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854A -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854A
KR20170139854A KR1020160072337A KR20160072337A KR20170139854A KR 20170139854 A KR20170139854 A KR 20170139854A KR 1020160072337 A KR1020160072337 A KR 1020160072337A KR 20160072337 A KR20160072337 A KR 20160072337A KR 20170139854 A KR20170139854 A KR 2017013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er
sterilization
cleaning nozzle
water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854A/ko
Publication of KR2017013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의 노즐 또는 변기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를 향해 물을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 및 상기 세정 노즐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 살균기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작동하는 제1 살균 단계 및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그 작동을 정지하는 휴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지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다시 진행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STERILIZER OF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의 노즐 또는 변기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주로 용변 후 세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노즐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특성상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비데의 노즐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살균하거나, 살균수를 분사함으로써 살균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비데의 노즐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살균하기 위한 장치는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14005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살균수를 분사함으로써 살균하기 위한 장치는 특허등록공보 제10-1603209호에 개시되어 있다.
KR 10-2015-0140051 A KR 10-1603209 B1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데의 노즐 또는 변기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살균하기 위한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를 향해 물을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 및 상기 세정 노즐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 살균기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작동하는 제1 살균 단계 및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그 작동을 정지하는 휴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지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다시 진행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은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은 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살균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며, 상기 세정 노즐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휴지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지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휴지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며, 상기 세정 노즐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휴지 단계가 처음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지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제1 살균기가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휴지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을 살균하여 살균수로 만들기 위한 살균수 생성기 및 상기 세정 노즐로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살균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살균 단계 이전에 제2 살균 단계가 더 진행되되, 상기 제2 살균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살균 노즐이 작동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살균수 생성기가 작동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살균 노즐이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살균수 내에 대장균 또는 페칼리스의 수가 1[CFU/mL]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은 살균기가 작동하는 시간을 제어하거나 그 작동하는 경우를 구분함으로써, 비데의 노즐 또는 변기의 내부를 살균함과 동시에 살균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그에 따른 소비 전력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비데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제1 살균기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살균기가 세정 노즐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때와 상응하는 조건으로 대장균에 자외선을 조사할 때 그 시간에 따른 대장균의 비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제1 살균기가 하루에 총 약 60분 내외로 작동하는 경우 그 사용을 개시한 후 3년이 지났을 때 도 3에서와 동일한 실험을 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제1 살균기 및 제2 살균기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가 변기 살균 버튼을 누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비데(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데(100)는 세정 노즐(110), 제1 살균기(120), 제2 살균기(130) 및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세정 노즐(110)은 사용자를 향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신체의 일부를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비록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정 노즐(11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세정 노즐(110)을 인출하거나 인입하기 위한 모터 및 각종 기어 또는 그밖에 장치들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살균기(120)는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살균기(120)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121)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자외선을 조사할 수만 있다면 그밖에 공지된 다른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살균기(120)는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140)의 각 버튼을 누름으로써 필요시마다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제1 살균기(120)가 작동한다는 것은 제1 살균기(120)가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살균기(130)는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를 향해 살균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살균기(13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131), 저수조(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물에 염소를 첨가하여 살균함으로써 살균수를 만들기 위한 살균수 생성기(132) 및 저수조(131)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살균 노즐(133)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살균수 생성기(132)는 상기 물에 오존을 첨가하여 살균함으로써 살균수를 만들 수도 있고, 상기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함으로써 살균수를 만들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살균수 생성기(132)가 상기 물에 염소를 첨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 살균기(130)는 사용자가 조작부(140)의 각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1 살균기(120)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제2 살균기(130)가 작동한다는 것은 살균수 생성기(132)를 가동하여 살균수를 만들어, 살균 노즐(133)로부터 세정 노즐(110) 또는 변기의 내부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가 앞서 언급한 기능들을 작동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 버튼(141), 노즐 살균 버튼(142) 및 변기 살균 버튼(143)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정 버튼(141)은 예를 들어 용변 후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세정하고자 할 때 누르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세정 버튼(141)을 누르면 세정 노즐(110)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물이 분사된다. 또한 노즐 살균 버튼(142)은 사용자가 세정 노즐(110)을 살균하고자 할 때 누르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노즐 살균 버튼(142)을 누르면 제1 살균기(120)가 세정 노즐(11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며, 또는 제2 살균기(130)가 함께 세정 노즐(110)로 살균수를 더 분사한다. 또한 변기 살균 버튼(143)은 사용자가 변기의 내부를 살균하고자 할 때 누르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변기 살균 버튼(143)을 누르면 제1 살균기(120)가 변기의 내부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며, 또는 제2 살균기(130)가 함께 변기의 내부로 살균수를 더 분사한다.
