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300B1 -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300B1
KR102459300B1 KR1020210082500A KR20210082500A KR102459300B1 KR 102459300 B1 KR102459300 B1 KR 102459300B1 KR 1020210082500 A KR1020210082500 A KR 1020210082500A KR 20210082500 A KR20210082500 A KR 20210082500A KR 102459300 B1 KR102459300 B1 KR 10245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unit
driving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석
Original Assignee
윤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석 filed Critical 윤범석
Priority to KR102021008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300B1/ko
Priority to PCT/KR2021/015942 priority patent/WO20221456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2Devices for locking the cover in the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면으로 제1살균부가 장착되며, 전방으로 상기 제1살균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접속홈이 구성되는 커버부재; 하부면으로 다수개의 안착부가 구성되고, 내부로 열선이 내장되며, 전방으로 고정자석이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살균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 및 제어신호의 수신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버튼부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 및 착석시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프레임과, 일정 압력 및 온도로 구성되는 에어와 물을 토출시키는 노즐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노즐부재를 구동시키고, 상기 노즐부재측으로 상기 에어와 물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Sanitary toilet cover device with air dry nozzle}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재를 직접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폐가 가능하며, 커버부재의 개폐 작동시 세균이 사용자의 손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커버부재가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양변기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양변기로부터 증식되는 세균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비데 시스템을 제공하는 위생 양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용변 후 세척, 비데 및 건조 과정까지 해결해주는 변기로, 각 가정 및 공공장소의 화장실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다양한 모드로 수행할 수있다. 사용자는 비데에서 분출되는 수압의 세기, 물의 온도, 바람의 온도 및 비데 시트의 온도 등을 입력 설정하여, 비데의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소변을 눈 후 세정 동작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 부위로 분사된 세정수로 인해 좌변기의 내부로 세정수에 의해 씻긴 오염물이 튀게 되어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대장균, 바이러스 등이 좌변기의 내부에 내려앉아 증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변좌 시트의 뚜껑을 닫지 않고 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좌변기의 내부에 내려앉은 수많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대장균, 바이러스 등이 공중으로 날리게 되어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칫솔, 수건, 비누, 면도기 등에 내려앉아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 부위를 세정하는 경우에는 분사 노즐 내의 세정수 이동로에 흐르는 세정수에 남아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대장균,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78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커버부재의 상부에 손잡이부를 구성하여 커버부재를 직접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며, 손잡아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커버부재의 개폐 작동시 세균이 사용자의 손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가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양변기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양변기로부터 증식되는 세균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시트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여 겨울철 등 차가운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용변 후 사용자의 항문 및 그 주변에 대한 세정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비데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면으로 제1살균부가 장착되며, 전방으로 상기 제1살균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접속홈이 구성되는 커버부재; 하부면으로 다수개의 안착부가 구성되고, 내부로 열선이 내장되며, 전방으로 고정자석이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살균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 및 제어신호의 수신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버튼부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 및 착석시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프레임과, 일정 압력 및 온도로 구성되는 에어와 물을 토출시키는 노즐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노즐부재를 구동시키고, 상기 노즐부재측으로 상기 에어와 물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물을 토출하는 수압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의 후방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노즐을 180°범위로 회전시키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에어노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하는 에어노즐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접속홈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살균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지 하우징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작동부재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접지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살균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지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에어노즐을 회전시키는 제1노즐 구동부와, 상기 수압노즐을 직진 이동시켜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제2노즐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노즐은 일측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공급부재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에어홀과, 전방측 하부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 토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노즐에는 상기 수압노즐과 연결되고, 일정량의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토출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공급부재는, 상기 에어노즐이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노즐 결합부와, 상기 노즐 결합부의 내주면 타측으로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부재의 상부에 손잡이부를 구성하여 커버부재를 직접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며, 손잡아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커버부재의 개폐 작동시 세균이 사용자의 손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부재가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양변기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양변기로부터 증식되는 세균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석시트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여 겨울철 등 차가운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변 후 사용자의 항문 및 그 주변에 대한 세정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비데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의 노즐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의 노즐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는 커버부재(100), 착석시트(200), 손잡이부(300) 및 세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부재(100)는 후방부 양측으로 세정부(400)의 조작 프레임(4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 프레임(420)과 제1살균부(14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개폐 플랜지(110)가 구성된다.
