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60B1 - Ipl 변기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Ipl 변기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60B1
KR102384460B1 KR1020200066323A KR20200066323A KR102384460B1 KR 102384460 B1 KR102384460 B1 KR 102384460B1 KR 1020200066323 A KR1020200066323 A KR 1020200066323A KR 20200066323 A KR20200066323 A KR 20200066323A KR 102384460 B1 KR102384460 B1 KR 102384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ver
xenon lamp
toilet
steriliz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460B9 (ko
KR20210149372A (ko
Inventor
김영범
임용현
이한샘
박성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60B1/ko
Priority to PCT/KR2021/006817 priority patent/WO2021246759A1/ko
Priority to CN202180039893.9A priority patent/CN115697159A/zh
Publication of KR2021014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60B1/ko
Priority to US18/061,292 priority patent/US20230100079A1/en
Publication of KR10238446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6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6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helium, argon, neon, krypton, or xenon as the principle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도록, 내부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논 램프부, 및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IPL 변기 살균 장치{Toilet bowl IPL sterilizer}
본 발명은 IPL 변기 살균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시간 내에 비-접촉식으로 변기의 내부 커버 또는 비데의 노즐을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변기에 설치되는 변기 커버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영역이 마련된 내부 커버, 및 내부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세균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변기에 설치되는 변기 커버에도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세균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성 세균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변기 또는 변기 커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기피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내부 커버에 앉아야 하므로, 내부 커버와 직접 접촉을 피하기는 어렵다.
이에, 종래에는, 살균제를 직접 도포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살균제를 도포하는 사람과 살균제가 도포되는 내부 커버 간에 접촉이 요구된다.
따라서, 변기 또는 변기 커버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기피하는 사람들은, 변기 또는 변기 커버와 접촉에 따른 불편함 또는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자외선 광을 이용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부 커버를 단시간 내에 살균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단시간 내에 변기의 내부 커버 또는 비데의 노즐을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접촉식으로 변기의 내부 커버 또는 비데의 노즐을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PL 변기 살균 장치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PL 변기 살균 장치는,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도록, 내부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논 램프부, 및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제공하는, 자세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커버에 가해진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에서 제공된 무게가, 소정 무게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커버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에서 제공된 오염도가, 소정 기준을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커버의 자세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통하여, 외부 커버가 내부 커버를 미리 정해진 각도로 덮은 때부터, 외부 커버가 닫힐 때까지,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내부 커버 살균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커버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직전,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 살균을 완료한 경우, 상기 온도 센서에서 제공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변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논 램프부는, 내부 커버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는 제1 제논 램프와, 내부 커버 및 변기 비데의 노즐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는 제2 제논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논 램프와 상기 제2 제논 램프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상기 제2 제논 램프로 노즐을 살균하는 노즐 살균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노즐 살균 모드 시의 제2 제논 램프의 광 강도는, 상기 내부 커버 살균 모드 시의 제2 제논 램프의 광 강도보다 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커버의 일 측에 마련되되, 내부 커버를 향하여 살균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도록, 내부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논 램프부, 및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에 의해, 단시간 내에 변기의 내부 커버 또는 비데의 노즐이 살균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논 램프부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을 이용해, 변기의 내부 커버 또는 비데의 노즐을 살균하므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살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L 변기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커버 살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살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L 변기 살균 장치가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L 변기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IPL 변기 살균 장치(1000)는, 전원부(100), 제논 램프부(200), 센서부(300), 구동부(400), 출력부(450), 및 제어부(5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제논 램프부(200), 상기 센서부(300), 상기 구동부(400), 출력부(450), 및 상기 제어부(5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도록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부(100)는, 변기(T)의 일 측에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00)는, 변기(T)의 일 측에 독자적으로 구비된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논 램프부(200), 상기 센서부(300), 상기 구동부(400), 출력부(450), 및 상기 제어부(5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도록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변기 비데의 전원이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비데의 전원이 활용되는 경우, 별도의 전원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데는, 사용자의 용변 후에 세척을 위해, 변기에 설치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데의 