 벨트(81)의 타단(81d)측의 위로부터 벨트(81)의 일단(81c)측을 감는다. 이 때, 벨트(81)의 타단(81d)측의 표면(81a)의 루프면에 벨트(81)의 일단(81c)측의 이면(81b)의 훅면이 걸어 맞춰져, 결합한다. 또한, 그 위로부터 보강 벨트(83)를 핸들바(Ka)에 감으면 보강 벨트(83)의 뒷면(83b)의 훅면이 선단(83c)측에서 벨트(81)의 일단(81c)측의 표면(81a)의 루프면에 걸어 맞춰져, 결합한다.
다음으로, 도 5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주훅부재(60)의 주훅본체(64)에 짐(W)를 건다. 짐(W)의 하중은 주훅본체(64)의 최하점(G1)에 걸린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점(G1)은 원고리 중심(C1)을 지나는 연직축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최하점(G1)과 회전 중심축(R) 사이에는 어긋남이 있기 때문에, 주훅본체(64)는 도 5 중,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5 중, 파선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접속 핀(62)은 관통 구멍(34) 내에서 기울어진다. 접속 핀(62)의 외경과 관통 구멍(34)의 내경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밖에 없기 때문에, 접속 핀(62)이 관통 구멍(34)의 내벽에 걸려, 접속 핀(62)의 자유로운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짐(W)이 걸려 있는 주훅본체(64)의 주넥부(61)는 회전하지 않고 안정된다.
한편, 주넥부(6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부넥부(71)는 브래킷(72) 및 부훅본체(73)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고, 도 5 중, 파선 위치까지 회전 이동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안정된다. 이 때,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를 부훅본체(73)가 협색하기 때문에, 짐(W)이 개방부(65)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훅본체(73)의 회전 위치도 안정되기 때문에, 다른 짐을 걸기 위해, 사용자는 부훅본체(73)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짐걸이 훅(10)은 핸들바(Ka)에 감을 때, 벨트(81)는 앞뒷면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81)의 어느 측을 먼저 핸들바(Ka)에 감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을 신경 쓰지 않고, 고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벨트(83)가 보다 위쪽에 감김으로써 벨크로에 의한 결합 부위의 면적을 늘릴 수 있고,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주훅부재(60)의 주훅본체(64)에 짐(W)을 걺으로써, 주훅본체(64)가 기울어져 주넥부(61)의 회전을 규제하여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부훅부재(70)의 부훅본체(73)가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를 폐색함으로써, 추가로 짐(W)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훅본체(73)에 의해 다른 짐을 걸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의 형상을 일부를 개방한 원고리체로 했지만, 훅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부가 개방된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이어도 되고, 일부가 개방된 타원 고리체여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훅본체(64)의 형상을 채널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베이스(40)는 장착 베이스(20)에 핀(42)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10…짐걸이 훅
20…장착 베이스
30…베이스 본체
31…플레이트 부재
32…제1 구멍
33…제2 구멍
34…관통 구멍
40…요동 베이스
41…플레이트 부재
42…요동핀
43…제1 구멍
44…가로 구멍
50…훅 유닛
60…주훅부재
61…주넥부
62…접속 핀
63…플랜지부
64…주훅본체
65…개방부
70…부훅부재
71…부넥부
72…브래킷
73…부훅본체
74…개방부
80…벨트 유닛
81…벨트
81a…표면
81b…뒷면
81c…일단
81d…타단
83…보강 벨트
83a…표면
83b…뒷면
83c…선단

Claims (10)

  1. 피장착부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짐걸이 훅으로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장착되고, 상기 피장착부에 감겨지는 벨트(81)와,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20)에 장착된 원주상의 주넥부(61)와, 이 주넥부(61)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향으로 개방되는 주훅본체(64)를 갖는 주훅부재(60)와,
    상기 주넥부(61)에 장착된 부넥부(72)와, 이 부넥부(72)에 장착되고, 상“‡향으로 개방되는 부훅본체(73)를 갖는 부훅부재(70)를 구비하고,
    상기 주훅본체(64)와 부훅본체(73)는
    상기 베이스(20)에 대해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높이 방향의 위치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베이스(20)에 대해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켰을 경우, 상기 부훅본체(73)가 상기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를 협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짐걸이 훅.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켰을 경우의, 상기 부훅본체(73)의 상기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의 협색량(狹塞量)은 50% 이상인, 짐걸이 훅.