개폐 플랜지(110)에는 조작 프레임(420)에 결합되어 커버부재(1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한편, 제1살균부(140)와 연결되는 신호선, 전원선 등과 같은 케이블이 관통하여 조작 프레임(4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공의 회전축 형태로 형성되는 개폐 가이드(120)가 구성된다.
이때, 개폐 가이드(120)는 착석시트(200)의 후방측 끝단부에 회전 플랜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회전 안내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개폐 가이드(120)에는 에어댐퍼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에어댐퍼는 커버부재(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작동이 이루어질 때, 슬로우 다운 형식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착석시트(200)와의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재(100)는 전방으로 손잡이부(300)가 결합되며, 이 손잡이부(300)의 살균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케이블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속홈(102)이 형성된다.
이때, 접속홈(102)은 후술할 손잡이부(300)의 밀폐 하우징(340)이 삽입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 밀폐 하우징(340)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지 하우징(130)이 구성된다.
접지 하우징(130)은 하단부에 손잡이부(300)의 밀폐 하우징(340)에 구성되는 접지부(334)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지단자(132)가 구성되어, 접지부(334)와 접지단자(132) 간의 연결시 제1살균부(140)와 손잡이부(300)에 구성되는 제2살균부(35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부재(100)에는 그 하부면 중앙으로 양변기의 내부, 특히 착석시트(200)의 관통된 중앙부에 위치하여 착석시트(200)의 내주면 및 양변기의 내부 공간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140)가 구성된다.
제1살균부(140)는 UV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에 구성되어 있는 접지부(334)가 접지단자(132)와의 접지 여부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살균부(140)는 후술할 손잡이부(300)를 회전시켜 손잡이 본체(310)에 연결되는 작동본체(312)의 회전자석(330)과 착석시트(200)에 구성되는 고정자석(230)이 서로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때, 손잡이부(300)에 구성된 배터리(360)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자석(330)과 고정자석(230)이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커버부재(100)가 폐쇄되는 상태이고, 상기 회전자석(330)과 고정자석(2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00)의 개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석(330)과 고정자석(230)이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 다시말해 커버부재(100)가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며, 착석시트(200)와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인 경우에 접지부(334)와 접속단자(132)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손잡이 본체(310)에 구성되는 배터리(360)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제1살균부(140)로 공급하여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살균부(140)는 조작 프레임(420)에 구성되어 있는 버튼부(422)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 버튼부(422)의 조작에 의해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변기의 내부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착석시트(2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착석하는 것으로, 하부면으로 착석시트(200)가 양변기의 상부 원주면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안착부(210)와, 착석시트(200)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성되며, 일정 온도로 착석시트(200)를 가열시키는 열선(220)과, 전방부 중앙부에 삽입되어 손잡이부(300)에 구성된 회전자석(330)측으로 소정의 자력을 발산하는 고정자석(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210)는 착석시트(200)의 하부면 양측부에 구성되며, 착석시트(200)가 양변기의 상부 원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착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안착부(21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그 중 어느 하나에 양변기의 내부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 정보를 세정부(400)의 컨트롤부(410)로 전송하여 양변기 내부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센서부(24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부(240)는 양변기 내부의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석시트(200)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센서부(240)는 감지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열선(220)은 착석시트(200)의 온도에 따라 발열하여 사용자가 착석할 때 따뜻한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센서부(240)로부터 측정된 온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온도정보가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만 열선(220)을 구동하는 열선 컨트롤러(222)가 더 구성된다.
