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948B1 -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948B1
KR102382948B1 KR1020210075796A KR20210075796A KR102382948B1 KR 102382948 B1 KR102382948 B1 KR 102382948B1 KR 1020210075796 A KR1020210075796 A KR 1020210075796A KR 20210075796 A KR20210075796 A KR 20210075796A KR 102382948 B1 KR102382948 B1 KR 10238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read
fast
doug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형
Original Assignee
강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관형 filed Critical 강관형
Priority to KR102021007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22Ovens heated by radiators by electric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2Assemblies of several baking-tins or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3Baking-tins; Baking forms for making bread
    • A21B3/134Multiple bread pa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5Accessories, e.g. covers,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8Discharging baked goods from t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실시예는 미리 정해진 외관을 가지는 빵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외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성형부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상기 성형부에 투하되는 반죽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제공부; 상기 성형부의 일측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 속금형; 및 상기 성형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로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제2 속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속금형과 상기 제2 속금형에 의해 상기 빵의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소정의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eomseongdae-shaped bre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첨성대 외관의 형상의 빵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소정의 깊이의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첨성대 고유의 모양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깊이의 홈 공간을 활용하여 특색 있는 먹거리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릉 오징어빵', '삼청동 경복궁빵'과 같이 전국 각지에서 지역명과 지역을 대표하는 아이템의 이름이 붙은 지역 특색 빵이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다. 상기 지역 특색 빵들은 대부분 지역을 대표하는 아이템을 형상화해서 빵 틀로 만들거나, 특산물을 재료로 첨가한 반죽이나 소를 넣어 만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붕어빵 만드는 방법을 응용하여 제조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역 특색 빵은, 빵의 형태나 사용한 재료에 지역의 특색을 입혔다고 해도, 여전히 반죽 안에 앙금만을 충진하는 종래의 붕어빵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겉모습만 차이를 보일 뿐 맛이나 식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빵틀 형태만 갖추면 비교적 쉽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역 특색 빵의 맛을 차별화하고 고급화하려는 노력 없이 단순히 대표 아이템의 외형만을 평면적으로 찍어낸 경우도 다수 찾아볼 수 있다. 그리하여, 붕어빵에 소 이외에도 아이스크림 등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도 1과 같은 붕어빵 성형 장치가 개발되어, 지역 특색 빵에 개성을 추가하고 화려한 외관은 물론 빵과 어울리는 맛까지 사로잡을 수 있게 되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6042호에서 소개된 붕어빵 성형 장치를 간단히 살펴보면, 붕어빵을 성형할 때 기본 형상과 더불어 붕어빵의 입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부의 선단으로 보조성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성형부재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마련된 성형부에 각각 대칭되도록 위치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덮을 경우 상기 보조성형부재가 각 금형에 동일하게 공간을 확보하여 보조성형부재의 크기만큼 붕어빵의 입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성형부재는 힌지부로 결합시킴에 따라 회동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붕어빵이 완성된 후 붕어빵과 일체로 상향 회동시켜 붕어빵을 보조성형부재로부터 빼낸 후 보조성형부재를 다시 원 위치시키기 용이하다.
한편, 종래의 붕어빵 성형 장치는 내부에 넣을 수 있는 재료가 다양해지는 데에 기여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유산지로 빵 하단을 감싸 손으로 잡고 먹어야 하는 길거리 음식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붕어나 붕어 이외의 형상으로 빵을 제조할 때, 형상에 따라 전체 빵의 영역별로 투입되는 반죽의 양이 달라 빵의 영역별로 반죽이 익혀지는 정도가 달라져 식감이나 풍미에 부정적일 수 있다.
즉, 짧은 생산 시간과 단순한 제조 과정으로 자동화 및 규격화가 용이한 붕어빵 제조 과정은 유지하되, 지역 특색 빵의 고급화를 실현시켜 소비자와 판매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만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전체 빵의 영역별로 투입되는 반죽의 양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균일하도록 하여 반죽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6042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이 소정의 깊이로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안정감 있는 첨성대 형상의 빵을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아이스크림 등과 같이 열에 쉽게 변형되는 소를 비롯하여, 속성이 다양한 소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안정감 있는 구조를 갖춘 상기 첨성대 빵과 같은 지역 특색 빵을 쉽게 차별화 및 고급화할 수 있도록 하여 판매자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구조로 인해 반죽이 다량 들어가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반죽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식감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평면적이고 단편적인 형상이 아니라 실제 문화재와 거의 유사한 형상을 띠도록 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얻고자 한다.