일 측에는 노즐(NZ)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논 램프부(200)는,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여,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을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논 램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에 대하여, 제1 방향(①), 또는 상기 제1 방향(①)의 역방향인 제2 방향(②)으로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OC)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커버(OC)의 일 면이라 함은, 외부 커버(OC) 중 변기의 볼(bowl)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논 램프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논 램프(202), 반사면(204), 및 쿼츠(quartz, 206)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논 램프(202)는,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논 램프(202)는, 짧은 펄스형식의 강력한 광선 즉, IPL(intense pulsed light)을 조사함으로써,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을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면(204)은, 상기 제논 램프(202)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논 램프(202)로부터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을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을 향하도록 반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쿼츠(quartz, 206)는, 상기 제논 램프(202)의 타 측에 마련되어, 변기(T)의 사용 환경, 예를 들어, 변기(T)의 물을 내리는 상황에서, 물 또는 오물로부터 상기 제논 램프(202)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쿼츠(206)는, 상기 제논 램프(2020)에 물 또는 오물이 튀거나 묻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논 램프부(200)는, 제1 제논 램프(220) 및 제2 제논 램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논 램프(220)는, 내부 커버(IC)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제논 램프(220)는, 도 1에 도시된 220a 및 220b와 같이, 내부 커버(IC)의 일 면에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도록, 외부 커버(OC)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 제논 램프(220)가, 내부 커버(IC)의 일 면을 향해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의 제1 제논 램프(220) 제어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는,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는, 내부 커버(IC)을 향해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 또는 비데 노즐(NZ)을 향해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는 노즐 살균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는, 상기 노즐 살균 모드 시에, 상기 내부 커버 살균 모드 시보다, 강한 강도로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에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도록, 외부 커버(OC)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제논 램프(240)가, 내부 커버(IC) 또는 비데 노즐(NZ)을 향해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의 제2 제논 램프(240) 제어에 관해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제어부(500)에 소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300)는, 변기(T)의 일 측에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변기 비데의 센서가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비데의 센서가 활용되는 경우, 별도의 센서는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측정 센서(320), 무게 센서(340), 오염도 측정 센서(360), 및 온도 센서(3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는,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게 센서(340)는, 내부 커버(IC)에 가해진 무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는, 내부 커버(IC)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센서(380)는, 내부 커버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센서부(300)에서 제공된 소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200),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출력부(450)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외부 커버(OC)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400)는, 내부 커버(IC)를 외부 커버(OC)가 덮는 덮힘 자세에서, 내부 커버(IC)를 노출시키는 열림 자세 내에서, 외부 커버(OC)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400)는,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도록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200)에서 조사되는 제논 램프 광(200L)에 의해 살균되는 내부 커버(IC)의 살균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에 대하여 외부 커버(OC)를 제1 방향(①) 또는 제2 방향(②)으로, 상대 회동시키는 회전축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400)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펄스(pulse) 신호에 따라 스테핑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출력부(450)는,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450)는, 외부 커버(OC)의 타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커버(OC)의 타 면이라 함은, 내부 커버(IC)를 외부 커버(OC)가 덮는 덮힘 자세에서, 노출된 외부 커버(OC)의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450)는, 외부 커버(OC)의 타 면에 마련되어, 상기 덮힘 자세에서,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450)는, 상기 제논 램프부(200)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에 의해, 내부 커버(OC)가 살균되어, 내부 커버(OC)의 온도가 높은 경우, "내부 커버의 온도가 높습니다."라고 내부 커버(OC)의 상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450)는 변기(T)의 일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450)가 마련되는 위치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450)는,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450)는,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PL 변기 살균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버튼(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버튼(10)은,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버튼(10)은, 후술되는 노즐 살균 모드에서, 비데 노즐(NZ)의 살균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T)의 일 측에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변기 비데의 버튼이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비데의 버튼이 활용되는 경우, 별도의 버튼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PL 변기 살균 장치(1000)는 스프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레이부는, 내부 커버(IC)를 향하여 살균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레이부는 외부 커버(OC)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L 변기 살균 장치(1000)의 전반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논 램프부(200), 상기 센서부(300),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출력부(450)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제어부(500)는, 제논 