이때, 열선 컨트롤러(222)는 후술할 세정부(400)의 조작 프레임(420)에 구성된 버튼부(422)의 조작에 의해 임의적으로 열선(220)의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손잡이부(300)는 커버부재(100)의 접속홈(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각도 만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커버부재(100)를 착석시트(200)에 고정시켜 양변기를 밀폐시키거나, 또는 커버부재(100)를 착석시트(200)로부터 분리하여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양변기 사용시 커버부재(100)와 착석시트(200)를 자력 결합에 의한 동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양변기의 사용시 마다 커버부재(100)와 착석시트(200)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잡이부(300)는 접속홈(102)에 삽입되며, 손잡이부(3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밀폐 하우징(340), 밀폐 하우징(340)에 삽입되며, 양단부에 회전자석(330) 및 접지부(334)가 각각 장착되는 작동부재(312)가 하부에 구성되고, 상부로 제2살균부(350) 및 배터리(360)가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손잡이 본체(310), 손잡이 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살균부(350)의 구동시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손잡이 커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폐 하우징(340)은 내부에 작동부재(312)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 중앙이 관통되어 손잡이 본체(3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작동부재(312)가 손잡이 본체(310)의 회전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손잡이 본체(31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으로 제2살균부(350)와 배터리(360)가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 본체(310)는 내부로 제2살균부(350) 및 배터리(360)와 접지부(334)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접지부(334)는 작동부재(312)의 타측단부에 구성되며, 회전기어(330)가 고정기어(230)에 결합되는 경우, 접지 하우징(130)의 접지단자(132)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회전기어(330)가 고정기어(2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접지단자(132)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접지단자(132)와의 접지시 배터리(360)에 충진된 전기 에너지를 제1 및 제2살균부(140, 350)측으로 공급하여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손잡이 커버(320)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제2살균부(35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광되도록 구성된다.
세정부(400)는 커버부재(100)와 착석시트(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살균 시스템 및 비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컨트롤부(410), 조작 프레임(420), 구동부(430) 및 노즐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부(410)는 리모콘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제어신호를 제어부(414)로 전송하여 세정부(400)의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센서부(412)와, 제2센서부(41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구동부(430)와 노즐부재(4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14)와, 컨트롤부(410)의 구동시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414)는 조작 프레임(420)의 버튼부(422)와 연결되어 버튼부(42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부(430)와 노즐부재(44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컨트롤부(410)는 제2센서부(412)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구동부(43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리모콘은 노즐부재(4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물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에 따라 세정 및 건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내지 제3살균부(140, 350, 4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모콘은 노즐부재(440)의 인입 및 인출 여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노즐부재(44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및 물의 토출 각도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 프레임(420)은 커버부재(100)와 착석시트(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부재(100)의 하부면에 내장되는 케이블과 버튼부(422)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버튼부(422)는 비데 시스템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리모콘을 통해 제어되는 제어 기능들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리모콘은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버튼부(422)는 유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구동부(430)는 제어부(414)의 제어에 따라 노즐부재(44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 노즐부재(44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와 물이 제어부(414)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압력 및 온도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430)는 양변기 커버장치의 하부면 중앙에 구성되며, 노즐부재(440)측으로 에어와 물을 공급하는 매체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노즐부재(4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노즐 구동부(434)가 구비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즐 구동부(434)는 후술할 에어노즐(442)을 회전시키는 제1노즐 구동부(434a)와, 수압노즐(444)을 직진 이동시켜 에어노즐(442)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제2노즐 구동부(43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노즐 구동부(434a)는 통상의 회전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제2노즐 구동부(434b)는 솔레노이드 밸브, 액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부(430)에는 양측으로 제3살균부(432)가 구성되어 제어부(414)의 제어에 따라 탈취 및 살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3살균부(432)는 노즐부재(440)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작 프레임(420)의 전방부에도 더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100)가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커버부재(100)의 상부면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즐부재(440)는 구동부(430)와 연결되어 제어부(414)를 통해 설정된 압력으로 에어와 물을 사용자의 신체로 토출시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에어노즐(442)과, 수압노즐(444)이 각각 구성되고, 노즐 구동부(434)와 연결되어 에어노즐(442)의 회전 작동, 또는 수압노즐(444) 슬라이딩 이동 작동에 대한 구동을 지지하는 노즐 하우징(4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노즐 하우징(446)은 수압노즐(444)과 연결되며, 매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물을 수압노즐(444)측으로 이송하는 물 공급배관(446a)이 구성된다.
