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298B1 -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298B1
KR101484298B1 KR1020140067996A KR20140067996A KR101484298B1 KR 101484298 B1 KR101484298 B1 KR 101484298B1 KR 1020140067996 A KR1020140067996 A KR 1020140067996A KR 20140067996 A KR20140067996 A KR 20140067996A KR 101484298 B1 KR101484298 B1 KR 10148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stator
jig
assembling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천우정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우정밀산업 filed Critical (주)천우정밀산업
Priority to KR102014006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 내에 스테이터를 올바르게 결합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테이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립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안치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 장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전선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결정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승강시켜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스테이터로 내리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 내에 스테이터를 올바르게 결합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써 공작기계, 가공기계를 포함하여 대다수의 기계장치에 사용되며, 사용처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전기모터 내에 내장되며 로터와 달리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부재로, 다수 회 감기는 권선의 간격과 감긴 패턴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내부에는 로터가 위치할 중공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케이싱에 감겨지는 권선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조립된 스테이터는 대략 원통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이때 스테이터의 권선에서 나오는 여러 가닥의 전기선은 모터하우징의 외부로 빼내야하므로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 간의 올바른 결합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스테이터의 제 조립위치에 맞추어 모터하우징을 위치 맞춤하면서, 스테이터를 모터하우징 내에 수작업으로 삽입하여왔다. 스테이터는 모터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하면서 삽입되는 것이기에 오조립시에 스테이터를 하우징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아 한 번에 올바르게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스테이터에서 나온 권선들은 스테이터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위치가 변형되기 쉬워 취급에 주의가 요구된다. 만일 권선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며 모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립 불량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0287호 (2010.05.13)
본 발명은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오조립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테이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립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안치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 장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전선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결정부 그리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승강시켜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스테이터로 내리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조립테이블에 분리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상단에 삽입되는 끼움바디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부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을 향하여 수평되게 이동 가능한 거치봉, 상기 거치봉이 상기 모터하우징을 향하여 탄성 있게 돌출되게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이동바를 통과한 상기 거치봉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이동바의 배면과 접하는 단부가 캠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거치봉을 상기 파지부에 결합된 상기 모터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의 전기선과 모터하우징의 전선홀을 맞추어 조립하는 것이 매우 편리해진다. 따라서 오조립에 의한 모터 불량을 줄이고, 조립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구성의 작용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결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와 관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장치(100)는 조립테이블(11)을 구비하는 본체(10), 지그부(20), 파지부(30), 위치결정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이르는 조립테이블(11)을 구비한다. 조립테이블(11)에는 스테이터가 안착되는 지그부(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립테이블(11)에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12)과, 그 기둥들(12) 상부에 결합하는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가 결합된다. 구동부(50)의 하부에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가 구비된다.
구동부(50)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실시예에서 구동부(50)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체의 천장부(13)에서 지그부(20)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파지부(30) 등을 상하 이동시키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래크 기어와 회전모터, 공압 액추에이터, 스핀들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체(10)의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가 파지부(30) 등을 수직 방향으로 온전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는 천장부(13)를 관통하는 슬라이딩 바(141)를 복수로 설치하고, 슬라이딩 바의 상단과 하단에는 플레이트(142)를 결합한 것이다.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의 몸체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부(50)에서 신장되는 피스톤은 하부의 플레이트(142)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5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바들(141)이 천장부(13)를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파지부(30) 등이 수직으로 이동된다.
지그부(20)의 상부 형상은 스테이터의 하단에 대응하여, 지그부(20)에 스테이터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지그부(20)는 조립테이블(11)에 볼트와 너트 등의 분리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볼트와 너트를 풀어 지그부(20)를 조립테이블(11) 상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부(20)가 조립테이블(11)에서 분리됨에 따라 조립하려는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스테이터에 맞춘 전용 지그부(20)를 교체해가며 조립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파지부(30)는 지그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장착하는 부재이다.
도 3에는 지그부와 파지부 및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지그부(20)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 하단이 오르는 링 형태의 지지단부(21)를 구비하고, 지지단부(21)의 내측은 케이싱(310)의 하부로 돌출되게 감긴 권선(330)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함몰된 수용홈(22)을 형성하고 있다.