실시예는 미리 정해진 외관을 가지는 빵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외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성형부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상기 성형부에 투하되는 반죽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제공부; 상기 성형부의 일측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 속금형; 및 상기 성형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로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제2 속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속금형과 상기 제2 속금형에 의해 상기 빵의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소정의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이 서로 덮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일측면의 소정의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성형부에 의한 성형 공간은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일측면의 소정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성형 공간으로 상기 제2 속금형을 삽입하거나 상기 성형 공간으로부터 인출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빵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측 홈은 상기 제1 속금형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빵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측 홈은 상기 제2 속금형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속금형의 둘레는 상기 제1 속금형의 둘레보다 긴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속금형 및 상기 제2 속금형 각각은 반죽과 접촉하는 대반죽부와 반죽과 접촉하지 않는 비대반죽부로 구성되고, 상기 대반죽부의 둘레의 길이는 상기 비대반죽부의 둘레의 길이보다 작은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대반죽부와 상기 비대반죽부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속금형 각각은 상기 성형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성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적인 너비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속금형 각각의 대반죽부는 상기 대반죽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좌우폭은 상기 성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좌우폭보다 작은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속금형의 비대반죽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속금형의 비대반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속금형홈 및 삽입홈이 상기 상부 금형에 형성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2 항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서 상기 제1 속금형을 하향 회동시켜 하부 금형의 성형부에 상기 제1 속금형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회동시켜 상기 하부 금형에 덮고 상기 금형부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하여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일측면의 소정의 개방된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성형 공간에 반죽을 투입하는 단계;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상기 제2 속금형을 상기 금형부에 삽입하는 단계;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금형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2 속금형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제2 속금형을 상기 성형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상부 금형을 회동시켜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면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금형을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제1 속금형에 끼워진 제조된 빵을 상기 제1 속금형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전술한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서 상기 제1 속금형을 하향 회동시켜 하부 금형의 성형부에 상기 제1 속금형을 삽입하고, 상기 제2 속금형을 상기 성형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의 성형부에 반죽을 투입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속금형의 사이 공간에 상기 반죽과 속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회동시켜 상기 하부 금형에 덮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2 속금형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속금형을 상기 성형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상부 금형을 회동시켜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면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금형을 상향 회동시키고, 제조된 빵을 상기 제1 속금형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성된 첨성대 형상의 빵의 상부면의 소정의 깊이의 홈에 아이스크림, 생크림 등과 같이 열에 쉽게 변경되는 소를 넣을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첨성대 형상의 빵에서 소정의 깊이의 홈을 제외한 부분에는 기존의 붕어빵과 같이 앙금 등의 소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첨성대 형상의 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부 하단에 제2 속금형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제2 속금형이 성형부의 하단 정중앙에 위치한다. 즉, 빵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인 상기 첨성대 형상의 빵 하단의 반죽이 뭉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빵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첨성대와 같이 3D화가 가능한 지역 특색 아이템을 실제와 매우 흡사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특색 빵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반죽이 골고루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이 향상된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성된 상기 첨성대 빵은 구조상 종래의 붕어빵처럼 하단을 유산지 등으로 감싸 손으로 들고 먹어야 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접시 및 용기 등에 제공되어 두 손을 자유로이 사용하는 방법으로도 섭취가 가능해지므로, 음식 판매 가능 장소의 범주를 확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빵의 내부 속까지 반죽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빵 내부에 위치하는 속 등이 빵 외부 표면 상으로 흘러나오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하부 금형(a) 및 상부 금형(b)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 상의 복수의 워킹셋 중 어느 하나의 워킹셋만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하부 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금형이 폐쇄 즉,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이 덮혀 있는 상태에서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속금형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속금형부가 성형부에 완전 삽입된 상태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제조된 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는 제1 속금형의 정면도이고, (b)는 제2 속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서로 덮혀 있는 상태에서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은 제2 속금형와 하부금형을 연결하는 체인이 구비된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제조된 첨성대 형상의 빵에 아이스크림이나 생크림 등이 토핑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반죽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 속금형을 구비한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다양한 상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하부 금형(a) 및 상부 금형(b)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 상의 복수의 워킹셋 중 어느 하나의 워킹셋만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하부 