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991B1 -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991B1
KR102382991B1 KR1020210078061A KR20210078061A KR102382991B1 KR 102382991 B1 KR102382991 B1 KR 102382991B1 KR 1020210078061 A KR1020210078061 A KR 1020210078061A KR 20210078061 A KR20210078061 A KR 20210078061A KR 102382991 B1 KR102382991 B1 KR 10238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distribution
support
distribution line
angle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07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 벽면(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대어셈블리(200)가 앵글(100)과 직교를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앵글(100); 앵글(100)에 착탈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는 지지대어셈블리(200); 앵글(10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L)의 누전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센서(300); 누전감지센서(30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으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5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조명을 방출하는 경광등(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누전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안착대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해 줌으로서 지중배전선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합선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Wiring device to prevent short circuit i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누전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중배전선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합선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 지중화는 간선 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지중배전선로 공사 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지중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처럼 이어붙여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좌우 양측벽에 밀착시켜 바닥면과 수직하게 선반이 고정 배치되는데, 선반을 포함해 트레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측벽에 설치된 선반을 따라 침투수가 유입되어 지중배전선에 누전 또는 합선이 발생되는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지중배전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중배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누전에 대해서는 확인이 어려웠으며, 결국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보수 등을 위해 접근할 경우 누전으로 인한 감전위험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안전상에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7021호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누전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중배전선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합선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확장 기능을 통해 보다 많은 지중배전선을 거치해 둘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ㄴ’자 형상의 앵글본체와,
앵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쇠결합부와,
걸림쇠결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아크홀과, 아크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홀로 이루어진 핀결합부로 구성된 앵글;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마련된 지지대본체,
지지대본체의 측면에 사선으로 형성되고, 걸림쇠결합부에 승강 및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지지대본체와 함께 회동되어 걸림쇠결합부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면서 걸림쇠결합부에 걸리는‘T’자 형상의 걸림쇠,
가이드홀과 걸림쇠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핀결합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대본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핀,
가이드홀과 핀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앵글본체의 단부에 맞대어지면서 지지대본체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대본체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안착되는 지중배전선을 떠받쳐 지중배전선의 이동을 제한하는 호 형상의 안착대로 구성된 지지대와,
지지대본체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보조지지대와,
포설될 지중배전선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지지대를 향해 외주면 일측이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보조지지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디, 바디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아이들러로 이루어진 포설기구로 구성된 지지대어셈블리;
앵글에 설치되어 지중전선의 누전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센서;
누전감지센서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 및 경광등으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조명을 방출하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누전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착대를 매개로 지중배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해 줌으로서 지중배전선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합선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확장 기능을 통해 보다 많은 지중배전선을 거치해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앵글과 지지대어셈블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결합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지지대어셈블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지지대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앵글과 지지대어셈블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결합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지지대어셈블리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는 앵글(100)과 지지대어셈블리(200), 누전감지센서(300), 제어부(400),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L)의 누전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해 주변으로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중배전선(L)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합선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확장 기능을 통해 보다 많은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 둘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L)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앵글(10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ㄴ’자 형상을 이루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 벽면(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대어셈블리(200)가 앵글(100)과 직교를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앵글(100)은 앵글본체(110)와 걸림쇠결합부(120) 및 핀결합부(130)로 구성되며, 전력구 벽면(W)에 밀착되어 고정수단(예: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앵글본체(110)의 일면에는 걸림쇠결합부(120)와 핀결합부(130)가 앵글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쇠결합부(120)는 수직장공으로, 지지대(210)의 걸림쇠(212)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핀결합부(130)는 아크홀(131)과 수직홀(13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걸림쇠결합부(120)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대(210)의 핀(213)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홀(131)은 호 형상의 구멍이다. 