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743A -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743A
KR20150114743A KR1020140039317A KR20140039317A KR20150114743A KR 20150114743 A KR20150114743 A KR 20150114743A KR 1020140039317 A KR1020140039317 A KR 1020140039317A KR 20140039317 A KR20140039317 A KR 20140039317A KR 20150114743 A KR20150114743 A KR 2015011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space forming
molding
frame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연
Original Assignee
최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연 filed Critical 최진연
Priority to KR102014003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743A/ko
Publication of KR2015011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23Hinged moulds for baking waff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A21B5/026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for baking waffle cups or co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접하는 면에 성형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틀을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형성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상기 모든 부분 사이에만 반죽이 채워진다.

Description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Fabrication apparatus for b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re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붕어빵, 잉어빵, 국화빵 등은 틀에 밀가루 등으로 만든 반죽을 붓고 굽는다. 그리고 빵 맛을 높이기 위하여 반죽을 틀에 붓고, 반죽 위에 밭, 밤, 고구마, 크림 등의 소를 올린다. 이후, 틀에 열을 가하면 반죽은 구워지고, 소는 구워진 빵 속에 위치하게 된다.
반죽과 소를 틀에 함께 넣고 굽는 관계로 아이스크림, 과자 등과 같이 열에 쉽게 변형되는 소를 넣을 수 없었다. 또한, 소를 빵 굽는 자가 넣는 관계로 취식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소를 만들어 넣을 수 없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4151호 (2009.12.03) 등록특허공보 제10-0818391호 (2008.03.25)
본 발명은 성형 후 소를 넣을 수 있는 빵을 만드는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취식자가 취향대로 소를 직접 넣을 수 있는 빵을 만드는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는 서로 접하는 면에 성형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틀을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형성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상기 모든 부분 사이에만 반죽이 채워진다.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홀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만 상기 제1, 2 틀의 내부면과 접하는 몸체 및 일측이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2 틀 사이에서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와 상기 고정대의 타측을 연결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제1, 2 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의 타측 또는 상기 지지대가 힌지 연결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틀 사이에는 상기 성형홀과 연결되어 있고, 통과하는 상기 고정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방법은 성형홀이 각각 형성된 제1, 2 틀을 펼치는 단계, 상기 제1 틀에 공간 형성부를 놓아 제1 틀의 성형홀에 몸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틀의 성형홀에 반죽을 붓는 단계, 상기 제1, 2 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2 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반죽을 굽는 단계, 상기 제1, 2 틀을 펼치는 단계, 상기 제1 틀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공간 형성부의 몸체에서 구워진 반죽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만 상기 제1, 2 틀의 내부면에 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죽이 채워지는 성형홀 일부를 공간 형성부의 몸체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반죽은 몸체의 일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구워지게 된다. 구워진 반죽을 몸체에서 분리하면 적어도 일부분이 몸체의 일측 직경만큼 개방된 빵이 완성된다. 이에 빵은 소를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될 수 있다. 이후,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소를 빵에 담을 수 있다. 이에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소에 의해 빵에 대한 새로운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빵의 개방부분이 몸체의 일측 직경에 비례하므로 넓게 형성되어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소를 수북하게 쌓아 취식할 수 있다. 따라서 빵과 소의 판매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성형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가 성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을 따라 빵 제조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빵 제조장치로 성형된 빵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의 몸체가 성형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의 몸체가 성형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성형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가 성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을 따라 빵 제조장치를 자른 단면도(제1, 2 틀 및 공간 형성부만 도시 하였음)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1)는 본체부(10), 성형부(30) 및 공간 형성부(50)를 포함하며, 반죽을 구워 일측이 개방된 빵을 성형한다.