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부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6은 금형이 폐쇄 즉,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이 덮혀 있는 상태에서 장치의 일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속금형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속금형부가 성형부에 완전 삽입된 상태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제조된 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금형부(100)와 워킹셋(111)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금형부(100)는 서로 분할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 각각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사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금형(101)에서 제1 상부면(us1), 제1 하부면(ls1), 서로 마주하는 제1-1 측면(s1-1) 및 제1-2 측면(s1-2) 그리고 제1-1 측면(s1-1) 및 제1-2 측면(s1-2)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3 측면(s1-3) 및 제1-4 측면(s1-4)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금형(102)에서 제2 상부면(us2), 제2 하부면(ls2), 서로 마주하는 제2-1 측면(s2-1) 및 제2-2 측면(s2-2) 그리고 제2-1 측면(s2-1) 및 제2-2 측면(s2-2)과 수직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2-3 측면(s2-3) 및 제2-4 측면(s2-4)을 정의할 수 있다.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은 금형 회동축(m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금형(101)의 제1-1 측면(s1-1) 과 하부 금형(102)의 제2-1 측면(s2-1) 사이의 가상의 금형 회동축(ma)을 중심으로 이들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금형 회동축(ma)을 중심으로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형(101)의 제1-1 측면(s1-1)과 하부 금형(102)의 제2-1 측면(s2-1)은 서로 힌지 구조로 결속되어 서로 힌지 회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 각각의 상부면(us1, us2)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제조되는 빵의 외관이 첨성대 형상이 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문양의 홈으로 이루어진 성형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형(101)에는 제1 성형부(122a)가 형성되고, 하부 금형(102)에는 제2 성형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101)의 상부면(us1)과 하부 금형(102)의 상부면(us2)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인 상부 금형(101)에 하부 금형(102)이 덮혀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성형부(112a, 112b)는 하나의 성형공간(112o)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의 하부면(ls1, ls2) 각각에는 및 성형부(122)에 투하되는 반죽에 열을 가하여 성형부(122)의 형상의 빵을 굽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열제공부(304)가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금형(101) 또는 하부 금형(102)은 열제공부(30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 금형(101) 또는 하부 금형(102)의 하측에는 열의 이동 경로가 되는 복수의 관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의 하부면(ls1, ls2)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2)는 속금형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속금형부(200)는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도 9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첨성대 형상의 빵(500)에 상측 홈(510)과 하측 홈(520)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금형(101) 또는 하부 금형(102)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속금형(201)과, 상부 금형(101) 또는 하부 금형(102)이 만드는 성형 공간으로 소정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속금형(202)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101) 및 하부 금형(102)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120a)에 의해 힌지 회동하는 소정 크기의 제1 속금형(20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힌지(120a)는 상부 금형(101)의 제1 상부면(us1) 중에서 제1-1 측면(s1-1)과 가까운 영역 또는 하부 금형(102)의 제2 상부면(us2) 중에서 제2-1 측면(s2-1)과 가까운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성형부(122)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는 소정 크기의 제2 속금형(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속금형(202)은 상부 금형(101)과 하부 금형(102)이 서로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부 금형(101)의 제1-2 측면(s1-2)과 하부 금형(102)의 제2-2 측면(s2-2)을 향하여 성형 공간(120o)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속금형(202)이 성형 공간(120o) 내로 삽입된 것을 가정하면, 제1 속금형(201)이 힌지 회동하여 제1 속금형(201)의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할 때, 즉 상부 금형(101)과 하부 금형(102)이 서로 커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성형 공간(120o) 상에 위치할 때 제1 속금형(201)과 제2 속금형(202)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성형 공간(120o) 중에서 제1 속금형(201)과 제2 속금형(20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속금형(201)과 제2 속금형(202)의 사이 영역은 속 삽입 공간(120o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속 삽입 공간(120o1)에는 팥 등의 속이 투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반죽과 속이 모두 투입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 각각은 장치(2)에 의해 제조된 빵(500)의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소정의 깊이의 상측 홈(510)과 하측 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속금형(201), 제2 속금형(202), 힌지부(120) 및 성형부(122) 구성을 통틀어 워킹셋(111)으로 일컬을 수 있다. 장치(2)에 마련된 워킹셋(111)은 도면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된 수보다 적을 수도 또는 많을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가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되는 빵은 첨성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첨성대는 하측이 상측보다 큰 둘레를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성형공간(112o) 상의 상측과 하측의 각각의 공간의 크기도 다르고 하측이 더 크다. 따라서,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에 투입되는 반죽이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2 속금형(202)의 둘레의 길이를 제1 속금형(201)의 둘레의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제조되는 빵의 상측과 하측 부위의 두께가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반죽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속금형부(200)가 하부 금형(102) 상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성형부(122)에서 제1 속금형(201)이 위치하는 영역을상단 영역(122u), 상기 제2 속금형(202)이 위치하는 영역을 하단 영역(122d)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속금형(201)과 제2 속금형(202)은 성형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부(12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부(122)의 상단 영역(122u)과 성형부(122)의 하단 영역(122d)의 중간 지점과 그 부근을 중앙 영역(122c)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의 사이 공간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부(12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좌우 폭의 길이를 너비(122w)로 정의할 수 있다. 너비(122w)는 성형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성형부(122)는 제조되는 빵(500)이 외형이 첨성대 형상이 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너비(122w)를 가질 수 있다.
