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039B1 -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039B1
KR102071039B1 KR1020180144775A KR20180144775A KR102071039B1 KR 102071039 B1 KR102071039 B1 KR 102071039B1 KR 1020180144775 A KR1020180144775 A KR 1020180144775A KR 20180144775 A KR20180144775 A KR 20180144775A KR 102071039 B1 KR102071039 B1 KR 10207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uvled
energ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
홍남표
김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양현
홍남표
김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양현, 홍남표, 김상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4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UVLED 살균 장치는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전원 생산부, 전원 생산부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부,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의 변좌 및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변좌에 착석 여부 및 변좌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변좌 및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복수의 UVLED 모듈을 이용하여 좌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 및 변좌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변좌 덮개가 덮히면 전원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자외선 살균부를 구동시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UVLED disinfection apparatus using energy generated in toilet}
본 발명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내에서 자체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좌변기의 살균을 수행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 구성원의 위생관념이 높아짐에 따라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보다 수세식 화장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으로써 아파트 및 주택에서는 서양식 양변기인 좌변기가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한편 좌변기는 그 사용에 있어 변좌와 신체 접촉이 불가피하다. 이로인해 좌변기는 신체 접촉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변좌가 오염될 확률이 높다. 또한 좌변기는 이물질이 내부에 튈 수 있기 때문에 내부가 쉽게 오염될 수 있어 좌변기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살균기능을 가진 좌편기들은 외부 전원을 통한 전원 공급을 받음으로써, 외부로부터 전원을 연결하는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4068호(2009.04.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물의 낙차, 조명의 빛 등을 이용한 소규모 발전으로 자체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좌변기, 세면대, 바닥, 벽면 등에 대한 자외선 살균을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는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전원 생산부, 상기 전원 생산부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부,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의 변좌 및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석 여부 및 상기 변좌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변좌 및 상기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복수의 UVLED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좌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상기 변좌 덮개가 덮히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자외선 살균부를 구동시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생산부는,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 세수대, 욕조 및 샤워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물의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을 수행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생산부는,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조명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이용한 광발전을 수행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변좌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기 변좌 덮개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 덮개가 상기 변좌를 덮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변기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기 변좌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에 일정 압력이 작용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변좌 덮개가 상기 변좌에 덮혔을 때 상기 변좌 덮개와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변좌 덮개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좌의 상부 및 상기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UVLED 모듈 및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변좌가 상기 변기를 덮혔을 때 상기 변기와 일정 너비가 이격되도록 상기 변좌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UVLED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좌 덮개가 덮히면 상기 제1 UVLED 모듈 및 상기 제2 UVLED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변좌 및 상기 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상기 제2 UVLED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실시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양에 따라 상기 자외선 살균부의 구동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는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 세면대, 욕조 및 샤워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물의 낙차를 이용한 소규모 수력발전 및 조명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이용한 소규모 광발전을 통하여 자체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좌변기, 세면대, 바닥, 벽면 등에 대한 자외선 살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실 내부에 대한 청결함을 유지하면서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를 수행하지 않아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UVLED 살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UVLED 살균 장치(100)는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물의 낙차, 조명(미도시)의 빛 등을 이용한 소규모 발전으로 자체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좌변기, 세면대, 바닥, 벽면 등에 대한 자외선 살균을 한다. 이를 통해 UVLED 살균 장치(100)는 습기가 많은 화장실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항상 멸균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즉 UVLED 살균 장치(100)는 사용자가 각 구성요소들을 직접 접촉 시 각종 세균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때 또는 곰팡이 등의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UVLED 살균 장치(100)가 좌변기(200)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좌변기(200)는 변기(210), 변좌(220), 변좌 덮개(230) 및 힌지(240)로 구성되며, 좌변기(200)의 후면에 변기(21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300)가 연결되어 레버(250)의 조작에 따라 물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좌변기(200)는 UVLED 살균 장치(100)가 설치되어 자외선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UVLED 살균 장치(100)는 기존의 모든 좌변기에 적용할 수 있어 새로운 좌변기를 구매하지 않아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UVLED 살균 장치(100)는 전원 생산부(10), 전원부(20), 센서부(40), 제어부(50) 및 자외선 살균부(60)를 포함하고, 입력부(30), 디스플레이부(70) 및 저장부(80)를 더 포함한다.
전원 생산부(10)는 화장실 내에 설치되고, 화장실 내에 배치된 여러 장치들이 구동하는 동작들을 이용하여 자체 에너지를 생산한다. 예컨대 전원 생산부(10)는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즉 전원 생산부(10)는 물의 낙차 또는 조명의 빛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되는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원 생산부(10)는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200), 세수대(미도시), 욕조(미도시) 및 샤워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물에 대한 낙차를 이용한 소규모 수력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생산부(10)는 좌변기(200), 세수대, 욕조 및 샤워기와 연결된 배출관에 구비된 소규모의 터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버려지는 물의 낙차로 회전시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터빈은 좌변기(200), 세수대, 욕조 및 샤워기와 연결된 배출관의 끝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배출관이 통합되는 통합 배출관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생산부(10)는 화장실 내에 배치된 조명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이용한 소규모 광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생산부(10)는 태양전지(미도시)를 조명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생산부(10)는 소규모 수력발전 및 광발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나,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개별 발전을 할 수 있다.