아크홀(131)은 걸림쇠결합부(120)의 길이 중앙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곳에 형성되어 지지대(210)의 핀(213)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홀(131)의 말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홀(13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어셈블리(200)는 지지대(210)와 보조지지대(220) 및 포설기구(2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0)는 지지대본체(211)와 걸림쇠(212), 핀(213), 스토퍼(214) 및 안착대(215)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앵글(100)에 착탈가능하게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면서 지중배전선(L)의 움직임을 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본체(211)는 내부가 양단과 하방으로 개구된 관으로서,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11a)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가이드홀(211a)에는 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홀(211a)을 기준으로 지지대본체(211)의 일단부에는‘T’자 형상의 걸림쇠(2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쇠(212)는 수직축(12시와 6시 방향)에 대하여 대략 1시와 7시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지지대본체(211)에 설치된다. 이러한 걸림쇠(212)는 걸림쇠결합부(120)에 승강 및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걸림쇠결합부(120)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면서 걸림쇠결합부(120)에 걸림되어 앵글본체(110)와 지지대본체(211)가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213)은 가이드홀(211a)과 걸림쇠(212)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211)의 측면에 형성되고, 핀결합부(13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대본체(211)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14)는 가이드홀(211a)과 핀(213)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2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앵글본체(110)의 단부에 맞대어지면서 지지대본체(2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대(215)는 지지대본체(211)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안착되는 지중배전선(L)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대(215)는 내부가 오목하게 함몰된 호 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 안착된 지중배전선(L)은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렇게 지중배전선(L)이 안착대(215)에 의해 움직이 제한됨에 따라 지중배전선(L) 간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에서 지지대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쇠결합부(120)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지지대(210)의 걸림쇠(212)는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틀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결합부(120)에 지지대(210)의 걸림쇠(212)를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대(210)를 기울인 상태에서 걸림쇠(212)를 걸림쇠결합부(120)에 삽입하면 되고, 삽입되는 과정에 핀(213)은 핀결합부(130)의 아크홀(131)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대(210)가 수평되게 걸림쇠(212)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면, 걸림쇠결합부(120)와 걸림쇠(212)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핀(213)은 아크홀(131)을 따라 이동되어 수직홀(132)의 입구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212)를 걸림쇠결합부(120)를 따라 하강시켜 주게 되면, 핀(213) 역시 아크홀(131)과 상호 연통된 수직홀(132)을 따라 함께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결합부(120)와 걸림쇠(212)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앵글본체(110)로부터 지지대(210)가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수직홀(132)에 삽입된 핀(213)에 의해 걸림쇠(212)의 회전이 근본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앵글본체(110)의 단부에 스토퍼(214)가 맞대어짐에 따라 지지대(210)는 스토퍼(214) 및 핀(213)을 매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지지대(220)는 내부가 상방과 양단으로 개구된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대본체(211)에 인입출가능하게 끼워져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보조지지대(220)는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지지대본체(211)의 가이드홀(211a)을 따라 이동되어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 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상기 포설기구(230)는 바디(231)와 아이들러(23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조지지대(220)의 말단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포설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바디(231)는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외주면 일측으로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내부는 포설방향과 지지대(210)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231)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고 있고, 하면은 일측(측면의 하단)에서 타측(개구부)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므로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들러(232)는 일종에 롤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23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경사진 하면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누전감지센서(300)와 제어부(400),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은 지지대(210)를 통해 앵글(100)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지중배전선(L)의 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전감지센서(300)는 앵글(100)에 설치되어 표면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 벽면(W)에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30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을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500)와 경광등(600)은 전력구 벽면(W)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 음향과 조명을 주변으로 방출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스피커(500)로부터 방출되는 경고음과 경광등(600)으로부터 방출되는 조명을 보고 현재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점검은 물론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누전감지센서(300), 제어부(400),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될 지중배전선(L)을 포설기구(230)인 아이들러(232) 상에 얹혀지도록 바디(231)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선단부를 잡고 당기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아이들러(124)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지중배전선(L)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231) 내부의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지중배전선(L)은 경사진 아이들러(2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배치된 아이들러(232)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포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계획된 구간까지 지중배전선(L)이 포설되면, 작업자는 포설기구(230)에 수용된 지중배전선(L)을 개구부를 통해 인출한 상태에서 지지대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지지대(210)의 안착대(215)에 거치해주면 포설작업이 완료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을 안착대(215)에 거치해 줌으로서 지중배전선(L)의 움직임을 안착대(215)를 매개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 간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합성사고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거치된 상태에서 노후나 외력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손상된 경우 지지대(210) 및 앵글(100)의 표면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흐르는 전류를 누전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누전감지센서(30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50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스피커(50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 음향을 방출해 알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피커(500)의 음향을 듣고 누전 여부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점검 및 후속조치가 가능해지므로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어셈블리(200)의 지지대(210)에 지중배전선(L)을 거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지지대(210)로부터 보조지지대(220)를 인출하여 수평 길이를 확장해 주면 된다.
