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886B1 -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886B1
KR102384886B1 KR1020190171277A KR20190171277A KR102384886B1 KR 102384886 B1 KR102384886 B1 KR 102384886B1 KR 1020190171277 A KR1020190171277 A KR 1020190171277A KR 20190171277 A KR20190171277 A KR 20190171277A KR 102384886 B1 KR102384886 B1 KR 10238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over
protrusion
hollow
push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125A (ko
Inventor
김부곤
Original Assignee
(주)삼우티에스
김부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티에스, 김부곤 filed Critical (주)삼우티에스
Priority to KR102019017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하는 탄성부재,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푸싱기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ROTATABLE ARTICULATION DEVICE AND WHEELCHAI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 무릎, 발목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장치 및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접혀져 보관의 용이성과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wheelchair)란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의미하며, 주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사회생활, 직장 및 여가 생활에 참여하는데 사용하는 이동기구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보통 바디프레임이 고정되어 접을 수 없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관을 하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보관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239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접이식 휠체어가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네 개의 지지대(120)를 'X'자 구조를 가진 접철링크(15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을 수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X'자 구조는 상하측의 벌어짐이 줄어듦에 따라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기 위해서는 앞쪽 바퀴(125) 측 지지대(120)가 늘어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용발명에서의 앞쪽 바퀴(125) 측 지지대(120)는 그 길이가 늘어난 것처럼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동일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 형태를 가지므로 늘어나지 못하는 구조이다.
즉, 인용발명은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접을 수 있으면서 펼쳐질 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X'자의 절첩링크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접어질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보호자가 휠체어의 이동을 돕도록 마련된 손잡이,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침대,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받침대 등 다양한 관절부가 존재하나, 관절의 각도 조절이 되지 않아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본인의 체형에 맞추어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239호 '접이식 휠체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 무릎받침대, 발목받침대 등 관절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 가능 관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맞도록 각도 조절이 용이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앞바퀴가 구비되는 전방 측 지지대에 대하여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이중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접혀지는 접이식 휠체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관절장치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하는 탄성부재,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푸싱기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관절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고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 끝단과 옆면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돌기가 마련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제2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하고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2 원통부는,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2 돌출부,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호 형상의 제3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호 형상 제4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1 레버삽입부, 상기 제1 레버삽입부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면에 일단면 라인이 일치하도록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반원통보다 높이가 낮고 원의 중심이 같은 반원통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싱기어는, 원통의 일측 단면의 중심부에 홀이 마련되어 상기 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원통의 타측 단면은 버튼 푸시를 위한 돌출부가 마련되며, 원통의 외면에 마련된 다수의 요철은 상기 제2 원통부 내부에 마련된 요홈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원통부 내부로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2 레버삽입부,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 옆면이 연결되는 회전제어몸통부 및 상기 회전제어몸통부의 일측 끝단에 반원통 형상의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몸통부는,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보다 타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가 크고, 원통의 내부측 일단면에 중공이 마련된 요홈원판을 결합하되, 상기 요홈원판의 요홈 연결라인은 상기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이 형성하는 내주라인보다 상기 요홈원판의 외주방향으로 인입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 끝단에서 타단 끝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며 상기 타측 끝단이 둥근,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 중 상기 중공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상기 다수의 요홈과 결합하도록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일측 끝단에 돌기가 마련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 접하고 내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마련된 요홈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가능 관절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 시트(100), '1'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100)의 전방 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되며 하단에 앞바퀴(10)가 구비되는 전방지지대(200), 상기 전방지지대(200)보다 긴 '1'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100)의 후방 측 모서리를 관통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단에 뒷바퀴(20)가 구비되는 후방지지대(300), 'X'자 형태로 교차점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전방지지대(200) 상호 간, 전방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 후방지지대(3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각각의 단부가 전방지지대(200) 및 후방지지대(300)에 힌지결합되는 접철링크(400)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지지대(200)는 하단에 앞바퀴(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접철링크(400)의 하측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외측지지대(210)와, 상기 외측지지대(21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 시트(100)가 결합되고 상부에 접철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내측지지대(220)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장치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10),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하는 탄성부재,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푸싱기어(40),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30) 및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무릎받침대, 발목받침대 등 관절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 가능 관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 및 자세에 맞도록 각도 조절이 용이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바퀴가 구비된 전방지지대가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로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내측지지대가 외측지지대의 내측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바, 절첩링크의 접힘에 따라 절첩링크의 상측 단부와 힌지결합된 내측지지대가 상승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휠체어가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관의 용이성과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에 대한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푸싱기어에 대한 부품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레버에 대한 부품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에 대한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푸시기어에 대한 부품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에 대한 결합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푸싱기어에 대한 부품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와 발판이 결합된 도면.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와 발목받침대 및 발판이 결합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4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에 적용되는 팔걸이대가 제1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28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가 접혀진 상태에서 이에 적용되는 팔걸이대가 제1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에 대한 결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푸싱기어에 대한 부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레버에 대한 부품도이다.