전원 생산부(10)는 전원부(20)가 충전할 수 있도록 생산된 에너지를 실시간 전원부(20)로 전송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한다. 한편 전원 생산부(10)는 전원부(2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고, 충전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경우, 에너지 생산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전원부(20)가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의 85% 내지 9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전원부(20)는 전원 생산부(10)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원부(20)는 배터리(21) 및 전원선(23)을 포함한다.
배터리(21)는 좌변기(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21)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21)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된다. 전원선(23)은 전원 생산부(10)와 배터리(21)를 연결하는 도선으로써, 전원 생산부(10)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배터리(2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선(23)은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항이 작은 물질인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등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선(23)은 도선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굵기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입력부(30)는 좌변기(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UVLED 살균 장치(100)의 조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다. 입력부(30)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음성 입력용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200)의 변좌(220) 및 변좌 덮개(230)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변좌(220)에 착석 여부 및 변좌 덮개(23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40)는 제1 센서(41) 및 제2 센서(43)를 포함한다.
제1 센서(41)는 변좌(220)의 상부에 접촉하는 변좌 덮개(23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제1 센서(41)는 변좌 덮개(230)가 변좌(220)를 덮는 지에 대한 여부를 감지한다. 제1 센서부(41)는 변좌(220)에 대한 변좌 덮개(230)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변좌 덮개(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 압력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43)는 변기(210)의 상부에 접촉하는 변좌(22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제2 센서(43)는 변좌(220)에 일정 압력이 작용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감지한다. 제2 센서부(43)는 변좌(220)에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스위치,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변좌(220)에 작용했던 압력이 제거되면, 즉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변좌(220)에서 일어나게 되면 변좌(22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변좌(220)와 변좌 덮개(230)를 연결하는 부분 또는 변좌(220)의 하부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자외선 살균부(60)는 변좌(220) 및 변좌 덮개(230)에 설치되고, 복수의 UVLED 모듈을 이용하여 좌변기(200)를 자외선 살균한다. 자외선 살균부(60)는 제1 UVLED 모듈(61) 및 제2 UVLED 모듈(63)를 포함한다.
제1 UVLED 모듈(61)은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변좌 덮개(230)가 변좌(220)에 덮혔을 때 변좌 덮개(230)와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변좌 덮개(23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제1 UVLED 모듈(61)은 변좌(220)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UVLED 모듈(61)은 변좌(2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변좌(220)의 상부를 자외선으로 조사하는 제1 모듈과 변좌(220)의 개방된 중앙부(225)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변기(210)의 내부를 자외선으로 조사하는 제2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UVLED 모듈(61)은 변좌(220)의 상부와 변기(210)의 내부 중 중앙 부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UVLED 모듈(63)은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변좌(220)가 변기(210)를 덮혔을 때 변기(210)와 일정 너비가 이격되도록 변좌(22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제2 UVLED 모듈(63)은 변기(210)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UVLED 모듈(63)은 변기(210)의 내부 중 테두리 부분을 향해 자외선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UVLED 모듈은 파장에 따라 장파장(UV-A), 중파장(UV-B) 및 단파장(UV-C)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UV-A는 320㎚ 내지 400㎚의 파장을 가지고, UV-B는 280㎚ 내지 320㎚의 파장을 가지며, UV-C는 250㎚ 내지 280㎚의 파장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UVLED 모듈은 UV-A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UV-B에 해당하는 자외선 또는 UV-C에 해당하는 자외선과 같은 동종의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UVLED 모듈은 UV-A, UV-B, UV-C가 혼합된 이종의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좌변기(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UVLED 살균 장치(100)와 관련된 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70)는 배터리(21)의 충전 상태,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 상태,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 설정, 고장상태 유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80)는 좌변기(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UVLED 살균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명령어가 저장된다. 저장부(80)는 배터리(21)에 저장된 실시간 에너지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80)는 자외선 살균부(60)가 구동되는 조건, 시간, 패턴 등과 관련된 설정값이 저장된다. 저장부(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좌변기(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변좌(220)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변좌 덮개(230)가 덮히면 전원부(20)로부터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받아 자외선 살균부(60)를 구동시킨다. 이를 통해 제어부(50)는 변기(210) 및 변좌(220)에 대해 자외선 살균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는 변좌 덮개(230)가 덮히면 제1 UVLED 모듈(61) 및 제2 UVLED 모듈(63)을 구동시켜 변좌(220) 및 변기(210)를 자외선 살균한다. 이때 제어부(50)와 제1 UVLED 모듈(61) 및 제2 UVLED 모듈(63)를 연결하는 배선은 힌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변좌(220)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제2 UVLED 모듈(63)을 구동시켜 변기(210)를 자외선 살균한다.
