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103B1 -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103B1
KR101797103B1 KR1020170104914A KR20170104914A KR101797103B1 KR 101797103 B1 KR101797103 B1 KR 101797103B1 KR 1020170104914 A KR1020170104914 A KR 1020170104914A KR 20170104914 A KR20170104914 A KR 20170104914A KR 101797103 B1 KR101797103 B1 KR 10179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entering
rotor
cen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김형근
박종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자와 고정자 각각에 신호기를 설치하고, 상기 신호기 간에 신호 수신여부를 통해 고정자와 회전자의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센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자 측의 신호기가 정중앙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자(스테이터)와 회전자(로터)를 포함하는 대형전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과 회전자의 단부 정중앙에 신호기를 각각 설치하여,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자 삽입시 상기 신호기간 신호 수신여부 확인을 통해 고정자와 회전자의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자의 신호기 위치를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에 배치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링 디바이스는, 중공(中空)의 몸체;상기 몸체의 하부 정중앙에서 상방으로 승강되며,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센터봉;상기 몸체의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향되며, 상기 센터봉의 승강에 따른 경사면 면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갖고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는 복수의 센터링 접촉자;상기 각각의 센터링 접촉자에 결합되며, 센터링 접촉자의 이동에 따라 고정자 내측면에 밀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링 접촉자는, 상기 몸체의 둘레 내외측을 관통하여 고정된 중공(中空)의 고정체;상기 고정체의 내부에서 몸체의 내외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일측에는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구(球)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이동체;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가 몸체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부로 제공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단부에는 나사홈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단부에는 구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대형전동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A centering calibration equipment for large motor's rotor}
본 발명은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전동기 결합시 고정자와 회전자의 정중앙 맞춤 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를 비롯한 각종 산업 시설물에 구비되는 전동기는 대부분 대용량의 중량물(대략 1톤 이상)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전동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 작업시 작업자의 중량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로 크레인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지금까지는 전동기의 정비를 위한 분해 작업에 있어 필요한 별도의 표준화된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인해 정비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왔고, 특히 크레인을 이용한 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함은 물론 작업의 안정성을 미처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아울러, 중량물에 해당하는 각종 전동기의 분해 작업시에는 주로 현장 작업자의 과거 경험에 의존한 비과학적 정비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전동기의 분해시 로터(회전자) 및 스테이터(고정자) 코일의 손상이 수반될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하게는, 대형전동기의 분해 조립시 고정자에 회전자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자를 고정자에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해 회전자(R)를 이동하여 고정자(S)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경험치 및 감각적인 느낌만으로 고정자(S)와 회전자(R)의 센터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자(S)에 대한 회전자(R)의 센터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둘째, 대형전동기의 고정자(S) 철심과 회전자(R) 간에 공극은 매우 작기 때문에, 센터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자(R)가 삽입될 때에는 고정자(S)와의 기계적 마찰이 발생하여 장비가 손상되는 문가 있었다.
셋째, 작업자의 경험치에 의해 고정자(S)와 회전자(R) 간에 공극을 여러 위치에서 비교하면서 센터링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센터링 작업의 정확도가 떨어져 신뢰하기가 어렵고 센터링 시간이 과도하게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45921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와 회전자 각각에 센터링 신호가 송수신되는 신호기를 설치하되, 신호기 위치가 고정자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형 전동기의 고정자와 회전자 간에 센터링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자(스테이터)와 회전자(로터)를 포함하는 대형전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과 회전자의 단부 정중앙에 신호기를 각각 설치하여,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자 삽입시 상기 신호기간 신호 수신여부 확인을 통해 고정자와 회전자의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자의 신호기 위치를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에 배치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링 디바이스는, 중공(中空)의 몸체;상기 몸체의 하부 정중앙에서 상방으로 승강되며,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센터봉;상기 몸체의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향되며, 상기 센터봉의 승강에 따른 경사면 면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갖고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는 복수의 센터링 접촉자;상기 각각의 센터링 접촉자에 결합되며, 센터링 접촉자의 이동에 따라 고정자 내측면에 밀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링 접촉자는, 상기 몸체의 둘레 내외측을 관통하여 고정된 중공(中空)의 고정체;상기 고정체의 내부에서 몸체의 내외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일측에는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구(球)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이동체;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가 몸체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부로 제공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단부에는 나사홈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단부에는 구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대형전동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전자와 고정자 각각에 신호기를 배치하여 상호간에 신호 수신 여부를 통해 센터링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센터링 작업의 정확도를 높여 작업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센터링 작업시 작업자 육안보다는 신호기 신호를 통해 센터링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신호기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및 경보음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표시해줌으로써, 작업자는 센터링 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고정자 내부에 신호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센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신호기의 위치를 정중앙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고정자에 회전자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센터링을 위해 각 고정자 및 회전자에 신호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회전자의 단부에 신호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회전자의 단부에 설치된 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고정자에 설치되는 센터링 디바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고정자에 설치되는 센터링 디바이스를 나타낸 투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고정자에 설치되는 센터링 디바이스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센터링 접촉자를 나타낸 투시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중, 센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자의 신호기가 고정자 정중앙에 가이드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이하, '센터링 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센터링 장치는 대형전동기의 유지 보수를 위한 고정자(S)와 회전자(R) 간에 삽입 작업에 있어서, 상호 간에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별도의 센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자의 정중앙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센터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전동기의 회전자(로터)와 고정자(스테이터)가 마련되고, 각각의 회전자(R) 및 고정자(S)에는 상호간에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신호기(A)가 설치된다.