우선, 도 1을 참고하면,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중 손잡이의 경우, 지지부재(1100), 탄성부재(미도시), 푸싱기어(1400), 제1 커버(1300) 및 제2 커버(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고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1110), 상기 연결부의 일측 끝단과 옆면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돌기(1121)가 마련되는 제1 원통부(1120) 및 상기 제1 원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1135)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원통부(1130)를 포함하여 손잡이가 외부 몸체에 고정되어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제2 원통부(1130)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제1 원통부의 돌기(1121)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는 원통 형상의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일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코일 스프링이 상기 제2 원통부(1130)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고, 원통 형상의 코일 스프링 일측 끝단이 돌기를 중심에 두고 제1 원통부의 일단면과 맞닿은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원통 형상의 코일 스프링의 원 지름은 상기 돌기(1121)의 지름보다 크고 제2 원통부(1130) 내경의 지름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싱기어(1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통부(113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1420)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푸싱기어(1400)의 단면 형상은 제2 원통부(113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여 상기 다수의 요철이 제2 원통부(1130)의 내주면에 마련된 다수의 요홈(1135)을 따라 삽입될 수 있으며, 푸싱기어의 삽입 편의를 위해 푸싱기어의 단면 크기보다 제2 원통부(1130)의 단면 크기가 다소 크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푸싱기어가 삽입되는 측의 끝단 면에는 상기 돌기(112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마련되며, 상기 돌기가 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푸싱기어가 지지부재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푸싱기어의 길이는 제2 원통부(1130)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푸싱기어가 제2 원통부(1130)에 삽입되더라도 제2 원통부(1130)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푸싱기어의 일측 끝단(제2 원통부(1130))에 삽입되는 끝단의 반대측 끝단)은 버튼이 마련되어 향후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푸쉬하는 지점으로 사용되며, 버튼의 크기는 사용환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커버(1300)는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하기에서 설명할 레버(15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버는 상기 푸싱기어의 외면을 감싼 상태에서 레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일체로 동작하여 상기 푸싱기어의 원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의 원활한 결합과 회전을 위해 제1 커버의 내부에는 다수의 호형상 돌기가 마련되며, 제2 원통부 외면에는 다수의 돌출부를 마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원통부는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1 돌출부(1131), 상기 제1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2 돌출부(1132),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호 형상의 제3 돌출부(1133), 상기 제3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호 형상 제4 돌출부(113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돌기는 상호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결합되고, 회전되어 제1 커버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커버는 내부에 다수의 요홈이 마련된 중공이 형성되어 푸싱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평상시에는 레버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제1 커버의 구성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커버(13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2 레버삽입부(1310),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 옆면이 연결되는 회전제어몸통부(1320); 및 상기 회전제어몸통부의 일측 끝단에 반원통 형상의 커버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몸통부(1320)는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보다 타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가 크고, 원통의 내부측 일단면에 중공이 마련된 요홈원판(1321)을 결합하되, 상기 요홈원판(1321)의 요홈 연결라인은 상기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이 형성하는 내주라인(1322)보다 상기 요홈원판의 외주방향으로 인입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싱기어의 버튼이 제1 커버의 중공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면, 푸싱기어의 요철이 상기 요홈원판의 요홈에 결합되어 제1 커버 및 이와 결합된 레버는 평상시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푸싱기어에 마련된 버튼을 푸쉬하는 경우에는 푸싱기어 반대편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축거리만큼 버튼이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요홈원판의 요홈과 푸싱기어의 요철 간 결합이 해제되어 푸싱상태에서는 레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제2 커버(1200)는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하고 하기 레버(15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푸싱기어의 일부가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푸싱기어의 일부가 상기 제1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전부가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2 커버의 세부구성을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커버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1 레버삽입부(1210), 상기 제1 레버삽입부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커버부(1220)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면에 일단면 라인이 일치하도록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반원통보다 높이가 낮고 원의 중심이 같은 반원통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레버삽입부(1210)는 제2 레버삽입부와 레버의 홀 내에 삽입되어 레버의 홀과 끼움결합되고, 이를 통해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레버(1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마련된 속 빈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지점이 절곡되어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레버의 일측 끝단의 홀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레버삽입부 및 제2 레버삽입부가 삽입되어 레버와 일체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최적화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외부에 