램프부(2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순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500)에 의한 각 구성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커버 살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살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계 S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가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 커버 살균 모드는, 살균 가능한 상태(또는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또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가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살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10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살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S100은, 외부 커버(OC)가 덮혔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 오염도가 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60), 및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는 단계(S1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0, S140, S160, 및 S18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부합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단계 S200의 내부 커버 살균모드 진입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S120, S140, S160, 및 S180는 살균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들 단계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덮은, 덮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내부 커버(IC)를 살균하기 위해, 제논 램프부(200)에서 조사되는 제논 램프 광(200L)이, 변기(T) 사용자의 눈에 직접 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로부터,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소정 각 이하인 경우에,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덮은,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0 도인 경우에,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이 각 0 도가 덮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단순한 예일 뿐이며,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눈에 도달되는 제논 램프 광(200L)을 최소화하면서, 내부 커버(IC)가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소정 각 초과인 경우에,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에 대해 상대 회동하여 열린,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0 도 초과인 경우에, 상기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제논 램프 광(200L)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제논 램프 광(200L)이, 변기(T) 사용자의 눈에 직접 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로부터,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로부터 제공받은 사이 각이 소정 각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후술되는 단계 S200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단계 S120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120에 부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한 직후, 상기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덮힘 상태가 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림 상태인 경우, 외부 커버(OC)는, 내부 커버(IC)에 대해 상대 회동하여, 내부 커버(IC)를 자동으로 덮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본 단계 S120을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가(OC) 덮혔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덮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40
단계 S14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변기(T)에 착좌한 사용자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변기 사용 중에 살균이 개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로부터, 내부 커버(IC)에 가해진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에서 제공된 무게가 소정 무게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에서 제공된 무게가 0 kg인 경우에, 상기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무게 0 kg이 미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단순한 예일 뿐이며,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변기 사용 중에 살균이 개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내부 커버(IC)가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에서 제공된 무게가 소정 무게 초과인 경우에,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에서 제공된 무게가 0 kg 초과인 경우에, 상기 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변기 사용 중에 살균이 개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로부터, 내부 커버(IC)에 가해진 무게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게 센서(340)로부터 제공받은 무게가 소정 무게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후술되는 단계 S200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60
단계 S16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기준 이상인 경우, 제논 램프부(200)로부터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여 자동으로 내부 커버(IC)를 살균하되,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기준 미만인 경우, 제논 램프부(200)로부터 불필요한 제논 램프 광(200L) 조사를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로부터, 내부 커버(IC)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에서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내부 커버(IC)가 오염된,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에서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200 RLU(relative light unit)인 경우에, 상기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오염도 200 RLU이 오염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단순한 예일 뿐이며,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는, 내부 커버(IC)가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에서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소정 기준 미만인 경우에, 내부 커버(IC)가 오염되지 않은, 비-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에서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200 RLU 미만인 경우에, 상기 비-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비-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살균이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비-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오염 상태에서는, 제논 램프 광(200L)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제논 램프 광(200L) 조사를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로부터, 내부 커버(IC)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360)로부터 제공받은 내부 커버(IC)의 오염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오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후술되는 단계 S200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80