워킹셋(111)의 힌지부(120)는 힌지(120a)와 힌지홈(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120a)는 제1 속금형(201)과 하부 금형(102)을 결부시키기 위해 하부 금형(102)에 설치되어 제1 속금형(201)과 연결될 수 있다. 힌지홈(120b)은 힌지(120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 금형(101)과 하부 금형(102)이 서로 커버된 상태에서 힌지(120a)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금형(101)의 제1 상부면(us1)에 형성될 수 있다.
성형부(122)를 구성하는 다양한 무늬의 홈은 제조할 빵(500)의 외형 무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성형부(122)는 상부 금형(101)과 하부 금형(102) 각각에 모두 형성되나 이들 각각에 형성된 무늬의 홈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장치(2)가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성형부(122)는 상단(122u) 및 하단(122d) 각각에서 중앙 영역(122c)으로 갈수록 너비(122w)가 좁아질 수 있다. 상단(122u)의 최상단영역은 첨성대의 천장돌 형태를 재연하여, 그 너비(122w)가 상단(122u)의 나머지 영역보다 클 수 있다. 성형부 중앙 영역(122c) 근방에는 첨성대의 네모난 문 형태가 재연되어 각인될 수 있다. 성형부(122)의 둘레면은 첨성대의 벽돌을 표현하기 위해 벽돌 무늬가 각인될 수 있다.
제1 속금형(201)과 제2 속금형(202)은 성형부 중앙 영역(122c)을 향해 마주보도록 각각 성형부 상단(122u)과 하단(122d)에 위치할 수 있다. 속금형부(2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속금형(201, 202) 각각의 길이와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이들이 성형부(122) 내에 위치할 때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대향함으로써 중앙 영역(122c) 상에 속삽입공간(120o1)을 형성할 수 있다.
금형부(100)가 개방된 상태 즉, 상부 금형(101)의 제1-1 측면(s1-1)과 하부 금형(102)의 제2-1 측면(s2-1)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이 제1 속금형(201)은 힌지(120a)에 따라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제1 속금형(201)을 회동시켜 제1 속금형(201)의 길이 방향이 하부 금형(102)의 제2 상부면(us2) 즉 지면과 평행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속금형(201)의 회동 범위는 하부 금형(101)의 제2 상부면(us2) 또는 지면과 수평 및 수직한 범위가 될 수 있다. 금형부(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의 반죽에 열을 가하여 반죽이 다 익은 후, 금형부(100)를 개방하고, 제1 속금형(201)을 상향 회동시켜 완성된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용이하게 장치(2)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속금형(201)은 소정 크기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므로 완성된 첨성대 형상의 빵(500)의 상측 홈(5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속금형(201)은 직경과 길이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완성하려는 빵의 형상의 맞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122)의 하단(122d) 영역은 제1-2 측면(s1-2) 및 제2-2 측면(s2-2)을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소정의 크기를 가진 제2 속금형(202)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2 측면(s1-2) 및 제2-2 측면(s2-2) 영역 중 성형부(122)와 연통하는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금형부(1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의 반죽에 열을 가하여 반죽이 다 익은 후 제2 속금형(202)을 삽입했던 방향(지면과 수평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2 속금형(202)을 인출하여 제2 속금형(202)이 성형부(122) 내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완성된 상기 첨성대 형상의 빵(500)에는 하측 홈(520)이 형성되면서 빵(500)의 외형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셋(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 금형(101)에는 힌지홈(120b), 속금형홈(121), 성형부(122),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속금형홈(121)은 제1 속금형(2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속금형(20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좌우 폭은 속금형홈(121)의 좌우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3)은 제2 속금형(20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속금형(20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좌우 폭은 삽입홈(123)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속금형홈(121)과 삽입홈(123)에는 무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반죽은 속금형홈(121)과 삽입홈(123)에는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속금형홈(121) 및 삽입홈(123) 각각의 홈에 의한 자연스러운 단차는 성형부(122)에 투하된 반죽이 속금형홈(121) 및 삽입홈(123) 내부까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속금형홈(121) 및 삽입홈(123)은 속금형부(200)의 형상에 딱 맞도록 아주 근소한 직경 차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제1 속금형의 정면도이고, (b)는 제2 속금형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서로 덮혀 있는 상태에서의 장치의 단면도이다.