돌출된 버튼을 푸쉬하고 레버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손잡이의 각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요철과 요홈의 개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회전각이 달라지므로, 실시 환경에 따라 회전각의 단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례 2>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에 대한 결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푸시기어에 대한 부품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발목받침대는 지지부재(1710), 탄성부재(미도시), 푸싱기어(1720), 제1 커버(1730) 및 제2 커버(17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7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어 움직임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일측 끝단에서 타단 끝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며 상기 타측 끝단이 둥근,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1711),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1712)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 중 상기 중공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돌기(171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하기 푸싱기어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돌기(1713)와 결합하여 일측 끝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푸싱기어(17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상기 다수의 요홈과 결합하도록 외면에 다수의 요철(1721)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푸싱기어(1720)는 상기 원통부(1712)에 삽입되되, 일측 단면이 탄성부재의 타측 끝단과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면의 중심에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1713)가 상기 홀에 삽입됨으로써, 푸싱기어가 원통부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7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실시례 1>의 제1 커버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레버 등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2 레버삽입부,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 옆면이 연결되는 회전제어몸통부; 및 상기 회전제어몸통부의 일측 끝단에 반원통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몸통부(1320)는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보다 타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가 크고, 원통의 내부측 일단면에 중공이 마련된 요홈원판(1321)을 결합하되, 상기 요홈원판(1321)의 요홈 연결라인은 상기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이 형성하는 내주라인(1322)보다 상기 요홈원판의 외주방향으로 인입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싱기어의 버튼이 제1 커버의 중공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면, 푸싱기어의 요철이 상기 요홈원판의 요홈에 결합되어 제1 커버 및 이와 결합된 레버는 평상시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푸싱기어에 마련된 버튼을 푸쉬하는 경우에는 푸싱기어 반대편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수축거리만큼 버튼이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요홈원판의 요홈과 푸싱기어의 요철 간 결합이 해제되어 푸싱상태에서는 레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커버(1740)는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푸싱기어의 일부가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푸싱기어의 일부가 상기 제1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전부가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을 참고하면, 제2 커버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1 레버삽입부(1210), 상기 제1 레버삽입부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커버부(1220)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면에 일단면 라인이 일치하도록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반원통보다 높이가 낮고 원의 중심이 같은 반원통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목받침대의 경우에도 최적화된 회전구조를 통해 보다 손쉽게 손잡이의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체형 등에 맞추어 각을 조절할 수 있는 관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례 3>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에 대한 결합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지지부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푸싱기어에 대한 부품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제1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의 제2 커버에 대한 부품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무릎받침대는 지지부재(3100), 탄성부재(미도시), 푸싱기어(3200), 제1 커버(3300) 및 제2 커버(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3110) 및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일측 끝단에 돌기(3121)가 마련되는 원통부(3120) 및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 접하고 내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마련된 요홈원판(3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푸싱기어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돌기(3121)와 결합하여 일측 끝단은 상기 지지부재(311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푸싱기어(3200)는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원통부(312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면에는 푸쉬버튼(322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3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할 수 있으며, 제2 커버(34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무릎받침대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최적화된 구조를 통해 무릎부분의 받침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 관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례 4>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발목받침대와 발판이 결합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750)과 발목받침대(1700)가 결합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발목받침대(1700)의 회전 뿐만 아니라, 발판(1750)과 발목받침대(1700)의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결합각도 역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1750)을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례 5>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 관절장치 중 무릎받침대와 발목받침대 및 발판이 결합된 도면이다.