성형부(30)는 제1 틀(31) 및 제2 틀(32)을 포함하며 본체부(10)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1, 2 틀(31, 32)에는 각각 발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발열장치는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일 수 있다. 본체부(10)의 일측면에는 발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발열장치의 작동시간, 온도, 온/오프(on/off) 등을 입력하는 조작부(2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2 틀(31, 32)은 힌지(33)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2 틀(31, 32)은 힌지(33)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제1, 2 틀(31, 32)은 본체부(10) 위에 펼쳐진 형태로 배치되거나, 제2 틀(32)이 제1 틀(31)을 덮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틀(31)이 제2 틀(32)을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2 틀(31, 32)에는 각각 손잡이(31a, 3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2 틀(31, 32)이 결합될 때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성형홀(311, 322)과 성형홀(311, 322)을 외부로 연통시킨 고정홀(312, 3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홀(312, 322)은 제1, 2 틀(31, 32)의 내측에서 일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성형홀(311, 322)은 붕어, 잉어와 같은 생선, 동물, 꽃, 과일, 곡물 등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성형홀(311, 322)은 제1, 2 홀(311a, 321a), (311b, 321b)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홀(311a, 321a)은 고정홀(312, 322)과 연결되어 있고, 제2 홀(311b, 321b)은 제1 홀(311a, 321a)과 연결되어 있고 반죽이 채워질 수 있다.
제2 틀(32)이 제1 틀(31)을 덮으면 제1, 2 틀(31, 32)의 성형홀(311, 322)이 연결되어 하나의 완전한 성형공간(40)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성형홀(311, 322)과 고정홀(312, 322)이 제1, 2 틀(31, 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성형홀(311, 322)과 고정홀(312, 322)은 제1, 2 틀(31, 32)에 각각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성형홀(311, 322)과 고정홀(312, 322)의 숫자는 제1, 2 틀(31, 3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간 형성부(50)는 몸체(51), 고정대(52) 및 지지대(53)를 포함하며, 성형되는 빵의 일부분을 개방시키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간 형성부(50)는 제1, 2 틀(31, 3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 형성부(50)가 제1 틀(31)에 놓이는 것으로 설명한다.
몸체(5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은 성형홀(311)에 위치하고, 상측은 성형홀(311)을 벗어나 있다. 이때 몸체(51)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틀(31)의 내부면에 접하고,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제1 틀(31)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다. 즉, 몸체(51)의 일측은 제1 홀(311a)에 위치하여 제1 틀(31)의 내부면에 접한다. 몸체(51)의 타측은 제2 홀(411b)에 위치하여 그 외부면이 제1 틀(31) 내부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2 홀(311b)에 붓는 반죽은 몸체(51) 외부면과 제1 틀(31)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1, 2 틀(31, 32)을 결합하게 되면 몸체(51)의 상측은 제2 틀(32)의 성형홀(312)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1 홀(312a)은 몸체(51)의 일측에 접하며, 제2 홀(312b)은 몸체(51)의 타측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고정대(52)는 고정홀(312)에 놓여 있으며 일측은 몸체(5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성형부(3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고정대(52)는 제1, 2 틀(31, 32)이 결합될 때 눌려 고정된다. 고정대(52)의 고정으로 몸체(51)의 타측은 성형홀(311)에서 제1 틀(31)의 내부면과 접하지 않고 공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53)는 제1 부재(531) 및 제2 부재(532)를 포함하며, 몸체(51)와 고정대(52)가 제1, 2 틀(31, 32) 사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재(531)는 성형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대(52)의 타측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몸체(51)와 고정대(52)가 복수로 형성되면 고정대(52)는 제1 부재(531)에 간격을 두고 연결된다.