즉, 일측의 신호기(A)로부터 타측의 신호기(A)로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자(S)에 대한 회전자(R)의 정중앙 위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신부와 수신부는 회전자(R) 및 고정자(S)에 특정되어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회전자(R)측에 발신부(10)가 설치되고, 고정자(S)측에 수신부(20)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자(R)의 신호기(A)를 구성하는 발신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R)의 회전축 단부 저면에 설치된다.
발신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 내장형으로 구성되고, 전면부에는 발신부(1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스위치(1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부(10)는 회전자(R)의 회전축 단부 저면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회전자(R) 회전축 저면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발신부(10)의 상부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2)는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자력을 통해 회전자(R)의 회전축 단부에 발신부(10)의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는 상기 결합홈에 탈부착되는 결합돌기(12a)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12a)는 원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돌기(12a)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회전자(R) 상에 발신부(10)의 위치가 정중앙에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발신부(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는 고정자(S) 측에 마련된다.
이때, 수신부(20)의 위치가 고정자(S)측의 정중앙에 가이드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중요하며, 수신부(20)의 위치를 고정자(S)의 정중앙에 가이드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100)가 제공된다.
센터링 디바이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센터봉(120)과, 센터링 접촉자(130)와, 연결대(140)와, 결합커버(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는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각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터봉(120)은 고정자(S)의 내측에서 몸체(110)의 위치를 정중앙에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110) 바닥면의 정중앙에 설치된다.
센터봉(120)은 몸체(110)의 바닥면 내,외측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나사부(121)와, 상기 나사부(121)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부(122)로 구성된다.
나사부(121)는 몸체(110)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며, 정,역 회전을 통해 몸체(110)의 내부에서 승강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122)는 나사부(12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사방을 향해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터봉(120)은 몸체(110)의 내부 공간 정중앙에서 승강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센터링 접촉자(130)는 몸체(110)의 센터링을 위한 연결대(140)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고정자(S)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대(140)의 위치가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센터링 접촉자(1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131)와, 이동체(132)와, 탄성부재(133)를 포함한다.
고정체(131)는 몸체(110)에 고정되며, 이동체(132)의 이동을 위한 중공의 관로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체(131)는 양측이 관통되며, 일측은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고정체(131)의 일측 단부에는 이동체(132)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편(131a)이 형성되고, 고정체(131)의 타측 단부에는 탄성부재(133) 지지를 위한 지지편(131b)이 형성된다.
이동체(132)는 상기 고정체(131)의 관로에 위치되며, 고정체(131)의 관로 및 고정체(131)의 외측을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체(132)는 고정체(131)의 일측으로는 상기 이탈방지편(131a)에 걸려 구속이 되고, 고정체(131)의 타측으로는 관통된 부위를 통해 고정체(131) 내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체(132)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편(131a)에 결려 구속되는 구속부(132a)가 형성되며, 이동체(1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이 된다.
한편, 몸체(110)의 공간에 위치된 이동체(132)의 일측에는 구(球) 형태의 볼부재(132b)가 마련되며, 이동체(132)의 타측에는 홈부(132c)가 형성된다.