발판(1750)과 발목받침대(1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무릎받침대(3000)와 결합되는 경우,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을 형성하며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 등에 보다 적절히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시례에 따르면, 무릎, 발목 등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절부를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각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관절장치의 다양한 실시례는 휠체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휠체어에 적용되는 관절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실시례 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를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8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 전방지지대(200), 후방지지대(300), 접철링크(400)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장치를 포함한다.
시트(10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이며, 도면에서는 시트(100)가 접혀진 것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시 시트(100)도 함께 접혀진다. 또한, 시트(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방지지대(200)는 '1'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100)의 전방 측 각 모서리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전방지지대(200)에는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앞바퀴(10)가 구비된다.
후방지지대(300)는 전방지지대(200)보다 긴 '1'자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100)의 후방 측 모서리를 관통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후방지지대(300)에는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뒷바퀴(20)가 구비되며, 후방지지대(300)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 본 발명을 보호자 등이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후방지지대(300)에는 시트(100)의 상방으로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700)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100)와 마찬가지로 도면에서는 등받이(700)가 접혀진 것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시 등받이(700)도 함께 졉혀진다. 또한, 등받이(7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절첩링크(40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바(bar) 형태로 형성된 절첩바 두 개의 중심이 핀 결합되어 'X'자 형태로 교차점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절첩링크(400)는 전방지지대(200) 상호 간, 전방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 후방지지대(300)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각각의 단부가 전방지지대(200) 및 후방지지대(300)에 힌지결합된다.
즉, 각 전방지지대(200) 및 후방지지대(300)는 인접한 전방지지대(200) 또는 후방지지대(300)와 접철링크(400)에 의해 결합되어, 접철링크(400)가 회동함에 따라 전방지지대(200) 상호 간, 전방지지대(200)와 후방지지대(300), 후방지지대(300) 상호 간이 모이거나 벌어지며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힐 시, 접철링크(400)가 모이면서 접철링크(40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바, 이러한 간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지지대(200)는 이중구조를 이룬다. 이때, 후방지지대(300)는 시트(100)를 관통하며 전방지지대(200)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는바,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후방지지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방지지대(200)와 같이 반드시 이중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방지지대(200)는 구체적으로, 하단에 앞바퀴(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접철링크(400)의 하측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외측지지대(210)와, 외측지지대(21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 시트(100)가 결합되고 상부에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내측지지대(220)를 포함한다.