또한, 노즐 하우징(44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로 제1노즐 구동부(434a)와 연결되어 이 제1노즐 구동부(434a)의 회전 작동시 에어노즐(442) 및 수압노즐(444)을 모두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에어노즐(442)은 끝단부가 노즐 하우징(446)의 전방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일측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에어홀(442a)이 형성되며, 이 에어홀(442a)은 공기 공급부재(4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일정량의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어노즐(442)에는 전방측 하부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에어홀(442a)을 통해 주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 토출홀(442b)이 형성되고, 이 에어 토출홀(442b)과 대향하는 에어노즐(442)의 상측부에는 후술할 수압노즐(444)의 수압 토출관(444a)이 연결되고, 이 수압 토출관(444a)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토출홀(444c)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 공급부재(450)는 일측으로 에어노즐(442)이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노즐 결합부(452)가 형성되고, 이 노즐 결합부(452)의 내주면 타측으로 에어노즐(442)에 형성되는 에어홀(442a)과 연통되어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홀(4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노즐(442)은 제1노즐 구동부(434a)의 구동시 180°간격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에어노즐(442)의 회전 작동시 에어 토출홀(442b)이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에어홀(442a)이 공기 공급부재(450)의 공기 주입홀(454)과 연통되면서 일정량의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이후 180°간격으로 재차 회전하는 경우, 에어홀(442a)과 에어 주입홀(454) 간의 연통이 해제됨과 동시에 에어 토출홀(442b)이 에어노즐(442)의 하부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공기의 토출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어부(414)의 제어에 의해 세정 기능이 완료된 이 후, 건조 기능을 수행할 때 제1노즐 구동부(434a)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아울러, 수압노즐(444)은 에어노즐(442)의 내부에 구성되고, 그 끝단부가 노즐 하우징(446)과 연결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받아 토출시켜 세정 공정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측부에 하나의 수압 토출홀(444a)이 형성되어, 수압 토출홀(442c)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수압노즐(444)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가 제2노즐 구동부(434b)와 연결되고, 이 제2노즐 구동부(434b)의 구동 여부에 따라 에어노즐(442)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에어노즐(442)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압노즐(444)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414)의 제어에 따라 세정 및 건조 작업이 완료된 이후, 에어노즐(442)의 세척 공정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노즐(442)에는 그 전방부에 수압노즐(444)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 하는 노즐 안내공(460)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부재 110: 개폐 플랜지
120: 개폐 가이드 130: 접지 하우징
132: 접지단자 140: 제1살균부
200: 착석시트 210: 안착부
220: 열선 222: 열선 컨트롤러
230: 고정자석 300: 손잡이부
310: 손잡이 본체 312: 작동부재
320: 손잡이 커버 330: 회전자석
340: 밀폐 하우징 334: 접지부
350: 제2살균부 360: 배터리
400: 세정부 410: 컨트롤러
412: 제2센서부 414: 제어부
416: 전원 공급부 420: 조작 프레임
422: 버튼부 430: 구동부
432: 제3살균부 434: 노즐 구동부
434a: 제1노즐 구동부 434b: 제2노즐 구동부
440: 노즐부재 442: 에어노즐
442a: 에어홀 442b: 에어 토출홀
442c: 수압 토출홀 444: 수압노즐
444a: 수압 토출관 446: 노즐 하우징
446a: 물 공급배관 450: 공기 공급부재
452: 노즐 결합부 454: 공기 주입홀

Claims (5)

  1. 하부면으로 제1살균부가 장착되며, 전방으로 상기 제1살균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접속홈이 구성되는 커버부재;
    하부면으로 다수개의 안착부가 구성되고, 내부로 열선이 내장되며, 전방으로 고정자석이 장착되는 착석시트;
    상기 접속홈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밀폐 하우징과, 상기 밀폐 하우징에 삽입되어 회전 작동을 하며, 일단부에 회전자석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자석과 자력에 의한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제2살균부 및 배터리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살균부의 구동시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손잡이 커버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제어신호의 수신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버튼부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 및 착석시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프레임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압력 