제2 부재(532)는 제1, 2 틀(31, 32)이 펼쳐진 상태에서 몸체(51)와 고정대(52)가 성형홈(311)과 고정홈(312)에 위치할 때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51)와 고정대(52)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 부재(532)의 일측은 제1 부재(53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1, 2 틀(31, 32) 사이에 눌려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532)의 길이는 몸체(51)와 고정대(52)를 합한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고정대(52)가 제1, 2 틀(31, 32)에 접하는 면적보다 제2 부재(532)가 제1, 2 틀(31, 32)에 접하는 면적이 넓다. 제2 부재(532)의 지지로 몸체(51)와 고정대(52)는 제1 틀(31)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제2 부재(532)에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대(53)는 생략될 수 있다. 지지대(53)가 생략된 경우 손잡이는 고정대(5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틀(31, 32)에는 제2 부재(532)가 위치하는 지지홀(313, 323)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빵 제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성형부(30)의 제1, 2 틀(31, 32)을 펼친 상태에서 제1 틀(31) 또는 제2 틀(32)에 공간 형성부(50)를 배치한다. 이하, 공간 형성부(50)가 제1 틀(31)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공간 형성부(50)의 고정대(52)와 지지대(53)는 고정홀(312)과 지지홀(313)에 각각 위치하며, 몸체(51)는 성형홀(311)에 위치한다. 몸체(51)의 하측만 성형홀(311)에 위치하고 상측은 제1 틀(31)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몸체(51)의 일측은 성형홀(311)의 제1 홀(311a)에 위치하여 제1 틀(31)의 내부면에 접하며, 타측은 제2 홀(311b)에 위치하여 제1 틀(31)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다.
공간 형성부(50)가 제1 틀(31)에 배치되면, 성형홀(311)에 반죽을 붓는다. 몸체(51)의 일측이 제1 틀(31) 내부면에 접하므로 반죽은 제1 홀(311a)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2 홀(321b)에서 몸체(51) 타측과 제1 틀(31) 내부면 사이에 채워진다. 이에 반죽은 몸체(51)의 타측에만 접하게 된다.
제2 틀(32)을 힌지(33)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틀(31)을 덮는다. 제2 틀(32)의 성형홀(321)은 제1 틀(31)의 성형홀(311)가 연결되면서 몸체(51)의 상측을 덮는다. 성형홀(312)의 제1 홀(312a)은 몸체(51)의 일측에 접하며, 제2 홀(321b)은 몸체(51)의 타측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발열장치를 이용하여 제1, 2 틀(31, 32)에 열을 가하면 반죽은 구워지면서 제2 틀(32)의 제2 홀(321b)을 채우게 된다. 이에 구워지는 반죽은 제2 홀(311b, 321b)몸체(51)의 타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상태가 된다.
이후, 제2 틀(32)을 펼치면, 제2 틀(32)은 구워져 몸체(51)를 감싸고 있는 반죽에서 분리되며, 손잡이를 잡고 공간 형성부(50)를 제1 틀(31)에서 분리하면 구워진 반죽은 몸체(51)를 따라 제1 틀(31)에서 분리된다.
몸체(51)를 감싸고 있는 구워진 반죽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당기면, 구워진 반죽은 몸체(51)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몸체(51)가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구워진 반죽을 몸체(51)에서 분리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빵(100)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빵(100)은 소를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될 수 있다. 빵(100)은 이후, 취식자의 취향에 따라 개방부분(101)을 통하여 빵(100) 내부로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소를 담을 수 있다. 개방부분(101)이 몸체(51)의 일측 직경과 비례하므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아이스크림과 같은 소를 수북하게 쌓아 취식할 수 있어 빵과 소의 판매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빵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A부분 확대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의 몸체가 성형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2)는 본체부(10), 성형부(30) 및 공간 형성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 성형부(30) 및 공간 형성부(5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본체부, 성형부 및 공간 형성부 구성을 그대로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 형성부(50)는 레버부(54) 및 링크(5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부재(531)에 손잡이(58)이가 형성되어 있으나, 손잡이(58)는 생략될 수 있다.
레버부(54)는 브래킷(541) 및 레버(542)를 포함하며, 몸체(51)가 성형홈(311)을 벗어나도록 하거나 위치하도록 한다.
브래킷(541)은 제1 틀(31)의 일면과 연결된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일면에 결합되어 있고, 레버(542)의 상측(542a)이 힌지(543) 연결되어 있다. 레버(542)는 힌지(543)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링크(55)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레버(542)와 제1 부재(531)를 연결한다. 링크(55)의 일단(55a)은 힌지(432)로부터 떨어져 힌지(432) 보다 레버(542) 하측(542b)에 가깝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55)의 타단(55b)은 고리 형태로 제1 부재(531)에 걸려 있으며, 제1 부재(531)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링크(55)의 타단(55b)은 손잡이(58) 또는 고정대(52)에 연결할 수 있다.