이처럼 전방지지대(200)는 외측지지대(210)와 내측지지대(220)로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내측지지대(220)가 외측지지대(21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링크(400)의 접힘에 따라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와 힌지결합된 내측지지대(220)가 상승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휠체어는 보관의 용이성과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는 내측지지대(220)와 직접 힌지결합될 수 있으나, 내측지지대(220)에는 인접한 내측지지대(220)와 연결하는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와, 인접한 후방지지대(300)와 연결하는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모두 힌지결합되어야 하므로, 복수 개의 절첩링크(400)가 접힘에 있어 간섭되지 않도록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내측지지대(220)와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1 브라켓(510)에 의해 내측지지대(220)와 절첩링크(400)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510)은 내측지지대(220)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511)와, 고정부(511)로부터 인접한 전방지지대(220) 및 후방지지대(300)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내측지지대(220)에 고정된 제1 브라켓(510)의 각 링크결합부(512)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절첩링크(400)의 상측 단부가 결합되어, 각각의 절첩링크(400)가 접히거나 펼쳐질 시 상호 간섭되지 않게 되어 용이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3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대(300)의 외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전방지지대(200)의 외측에 타단부가 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팔걸이대(600)는 일단부가 후방지지대(3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전방지지대(200)에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휠체어가 펼쳐질 시 전방지지대(200)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시 타단부가 전방지지대(200)로부터 분리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팔걸이대(600)는 전방지지대(200)를 구성하는 내측지지대(2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510)에 착탈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브라켓(510)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전방지지대(200)를 향해 형성된 링크결합부(512)의 반대편인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팔걸이결합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팔걸이대(600)의 타단에는 탄성적으로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구(630)가 구비되어, 팔걸이결합부(513)에 착탈구(630)를 삽입시 고정되고, 팔걸이결합부(513)에 삽입된 착탈구(630)를 당길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팔걸이대(6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타단부가 전방지지대(200)에 결합시 시트(100)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수평한 상태를 이루며 사용자의 팔이 놓여질 수 있는 걸이부(610)와, 걸이부(610)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전방지지대(200)를 향해 계단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단부가 전방지지대(200)에 착탈되는 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610)는 본 발명인 휠체어가 펼쳐져 사용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팔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620)는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휠체어의 폭 내에 팔걸이대(6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접혀진 휠체어를 이동하거나 보관시 팔걸이대(600)로 인해 불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외측지지대(210)의 하부, 후방지지대(300)의 하부 및 후방지지대(300)에서 시트(100)와 하방으로 인접한 지점에는 고정부(511)와 링크결합부(512)로 이루어진 제1 브라켓(51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제2 브라켓(520) 및 제3 브라켓(53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브라켓(520)은 후방지지대(300)에서 시트(100)와 하방으로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는데, 이때 제2 브라켓(520)은 후방지지대(300)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혀질 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대(3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브라켓(530)은 외측지지대(210)의 하부 및 후방지지대(3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3 브라켓(530)은 본 발명인 휠체어가 접히거나 펼쳐지더라도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장치는 상기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3>에서 언급된 관절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부 관절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앞바퀴 20 : 뒷바퀴
100 : 시트
200 : 전방지지대 210 : 외측지지대
220 : 내측지지대 230 : 시트고정볼트
300 : 후방지지대 310 : 손잡이
400 : 절첩링크
510 : 제1 브라켓 511 : 고정부
512 : 링크결합부 513 : 팔걸이결합부
520 : 제2 브라켓 530 : 제3 브라켓
600 : 팔걸이대 610 : 걸이부
620 : 지지부 630 : 착탈구
700 : 등받이
1100 : 지지부재 1110 : 연결부
1120 : 제1 원통부 1121 : 돌기
1130 : 제2 원통부 1135 : 요홈

Claims (9)

  1.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마련된 돌기와 결합하는 탄성부재;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푸싱기어;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커버;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 및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고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 끝단과 옆면이 연결되고 일측 끝단에 돌기가 마련되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제2 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제2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하고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원통부는,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반원형상의 제2 돌출부;