이때, 볼트(B)와 너트(N)는 보조지지대(220)에 의해 가이드홀(211a)을 따라 이동되며, 일정 길이 이상으로 보조지지대(220)를 인출하게 되면 볼트(B)가 가이드홀(211a)의 걸림됨에 따라 보조지지대(220)의 인출은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보조지지대(220)가 인출되면, 지중배전선(L)을 거치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앵글 110: 앵글본체 120: 걸림쇠결합부
130: 핀결합부 131: 아크홀 132: 수직홀
200: 지지대어셈블리 210: 지지대 211: 지지대본체
211a: 가이드홀 212: 걸림쇠 213: 핀
214: 스토퍼 215: 안착대 220: 보조지지대
230: 포설기구 231: 바디 232: 아이들러
300: 누전감지센서 400: 제어부 500: 스피커
600: 경광등

Claims (1)

  1. 전력구 벽면(W)에 수직으로 설치되는‘ㄴ’자 형상의 앵글본체(110)와,
    앵글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쇠결합부(120)와,
    걸림쇠결합부(12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아크홀(131)과, 아크홀(13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홀(132)로 이루어진 핀결합부(130)로 구성된 앵글(100);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11a)이 마련된 지지대본체(211),
    지지대본체(211)의 측면에 사선으로 형성되고, 걸림쇠결합부(120)에 승강 및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지지대본체(211)와 함께 회동되어 걸림쇠결합부(120)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면서 걸림쇠결합부(120)에 걸리는‘T’자 형상의 걸림쇠(212),
    가이드홀(211a)과 걸림쇠(212)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211)의 측면에 형성되고, 핀결합부(13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대본체(211)의 회동을 제한하는 핀(213),
    가이드홀(211a)과 핀(213)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대본체(2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앵글본체(110)의 단부에 맞대어지면서 지지대본체(211)를 지지하는 스토퍼(214),
    지지대본체(211)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안착되는 지중배전선(L)을 떠받쳐 지중배전선(L)의 이동을 제한하는 호 형상의 안착대(215)로 구성된 지지대(210)와,
    지지대본체(211)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가이드홀(211a)을 관통하는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보조지지대(220)와,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지지대(210)를 향해 외주면 일측이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보조지지대(22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디(231), 바디(23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아이들러(232)로 이루어진 포설기구(230)로 구성된 지지대어셈블리(200);
    앵글(100)에 설치되어 지중전선(L)의 누전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센서(300);
    누전감지센서(30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500) 및 경광등(600)으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500);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조명을 방출하는 경광등(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KR1020210078061A 2021-06-16 2021-06-16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KR10238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61A KR102382991B1 (ko) 2021-06-16 2021-06-16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61A KR102382991B1 (ko) 2021-06-16 2021-06-16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91B1 true KR102382991B1 (ko) 2022-04-08

Family

ID=8118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61A KR102382991B1 (ko) 2021-06-16 2021-06-16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139B1 (ko) 2023-02-24 2023-06-20 김점주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용 트레이기구
KR102638768B1 (ko) * 2023-02-09 2024-02-21 (주)경성감리단 전력구내 설치용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246U (ja) * 1993-01-29 1994-08-19 大同電機工業株式会社 地中ケーブルの接続部用受金物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102227021B1 (ko)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45413B1 (ko) * 2020-09-21 2021-04-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246U (ja) * 1993-01-29 1994-08-19 大同電機工業株式会社 地中ケーブルの接続部用受金物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102227021B1 (ko) 2020-08-06 2021-03-12 주식회사 건일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45413B1 (ko) * 2020-09-21 2021-04-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768B1 (ko) * 2023-02-09 2024-02-21 (주)경성감리단 전력구내 설치용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2545139B1 (ko) 2023-02-24 2023-06-20 김점주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용 트레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990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382991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KR102206597B1 (ko)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153682B1 (ko)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209889B1 (ko)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KR102494119B1 (ko)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용 전력구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KR102371807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1824187B1 (ko)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
JP5938250B2 (ja) 壁内配線工事方法及びその治具
KR102323131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7129B1 (ko)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CN112211482B (zh) 公路施工用便携易拆装稳固缓冲防护栏
JP2000091128A (ja) 高所作業用支持ポ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保安柵
KR100931015B1 (ko) 터널 내부의 안전진단장비
KR102549598B1 (ko) 지중배전 및 송전을 위한 전선접속형 지지장치
KR102549595B1 (ko)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117193B1 (ko) 회전 가능한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선작업 방법
CN214644917U (zh) 一种天花楼板钻孔防止伤害预埋线管装置
KR101797103B1 (ko)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KR102672261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용 접속장치
JP2010029585A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据付方法
KR102672256B1 (ko) 편이성이 향상된 누전감지형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JP6654111B2 (ja) エレベーターのインジケーター設置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