상기 볼부재(132b)는 상기 센터봉(120)의 경사부(122)에 간섭되어 밀려나면서 이동체(132)를 고정체(131)로부터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부(132c)는 후술하는 연결대(140)의 나사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부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33)는 상기 이동체(132)를 고정체(131)의 내부에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체(132)의 구속부(132a)와 고정체(131)의 지지편(131b) 사이에 설치된다.
즉, 탄성부재(133)는 탄성력을 통해 이동체(132)가 고정체(13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쉽게 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인 것이다.
그리고, 연결대(140)는 몸체(110)를 고정자(S)의 내측 공간에 정중앙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대 역할을 하며, 상기 센터링 접촉자(130)에 나사 결합된다.
연결대(140)는 몸체(110)에 설치된 센터링 접촉자(130)의 개수와 동일하게 제공되며, 그의 길이는 대형전동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연결대(140)의 일단부에는 센터링 접촉자(130)의 나사홈부(132c)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돌기(141)가 형성되며, 연결대(140)의 타단부에는 고정자(S)의 내측면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구 형태의 볼부재(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연결대(140)가 상기 몸체(100)를 고정자(S)의 내측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시킴으로써, 몸체(110)는 고정자(S)의 내측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커버(150)는 회전자(R)의 발신부(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몸체(110)의 개구된 부위에 결합이 된다.
결합커버(15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된다.
이때, 결합커버(150)의 상부 정중앙에는 수신부(20)가 설치되며, 결합커버(150)의 둘레에는 몸체(110)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계(151)와, 발신부(10)로부터 수신부에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발광하여 알리는 발광 다이오드(15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센터링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수신부(20)가 고정자(S)의 내측 정중앙에 가이드되는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S)의 내측에 연결대(140)가 결합된 센터링 디바이스(1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센터링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개구된 고정자(S)를 지지하는 받침대 위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센터봉(120)의 나사부(121)를 회전하여 몸체(110) 내부에서 경사부(122)를 상승시킨다.
이때, 경사부(122)는 상승되며, 몸체(110)의 둘레에 설치된 각 센터링 접촉자(130)의 볼부재(132b)는 경사부(122) 경사면에 동일하게 접촉이 된다.
이후, 지속적인 경사부(122)의 상승에 의해, 볼부재(132b)는 탄성력을 가지고 밀려나며, 이로 인해 이동체(132)는 고정체(131)의 외부로 인출이 된다.
이때, 이동체(132)에 결합된 연결대(140) 역시 연동되다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S)의 내측면에 접촉이 된다.
이때, 작업자는 나사부(12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몸체(110)의 둘레에 결합된 복수의 연결대(140)는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다가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밀착이 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110)는 고정자(S)의 정중앙에 위치가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에는 수신부(20)가 설치된 결합커버(1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신부(20)는 고정자(S)의 정중앙에 자동으로 위치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자(S)의 내측에 센터링 디바이스(100)의 위치 선정이 완료되면, 크레인(C) 등의 운반장치를 이용해 발신부(10)가 설치된 회전자(R)를 고정자(S)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위치를 통해 발신부(10)를 on시켜 신호를 발생시키고, 작업자는 회전자(R)를 고정자(S) 상방에서 세밀하게 위치를 컨트롤한다.
이 과정에서, 발신부(10)의 신호가 센터링 디바이스(100)의 수신부(20)로 수신되면, 결합커버(150)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152)는 발광을 하게 된다.
즉, 고정자(S)와 회전자(R)의 센터링이 이루어졌음을 알려, 작업자로 하여금 고정자(S)와 회전자(R)의 센터링이 인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후, 크레인(C)을 조작하여 고정자(S) 상방의 회전자(R)를 그대로 하강시켜 고정자(S) 내측 공간에 위치시킨 후, 일련의 과정을 거쳐 고정자(S)와 회전자(R)를 결합시킨다.