이하 이러한 제1 살균기(120) 및 제2 살균기(13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제1 살균기(120)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사용자의 조작이 별도로 없을 때 제1 살균기(120)가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된다. 제1 살균 단계(S10)에서는 제1 살균기(120)가 세정 노즐(11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정 노즐(110)을 살균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예컨대 아래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약 5분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살균기(120)가 세정 노즐(11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때와 상응하는 조건으로 대장균(E. coli)에 자외선을 조사할 때 그 시간에 따른 대장균의 비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약 5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전체 대장균의 약 99.6%가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1 시간이 약 5분 내외로 설정되면 세정 노즐(110)에 대해 비교적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살균 단계(S10)가 완료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휴지 단계(S20)가 진행된다. 휴지 단계(S20)에서는 제1 살균기(120)의 작동이 중단된다. 즉 휴지 단계(S20)에서 제1 살균기(120)는 더 이상 세정 노즐(11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는다. 이는 제1 살균기(120)의 연속적인 작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예컨대 약 2시간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 시간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약 5분 내외로 설정되고, 제2 시간이 약 2시간 내외로 설정된다면 제1 살균기(120)는 하루에 총 약 60분 내외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1 살균기(120)는 도 4의 실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사용을 개시한 후 3년이 지났을 때에도 그 성능을 초기 성능의 약 80%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간이 약 2시간 내외로 설정되면 제1 살균기(120)에 대한 내구성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휴지 단계(S20)가 완료되면 다시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도 5는 제1 살균 단계(S10) 중에 사용자가 세정 버튼(141)을 누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살균 단계(S10) 중에 사용자가 세정 버튼(141)을 누르면 제1 살균 단계(S10)는 도중에 종료되며, 세정 노즐(110)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물이 분사되는 세정 단계(S30)가 진행된다. 세정 단계(S30)가 진행되는 시간은 개별적인 사용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기로 한다. 이후 세정 단계(S30)가 완료되면 휴지 단계(S20)가 진행된다.
앞서 제1 살균 단계(S10)가 끝까지 완료되지 못하고 도중에 종료되었음에도 세정 단계(S30) 이후에 제1 살균 단계(S10)를 마저 진행하지 않고 휴지 단계(S20)를 바로 진행하는 이유는 세정 단계(S30)에서 세정 노즐(110)로부터 물이 분사될 때 그 물에 의해 세정 노즐(110)이 일부 살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살균 단계(S10)를 마저 진행하지 않더라도 휴지 단계(S20)가 진행되는 동안 세정 노즐(110)이 과도하게 오염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면 제1 살균기(120)가 필요 이상으로 빈번하게 작동함으로써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비 전력도 줄일 수 있다.
한편 휴지 단계(S20)가 완료되면 다시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되며, 이후의 과정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휴지 단계(S20) 중에 사용자가 세정 버튼(141)을 누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지 단계(S20) 중에 사용자가 세정 버튼(141)을 누르면 휴지 단계(S20)는 도중에 종료되며, 세정 단계(S30)가 진행된다. 이후 세정 단계(S30)가 완료되면 휴지 단계(S20)가 처음부터 다시 진행된다.
앞서 휴지 단계(S20)가 도중에 종료되었는데, 세정 단계(S30) 이후에 휴지 단계(S20)를 나머지 시간 동안만 이어서 진행하지 않고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 단계(S30)에서 세정 노즐(110)로부터 물이 분사될 때 그 물에 의해 세정 노즐(110)이 일부 살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휴지 단계(S20)를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더라도 그 휴지 단계(S20)가 진행되는 동안 세정 노즐(110)이 과도하게 오염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살균기(120)가 필요 이상으로 빈번하게 작동함으로써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비 전력도 줄일 수 있다.
