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905B1 -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905B1
KR102383905B1 KR1020200056406A KR20200056406A KR102383905B1 KR 102383905 B1 KR102383905 B1 KR 102383905B1 KR 1020200056406 A KR1020200056406 A KR 1020200056406A KR 20200056406 A KR20200056406 A KR 20200056406A KR 102383905 B1 KR102383905 B1 KR 10238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nector device
connector
vehicle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274A (ko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김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석 filed Critical 김준석
Priority to KR102020005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9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20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철도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마운팅바디, 상기 마운팅바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통해 마운팅바디에 링크되고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하며 충격감쇄용 완충부가 내장된 로터를 갖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로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링크부를 갖는 연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는, 커넥터장치 자체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굴절 가능하므로, 심한 곡선 주행 구간을 통과하더라도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물리적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가 없고 또한 유지 보수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용 차량을 연결하는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적으로 꺾이는 구조를 가져 곡률이 심한 곡선 주행 구간도 부담 없이 통과할 수 있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용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형태별로, 너클식과 밀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너클식에는 AAR형 연결기, SA3형 연결기가 있고, 밀착식에는 샤펜베르크형, 시바타형, 웨스팅하우스형, 톰린슨형, 반든형 연결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연결기는 각자의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철이나 고속열차 등에 많이 적용되는, 밀착식 커넥터는, 보통, 상호 마주하는 선단에 돌출부와 밀착부가 구비되며, 밀착부가 서로에 대해 밀착하는 순간, 내부의 로크(lock)가 잠겨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2579호에 개시된 연결기는, 몸체 전방에 밀착부가 형성되고, 밀착부 전방 내측에 암수연결부재가 형성되며, 몸체의 후방으로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가 장착된 플레이트에 끼움 고정되는 샤프트가 구비되며, 밀착부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고정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밀착부 내면 동일축상에는 연결기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나사가 형성된 소켓과 끼움부가 구비되며, 소켓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단에 소켓보울트가 구비된 안내돌기가 체결되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장치(10)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평면도이다. 평면도라 함은, 이를테면, 철도 차량의 지붕에서 레일 쪽으로 내려 본 각도에서의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장치(10)는, 연결기(11)와 완충기(17)를 구비한다. 커넥터장치(10)는 각 개별 차량의 앞뒤에 고정되며, 상호 결합하여 두 개의 차량을 연결한다.
연결기(11)는,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연장부(11c), 연장부(11c)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링크부(11a), 연장부(11c)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1b)를 갖는다. 링크부(11a)는 대응하는 다른 연결기(11)의 링크부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플랜지부(11b)는 완충기(17)의 플랜지부(17a)와 함께 머프커플링(18)로 연결된다.
완충기(17)는 철도차량의 차체(100)에 고정된 상태로, 머프커플링(18)을 통해 연결기(11)의 플랜지부(11b)에 링크된다. 연결기(11)는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 얼마간 회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완충기(17)의 내부에는 탄성고무(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탄성고무는, 철도차량의 주행 중, 커텍터장치(10)로 들어오는 충격을 감쇄하고, 또한 철도차량이 곡선 주행로를 통과하는 동안 변형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목적을 갖는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2579호 (철도차량용 연결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1384호 (철도 차량용 연결기)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심한 곡선 주행 구간을 통과하더라도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물리적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가 없고 또한 유지 보수성이 양호한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는, 철도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마운팅바디, 상기 마운팅바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통해 마운팅바디에 링크되고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하며 충격감쇄용 완충부가 내장된 로터를 갖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로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링크부를 갖는 연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바디는; 상기 차체에 결합하는 차체결합부와, 상기 차체결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핀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연결핀을 통해 홀더부에 지지되며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완충부를 자신의 둘레에 갖는 로터본체와, 상기 완충부를 감싸 커버하고 일측부가 상기 연결기와 결합하는 클램핑케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로터본체는; 상기 연결핀을 통과시키는 중앙통로와, 상기 중앙통로를 중심에 두고 대칭을 이루는 밀착곡면을 가지며, 상기 완충부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상기 각 밀착곡면에 밀착한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상의 완충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클램핑케이스는; 상기 로터본체와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사이에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의 완충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완충부재와 밀착하는 밀착면과, 완충부재가 밀착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바디에는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로터본체의 양단부와 홀더부의 사이에는, 외부 이물질이 연결핀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시일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바디에는, 상기 로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차체결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케이스편의 이동경로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케이스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돌출부이다.