지그부(20)의 일측(도면에서는 정면 방향)에는 스테이터(300)에서 인출된 전기선(340)이 놓이는 절개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홈(23) 안에 스테이터의 권선들에서 연장된 전기선(340)을 넣어 둠으로써, 지그부(20)에 스테이터(300)를 올려 놓을 때에 전기선(340)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전기선(340)을 절개홈(23)에 맞추어 넣는 것으로도 스테이터(300)의 조립 방향을 맞출 수 있지만, 보다 확실히 스테이터(300)의 조립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그부(20)의 지지단부(21)에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320)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위치결정돌기(211)가 구비된다.
이 위치결정돌기(211)는 특정 종류의 스테이터(300)에 형성된 결합홀(320)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 위치결정돌기(211)가 스테이터의 케이싱에 난 결합홀(320)이 삽입되면서 지그부(20)에 스테이터(30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은 자연히 절개홈(23)에 위치하게 되며, 스테이터(300)의 중심은 지그부(20)의 중심과 일치되어, 양자가 동심으로 맞추어진다.
이러한 위치결정돌기(211)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320) 중 적어도 둘 이상과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구동부(50)에 연결된 하부의 플레이트(142) 아래에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가 구비되어,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가 함께 승강하게 된다.
파지부(30)는 대략 원통형인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파지하는 것으로, 파지부(30)의 중심은 아래에 놓이는 지그부(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맞추어져 있다.
파지부(30)는 플레이트(142)의 하부에 결합되는 뭉치(143)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판(31)과, 연결판(31)의 하부로 연장되어 모터하우징(200)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끼움바디(32)를 포함한다.
끼움바디(32)는 모터하우징(200)의 원형 단면에 대응하는 사이즈와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 끼움바디(32)에 모터하우징(200)을 결합하면 모터하우징(200)의 단면 중심과 지그부(20)에 올린 스테이터(300)의 중심이 수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끼움바디(32)에 결합한 모터하우징(200)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바디(32)와 결합한 모터하우징(200)을 임시 고정하고자 모터하우징(200)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모터하우징에 들러붙는 자석(도시 생략)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은 일정 수준의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석은 모터하우징과 접촉하는 연결판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장착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하여 파지부에 장착한 모터하우징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파지부를 이탈하여 낙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모터하우징의 스테이터에 결합한 이후에는 파지부가 재상승하더라도 결합된 스테이터와의 마찰과 스테이터의 무게로 인하여, 상승하는 파지부와 함께 재상승하지는 않는다.
한편 위치결정부(40)는 파지부(30)와 함께 승강하면서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에 형성된 전선홀(210)에 삽입되어 모터하우징(200)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모터하우징(200)에는 스테이터(300)와 연결된 전기선(340)을 모터하우징(200) 외측으로 빼내는 전선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하우징(200)에 스테이터(300)를 조립한 이후 전기선(340)은 전선홀(210)을 통해 모터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며, 이후 모터하우징(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도시 생략) 내의 회로판과 전기 연결된다.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은 지그부(20)의 스테이터(300)와 동심이 맞추어지지만 전기선(340)이 놓이는 방향과,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이 같은 방향으로 맞추어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치결정부(40)를 통하여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이 스테이터(300)의 전기선(지그의 절개홈)에 수직되게 맞춘다.
위치결정부(40)는 파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하부로 내려오는 이동바(41), 이동바(4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거치봉(42) 및 거치봉(42)을 탄성있게 파지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한다. 이때, 거치봉은 지그부의 절개홈이 형성된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거치봉은 절개홈이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 이동바(41)는 뭉치에 연결되어 파지부(30)와는 이격된 상태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막대의 형상이다. 나아가 이동바(41)는 엘엠가이드(45)로 뭉치(143)와 연결되어 있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엘엠가이드(45)는 생략될 수 있다.
이동바(41)의 하단부에는 파지부(30)를 향하는 거치봉(42)이 구비된다. 파지부(30)를 향하는 거치봉(42)의 선단부에는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에 대응하는 테이퍼진 누름돌기(421)가 구비되어 있다.
거치봉(42)은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바(41)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3)은 일단부가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이동바(41)를 지지함으로써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가 항시 파지부(3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거치봉(42)을 탄성 있게 지지한다.