    외면 일측 끝단에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호 형상의 제3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마련되는 호 형상 제4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1 레버삽입부;
    상기 제1 레버삽입부의 타측 끝단과 연결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의 내면에 일단면 라인이 일치하도록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부의 반원통보다 높이가 낮고 원의 중심이 같은 반원통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기어는,
    원통의 일측 단면의 중심부에 홀이 마련되어 상기 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원통의 타측 단면은 버튼 푸시를 위한 돌출부가 마련되며,
    원통의 외면에 마련된 다수의 요철은 상기 제2 원통부 내부에 마련된 요홈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원통부 내부로 일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일측 끝단 홀에 삽입되는 제2 레버삽입부;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고 상기 레버삽입부와 옆면이 연결되는 회전제어몸통부; 및
    상기 회전제어몸통부의 일측 끝단에 반원통 형상의 제2 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몸통부는,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보다 타단면에 마련된 중공의 크기가 크고, 원통의 내부측 일단면에 중공이 마련된 요홈원판을 결합하되, 상기 요홈원판의 요홈 연결라인은 상기 일단면에 마련된 중공이 형성하는 내주라인보다 상기 요홈원판의 외주방향으로 인입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 끝단에서 타단 끝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며 상기 타측 끝단이 둥근,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홈이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원통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면 중 상기 중공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상기 다수의 요홈과 결합하도록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지지부재의 대향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외부 몸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일측 끝단에 돌기가 마련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에 접하고 내주면에 다수의 요홈이 마련된 요홈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원통부의 돌기와 결합하고,
    상기 푸싱기어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일측이 접하고, 외면에 다수의 요철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원통부 외부로 돌출된 푸싱기어의 외면 타측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 관절장치.
  9. 삭제
KR1020190171277A 2019-12-19 2019-12-19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238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277A KR102384886B1 (ko) 2019-12-19 2019-12-19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277A KR102384886B1 (ko) 2019-12-19 2019-12-19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125A KR20210079125A (ko) 2021-06-29
KR102384886B1 true KR102384886B1 (ko) 2022-04-08

Family

ID=7662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277A KR102384886B1 (ko) 2019-12-19 2019-12-19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4554A1 (en) * 2006-02-01 2007-08-23 Slagerman Murray G Latching mechanism for a wheelchair foot rest assembly
CN201366031Y (zh) * 2009-02-27 2009-12-23 崴鸿有限公司 简易型运输椅
CN209667178U (zh) * 2019-03-14 2019-11-22 昆山贝康儿童用品有限公司 折叠式推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98386U (en) * 2006-04-10 2006-10-01 Sung-Tsun Wu Structure of pivot for bedside guardrail
KR101619239B1 (ko) * 2014-09-29 2016-05-10 주식회사 세그웨이 접이식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4554A1 (en) * 2006-02-01 2007-08-23 Slagerman Murray G Latching mechanism for a wheelchair foot rest assembly
CN201366031Y (zh) * 2009-02-27 2009-12-23 崴鸿有限公司 简易型运输椅
CN209667178U (zh) * 2019-03-14 2019-11-22 昆山贝康儿童用品有限公司 折叠式推车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298386 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125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2719C (en) Portable frame
ES2340102T3 (es) Asiento de mesa con una parte de asiento giratoria.
KR200475524Y1 (ko)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045677B1 (ko) 절첩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S6399809A (ja) 椅子
KR102384886B1 (ko)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093051B1 (ko)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
JP5352351B2 (ja) イス兼用の杖
KR101496727B1 (ko) 접철식 좌식의자
WO2015183571A1 (en) Adjustable portable mobility system
KR20100103233A (ko) 접이식 의자
KR200402241Y1 (ko) 의자의 지압용 발 받침대
KR102270091B1 (ko) 접이식 휠체어
KR102189736B1 (ko)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KR102024629B1 (ko)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US4694517A (en) Universal couch
JP6327743B2 (ja) ベッドガード
KR20050078204A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TW201400056A (zh) 單軸式的椅腳及使用該椅腳的接待椅
JP5893193B1 (ja) ワンタッチ開閉自在椅子兼用杖
JP609325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249360Y1 (ko) 침대를 겸한 소파의 프레임
KR101073585B1 (ko) 교구용 의자
JP3191441U (ja) 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