또한, 상기 연결기와 로터에는, 서로에 대해 끼움 결합하는 후단링키지 및 결합링키지가 각각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후단링키지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링크유지홈과, 상기 제1링크유지홈의 측부에서 수평 연장된 제1끼움블록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링키지는, 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끼움블록을 수용하는 제2링크유지홈과, 상기 제1링크유지홈에 삽입되는 제2끼움블록을 갖는다.
또한, 상기 후단링키지와 결합링키지는, 서로에 대해 끼워진 상태로 볼팅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는, 커넥터장치 자체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굴절 가능하므로, 심한 곡선 주행 구간을 통과하더라도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물리적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가 없고 또한 유지 보수성이 양호하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커텍터장치에서 완충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완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연결기와 완충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완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는, 지하철이나 고속철 또는 일반 기차의, 객차와 객차, 기관차와 객차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굴절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이 심한 곡선 주행 구간을 통과하더라도 물리적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가 없다.
이러한 커넥터장치의 기본 구성은, 철도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마운팅바디, 상기 마운팅바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통해 마운팅바디에 링크되고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하며 충격감쇄용 완충부가 내장된 로터를 갖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로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링크부를 갖는 연결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20)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3은 커넥터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커텍터장치에서 완충기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완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20)는, 연결기(11)와 완충기(30)로 구성된다. 연결기(11)는 위에 설명한 종래 커넥터장치(10)에서의 연결기이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서의 커넥터장치(20)는 종래 커넥터장치(10)의 연결기(11)에 후술할 완충기(30)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종전 커텍터장치(10)에서 연결기(11)를 재사용하고 완충기(30)만 교체한 것이다. 이러한 적용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최소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20)는, 연결기(11), 완충기(30), 머프커플링(18)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구조를 갖는 커넥터장치(20)는, 철도 차량의 차체(100) 앞뒤에 고정되며 차체(100)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차체(100)의 사이에 두 개의 커넥터장치(20)가 위치하고, 두 개의 커넥터장치(20)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차량이 연결되는 것이다.
완충기(30)는,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6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θ 내지 +θ) 범위 내에서 굴절이 가능하다. 차량이 곡선 주로를 통과할 때 별다른 저항 없이 굴절됨으로써, 커넥터장치(20)를 구성하는 부품에 무리가 가지 않고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파손이 없다.
상기 완충기(30)는, 마운팅바디(40), 연결핀(61) 및 부싱베어링(63), 로터(50)를 구비한다.
마운팅바디(40)는, 철도차량의 차체(10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강철 부재로서, 차체결합부(41)와 홀더부(43)를 갖는다. 차체결합부(41)는 사각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차체(100)에 대해 볼팅 결합된다. 이를 위해 차체결합부(41)의 네 귀퉁이부에는 볼트고정홀(41a)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고정홀(41a)은 볼트(미도시)의 헤드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말하자면, 차체(100)에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네 개의 관통구멍을 뚫고, 볼트고정홀(41a)을 각 관통구멍에 맞춘 후, 볼트고정홀(41a) 측에서 볼트를 끼워 볼트헤드를 볼트고정홀(41a)에 삽입한 다음, 네 개의 관통구멍의 뒤쪽에서 볼트를 너트와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체(100)에 대한 마운팅바디(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홀더부(43)는, 차체결합부(4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부분으로서 핀장착구(43a)를 갖는다. 홀더부(4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바디(40)가 차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며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된다. 홀더부(43)의 사이는 수용공간(40a)으로서 로터(50)의 일부를 수용한다.