  3.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켰을 경우의, 상기 부훅본체(73)의 상기 주훅본체(64)의 개방부(65)의 협색량(狹塞量)은 75% 이상인, 짐걸이 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훅본체의 외형은 상기 주훅본체의 외형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짐걸이 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훅본체의 중심은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주훅본체의 개방부측으로 어긋나 있고,
    상기 부훅본체의 중심은 상기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부훅본체의 개방부측으로 어긋나 있는, 짐걸이 훅.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훅본체는 회전축을 사이에 끼우고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향으로 개방되는 C자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부훅본체는 회전축의 일방측으로만 돌출되고, 또한 상“‡향으로 개방되는 J자형의 형상을 갖는, 짐걸이 훅.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훅본체를 상기 베이스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필요 회전 토크는 5∼40cN·m인, 짐걸이 훅.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훅본체를 상기 주훅본체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필요 회전 토크는 5∼40cN·m인, 짐걸이 훅.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일방측의 전체면이 벨크로의 훅면, 타방측의 전체면이 벨크로의 루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짐걸이 훅.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장착부에 감겨진 벨트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벨트를 추가로 갖고,
    상기 보강 벨트는 그 일단이 상기 벨트의 외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보강 벨트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벨트의 일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짐걸이 훅.
KR1020207034135A 2018-07-03 2019-07-03 짐걸이 훅 KR102385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7084 2018-07-03
JPJP-P-2018-127084 2018-07-03
PCT/JP2019/026479 WO2020009154A1 (ja) 2018-07-03 2019-07-03 荷物掛フ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58A KR20210002658A (ko) 2021-01-08
KR102385967B1 true KR102385967B1 (ko) 2022-04-12

Family

ID=6906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35A KR102385967B1 (ko) 2018-07-03 2019-07-03 짐걸이 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2525B2 (ko)
EP (1) EP3819506B1 (ko)
JP (3) JP6723594B2 (ko)
KR (1) KR102385967B1 (ko)
CN (2) CN112368483B (ko)
WO (1) WO2020009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9506B1 (en) * 2018-07-03 2023-03-15 Vie International Group Co., Ltd. Hook of luggage han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286A (ja) 2005-05-02 2006-11-09 Mamiko Kurosawa フック
JP2012504217A (ja) 2008-09-29 2012-02-16 クリプスィ エルエルシー 回転継手アセンブリ、ならびに、クリップ−フックの組合せおよびこの組合せを採用した宝飾品
JP2014030402A (ja) 2012-08-06 2014-02-20 Matsutani Chem Ind Ltd 飲食品物の甘味増強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甘味が増強された飲食品物
JP2016158817A (ja)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取付具、および滑り止め基台の組立セット
JP2018047811A (ja) 2016-09-22 2018-03-29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497295A0 (en) * 1995-08-24 1995-09-14 Gasbarri, Lynda Flexible fastener assembly
US6347693B1 (en) * 2000-05-01 2002-02-19 Wei-Chih Chen Article-holding hook of luggage
JP4201523B2 (ja) 2002-04-17 2008-12-24 中央発條株式会社 ケーブルの複合クランプおよびクランプ方法
JP2004230060A (ja) 2003-01-31 2004-08-19 Noriaki Watanabe ハンガー