속금형부(200)는 대반죽부와 비대반죽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반죽부(210)와 제2 비대반죽부(211)를 구분하기 위하여 성형부(122)에 투입되는 반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 대반죽부(210)와 반죽과 접촉하지 않는 제2 비대반죽부(211)는 서로 소정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속금형(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1 비대반죽부(211)의 좌우폭은 제1 대반죽부(210)의 좌우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대반죽부(210)와 제1 비대반죽부(211)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대반죽부(210)와 제1 비대반죽부(211)는 서로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대반죽부(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비대반죽부(211)에 교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대반죽부(210)의 외형에 따라 도 9에서 도시된 제조되는 빵(500)의 상측 홈(510)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반죽의 종류나 반죽의 농도 등에 따라서 전체 반죽의 균일한 가열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히기 위하여 적절한 사이즈를 가지는 제1 대반죽부(210)를 제1 비대반죽부(2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속금형부(2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죽은 제1 대반죽부(210)의 둘레면과 성형부(122)의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반죽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성형부(122) 및 제1 대반죽부(210)에는 유분기 있는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반면 제1 비대반죽부(211)는 속금형홈(121) 및 삽입홈(123)의 둘레면에 접하게 되므로, 반죽과 직접 맞닿지 않는다. 즉, 제1 비대반죽부(211)는 제1 대반죽부(210)와 같이 직접 반죽을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대반죽부(210)가 성형부(122)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성형부(122) 내부의 반죽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비대반죽부(211)의 둘레면은 삽입홈(330)의 둘레면에 접해 있으므로, 성형부(122) 내에 투입된 반죽이 제1 비대반죽부(211) 측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반죽부(210)는 편심되지 않고 성형부(122)의 상단 영역(122u) 상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하여, 반죽이 전반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게 하여 고르게 익힐 수 있다. 다만, 성형부(122)의 상단 영역(122u) 상에서 제조되는 빵은 성형부(320)의 둘레면 무늬에 따라 부분적으로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속금형(202)은 제2 대반죽부(220) 및 제2 비대반죽부(221)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대반죽부(220) 및 제2 비대반죽부(221) 각각은 전술한 제1 대반죽부(210) 및 제1 비대반죽부(2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속금형부(200)를 장착하고 도 13에서와 같이 성형부(122)에 반죽을 투하한 뒤 속금형부(200) 사이의 공간인 속삽입공간(120o1)에 앙금 등의 속을 투하할 수 있다. 이후 제1 대반죽부(210)에 추가로 반죽을 도포한 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00)를 폐쇄하여 반죽을 구우면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대반죽부(210, 220) 및 성형부(122)에 반죽이 고르게 퍼지게 하기 위하여 금형부(100)의 기울기는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00)를 폐쇄하게 되면 속금형부(200)에서 제1 및 제2 대반죽부(210, 220)의 둘레에 해당하는 모든 부분이 반죽과 맞닿게될 수 있다. 반죽은 상부 금형(101)의 성형부(122)까지 도포되도록 적당량을 투하해야 한다.
반죽이 완전히 구워지면,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장치(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속금형(202)을 금형부(100)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속금형(202)을 성형부(122) 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20a)를 이용하여 제1 속금형(201)을 상향 회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속금형(201)의 제1 대반죽부(210)에 첨성대 형상의 빵(500)이 걸쳐져 함께 들어올려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속금형(2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장치(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손잡이(212)는 제2 속금형(202)의 비대반죽부(211) 하단에 구비되지만, 생략되거나 그 형태가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8은 제2 속금형와 하부금형을 연결하는 체인이 구비된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부금형(102)과 제2 속금형(202)은 체인(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체인(7)은 제2 속금형(202)의 상부면과 하부금형(102)의 제2-2 측면(s2-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속금형(202)의 상부면의 중심 영역에는 손잡이(2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속금형(202)을 하부금형(10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하면 체인(7)의 길이의 제한에 따른 제2 속금형(202)의 인출의 제한과 제2 속금형(202)의 소정의 영역이 하부금형(102)에 걸쳐지면서 제2 속금형(202)이 소정의 거리만큼 인출되고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의 제2 속금형(202)이 인출된 소정의 거리는 제2 속금형(202)의 대반죽부(210)가 성형부(122)로부터 이탈하면서도 제2 속금형(202)이 하부금형(102)에 걸쳐질 수 있을 정도의 거리이다.