아울러 양쪽 핀장착구(43a)의 외측에는 시일홈(43b)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홈(43b)은 로터본체(51)의 양측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시일홈(51b)에 대응하며 차단시일(52)을 수용한다. 차단시일(52)은 시일홈(43b,51b)에 끼워진 상태로 핀장착구(43a) 측으로 먼지나 오염 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일측 홀더부(43)에는 분할핀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핀구멍(43c)은 분할핀(44)이 장착되는 구멍이다. 분할핀(44)은 분할핀구멍(43c)을 통과하여 핀장착구(43a)를 가로지른다. 핀장착구(43a)를 통해 연결핀(61)을 화살표 c방향으로 삽입한 후 분할핀(44)을 장착하면, 연결핀(61)이 상부로 빠지지 않는다. 연결핀(61)의 상단부에는 걸림헤드(61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헤드(61a)의 직경이 핀장착구(43a)의 내벽보다 크기 때문에, 연결핀(61)이 하부로 빠질 일은 없다.
또한 수용공간(40a)의 내부에는 스토퍼(41b)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41b)는 차체결합부(41)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공간(40a) 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후술할 하부케이스편(54a)의 회전 시 하부케이스편(54a)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돌출부이다. 말하자면, 로터(50)가 도 2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걸림턱부(54m)에 걸리는 부분이다. 걸림턱부(54m)는 스토퍼(41b)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로터(50)의 최대 회전각도는 화살표 b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80도 이다.
연결핀(61)은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형 부재로서 상단부에 걸림헤드(61a)를 갖는다. 걸림헤드(61a)는 핀장착구(43a)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핀(61)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빠지지 않게 한다. 연결핀(61)은 양단부가 핀장착구(43a)에 지지된 상태로,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부싱베어링(63)은 연결핀(61)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로터본체(51)의 중앙통로(51a)에 삽입되는 원통형 부재이다. 부싱베어링(63)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연결핀(61)의 외주면 및 중앙통로(51a)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로터(50)가 부싱베어링(63)에 지지된 상태로 연결핀(61)을 회전중심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로터(50)는, 연결핀(61)을 통해 마운팅바디(40)에 링크되고, 철도차량이 곡선 주로를 통과할 때 종동 하여,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로터(50)는, 로터본체(51), 제1,2완충부재(53a,53b), 클램핑케이스(54)를 구비한다.
로터본체(51)는 중심부에 중앙통로(51a)를 갖는 블록형 부재로서, 중앙부가 가장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진다. 또한 로터본체(51)의 양면에는 밀착곡면(51e)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곡면(51e)은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으로서 제1,2완충부재(53a,53b)와 각각 밀착한다.
제1,2완충부재(53a,53b)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블록의 형태를 취하며 벤딩된 상태로 밀착곡면(51e)에 밀착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충격을 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2완충부재(53a,53b)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 가능하다.
제1,2완충부재(53a,53b)는, 철도차량의 출발이나 급작스런 정지 시의 관성력을 흡수하여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함은 물론, 철도차량이 곡선주로를 주행하거나 또는 상향 경사로나 하향 경사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탄성 변형됨으로써, 언제가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2완충부재(53a,53b)의 두께는 70mm 내지 80mm 일 수 있다.
제1,2완충부재(53a,53b)의 내향면에는 내향돌기(53c)가 마련되어 있다. 내향돌기(53c)는 밀착곡면(51e)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51c)에 끼워지는 돌출부이다. 내향돌기(53c)를 지지홈(51c)에 끼움으로써, 시간이 지나더라도 제1,2완충부재(53a,53b)의 움직임이 없다.
클램핑케이스(54)는, 로터본체(51)와 제1,2완충부재(53a,53b) 조립체를 감싸 커버하는 것으로서, 하부케이스편(54a)과 상부케이스편(54b)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편(54a)과 상부케이스편(54b)은 동일한 형상을 취하며, 다만 상부케이스편(54b)에는 연결플랜지(59)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하부케이스편(54a) 및 상부케이스편(54b)의 내향면에는 밀착면(54c)과 이탈방지턱(54e)이 마련되어 있다. 밀착면(54c)은 제1,2완충부재(53a,53b)를 지지하는 면이고, 이탈방지턱(54e)은 제1,2완충부재(53a,53b)가 밀착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이다.