US7475859B2 (en) * 2005-11-02 2009-01-13 Sean Michael Selders Accessory hanger for mounting on a vertical pole
JP4524266B2 (ja) 2006-03-31 2010-08-11 株式会社サンコー 吊り下げ具
US8973875B2 (en) * 2010-05-25 2015-03-10 Everlast Worlds Boxing Headquarters Corporation Universal heavy bag hanger
JP6215829B2 (ja) * 2012-08-24 2017-10-18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吊下フック具
KR101400891B1 (ko) 2012-08-28 2014-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에틸벤젠의 탈수소화 반응용 복합 산화물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US9480327B2 (en) * 2014-10-06 2016-11-01 Ty-Flot, Inc. Drop-prevention apparatus for a rolled product
JP6396629B2 (ja) * 2016-09-07 2018-09-26 ラウ キット ヒングLau Kit Hing 吊り下げ具
CN206507724U (zh) * 2016-11-17 2017-09-22 深圳市金兴顺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家用五金挂钩配件
EP3819506B1 (en) * 2018-07-03 2023-03-15 Vie International Group Co., Ltd. Hook of luggage hanger
US10869569B2 (en) * 2019-05-22 2020-12-22 Donna L. E. Lehtonen Purse storage hook with protective cover
US11388971B2 (en) * 2019-10-09 2022-07-19 Sylvie Cecile Lavoie Travel strap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286A (ja) 2005-05-02 2006-11-09 Mamiko Kurosawa フック
JP2012504217A (ja) 2008-09-29 2012-02-16 クリプスィ エルエルシー 回転継手アセンブリ、ならびに、クリップ−フックの組合せおよびこの組合せを採用した宝飾品
JP2014030402A (ja) 2012-08-06 2014-02-20 Matsutani Chem Ind Ltd 飲食品物の甘味増強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甘味が増強された飲食品物
JP2016158817A (ja)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取付具、および滑り止め基台の組立セット
JP2018047811A (ja) 2016-09-22 2018-03-29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154A1 (ja) 2020-01-09
CN113978540A (zh) 2022-01-28
US20210251407A1 (en) 2021-08-19
US11202525B2 (en) 2021-12-21
EP3819506B1 (en) 2023-03-15
EP3819506A1 (en) 2021-05-12
EP3819506A4 (en) 2021-05-26
JP2023184698A (ja) 2023-12-28
CN112368483A (zh) 2021-02-12
JP2020163183A (ja) 2020-10-08
JP6723594B2 (ja) 2020-07-15
CN112368483B (zh) 2021-12-21
JPWO2020009154A1 (ja) 2020-07-09
KR20210002658A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9134B1 (en) Swivel hook tie down
US5248176A (en) Swivel coupling device
KR102385967B1 (ko) 짐걸이 훅
US7510157B2 (en) Self-leveling luggage handle cup holder
US20160286914A1 (en) Luggage article with loop-shaped wheel bracket
MXPA01010219A (es) Mango para recipiente y metodos relacionados.
CN103140263A (zh) 高尔夫球袋和高尔夫球车总成
US7246629B2 (en) Beach umbrella
US5836601A (en) Collapsible golf bag cart with seat
US6641456B2 (en) Independent wheel arrangement for toy vehicle
US20050012287A1 (en) Handle arrangement for a pushchair
KR101553699B1 (ko) 자전거의 핸들조립체
US10966896B2 (en) Rollator braking system
US20080169620A1 (en) Stroller and cart attachment
CN108851688A (zh) 一种内置式翻转座椅
JP4638299B2 (ja)
JP2008054995A (ja) かばんの長さ調節ベルト
CN113022692A (zh) 车轮防晃动装置及婴儿载具
KR200343359Y1 (ko) 접는 자전거용 프레임
KR101663780B1 (ko) 자전거 핸들용 절첩장치
JP2504063Y2 (ja) ギャジットバッグにおける背環・背環係止ベルトの取付構造
JP2019209775A (ja) 車両に荷物を固定するための取付具
CN209686849U (zh) 一种可调式适用范围广的建筑模板
AU676761B2 (en) Trolley assembly
US109017A (en) Improvement in coat and hat-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