상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제2 속금형(202)을 안정감 있게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성된 빵을 장치(2)에서 분리할 때 제2 속금형(202)과 하부금형(102) 상에 걸쳐짐에 따라, 첨성대 형상의 빵(500)을 제조하는 자는 제2 속금형(202)을 들고 있지 않아도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제2 속금형(202)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게 되어 제2 속금형(202)이 이물질에 접촉하는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제조된 첨성대 형상의 빵에 아이스크림이나 생크림 등이 토핑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9에 도시된 첨성대 형상의 빵(500)에는 제1 속금형(201)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상측 홈(510)이 형성된다. 상측 홈 (510)에는 아이스크림, 생크림 등 빵 내부에 첨가하기 어려운 재료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첨성대 형상의 빵(500)에는 상기 제2 속금형(202)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하측 홈(520)이 형성된다. 하측 홈 (520)에는 초콜릿, 과자, 과일 등의 음식을 넣어서 빵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첨성대 형상의 빵(500)에서 상측 홈(510)과 하측 홈(520)을 제외한 부분에는 반죽이 채워지며 그 위에 앙금 및 소를 첨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빵은 그것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세 가지 유형 이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게 만족되는 빵을 서비스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302)는 장치(2)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여백을 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지지부(302)는 형태, 개수, 위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장치(2)가 빌트인 형식으로 제작될 경우 지지부(302)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제공부(304)는 금형부(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열제공부(304)는 전류로 발열되는 열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부(122)의 표면은 종래 붕어빵의 성형 홈보다 훨씬 정교하기 때문에, 직화보다 전류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경우 가열 효과가 탁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열제공부(304)를 열선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열제공부(304)의 구조는 성형부(122)에 열을 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열제공부(304)의 열에 의해 성형부(122)에 투입된 반죽은 구워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열제공부(304)는 대반죽영역(210)의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속금형부(200)의 내부로부터 열이 발생함에 따라 반죽의 속 부위까지 골고루 익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금형(101)의 일 측면에는 핸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핸들은 상부금형(101)을 열고 닫기 용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장치(2)의 개폐가 자동화 방식인 경우, 핸들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반죽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 속금형을 구비한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대반죽부(2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2 속금형(202)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속금형(202)에 마련된 손잡이(21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대반죽부(210)는 비대반죽부(211) 측으로 이동하여 손잡이(212)의 회전 수에 비례하여 비대반죽부(2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1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대반죽부(210)는 원 위치를 향하여 비대반죽부(21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대반죽부(210)의 이동에 따라 속삽입공간(120o1)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속삽입공간(120o1)의 크기의 조절에 따라 제조된 빵(500)의 상측 홈(510)과 하측 홈(520)의 사이의 영역인 층 영역(530)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속삽입공간(120o1)에 투입되는 속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투입되는 속이 많은 경우 대반죽부(210)를 이동시켜 속삽입공간(120o1)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속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제조된 빵(500)의 표면으로부터 속이 배출될 수도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투입되는 속의 양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며 상측 홈(510)에 투입되는 추가적인 식재료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서 안정적인 식재료의 수납 등의 측면에서 층 영역(530)을 보다 두껍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의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 내지 도 27은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다양한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입력 및 표시 장치가 마련된 지지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2)에 마련되는 입력 및 표시 장치는 물리적인 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및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30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의 구성 중 가장 아래측에 위치하여 지면 상에 장치(2)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302)는 상부 및 하부 금형(101, 102) 각각에 설치된 열제공부(3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02)는 열제공부(304)에 인가되는 열을 제어하여 열제공부(304)의 발열온도,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열제공부(304)에 열의 인가 및 인가되는 열량, 시간 등을 조절하는 독립된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금형부(100)가 지면과 수평한 경우 반죽이 제2 속금형(202)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형부(10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금형부(100)를 지지하는 금형 거치대(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형 거치대(303)는 지지부(302)의 상부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금형부(100)와 마주하는 면이 소정의 경사면을 가져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금형부(100)가 경사면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소정의 각도는 75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금형 거치대(303)를 사용함으로써 지면과 가까운 성형부(122)에만 반죽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성형부 전반에 반죽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금형부(100)의 성형 공간(120o)이 상측을 향하도록 금형부(10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제2 속금형(202) 밖으로 반죽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는 반죽 내부를 골고루 익히기 위한 속금형 예열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속금형 예열부(305)는 제2 속금형(202)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된 빵(500)의 하측 홈(520)을 생성하고 하측 홈(520)에 대응하는 반죽, 즉 빵(500)의 내부를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제2 속금형(202)을 가열하여 제2 속금형(202)을 예열 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속금형 