아울러, 하부케이스편(54a) 양단부에는 다수의 암나사구멍(57p)이, 상부케이스편(53b)에는 볼트구멍(54k)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구멍(54k)과 암나사구멍(54p)은 하부케이스편(54a)과 상부케이스편(54b)을 맞춘 상태에서 일직선을 이루며, 고정볼트(56)를 통과시킨다. 고정볼트(56)는 볼트구멍(54k)를 통과한 상태로, 암나사구멍(54p)에 결합함으로써, 상하부케이스편(54b,54a)을 결합시킨다.
또한 하부케이스편(54a)의 양단부 후방에는 걸림턱부(54m)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부(54m)는 위에 설명한 스토퍼(41b)에 걸리는 부분이다.
한편, 연결플랜지(59)는 상부케이스편(54b)에 일체를 이루며 연결기(11) 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머프커플링(18)을 통해 연결기(11)의 플랜지부(11b)와 결합한다. 연결기(11)는 머프커플링(18)에 의해 로터(50)와 결합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11)와 로터(50) 조립체는, 연결핀(61)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말하자면, 화살표 Z방향으로 전진하는 철도차량이, 왼쪽으로 굽은 경로를 통과할 때의 완충기(3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11)의 중심축선과, (마운팅바디(40)가 고정되어 있는) 차체(100)의 전진방향이 +θ 각도만큼 어긋나 있다. 종전의 경우에는 커넥터장치(20)에 가해지는 굽힘력을 탄성고무가 흡수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완충기(30) 자체를 아예 굴절식으로 구성하여, 곡선 경로 주행 시 커넥터장치(20)에서의 응력발생을 제거하였다.
도 7에는, 화살표 Z방향으로 전진하는 철도차량이, 오른쪽으로 굽은 경로를 통과할 때의 완충기(30)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연결기(11)의 중심축선과, (마운팅바디(40)가 고정되어 있는) 차체(100)의 전진방향이, 이를테면, -θ 각도만큼 어긋나 있다. 완충기(30)가 연결핀(61)을 중심으로 굴절하므로 곡선 경로 주행 시 커넥터장치(20)에서의 응력이 쌓일 염려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2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연결기(70)와 완충기(30)를 분해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완충기(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장치(20)는,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연결기(70)와 로터(50)의 일부 구성이 다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커넥터장치(20)는, 후단링키지(74)를 갖는 연결기(70)와, 결합링키지(55)를 구비한 완충기(30)로 구성된다.
연결기(70)는,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선단부에 링크부(71)를 갖는 연장부(72)와, 연장부(72) 후단에 고정된 후단링키지(74)를 포함한다. 연장부(72)와 링크부(71)의 구성이나 작동은 종래 연결기(도 1의 11)에서의 연장부(11c) 및 링크부(11a)와 동일하다.
후단링키지(74)는 연결기(70)를 완충기(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플러로서, 결합링키지(55)를 향해 개방된 제1링크유지홈(74a)을 갖는다. 제1링크유지홈(74a)는 결합링키지(55)의 제2끼움블록(55a)을 수용 고정하는 공간이다. 제1링크유지홈(74a)은 홈 내부에서 입구측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취한다. 또한 제2끼움블록(55a)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일정패턴의 요철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링크유지홈(74a)의 측부에는 제1끼움블록(74d)이 위치한다. 제1끼움블록(74d)은 결합링키지(55)의 제2링크유지홈(55c)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1링크유지홈(74a)의 상부에는 제1이탈방지부(74b)가 위치한다. 제1이탈방지부(74b)는 제1링크유지홈(74a)에 수용되어 있는 제2끼움블록(55a)의 상면을 커버하고, 후단링키지(74)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기(30)는 차체(100)에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하므로, 연결기(7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74c는 볼트구멍이다. 볼트구멍(74c)은 연결볼트(75)가 통과하는 수평의 통로이다.
결합링키지(55)는 후단링키지(74)와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2끼움블록(55a), 제2링크유지홈(55c), 제2이탈방지부(55g)를 갖는다. 제2끼움블록(55a)은 제1링크유지홈(74a)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링크유지홈(55c)은 제1끼움블록(74d)을 수용하는 홈이다. 제2링크유지홈(55c)은 측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취한다. 아울러 제2이탈방지부(55g)는 제1끼움블록(74d)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막는 받침이다. 상기 제1이탈방지부(74b)와 제2이탈방지부(55g)에 의해, 후단링키지(74)는 결합링키지(55)에 결합한 상태로 하부로 빠지 않는다.