이동바(41)를 통과한 거치봉(42)의 후단에는 작동레버(44)가 결합되어 있다. 작동레버(44)는 거치봉(42)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이동바(41)의 배면과 접하는 단부가 캠(44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작동레버(44)를 세운 상태에는 캠(441)의 반경이 작은 부분이 이동바(41)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봉(42)의 단부가 파지부(30)를 향하여 길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캠(441)의 반경이 크 부분이 이동바(41)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작동레버(44)가 거치봉(42)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그 결과 거치봉(42)의 선단부가 파지부(30)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된다.
거치봉과 지그부의 절개홈이 같은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돌기(421)가 모터하우징의 전선홀(210)에 삽입되면,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은 지그부(20)에 장착된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과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이동바(41)에는 모터하우징(200)의 외측면에 접촉도록 오목한 곡면홈(461)을 가지는 지지블록(46)이 결합되어 있다. 이 지지블록(46)은 모터하우징(200)의 외주면을 파지함으로써, 하부 길게 연장된 이동바(41)의 하단부에서 거치봉(42)의 탄성있게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을 찾아들어가는 과정 중에서 이동바(4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위치결정부(4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모터하우징(200)의 방향이 더욱 올바르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모터하우징(200)의 종류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뭉치(143)로부터 전선홀(210)까지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이동바(41)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선홀(210)의 높이와 거치봉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립대상인 스테이터(300)를 지그부(20)에 올려 놓는다. 이때 지그부의 위치결정돌기(211)가 스테이터의 케이싱 하단에 형성된 결합홀에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지그부(20)와 스테이터(300)의 동심을 맞추면서, 절개홈(23)에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이 놓이도록 한다.
다음 파지부(30)에 모터하우징(200)을 결합한다.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켜 거치봉(42)을 후퇴시킨다. 이렇게 거치봉(42)의 간섭을 배제한 후에, 파지부(30)의 끼움바디(32)가 모터하우징(200)의 개구된 상부에 들어가도록 모터하우징(200)을 파지부(30)에 결합한다. 이후 작동레버(44)를 수직되게 세워 거치봉(42)의 단부에 구비된 누름돌기(421)가 모터하우징(200)의 측면과 접촉케 하고 모터하우징(200)을 회전시켜 전선홀(210)에 누름돌기(421)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구동부(50)를 작동하여 파지부(30)를 하강시킨다.
구동부(50)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는 모터하우징(200)이 스테이터(300)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켜 거치봉(42)이 모터하우징(200)과 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레버(44)의 조작에 따라 후퇴한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는 전선홀(210)에서 빠져나감으로써 모터하우징(200)의 내측벽을 타고 상승하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 상단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모터하우징(200)이 충분히 하강한 이후에는 구동부(50)가 역으로 작동하여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킨다. 모터하우징(200)은 스테이터(300)에 결합된 상태로 지그부(20)에 놓이며, 작업자는 스테이터(300)가 결합된 모터하우징(200)을 지그부(20)에서 꺼내 조립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스테이터의 전기선을 모터하우징의 전선홀의 위치에 맞추기가 매우 용이하다. 지그부의 절개홈과 위치결정부의 작용으로, 전기선과 전선홀의 위치가 어긋나게 결합되는 조립 불량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립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지그부, 파지부, 지지블록 및 높낮이가 가능한 위치결정부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조립할 수 있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한 종류의 전기 모터만 조립하려는 경우에, 지그부, 파지부는 본체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블록은 이동바에 고정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의 이동바 또한 뭉치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 조립장치
10 : 본체
11 : 조립테이블 12 : 기둥 13 : 천장부 141 : 슬라이딩 바
142 : 플레이트 143 : 뭉치
20 : 지그부
21 : 지지단부 211 : 위치결정돌기 22 : 수용홈 23 : 절개홈
30 : 파지부
31 : 연결판 32 : 끼움바디
40 : 위치결정부
41 : 이동바 42 : 거치봉 421 : 누름돌기 43 : 스프링
44 : 작동레버 441 : 캠 45 : 엘엠가이드
46 : 지지블록 461 : 곡면홈
50 : 구동부
200 : 모터하우징 210 : 전선홀
300 : 스테이터 310 : 케이싱 320 : 결합홀 330 : 권선 340 : 전기선

Claims (4)

  1.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테이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립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권선에서 나오는 전기선이 놓이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가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안치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 장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전선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결정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승강시켜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스테이터로 내리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파지된 전선홀과 상기 절개홈은 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조립테이블에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상단에 삽입되는 끼움바디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을 향하여 수평되게 이동 가능한 거치봉,