단계 S18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실행시키는 버튼(10)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1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실행시키기 위한, 내부 커버 살균 모드 버튼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는 지에 대한, 살균 의사(意思) 정보를 제공받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버튼(10)으로부터, 사용자의 내부 커버(IC) 살균 의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T)의 일 측에 독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변기 비데의 버튼이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비데의 버튼이 활용되는 경우, 별도의 버튼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버튼(10)이 눌린 경우에, 사용자가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는, 살균 의사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상기 살균 의사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단계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는 경우, 내부 커버(IC)가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버튼(10)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살균이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살균이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후술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상태에서는, 제논 램프 광(200L)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제논 램프 광(200L)에 의한, 변기(T)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 커버(IC)가 비-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버튼(10)이 눌렸는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버튼(10)이 눌린 경우,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을 원하는 살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후술되는 단계 S200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된 단계 S1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120 내지 S1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부합되는 경우, 살균 가능한 상태(또는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부합이라 함은, 단계 S200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5의 단계 S120의 yes, 단계 S140의 no, 단계 S160의 yes, 단계 S180의 yes가 부합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120 내지 S1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부합하는 경우에 단계 S200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120과 단계 S140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200의 살균을 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 S120과 단계 S140이 단계 S200 전의 필수 조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단계 S120 및 S140에 부합하는 경우, 단계 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버가 닫혀 있고,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단계 S200의 살균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단계 S120, S140, 및 S160에 부합하는 경우, 단계 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버가 닫혀 있고, 사용자가 없고, 오염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단계 S200의 살균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단계 S120, S140, 및 S180에 부합하는 경우, 단계 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버가 닫혀 있고, 사용자가 없고, 버튼이 눌러진 경우, 단계 S200의 살균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단계 S120, S140, S160, 및 S180에 부합하는 경우, 단계 S20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버가 닫혀 있고, 사용자가 없고, 오염도가 소정 이상이고 버튼이 눌러진 경우, 단계 S200의 살균이 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200으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120에 부합하는 않는 다고 판단한 경우, 즉, 외부 커버가 열렸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덮힘 상태가 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S120에 부합하도록 준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 S200이 설명된다.
단계 S200
단계 S2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여 내부 커버(IC)를 살균하도록, 상기 제논 램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논 램프(220a, 220b) 및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로부터 제논 램프 광(200L1)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커버(IC)가 살균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단계 S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각 단계가 설명된다.
단계 S220
본 변형 예에 따르면,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뿐 아니라,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소정 각도 이하로 덮고 있는 상태에서부터, 제논 램프 광을 통한 살균을 개시함으로써, 내부 커버(IC)의 살균 면적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2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의 살균 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로부터,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320)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인 경우에,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θ2)란, 사용자의 눈에 제논 램프 광이 조사되지 않는 정도의 각도, 예를 들어,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이 10 도인 경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이내로 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논 램프부(200)에서 내부 커버(IC) 살균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약 단계 S120이 부합했었던 경우, 즉,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닫은 상태였던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IC)에 대하여 외부 커버(OC)가, 도 8의 제2 방향(도 8의 ②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커버(OC)는, 덮힘 상태에서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는 자세 즉, 소정 열린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논 램프(220a, 220b) 및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로부터 제논 램프 광(200L1a)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구동부(400)를 통하여 상기 외부 커버(OC)를 제1 방향(도 8의 ① 방향)으로 닫으면서도 살균이 지속되도록 제논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도 8에 도시된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은 경우부터, 도 6의 덮힘 상태 즉, 내부 커버(IC)와 외부 커버(OC)의 사이 각이 0 도에 이르기까지, 내부 커버(IC)의 살균이 지속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커버(OC)는, 내부 커버(IC)를 미리 정해진 각도(θ2) 이내로 덮은 것에 의해, 외부 커버(OC) 일 면에 마련된 상기 제1 제논 램프(220a, 220b) 및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로부터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1a)은, 도 6의 덮힘 상태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1)보다, 넓은 면적의 내부 커버(IC)로 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커버(IC)의 살균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단계 S240