예열부(305)는 제2 속금형(202)의 대반죽부 부위만을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예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속금형 예열부(305)는 내부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속금형 예열부(305)는 제2 속금형(202)을 꽂아 넣을 수 있는 구조이므로 거치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속금형 예열부(305)의 외관은 상술한 금형 거치대(303)와 유사한 형태로, 금형 거치대(303)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00)가 금형 거치대(303) 및 속금형 예열부(30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속금형 예열부(305)에서 금형부(100)와 마주하는 일측면은 소정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금형부(100)가 속금형 예열부(305) 측으로 회전하여 속금형 예열부(305)의 소정의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금형부(100)는 속금형 예열부(305)의 경사면과 금형 거치대(303)의 소정의 경사면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즉, 금형부(100)의 회동 범위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제한되므로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2)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인 상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서와 같이 금형이 열린 상태에서 제1 속금형(201)을 성형 공간(120o)으로 힌지 회동하여 장착한 상태로, 도 25에서와 같이 금형 거치대(303) 쪽으로 금형부(100)가 거치되도록 금형을 닫은 후,반죽을 넣는다. 이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금형 예열부(305)에서 예열된 제2 속금형(202)을 삽입하고,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306)로 제2 속금형(202)을 고정한 후에 반죽을 가열하여 정상적인 형태의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306)란, 금형이 닫혔을 때 제1-2 측면(s1-2)과 제2-2 측면(s2-2)이 이루는 평평한 면에 덧대어 제2 속금형(20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부품일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06)로, 성형부(122)에 투하된 반죽이 다량이거나 혹은 익어가는 과정에서 팽창하는 경우, 반죽이 외부로 새면서 제2 속금형(202)을 밀어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를 제외한 가이드 플레이트(306)의 중심부에 제2 속금형(202)의 개수만큼 형성된 홀(hole)은 삽입홈(123)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도 27에서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06)를 장착하게 되면 제2 속금형(202)이 성형부(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306)를 도 27에 도시된 상태처럼 고정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고정 장치가 구비되거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306)의 재질, 크기, 모양 등은 도시 및 서술된 바와 다를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부(100)가 지면과 수평하게 열린 상태이므로 반죽 및 속이 차례대로 투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금형부(100)는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닫힌 상태에서 반죽을 일정량 투하한 후, 속을 투하하고 다시 반죽을 투하하게 되는데 최초 투하되는 반죽량이 적정량 아니라면 제조된 빵(500)의 상측홈(510)이나 하측홈(520)의 표면 가까이 속이 존재함으로써 빵(500)의 외부면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있다. 실시예는, 반죽 투입, 속 투입 그리고 다시 반죽 투입이라는 과정을 보다 단순화하고 속을 투입 전의 반죽의 적정량에 대한 큰 주의를 기울일 필요 없이 빵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량의 반죽을 모두 투입한 후 속을 마지막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8 내지 도 30에서와 같이 속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제2 속금형(202)을 관통하는 속금형 홀(202h)이 형성될 수 있다. 속금형 홀(202h)은 제2 속금형(202)에서 제2 속금형(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속금형 홀(202h)에, 제2 속금형(202)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212)를 응용한 속 주입기(202b)를 도 28 및 2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어 성형 공간(120o) 내부로 삽입하여 도 30에서와 같이 속 주입기(202b)를 통해 속을 속 삽입공간(120o1)에 주입할 수 있다. 이 때 속 주입기(202b)는 속금형 홀(202h)과 마찬가지로 제2 속금형(202)의 길이 방향을 따르며, 속금형 홀(202h)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는 빵(500)의 상측홈(510)과 하측홈(520)의 가운데 영역(속 삽입공간(120o1))에 속이 위치하도록 하여 제조된 빵(500)의 상측홈(510)이나 하측홈(520)의 외부표면으로 속이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을 제조하는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대로 속금형 홀(202h)에 삽입했던 속 주입기(202b)를 사용하고 나서도, 성형부(122)에 투하된 반죽은 여전히 속금형 홀(202h)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익어가는 과정에서 팽창한 반죽이 속금형 홀(202h)로 튀어나올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측 홈(520)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정상적인 부분을 제거할 시 속 삽입공간(120o1)에 주입된 속이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속금형 캡(202c)을 이용하여 속금형 홀(202h)을 막을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속금형 캡(202c)은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속금형 캡(202c)은 속금형 홀(202h)을 막는 용도이므로 투하된 반죽이나 소가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속금형 홀(202h)에 딱 맞도록 아주 근소한 직경 차이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미리 정해진 외관을 가지는 빵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외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성형부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포함한 금형부;
    상기 성형부에 투하되는 반죽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제공부;
    상기 성형부의 일측 개방 영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 속금형;
    상기 성형부의 타측 개방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부로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제2 대반죽부와 제2 비대반죽부로 구성된 제2 속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제2 속금형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속금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 비대반죽부의 폭은 상기 제2 대반죽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속금형의 제2 대반죽부는 상기 제2 속금형에 체결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비대반죽부 내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성형부의 성형 공간을 조절하고,
    상기 제1 속금형과 상기 제2 속금형에 의해 상기 빵의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 소정의 깊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성형부에 의한 성형 공간은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성형부의 타측 개방 영역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제2 속금형은 상기 체인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상기 체인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인출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빵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측 홈은 상기 제1 속금형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빵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측 홈은 상기 제2 속금형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속금형의 둘레는 상기 제1 속금형의 둘레보다 긴