한편 제어부(50)는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외선 살균부(60)가 구동되는 조건, 시간, 패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전원부(20)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실시간 확인하고, 저장된 에너지의 양에 따라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되는 시간을 자동 조절하여 저장된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저장된 에너지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 경우,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되는 시간이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배터리(21) 전체 용량의 10% 내지 3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되는 시간이 10초로 설정되고, 전체 용량의 20%인 경우, 제어부(50)는 자외선 살균부(60)의 구동되는 시간을 10초에서 5초로 자동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VLED 살균 장치(100)는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 세면대, 욕조 및 샤워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물의 낙차를 이용한 소규모 수력발전 및 조명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이용한 소규모 광발전을 통하여 자체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좌변기, 세면대, 바닥, 벽면 등을 자외선 살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화장실 내부에 대한 청결함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를 수행하지 않아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전원 생산부
20: 전원부
21: 배터리
23: 전원선
30: 입력부
40: 센서부
41: 제1 센서
43: 제2 센서
50: 제어부
60: 자외선 살균부
61: 제1 UVLED 모듈
63: 제2 UVLED 모듈
70: 디스플레이부
80: 저장부
100: UVLED 살균 장치
200: 좌변기
210: 변기
220: 변좌
230: 변좌 덮개
240: 힌지
250: 레버
300: 물탱크

Claims (8)

  1.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전원 생산부;
    상기 전원 생산부로부터 생산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원부;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의 변좌 및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변좌에 착석 여부 및 상기 변좌 덮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변좌 및 상기 변좌 덮개에 설치되고, 복수의 UVLED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좌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부;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상기 변좌 덮개가 덮히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자외선 살균부를 구동시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산부는,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좌변기, 세수대, 욕조 및 샤워기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물을 통합하는 통합 배출관에서 물의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을 수행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산부는,
    상기 화장실 내에 배치된 조명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이용한 광발전을 수행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변좌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기 변좌 덮개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 덮개가 상기 변좌를 덮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변기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기 변좌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에 일정 압력이 작용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변좌 덮개가 상기 변좌에 덮혔을 때 상기 변좌 덮개와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변좌 덮개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좌의 상부 및 상기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UVLED 모듈; 및
    복수의 UVLED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변좌가 상기 변기를 덮혔을 때 상기 변기와 일정 너비가 이격되도록 상기 변좌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의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UVLED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좌 덮개가 덮히면 상기 제1 UVLED 모듈 및 상기 제2 UVLED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변좌 및 상기 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상기 제2 UVLED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변기를 자외선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실시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의 양에 따라 상기 자외선 살균부의 구동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KR1020180144775A 2018-11-21 2018-11-21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KR10207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75A KR102071039B1 (ko) 2018-11-21 2018-11-21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75A KR102071039B1 (ko) 2018-11-21 2018-11-21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039B1 true KR102071039B1 (ko) 2020-01-29

Family

ID=6932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75A KR102071039B1 (ko) 2018-11-21 2018-11-21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372A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변기 살균 장치
WO2021246759A1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DE102022000770A1 (de) 2022-03-03 2023-09-07 Wenko-Wenselaar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Toiletten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68B1 (ko) 2007-07-02 2009-04-21 임재영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살균용 좌변기의 구조
JP2010142603A (ja) * 2008-12-22 2010-07-0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器装置
KR20110131898A (ko) * 2010-06-01 2011-12-07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68B1 (ko) 2007-07-02 2009-04-21 임재영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살균용 좌변기의 구조
JP2010142603A (ja) * 2008-12-22 2010-07-0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器装置
KR20110131898A (ko) * 2010-06-01 2011-12-07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372A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변기 살균 장치
WO2021246759A1 (ko) * 2020-06-02 2021-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KR102384460B1 (ko) * 2020-06-02 2022-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Ipl 변기 살균 장치
DE102022000770A1 (de) 2022-03-03 2023-09-07 Wenko-Wenselaar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Toilettenanordn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039B1 (ko) 화장실 내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한 uvled 살균 장치
US9757486B2 (en)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DK2323952T3 (en) A disinfection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means and the liquid outlet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JP5658441B2 (ja) 衛生器具用の排水装置
US201201445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toilet bowl
KR102445045B1 (ko) 위생 세정 장치
US20190336629A1 (en) Ultraviolet-Based Bathroom Surface Sanitization
KR20080002305U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101321510B1 (ko)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KR101026415B1 (ko) 비데 노즐의 미생물 생육을 방지하는 노즐 유니트
KR102445046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0862739B1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KR102241330B1 (ko) 변기용 살균 장치
KR100719063B1 (ko)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KR102284684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구성방법
JP2016035196A (ja) 水廻り機器への除菌水の供給方法および水洗便器
CN110552406B (zh) 卫生洗净装置
KR200401979Y1 (ko) 변기 커버 자외선 살균기
WO2017122231A1 (ja) 水廻り機器への除菌水の供給方法および水洗便器
JP2019210658A (ja) 衛生洗浄装置
KR102600351B1 (ko)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KR20220106545A (ko) 변기 살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04349A (ja) 殺菌水を用いて陶器を洗浄するのに適合する温水洗浄便座
JP2019210656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