본 변형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내부 커버(IC)의 살균이 완료되어,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높은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단계는, 도 4의 단계 S100과 단계 S20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단계는 이미 단계 S200에 따른 살균 중에 사용자의 변기(T)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4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로부터, 내부 커버(IC)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로부터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내부 커버(IC)가 높은 온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에서 제공된 온도가 40 ℃인 경우에, 상기 높은 온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온도 40 ℃가 높은 온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단순한 예일 뿐이며,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높은 온도란,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을 정도의 온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OC)가 내부 커버(IC)를 덮은 상태가 고정된, 락킹(locking) 상태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저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락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커버(OC)는, 내부 커버(IC)에 대하여 도 10의 제2 방향(②)으로 상대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논 램프 광(200L)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내부 커버(IC)에 대해, 외부 커버(OC)가 상대 회동하여 열리지 않음으로써, 변기(T)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OC)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내부 커버의 온도가 높습니다."라는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locking) 상태를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상기 제논 램프부(200)를 통하여 내부 커버(IC) 살균을 완료한 경우, 상기 온도 센서(380)에서 제공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변기(T)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논 램프 광(200L)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내부 커버(IC)로부터, 변기(T)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로부터, 내부 커버(IC)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로부터 제공된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 내부 커버(IC)가 낮은 온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380)에서 제공된 온도가 40 ℃ 미만인 경우에, 상기 낮은 온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낮은 온도란, 앞서 상술된 높은 온도의 개념과는 달리,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지 않는 정도의 온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 10의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커버(OC)는, 내부 커버(IC)에 대하여 도 10의 제2 방향(②)으로 상대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기(T)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IC)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출력부(4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태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변기(T)의 사용 상태를 알리는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내부 커버(OC)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이고, 구동부(400)가 언-락킹 상태가 된 경우, "사용 가능합니다."라는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상 위험이 최소화된 온도 범위 내에서 변기(T)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락킹(locking)에 대한 실시 예와, 상술된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는 실시 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변기(T)를 사용하기 직전 뿐 아니라, 상기 제논 램프부(200)를 통하여 내부 커버(IC)가 살균되는 중에도, 상기 온도 센서(380)에서 제공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변기(T)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논 램프부(200)를 통하여 내부 커버(IC)가 살균되는 중에는, 상기 락킹(locking) 상태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고, "살균 중입니다." 또는 "사용 불가능합니다."라는 상태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4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노즐 살균 모드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 살균 모드에서, 내부 커버(IC)와는 별도로 비데 노즐(NZ)이 살균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데 노즐(NZ)이라 함은, 사용자의 용변 후 세척을 위해, 비데의 일 측에 마련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 노즐(NZ)에는, 물 분사에 따른 습한 환경으로 인해, 세균이 증식되기 쉬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부 커버(IC) 살균뿐 아니라,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비데 노즐(NZ)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살균 모드는, 살균 가능한 상태(또는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0) 또는 노즐 살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가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살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살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S100은, 외부 커버(OC)가 덮혔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 오염도가 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60), 및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는 단계(S1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노즐 살균 모드의 단계 S160에서는, 오염도의 기준을 판단하는 대상이, 내부 커버 살균 모드의 내부 커버(IC)에서, 비데 노즐(NZ)로 변경될 뿐, 앞서 상술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노즐 살균 모드에서는, 비데 노즐(NZ)의 오염도가 기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비데 노즐(NZ)이 살균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즐 살균 모드에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노즐 살균 모드의 단계 S180에서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의 내부 커버 살균 모드 버튼에서, 비데 노즐(NZ)의 살균을 실행시키기 위한, 노즐 살균 모드 버튼으로 변경될 뿐, 앞서 상술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살균 모드에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되는 단계에서도, 상술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상술된 단계 S1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120 내지 S1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충족되는 경우, 살균 가능한 상태(또는 살균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단계 S300으로 진입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 S300이 설명된다.