결합링키지(55)에도 다수의 볼트구멍(55e)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구멍(55e)은 후단링키지(74)의 볼트구멍(74c)와 일직선을 이루며 연결볼트(75)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연결볼트(75)는 볼트구멍(74c,55e)을 차례로 통과한 후 너트(76)와 나사 결합한다. 연결볼트(75)에 의해 결합링키지(55)에 대한 후단링키지(74)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2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의 커넥터장치(20)의 작동은 제1실시예의 커넥터장치와 동일하다.
도 11은, 화살표 Z방향으로 전진하는 철도차량이, 왼쪽으로 굽은 경로를 통과할 때의 연결기(70)의 일부와 완충기(3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기(70)의 중심축선과, (마운팅바디(40)가 고정되어 있는) 차체(100)의 전진방향이 +θ 각도만큼 어긋나 있다. 종전의 경우에는 커넥터장치(20)에 가해지는 굽힘력을, 내부의 탄성고무 등이 부담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완충기(30) 자체를 아예 굴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곡선 경로 주행 시 커넥터장치(20)에서의 응력발생이 없다.
도 12는, 화살표 Z방향으로 전진하는 철도차량이, 오른쪽으로 굽은 경로를 통과할 때의 완충기(3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기(70)의 중심축선과, (마운팅바디(40)가 고정되어 있는) 차체(100)의 전진방향이, 이를테면, -θ 각도만큼 어긋나 있다. 완충기(30)가 연결핀(61)을 중심으로 굴절하므로 곡선 경로 주행 시 커넥터장치(20)에서의 응력이 쌓일 염려가 없다. 상기 각도 범위는 최대 -80도 내지 +80도 이다. -80도는 차량의 전진방향 기준, 우측으로 80도이고, +80도는 차량 전진방향 기준 좌측으로 80도를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커넥터장치 11:연결기 11a:링크부
11b:플랜지부 11c:연장부 17:완충기
17a:플랜지부 18:머프커플링 20:커넥터장치
30:완충기 40:마운팅바디 40a:수용공간
41:차체결합부 41a:볼트고정홀 41b:스토퍼
43:홀더부 43a:핀장착구 43b:시일홈
43c:분할핀구멍 44:분할핀 50:로터
51:로터본체 51a:중앙통로 51b:시일홈
51c:지지홈 51e:밀착곡면 52:차단시일
53a:제1완충부재 53b:제2완충부재 53c:내향돌기
54:클램핑케이스 54a:하부케이스편 54b:상부케이스편
54c:밀착면 54e:이탈방지턱 54k:볼트구멍
54m:걸림턱부 54p:암나사구멍 55:결합링키지
55a:제2끼움블록 55c:제2링크유지홈 55e:볼트구멍
55g:제2이탈방지부 56:고정볼트 57:너트
61:연결핀 61a:걸림헤드 63:부싱베어링
70:연결기 71:링크부 72:연장부
74:후단링키지 74a:제1링크유지홈 74b:제1이탈방지부
74c:볼트구멍 74d:제1끼움블록 75:연결볼트
76:너트 100:차체

Claims (11)

  1. 철도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마운팅바디, 상기 마운팅바디에 장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을 통해 마운팅바디에 링크되고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로 회전 가능하며 충격감쇄용 완충부가 내장된 로터를 갖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로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링크부를 갖는 연결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와 로터에는, 서로에 대해 끼움 결합하는 후단링키지 및 결합링키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후단링키지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링크유지홈과, 상기 제1링크유지홈의 측부에서 수평 연장된 제1끼움블록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링키지는, 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끼움블록을 수용하는 제2링크유지홈과, 상기 제1링크유지홈에 삽입되는 제2끼움블록을 갖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바디는;
    상기 차체에 결합하는 차체결합부와, 상기 차체결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핀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연결핀을 통해 홀더부에 지지되며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완충부를 자신의 둘레에 갖는 로터본체와, 상기 완충부를 감싸 커버하고 일측부가 상기 연결기와 결합하는 클램핑케이스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본체는;
    상기 연결핀을 통과시키는 중앙통로와, 상기 중앙통로를 중심에 두고 대칭을 이루는 밀착곡면을 가지며,
    상기 완충부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상기 각 밀착곡면에 밀착한 상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상의 완충부재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케이스는;
    상기 로터본체와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사이에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하는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을 포함하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의 완충부재와 접하는 면에는,