링크(55)가 제1 부재(531)를 잡고 있으므로 제2 부재(532)는 생략될 수 있다.
레버(542)의 하측(542b)이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일면과 수직하고 힌지(543)를 지나는 가상의 선(56)보다 위에 위치하면 링크(55)의 타측(55b)은 제1 부재(531)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몸체(51)의 중량에 의해 몸체(51), 고정대(52) 및 지지대(53)는 제1 틀(31)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몸체(51)는 성형홀(311)에, 고정대(52)는 고정홀(312)에, 지지대(53)의 제2 부재(532)는 지지홀(313)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 레버(542)의 하측(542b)이 가상의 선(56)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링크(55)의 타측은 제2 부재(532)를 당기는 상태가 되어 몸체(51), 고정대(52), 그리고 지지대(53)는 몸체(51)가 제1 틀(31)에 접한 부분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몸체(51)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 성형홀(311)에서 벗어나면서 일측이 제1 틀(31)에 걸친 상태가 된다.
레버(542)의 조작으로 몸체(51)가 성형홀(311)에서 벗어나거나 위치하고, 몸체(51)가 성형홀(311)을 벗어날 때 몸체(51)의 일측이 제1 틀(31)에 걸쳐지므로 몸체(51)는 제1 틀(31)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몸체(51)를 성형부(30)에서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으므로 구워진 반죽을 몸체(51)에서 분리할 때 공간 형성부(50)를 들고 있지 않아 분리 작업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빵 제조장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공간 형성부의 몸체가 성형홀에서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빵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빵 제조장치(3)는 본체부(10), 성형부(30) 및 공간 형성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 성형부(30) 및 공간 형성부(5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본체부, 성형부 및 공간 형성부 구성을 그대로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공간 형성부(50)는 거치대(57)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부재(531)에는 손잡이(58)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57)는 제1 틀(31)의 일면과 연결된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일면에 스페이서(57b)로 연결되어 있다. 스페이서(57b)에 의해 거치대(57)는 본체부(10) 및 제1 틀(31)의 일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스페이서(57b)의 길이는 성형부(30)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대(5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거치대(57)의 상측에는 제1 부재(531)가 힌지(571)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51)와 고정대(52)가 하나일 경우 고정대(52)가 힌지(571) 직접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부재(531)가 거치대(57)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부재(532)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몸체(51) 및 고정대(52)는 힌지(57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거치대(57)의 상측에는 몸체(51) 및 고정대(52)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받침대(57a)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51) 및 고정대(52)가 회전될 때 손잡이(58)와 받침대(57a)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손잡이(58)와 이웃한 받침대(57a) 부분에는 절개홀(5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531)의 회전으로 몸체(51)와 고정대(52)는 제1 틀(31)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몸체(51)가 성형홀(311)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재(531)가 힌지(57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손잡이(58)가 절개홀(572)에 위치하면 몸체(51)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홀(311)에서 벗어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52)는 받침대(57a)에 걸친 상태가 된다.