단계 S300
단계 S300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노즐 살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0)는,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여 비데 노즐(NZ)을 살균하도록, 상기 제논 램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로부터 제논 램프 광(200L2)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데 노즐(NZ)이 살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즉, 노즐 살균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만을 구동하여, 제논 램프 광(200L2)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200L1)보다, 강한 강도로 제논 램프 광(200L2)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2 제논 램프(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 제공되는 살균 광원인 제1 제논 램프(220) 및 제2 제논 램프(240)와, 피 살균체인 내부 커버(IC) 간의 이격 거리보다, 노즐 살균 모드에서 제공되는 살균 광원인 제2 제논 램프(240)와, 피 살균체인 비데 노즐(NZ) 간의 이격 거리가 더 멀기 때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제논 램프(240)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2)은, 비데 노즐(NZ)에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제논 램프(240)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2)에 의해, 비데 노즐(NZ)이 살균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노즐 살균 모드에서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보다 강한 강도로 제논 램프 광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 조사된 제논 램프 광은 비데 노즐에 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살균 모드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에 의해, 비대 노즐이 살균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노즐 살균 모드에서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에서(200L1)보다, 강한 강도로 제논 램프 광(200L2)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제논 램프(240)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2)은, 비데 노즐(NZ)에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제논 램프(240)에서 조사된 제논 램프 광(200L2)에 의해, 비데 노즐(NZ)이 살균될 수 있다.
이상,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부 커버 살균 모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변형 예,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변형 예,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노즐 살균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 예가 설명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용액 배지를 이용해 대장균을 배양하고, 본 발명 제논 램프부(200)를 통해,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여, 살균 결과를 관찰하였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제논 램프부(200)를 통해, 550 V의 전압으로 1 회 펄스의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하는 경우에, 가장 큰 살균효과를 나타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논 램프부(200)에서 수 초(second) 단위에 해당하는 단 시간으로, 제논 램프 광(200L)을 조사함으로써, 변기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간편한 방법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살균 결과는 일례일 뿐, 본 발명 제논 램프부(200)의 제논 램프 광(200L) 조사에 있어서, 더 높은 전압(Volt)을 인가하거나, 또는 펄스 수(# Pulse)를 증가시킴으로써, 더 큰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버튼
100: 전원부
200: 제논 램프부
202: 제논 램프
204: 반사면
206: 쿼츠(quartz)
220: 제1 제논 램프
240: 제2 제논 램프
300: 센서부
400: 구동부
450: 출력부
500: 제어부
1000: IPL 변기 살균 장치

Claims (8)

  1.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도록, 내부 커버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외부 커버의 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제논 램프부; 및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논 램프부는, 상기 변기의 내부 커버 및 상기 변기의 비데 노즐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는 제2 제논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논 램프를 통하여, 상기 변기의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내부 커버 살균 모드와, 상기 변기의 비데 노즐을 살균하는 노즐 살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노즐 살균 모드 시의 제2 제논 램프의 광 강도는, 상기 내부 커버 살균 모드 시의 제2 제논 램프의 광 강도보다 강한, IPL 변기 살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의 사이 각에 대한 사이 각 정보를 제공하는, 자세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측정 센서에서 제공된 사이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내부 커버에 가해진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에서 제공된 무게가, 소정 무게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내부 커버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도 측정 센서에서 제공된 오염도가, 소정 기준을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를 살균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커버의 자세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통하여, 외부 커버가 내부 커버를 미리 정해진 각도로 덮은 때부터, 외부 커버가 닫힐 때까지, 상기 제논 램프부를 제어하여 내부 커버 살균을 개시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내부 커버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직전, 상기 제논 램프부를 통하여 내부 커버 살균을 완료한 경우, 상기 온도 센서에서 제공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변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논 램프부는, 내부 커버의 일 면을 향하도록 제논 램프 광을 조사하는 제1 제논 램프를 더 포함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외부 커버의 일 측에 마련되되, 내부 커버를 향하여 살균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IPL 변기 살균 장치.