    완충부재와 밀착하는 밀착면과, 완충부재가 밀착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바디에는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로터본체의 양단부와 홀더부의 사이에는, 외부 이물질이 연결핀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시일이 더 구비되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바디에는, 상기 로터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차체결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케이스편의 이동경로 내부로 돌출되어 하부케이스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돌출부인,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링키지와 결합링키지는, 서로에 대해 끼워진 상태로 볼팅 결합하는,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KR1020200056406A 2020-05-12 2020-05-12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KR10238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06A KR102383905B1 (ko) 2020-05-12 2020-05-12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06A KR102383905B1 (ko) 2020-05-12 2020-05-12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74A KR20210138274A (ko) 2021-11-19
KR102383905B1 true KR102383905B1 (ko) 2022-04-06

Family

ID=7871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406A KR102383905B1 (ko) 2020-05-12 2020-05-12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5A (ja) 2000-12-05 2002-06-18 Towa Koki:Kk 鉄道車両用連結装置の連結機構
JP2013032092A (ja) 2011-08-02 2013-02-14 Japan Steel Works Ltd:The 鉄道車両用連結装置
CN103909949A (zh) 2014-03-25 2014-07-09 青岛宏达赛耐尔科技股份有限公司 低地板轨道车辆用铰接机构
CN109263679A (zh) 2018-09-17 2019-01-25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低地板车弹性铰接装置及其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579Y1 (ko) 1998-09-21 2001-02-15 김정자 철도차량용 연결기
KR101381384B1 (ko) 2012-10-24 2014-04-15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연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025A (ja) 2000-12-05 2002-06-18 Towa Koki:Kk 鉄道車両用連結装置の連結機構
JP2013032092A (ja) 2011-08-02 2013-02-14 Japan Steel Works Ltd:The 鉄道車両用連結装置
CN103909949A (zh) 2014-03-25 2014-07-09 青岛宏达赛耐尔科技股份有限公司 低地板轨道车辆用铰接机构
CN109263679A (zh) 2018-09-17 2019-01-25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低地板车弹性铰接装置及其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74A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854B1 (ko) 저플로어식 차량
KR100588079B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
CN100411929C (zh) 铁路车辆和用于在该种车辆中固定牵引装置的夹紧装置
RU266814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CA2116396C (en) Hinge connection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of a multiple-unit rail-borne vehicle in an articulated manner
US8375869B2 (en) Crash-resistant front apron for a rail vehicle
CN104290770B (zh) 一种轨道车辆转向架轴端密封结构
CN103358848A (zh) 稳定杆衬套附接组件
KR102383905B1 (ko) 철도차량 연결용 커넥터장치
KR10188862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JP2011526559A (ja) 自動車前部用の機構
CN216301076U (zh) 车钩、车钩组件、连接结构以及运输装置
KR100658310B1 (ko) 철도차량의 연결 관절장치
US10906569B2 (en) Rail vehicle having a coupling arranged in the front region thereof
KR20180009434A (ko) 산악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0807390B1 (ko) 철도차량용 오일댐퍼 너클 회전강성 시험용 지그
CN209370330U (zh) 一种用于制动卡钳的导向销安装结构
EP2061690B1 (de) Befestigung für einen radsatzlenker eines schienenfahrzeugs
US6289821B1 (en) Rail vehicle, especially for local traffic
KR101859945B1 (ko) 산악철도차량용 차체 상부 연결 구조
JP4255855B2 (ja) 鉄道車両用連結装置
CN207902443U (zh) 转向架及齿轨车辆
CN205780564U (zh) 一种车下悬吊部件之间的横向联接减振装置
KR200398567Y1 (ko) 스페이서 댐퍼
CN108349364A (zh) 用于附接动力传动系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