    빵을 제조하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금형은 제1 대반죽부와 제1 비대반죽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속금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1 비대반죽부의 폭은 상기 제1 대반죽부의 폭보다 큰
    빵을 제조하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금형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대반죽부와 상기 제1 비대반죽부, 상기 제2 속금형을 구성하는 상기 제2 대반죽부와 상기 제2 비대반죽부는 각각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속금형에는 상기 제2 속금형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속금형이 상기 성형부 내에 삽입 전에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제2 속금형을 가열하는 속금형 예열부를 더 포함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
  9. 삭제
  10. 미리 정해진 외관을 가지는 빵을 성형하기 위해 상기 외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성형부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포함한 금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투하되는 반죽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제공부와, 상기 성형부의 일측 개방 영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제1 속금형과, 상기 성형부의 타측 개방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성형부로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제2 대반죽부와 제2 비대반죽부로 구성된 제2 속금형과,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제2 속금형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한 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속금형은 상기 제2 대반죽부와 제2 비대반죽부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속금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 비대반죽부의 폭은 상기 제2 대반죽부의 폭보다 크며,
    상기 빵을 제조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속금형은 제1 대반죽부와 제1 비대반죽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금형의 일측에 상기 제1 속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내려 상기 하부 금형을 맞닿도록 한 후, 상기 성형부의 타측 개방 영역에 반죽을 투하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의 타측 개방 영역에 상기 제2 속금형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속금형의 홀에 속 주입기를 삽입하고 상기 성형부의 성형 공간에 속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속 주입기를 상기 제2 속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제2 속금형의 홀을 속금형 캡을 이용하여 막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2 속금형을 상기 성형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상부 금형을 회동시켜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면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속금형을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제1 속금형에 끼워진 제조된 빵을 상기 제1 속금형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075796A 2021-06-11 2021-06-11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KR10238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96A KR102382948B1 (ko) 2021-06-11 2021-06-11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96A KR102382948B1 (ko) 2021-06-11 2021-06-11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48B1 true KR102382948B1 (ko) 2022-04-04

Family

ID=8118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96A KR102382948B1 (ko) 2021-06-11 2021-06-11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60A (ja) * 1993-07-08 1995-01-27 Sanrei:Kk 流動性生地食品の成形型及びその装置
KR20150114743A (ko) * 2014-04-02 2015-10-13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101570020B1 (ko) * 2015-02-11 2015-11-27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101576042B1 (ko) 2014-03-14 2015-12-10 주식회사 스마일에프씨 붕어빵 성형 장치
KR20160112042A (ko) * 2015-03-17 2016-09-28 박광희 전기식 제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60A (ja) * 1993-07-08 1995-01-27 Sanrei:Kk 流動性生地食品の成形型及びその装置
KR101576042B1 (ko) 2014-03-14 2015-12-10 주식회사 스마일에프씨 붕어빵 성형 장치
KR20150114743A (ko) * 2014-04-02 2015-10-13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101570020B1 (ko) * 2015-02-11 2015-11-27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20160112042A (ko) * 2015-03-17 2016-09-28 박광희 전기식 제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784A (en) Sandwich-making apparatus
US9554670B2 (en) Waffle-iron type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forming rounded bun shaped waffles
US20210274792A1 (en) Flexible, interlocking, baking mold assembly with aperture that bakes comestibles in complex shapes and peels apart at the interlocking seal afterwards
US20080105137A1 (en) Removable mold for a grill
US1947124A (en) Insert for waffle iron
US2016000779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waffle sandwich press
US2010029127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ally making large quantities of pre-cooked eggs having a natural appearance
US6990893B2 (en) Breakfast griddle
US6813994B2 (en) Multi-compartmented griddle iron
WO2015137582A1 (ko) 붕어빵 성형 장치
KR102382948B1 (ko)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KR20100031304A (ko) 와플성형틀
US5596922A (en) Apparatus for cooking a food product
US20140087041A1 (en) Flat Bread Dinner Ware Serving Apparatus for serving flatbreads, including features to form, fill, fold and wrap flatbreads, tortillas, burritos, wraps and pastry sheets in a uniquely novel controlled fashion
US6329007B1 (en) Flat bread grill
KR101947436B1 (ko) 주먹밥 제조장치
US11337429B2 (en) Pancake cooking device
FR2606972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cornets patissiers
KR200380140Y1 (ko) 샌드위치 제빵기
WO2015174587A1 (ko) 첨가물을 포함하는 붕어빵
KR20150002820U (ko) 형틀 구이 과자
KR102041598B1 (ko) 대나무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CN112384069A (zh) 食品面坯烘烤装置及食品面坯烘烤方法
RU280501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фель с начинкой посредством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фель с начинкой
KR200300818Y1 (ko) 전병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