KR1020200066323A 2020-06-02 2020-06-02 Ipl 변기 살균 장치 KR10238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23A KR102384460B1 (ko) 2020-06-02 2020-06-02 Ipl 변기 살균 장치
PCT/KR2021/006817 WO2021246759A1 (ko) 2020-06-02 2021-06-01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CN202180039893.9A CN115697159A (zh) 2020-06-02 2021-06-01 便携式强脉冲光杀菌装置及强脉冲光马桶杀菌装置
US18/061,292 US20230100079A1 (en) 2020-06-02 2022-12-02 Portable ipl sterilizer and ipl toilet bowl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23A KR102384460B1 (ko) 2020-06-02 2020-06-02 Ipl 변기 살균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72A KR20210149372A (ko) 2021-12-09
KR102384460B1 true KR102384460B1 (ko) 2022-04-08
KR102384460B9 KR102384460B9 (ko) 2023-02-23

Family

ID=7886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23A KR102384460B1 (ko) 2020-06-02 2020-06-02 Ipl 변기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927B1 (ko) * 2022-01-17 2023-12-0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비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755A (ja) * 2008-04-28 2009-11-12 Panasonic Corp 便座装置
KR101254769B1 (ko) * 2010-11-18 2013-04-15 박승일 변좌 세척 장치 및 변좌 세척 장치용 소모품 카트리지
JP2017008606A (ja) * 2015-06-23 2017-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装置
KR101958946B1 (ko) * 2017-10-16 2019-03-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비 개선을 위한 온열효과의 제공 및 변기의 살균소독이 가능한, 듀얼 스펙트럼 양변기 커버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48907B1 (ko) * 2019-08-14 2019-12-05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살균기능을 단축시킬 수 있는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좌변기
KR102071039B1 (ko) * 2018-11-21 2020-01-29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854A (ko) * 2016-06-10 2017-12-2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755A (ja) * 2008-04-28 2009-11-12 Panasonic Corp 便座装置
KR101254769B1 (ko) * 2010-11-18 2013-04-15 박승일 변좌 세척 장치 및 변좌 세척 장치용 소모품 카트리지
JP2017008606A (ja) * 2015-06-23 2017-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装置
KR101958946B1 (ko) * 2017-10-16 2019-03-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비 개선을 위한 온열효과의 제공 및 변기의 살균소독이 가능한, 듀얼 스펙트럼 양변기 커버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071039B1 (ko) * 2018-11-21 2020-01-29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KR102048907B1 (ko) * 2019-08-14 2019-12-05 주식회사 한로드이엔씨 살균기능을 단축시킬 수 있는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460B9 (ko) 2023-02-23
KR20210149372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0079A1 (en) Portable ipl sterilizer and ipl toilet bowl sterilizer
KR102384460B1 (ko) Ipl 변기 살균 장치
KR20130039506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20190031005A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2291716B1 (ko)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JP7263967B2 (ja) シンク用殺菌装置
JP7193019B2 (ja) 不活化装置および不活化方法
JP2008190293A (ja) 局部洗浄装置
CN213099587U (zh) 一种移动杀菌装置
JP2002294825A (ja) 衛生洗浄便座
JP2008175060A (ja) 便座装置
KR101227429B1 (ko) 자외선 살균을 이용한 비데기
CN112007196A (zh) 一种基于车厢情况识别的智能选择模式的车载消毒装置
KR20170139854A (ko)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KR20200073451A (ko) 살균 조명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JP2022070496A (ja) 便器装置
KR20150140051A (ko) 살균기능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위생 비데
KR200317956Y1 (ko) 관절/피부 복합 치료기의 프로브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02459300B1 (ko)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KR20230123662A (ko)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KR102669312B1 (ko)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KR20220010617A (ko) Uv-led를 이용한 차량 내부 살균장치
WO2024084797A1 (ja) 殺菌機能付きシンク、シンクの殺菌処理方法
JPH11347091A (ja) 安全機能付入浴付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