구워진 반죽을 몸체(51)에서 분리할 손잡이(58)를 당기면 몸체(51)는 힌지(57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성형홀(311)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53)가 받침대(57a)에 거치되면 공간 형성부(50)는 성형부(30)에서 벗어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공간 형성부(5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세워진 공간 형성부(50)에서 구워진 반죽을 분리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빵 제조장치 10: 본체부
20: 조작부 30: 성형부
31: 제1 틀 32: 제2 틀
311, 321: 성형홀 311a, 321a: 제1 홀
311b, 321b: 제2 홀 312, 322: 고정홀
313, 323: 지지홀 33, 543, 571: 힌지
40: 성형공간 50: 공간 형성부
51: 몸체 52: 고정대
53: 지지대 531: 제1 부재
532: 제2 부재 54: 레버부
541: 브래킷 542: 레버
55: 링크 56: 가상의 선
542a: 레버 상측 542b: 레버 하측
57: 거치대 57a: 받침대
572: 절개홀 31a. 31b, 58: 손잡이

Claims (7)

  1. 서로 접하는 면에 성형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틀을 포함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형성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틀의 내부면과 상기 모든 부분 사이에만 반죽이 채워지는
    빵 제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홀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만 상기 제1, 2 틀의 내부면과 접하는 몸체 및
    일측이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2 틀 사이에서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고정대
    를 포함하는
    빵 제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와 상기 고정대의 타측을 연결하는 링크
    를 더 포함하는
    빵 제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제1, 2 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빵 제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는, 상기 성형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의 타측 또는 상기 지지대가 힌지 연결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빵 제조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제1, 2 틀 사이에는 상기 성형홀과 연결되어 있고, 통과하는 상기 고정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빵 제조장치.
  7. 성형홀이 각각 형성된 제1, 2 틀을 펼치는 단계,
    상기 제1 틀에 공간 형성부를 놓아 제1 틀의 성형홀에 몸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틀의 성형홀에 반죽을 붓는 단계,
    상기 제1, 2 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2 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반죽을 굽는 단계,
    상기 제1, 2 틀을 펼치는 단계,
    상기 제1 틀에서 상기 공간 형성부를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공간 형성부의 몸체에서 구워진 반죽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만 상기 제1, 2 틀의 내부면에 접하는
    빵 제조방법.
KR1020140039317A 2014-04-02 2014-04-02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20150114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17A KR20150114743A (ko) 2014-04-02 2014-04-02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317A KR20150114743A (ko) 2014-04-02 2014-04-02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43A true KR20150114743A (ko) 2015-10-13

Family

ID=5434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317A KR20150114743A (ko) 2014-04-02 2014-04-02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7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684B1 (ko) * 2019-09-03 2020-09-08 (주)에스와이인터네셔날 간이식 빵 조리장치
KR102382948B1 (ko) * 2021-06-11 2022-04-04 강관형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684B1 (ko) * 2019-09-03 2020-09-08 (주)에스와이인터네셔날 간이식 빵 조리장치
KR102382948B1 (ko) * 2021-06-11 2022-04-04 강관형 빵을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첨성대 형상의 빵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492A (en) Multiple vertical baker for waffles and pancakes
KR101576042B1 (ko) 붕어빵 성형 장치
US11844354B2 (en) Thermal mold for making edible container for food products
KR20150114743A (ko)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US20070283821A1 (en) Waffle maker and method of making filled waffles using the same
US20210007365A1 (en) Ed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and thermal mold
JP2014528731A (ja) 食品製品の成形調理装置、食品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食品製品
KR20100031304A (ko) 와플성형틀
US20080178746A1 (en) Waffle Iron Enabling a Top Baking Sub-Assembly to be Better Filled
EP3202292B1 (en) Grilling apparatus having a containing recess for receiving a feeding seat when idling
US20110252978A1 (en) Assembly for cooking elongated food products
KR101570020B1 (ko)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20080005177U (ko) 호두과자제빵기
US10687665B1 (en) Stuffed waffle maker
US3308269A (en) Corn-on-the-cob butterers
MXPA05000683A (es) Waffles con forma de flor y montaje para coccion.
KR101747149B1 (ko) 전기식 제빵장치
US1674033A (en) Machine for forming and baking pastry shells
US1882363A (en) Confection baking device
JP3178704U (ja) 鯛焼き皮焼き装置
JP4187221B2 (ja) 型焼き菓子製造装置
ITFI20100130A1 (it) Macchina modulare per la preparazione di cialde e coni per gelato.
WO2015174587A1 (ko) 첨가물을 포함하는 붕어빵
JP6028209B1 (ja) ケーキを焼成する際に使用する焼き型具とその製造方法
KR200380140Y1 (ko) 샌드위치 제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