및 온도로 이루어지는 에어 및 물을 토출하는 노즐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노즐부재를 구동시키고, 상기 노즐부재측으로 상기 에어와 물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세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물을 토출하는 수압노즐과, 상기 에어노즐의 후방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노즐을 180°범위로 회전시키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에어노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회전하는 에어노즐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접속홈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살균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지 하우징이 더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작동부재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접지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살균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지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에어노즐을 회전시키는 제1노즐 구동부와,
    상기 수압노즐을 직진 이동시켜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제2노즐 구동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은
    일측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공급부재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에어홀과, 전방측 하부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에어 토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에는 상기 수압노즐과 연결되고, 일정량의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토출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재는,
    상기 에어노즐이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노즐 결합부와, 상기 노즐 결합부의 내주면 타측으로 상기 에어홀과 연통되어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KR1020210082500A 2020-12-28 2021-06-24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KR10245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00A KR102459300B1 (ko) 2021-06-24 2021-06-24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PCT/KR2021/015942 WO2022145686A1 (ko) 2020-12-28 2021-11-04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500A KR102459300B1 (ko) 2021-06-24 2021-06-24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300B1 true KR102459300B1 (ko) 2022-10-25

Family

ID=8380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500A KR102459300B1 (ko) 2020-12-28 2021-06-24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3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94Y1 (ko) * 2012-11-07 2013-08-28 최인숙 변기시트
KR101326783B1 (ko) 2010-11-03 2013-11-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957119B1 (ko) * 2019-01-21 2019-03-11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83B1 (ko) 2010-11-03 2013-11-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68694Y1 (ko) * 2012-11-07 2013-08-28 최인숙 변기시트
KR101957119B1 (ko) * 2019-01-21 2019-03-11 이종민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716B1 (ko)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KR102145998B1 (ko) 양변기용 살균장치
WO2007133537A2 (en) Toilet accessory with sterilization elements
JP2006274641A (ja)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1576045B1 (ko) 젖병 살균 세척기
US20200337509A1 (en) Smart toilet safe in use
CN106725009A (zh) 浴盆
KR102459300B1 (ko) 에어 드라이 노즐이 구비된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CN104856599A (zh) 一种洁身器
KR102515939B1 (ko) 위생 양변기 커버용 세척 및 건조 노즐장치
KR100719063B1 (ko) 좌변시트의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와 이를 이용한살균 및 세척방법
CN201036531Y (zh) 一种新型马桶座垫自动清洁装置
CN108561590B (zh) 智能冲洗盖板结构
WO2022145686A1 (ko) 위생 양변기 커버장치
KR20140086037A (ko) 비데
KR20130038485A (ko) 샤워기 살균장치
CN211933857U (zh) 一种马桶座圈组件及智能马桶
KR101227429B1 (ko) 자외선 살균을 이용한 비데기
KR20130096570A (ko) 양변기
JP7409052B2 (ja) 衛生洗浄装置
JP7013764B2 (ja) 衛生洗浄装置
CN213296550U (zh) 一种蒸汽杀菌的智能马桶
CN213405869U (zh) 马桶
JP2019210658A (ja) 衛生洗浄装置
KR20140090380A (ko) 좌변기의 좌대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