이로써, 대형전동기의 고정자(S)와 회전자(R)의 센터링을 통한 결합과정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는 고정자와 회전자 각각에 신호기를 설치하고 상호간에 송수신 신호를 통해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별도의 센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자 측의 신호기 센터링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센터링 작업의 정확성을 높이고, 센터링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고정자와 회전자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기계적 마찰에 의해, 각 장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발신부 11 : 스위치
12 : 결합부재 12a : 결합돌기
20 : 수신부 100 : 센터링 디바이스
110 : 몸체 120 : 센터봉
121 : 나사부 122 : 경사부
130 : 센터링 접촉자 131 : 고정체
131a : 이탈방지편 131b : 지지편
132 : 이동체 132a : 구속부
132b : 볼부재 132c : 나사홈부
133 : 탄성부재 140 : 연결대
141 : 나사돌기 142 : 볼부재
150 : 결합커버 151 : 수평계
152 : 발광 다이오드

Claims (4)

  1. 고정자(스테이터)와 회전자(로터)를 포함하는 대형전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과 회전자의 단부 정중앙에 신호기를 각각 설치하여,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자 삽입시 상기 신호기간 신호 수신여부 확인을 통해 고정자와 회전자의 센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고정자의 신호기 위치를 고정자의 내측 정중앙에 배치하기 위한 센터링 디바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링 디바이스는,
    중공(中空)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 정중앙에서 상방으로 승강되며,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센터봉;
    상기 몸체의 둘레에 결합되되 상기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향되며, 상기 센터봉의 승강에 따른 경사면 면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갖고 밀려나거나 원위치되는 복수의 센터링 접촉자;
    상기 각각의 센터링 접촉자에 결합되며, 센터링 접촉자의 이동에 따라 고정자 내측면에 밀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링 접촉자는,
    상기 몸체의 둘레 내외측을 관통하여 고정된 중공(中空)의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서 몸체의 내외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일측에는 센터봉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구(球)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대가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된 이동체;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가 몸체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부로 제공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단부에는 나사홈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단부에는 구 형태의 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대형전동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기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자성을 갖는 결합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원뿔 형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몸체의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의 평면을 갖는 결합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자의 신호기는 상기 결합커버의 정중앙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KR1020170104914A 2017-08-18 2017-08-18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KR10179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14A KR101797103B1 (ko) 2017-08-18 2017-08-18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914A KR101797103B1 (ko) 2017-08-18 2017-08-18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103B1 true KR101797103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914A KR101797103B1 (ko) 2017-08-18 2017-08-18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502U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로터 삽입용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415B1 (ko) * 2007-07-04 2008-08-29 두산엔진주식회사 스터드 체결장치
JP2008211874A (ja) 2007-02-23 2008-09-11 Chiyuuden Plant Kk 軸心位置設定装置及び軸心位置設定方法
CN103296845A (zh) * 2013-04-22 2013-09-11 宁波富仕达电力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发电机转子穿装时的对中方法
KR101407747B1 (ko) 2013-02-20 2014-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냉각재 펌프 전동기의 회전자 조립용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1874A (ja) 2007-02-23 2008-09-11 Chiyuuden Plant Kk 軸心位置設定装置及び軸心位置設定方法
KR100855415B1 (ko) * 2007-07-04 2008-08-29 두산엔진주식회사 스터드 체결장치
KR101407747B1 (ko) 2013-02-20 2014-06-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냉각재 펌프 전동기의 회전자 조립용 정렬장치
CN103296845A (zh) * 2013-04-22 2013-09-11 宁波富仕达电力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发电机转子穿装时的对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502U (ko)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로터 삽입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484298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KR101797103B1 (ko) 대형전동기의 회전자 센터링 교정장치
KR102382990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266543B1 (ko)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CN111721916A (zh) 水分检测设备
KR101587512B1 (ko)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애자장치
KR102382991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CN104867652A (zh) 变压器壳体、变压器及具有该变压器的配电设备
JP6350860B2 (ja) 玉掛け装置
KR102468546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KR101513525B1 (ko) 핀 블록 오토 얼라인 장치
CN210779794U (zh) 一种适用于气体绝缘全封闭电器装置的监视装置
CN204135212U (zh) 轴承外圈开缝红外线自动定位装置
CN212556602U (zh) 座椅支撑装置及代步车
CN215811636U (zh) 发动机止推片有无检测治具
CN215984369U (zh) 一种检测磁铁位置的设备
WO2012141592A1 (en) Device, system and uses for lowering and elevating at least one electrically powered object
CN210837542U (zh) 一种充气柜下门联锁装置
CN204216262U (zh) 开关传动专用二次航空插头连接线
CN217931950U (zh) 一种脱扣器测试设备
CN216206089U (zh) 一种基于风压状态监测通信塔垂直度的检测装置
CN217007121U (zh) 一种超声波检测土壤强度和完整性的装置
CN216082908U (zh) 一种具备摄像和拆式功能的验电器
CN111276891A (zh) 一种开关柜拼柜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