한편 휴지 단계(S20)가 완료되면 다시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되며, 이후의 과정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휴지 단계(S20) 중에 사용자가 노즐 살균 버튼(142)을 누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지 단계(S20) 중에 사용자가 노즐 살균 버튼(142)을 누르면 휴지 단계(S20)는 도중에 종료되며,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된다.
앞서 제1 살균 단계(S10)가 완료되고 이후 휴지 단계(S20) 중에 있더라도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세정 노즐(110)을 추가적으로 살균하고자 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러한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1 살균 단계(S10)가 완료되면 다시 휴지 단계(S20)가 진행되며, 이후의 과정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제1 살균기(120) 및 제2 살균기(130)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과 비교할 때 제1 살균기(120)뿐만 아니라 제2 살균기(130)도 함께 작동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2 살균기(130)가 작동하는 제2 살균 단계(S40)가 더 진행되는 차이점이 있다.
그밖에 제1 살균 단계(S10) 및 휴지 단계(S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과 동일하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휴지 단계(S20)에서는 제1 살균기(120)뿐만 아니라 제2 살균기(130)도 함께 그 작동을 정지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과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2 살균 단계(S40)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살균 단계(S40)는 제2 살균기(130)의 살균 노즐(133)로부터 세정 노즐(110)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단계(S41), 이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살균수 생성기(132)가 작동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단계(S42) 및 다시 살균 노즐(133)로부터 세정 노즐(110)로 그 살균수를 분사하는 단계(S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살균 노즐(133)로부터 세정 노즐(110)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시간은 세정 노즐(110)에 충분한 양의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는 시간으로, 예컨대 약 15초 내외일 수 있으나, 살균 노즐(133)의 압력, 유량 등과 같은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제3 시간은 예컨대 살균수 내에 대장균 또는 페칼리스(E. faecalis)와 같은 세균의 수가 1[CFU/mL]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만약 앞서 설명한 살균수 생성기(132)를 이용한다면 제3 시간은 아래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약 40초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은 살균수 생성기(132)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만들 때와 상응하는 조건으로 물에 염소를 첨가할 때 그 시간에 따른 대장균 또는 페칼리스와 같은 세균의 수를 측정한 것이다.
살균수 생성기의 작동 시간[초] 염소의 농도[%] 세균의 수[CFU/mL]
0 0 TNCT
20 0.14 125
30 0.21 27
40 0.35 0
(TNCT: 세균의 수가 너무 많아 측정 불가)
표 1을 참조하면 약 40초 동안 살균수 생성기(132)를 작동하였을 때 세균의 수가 0으로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3 시간이 약 40초 내외로 설정되면 살균수 생성기(132)를 이용하여 비교적 충분히 살균된 물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3 시간은 살균수 생성기(132)의 구체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제2 살균 단계(S40)가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된다. 또한 제1 살균 단계(S10)가 완료되면 휴지 단계(S20)가 진행되며, 그 휴지 단계(S20)가 완료되면 다시 제2 살균 단계(S40) 및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제1 살균기(120)뿐만 아니라 제2 살균기(130)도 함께 작동하면 세정 노즐(110)에 대한 살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제2 살균 단계(S40)가 먼저 진행되고 제2 살균 단계(S40)가 완료된 이후에 제1 살균 단계(S10)가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살균 단계(S10)가 먼저 진행되고 제1 살균 단계(S10)가 완료된 이후에 제2 살균 단계(S40)가 진행될 수도 있고, 제1 살균 단계(S10) 및 제2 살균 단계(S40)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가 변기 살균 버튼(143)을 누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변기 살균 버튼(143)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3 살균 단계(S50)가 진행되는데, 제3 살균 단계(S50)는 제2 살균기(130)의 살균 노즐(133)로부터 변기의 내부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단계(S51), 이후 미리 설정된 제4 시간 동안 살균수 생성기(132)가 작동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단계(S52) 및 다시 살균 노즐(133)로부터 변기의 내부로 그 살균수를 분사하는 단계(S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살균 노즐(133)로부터 변기의 내부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시간은 변기의 내부에 충분한 양의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는 시간으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제2 살균 단계(S40)에서 살균 노즐(133)로부터 세정 노즐(110)로 살균수를 분사하는 시간과 같이 예컨대 약 15초 내외일 수 있으나, 살균 노즐(133)의 압력, 유량 등과 같은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4 시간 역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제2 살균 단계(S40)에서 제3 시간과 같은 이유로 예컨대 약 40초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살균 단계(S50)가 완료된 이후에는 미리 설정된 제5 시간 동안 제1 살균기(120)가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4 살균 단계(S60)가 진행된다.