    상기 거치봉이 상기 모터하우징을 향하여 탄성 있게 돌출되게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이동바를 통과한 상기 거치봉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이동바의 배면과 접하는 단부가 캠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거치봉을 상기 파지부에 결합된 상기 모터하우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KR1020140067996A 2014-06-04 2014-06-04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KR101484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96A KR101484298B1 (ko) 2014-06-04 2014-06-04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96A KR101484298B1 (ko) 2014-06-04 2014-06-04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298B1 true KR101484298B1 (ko) 2015-01-21

Family

ID=5259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996A KR101484298B1 (ko) 2014-06-04 2014-06-04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29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62B1 (ko) * 2017-04-28 2017-08-30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773438B1 (ko) * 2017-04-28 2017-08-31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시스템
KR101808004B1 (ko) * 2017-08-24 2017-12-13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08003B1 (ko) * 2017-08-24 2017-12-13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7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8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6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20180048278A (ko) * 2016-10-31 2018-05-10 (주)키프로토 자기-기어드 모터 동심축 일치형 조립장치
CN114102087A (zh) * 2021-12-06 2022-03-01 无锡华盛力通电驱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电机壳体组装工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687U (ko) * 1991-07-23 1993-02-26 삼성전기 주식회사 모터의 커버 조립장치
JPH11308819A (ja) * 1998-04-22 1999-11-05 Honda Motor Co Ltd モータ用ステータの結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687U (ko) * 1991-07-23 1993-02-26 삼성전기 주식회사 모터의 커버 조립장치
JPH11308819A (ja) * 1998-04-22 1999-11-05 Honda Motor Co Ltd モータ用ステータの結合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278A (ko) * 2016-10-31 2018-05-10 (주)키프로토 자기-기어드 모터 동심축 일치형 조립장치
KR101889945B1 (ko) * 2016-10-31 2018-08-21 (주)키프로토 자기-기어드 모터 동심축 일치형 조립장치
KR101772962B1 (ko) * 2017-04-28 2017-08-30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773438B1 (ko) * 2017-04-28 2017-08-31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시스템
KR101808004B1 (ko) * 2017-08-24 2017-12-13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08003B1 (ko) * 2017-08-24 2017-12-13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7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8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6B1 (ko) * 2017-08-24 2018-01-08 김유식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CN114102087A (zh) * 2021-12-06 2022-03-01 无锡华盛力通电驱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电机壳体组装工装设备
CN114102087B (zh) * 2021-12-06 2024-03-19 无锡华盛力通电驱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电机壳体组装工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298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
KR102308795B1 (ko) 회전자 철심 회전 적층 조립 장치
CN204179846U (zh) 电机定子整形机
JP3762929B1 (ja) パラ巻線方法及びパラ巻線装置
CA2670849C (en) Stator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70003342A (ko) 자석강 공급 장치
JP2011167029A (ja) 組立体の組立装置
CN108429417B (zh) 一种在电机定子绝缘槽内插入绝缘纸的方法
CN106787514B (zh) 一种转子磁钢装配装置
CN205544820U (zh) 一种用于永磁电机总装导向的拆装工装
KR100942754B1 (ko)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CN208467690U (zh) 一种多工位连续上料式轴承压装机
KR101772962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773438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시스템
EP3758202B1 (en) Motor hairpin type conducting bar winding device
KR101092035B1 (ko) 모터 조립 장치
KR101112708B1 (ko) 스테이터의 조립방법 및 그 조립장치
CN210380586U (zh) 一种省线定子绕线工装
KR20160019309A (ko) 전동기 조립 장치
CN110198107B (zh) 一种多工位立式绕线机
KR101815818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6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15817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08004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KR101808003B1 (ko)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