여기서 제5 시간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제1 살균 단계(S10)에서 제1 시간보다 긴 시간, 예컨대 약 10분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제1 살균기(120)와 변기의 내부 간의 거리가 세정 노즐(110) 간의 거리보다 멀고, 변기의 내부의 면적이 세정 노즐(110)의 면적보다 넓다는 점을 고려하여, 변기의 내부에 대해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기 위함 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세정 노즐(110)을 살균하기 위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즉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변기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제3 살균 단계(S50)는 앞서 도 2 및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제1 살균 단계(S10) 중에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살균 단계(S10)는 도중에 종료되고, 제3 살균 단계(S50) 및 제4 살균 단계(S60)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1 살균 단계(S10)가 마저 진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살균 단계(S50)는 앞서 도 2 및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의 휴지 단계(S20) 중에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지 단계(S20)는 도중에 종료되고, 제3 살균 단계(S50) 및 제4 살균 단계(S60)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휴지 단계(S20)가 마저 진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를 향해 물을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 및 상기 세정 노즐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제1 살균기를 포함하는 비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작동하는 제1 살균 단계 및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살균기가 그 작동을 정지하는 휴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지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다시 진행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5분으로 설정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2시간으로 설정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며,
    상기 세정 노즐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휴지 단계가 진행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휴지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세정 노즐이 작동하며,
    상기 세정 노즐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휴지 단계가 처음부터 다시 진행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단계 중에 사용자가 상기 제1 살균기가 작동하라는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휴지 단계가 도중에 종료되고 상기 제1 살균 단계가 진행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물을 살균하여 살균수로 만들기 위한 살균수 생성기 및 상기 세정 노즐로 상기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살균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살균 단계 이전에 제2 살균 단계가 더 진행되되,
    상기 제2 살균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살균 노즐이 작동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살균수 생성기가 작동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살균 노즐이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살균수 내에 대장균 또는 페칼리스의 수가 1[CFU/mL]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KR1020160072337A 2016-06-10 2016-06-10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KR20170139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337A KR20170139854A (ko) 2016-06-10 2016-06-10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337A KR20170139854A (ko) 2016-06-10 2016-06-10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54A true KR20170139854A (ko) 2017-12-20

Family

ID=6093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337A KR20170139854A (ko) 2016-06-10 2016-06-10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8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759A1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KR20210149372A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변기 살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759A1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KR20210149372A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변기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586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EP2968632B1 (en)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KR101326783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GB2541394A (en)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a washing and disinfection method
KR20170139854A (ko) 비데의 살균기 제어 방법
DE102015102882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binierten Luft- und Oberflächendesinfektion
KR101320587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 제어방법
KR100984304B1 (ko) 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KR101626850B1 (ko) 살균기능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위생 비데
CN111407916A (zh) 一种灭菌水消毒系统
WO2016104335A1 (ja) オゾン水消毒方法およびオゾン水消毒機
KR200452461Y1 (ko) 가습기
KR101320588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 제어방법
JP2003190260A (ja) 殺菌装置
KR20190097695A (ko) 수소 발생기를 구비한 칫솔 살균 장치
JP2551617Y2 (ja) 医療用滅菌装置
GB2534363A (e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hand sanitisation
KR20110129258A (ko) 유로 살균이 가능한 비데
CN217480333U (zh) 卫浴设备杀菌装置
JPH073649U (ja) 脱臭、除菌容器
KR101916597B1 (ko) 살균램프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장치
CN212395473U (zh) 一种灭菌水消毒系统
KR102238172B1 (ko) 듀얼 타입 플라즈마 플랫폼을 이용한 공간 및 의료기구 소독기
JP2002294825A (ja) 衛生洗浄便座
WO2016096818A1 (de) Desinfektionsmittel und verfahren zur entkeimung aufweisend wasserperoxid und pflanzliches tens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4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6

Effective date: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