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877B1 -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877B1
KR102382877B1 KR1020200052248A KR20200052248A KR102382877B1 KR 102382877 B1 KR102382877 B1 KR 102382877B1 KR 1020200052248 A KR1020200052248 A KR 1020200052248A KR 20200052248 A KR20200052248 A KR 20200052248A KR 102382877 B1 KR102382877 B1 KR 10238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oupled
rod
ring
origi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527A (ko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102020005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8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줄 상에서 부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바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상관없이 항상 만족할 만한 조과를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밑걸림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없이 안정적인 낚시를 할 수 있으며, 결합안내부의 부력제를 하향으로 내린 후 원줄을 상부고리에 결합하고 봉돌 결합시 안내관을 상향으로 올린 후 하부고리에 봉돌을 결합하므로 원줄과 봉돌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줄의 손상없이도 채비를 정렬할 수 있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The fishing tackle for height adjustable of fish hook}
본 발명은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줄 상에서 부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바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상관없이 항상 만족할 만한 조과를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밑걸림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없이 안정적인 낚시를 할 수 있으며, 결합안내부의 부력제를 하향으로 내린 후 원줄을 상부고리에 결합하고 봉돌 결합시 안내관을 상향으로 올린 후 하부고리에 봉돌을 결합하므로 원줄과 봉돌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줄의 손상없이도 채비를 정렬할 수 있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는 그 대상 어종에 따라 릴에 감겨 있는 원줄에 대상어에 맞는 각종 채비를 연결하여 낚시를 행하게 되는데, 그 대상어에 따라 미끼나 바늘의 구조와 성격 등이 각기 다른 각 채비를 원줄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장어, 광어와 같이 바닥권에서 서식하는 어종을 효과적으로 낚기 위해서 다운샷 채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운샷 채비는 본선(10)에 낚시바늘(20)을 결속시키고, 본선(10)의 일단(11)을 일정길이로 늘어트린 상태에서 봉돌(30)을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채비는 지렁이와 같은 미끼를 달고 수중으로 투척하게 되면,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 후 미끼가 바닦에 누워 이물질이나 부유물 또는 뻘 속으로 파고든다.
이렇게 되면 물고기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지 못해 입질을 느끼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채비를 꺼낼 때, 채비가 이물질이나 부유물에 걸리면서 밑걸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를 마치고 철수할 경우 채비를 정렬하려면, 본선에 연결된 부위를 절단한 후 정렬해야 하므로 철수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8385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로 다운샷 낚시 채비 및 이의 결합구조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제1,2연결구가 구비되는 본선; 상기 본선에 고정되는 낚시바늘; 상기 본선이 통과하며 낚시바늘을 지지하는 제1지지구; 상기 본선이 통과하며 낚시바늘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바늘은 제1,2지지구의 이동에 의해 본선 상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은 제1연결구에 원줄을 묶어 채비를 결속시켜야 하므로 채비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결속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선에 낚시바늘의 바늘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2지지구의 이동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이점은 있으나, 낚시대를 팽팽하게 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낚시바늘이 바닥으로 누워 물고기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지 못하게 되므로 낚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48385호(2015.05.07. 공개)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줄 상에서 부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바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상관없이 항상 만족할 만한 조과를 올릴 수 있으며 밑걸림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없이 안정적인 낚시를 할 수 있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안내부의 부력제를 하향으로 내린 후 원줄을 상부고리에 결합하고 봉돌 결합시 안내관을 상향으로 올린 후 하부고리에 봉돌을 결합하므로 원줄과 봉돌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줄의 손상없이도 채비를 정렬할 수 있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는, 낚시대의 원줄에 형성된 맨도래에 목줄이 결속되어 연결되고 상기 목줄의 단부에 고정되어 미끼가 끼워지는 낚시바늘; 상기 원줄에 결합되어 낚시 대상 어종에 따라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부력을 조절하면서 낚시바늘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구; 상기 부구의 양측에 결합되며 부구의 위치가 조절되면 부구의 이동을 방지하는 정지구; 상기 부구의 일측에 결합되며 원줄이 늘어지지 않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부력재; 스프링의 탄성으로 부력재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원줄이 상부고리에 결합되고, 스프링의 탄성으로 안내관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봉돌의 맨도래가 하부고리에 신속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안내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는, 상기 원줄과 봉돌이 각각 결합되도록 몸체의 상,하단부에 상,하부고리가 형성되는 고리부재; 상기 고리부재를 감싸듯이 결합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안내관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상부고리에 위치되는 부력재; 상기 부력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부고리를 수용하면서 원줄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홈; 상기 안내관의 상단부와 부력재의 상단부 내측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고리의 단부에는 각각 원줄과 봉돌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고리의 삽입부 끝단부는 분리방지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고리의 삽입부 끝단부는 안내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끝단부는 원줄과 봉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몸체와 일정 간격 벌어지도록 하여 입구를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에 의하면, 원줄 상에서 부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바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상관없이 항상 만족할 만한 조과를 올릴 수 있으며 밑걸림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없이 안정적인 낚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에 의하면, 결합안내부의 부력제를 하향으로 내린 후 원줄을 상부고리에 결합하고 봉돌 결합시 안내관을 상향으로 올린 후 하부고리에 봉돌을 결합하므로 원줄과 봉돌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줄의 손상없이도 채비를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채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인 결합안내부의 상부고리에 원줄이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결합안내부의 하부고리에 봉돌이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부구의 위치를 수평부력재 측으로 이동하여 바닥권에 서식하는 어종을 유인하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부구의 위치를 수평부력재 반대편의 맨도래 측으로 이동하여 중층에 서식하는 어종을 유인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100)는, 낚시바늘(110), 부구(120), 정지구(130), 수평부력재(140), 결합안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낚시바늘(110)은 낚시대의 원줄의 끝단부에 목줄(20)을 연결하여 고정되며, 상기 목줄(20)은 원줄(10)의 끝단부에 형성된 맨도래(11)에 결속된다.
상기 부구(120)는 원줄(10)에 결합되어 채비를 호수나 바다의 수중에 투척했을 때 수중에 위치하게 되며,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위치를 이동해가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구(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낚시바늘(11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바닥권에서 서식하는 어종, 중층에서 서식하는 어종 등 대상 어종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지구(1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부구(120)의 양측에 결합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부구(120)의 위치가 이동되면 정지구(130)가 부구(1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수평부력재(140)는 부구 일측의 원줄(10)에 결합되며, 원줄(10)이 수중에서 늘어지지 않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력재(140)가 부구(120)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결합안내부(150)와 부구(120) 사이의 원줄(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부구(120) 또는 낚시바늘(110)이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낚시바늘(110)의 높이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안내부(150)는 수평부력재(140) 일측의 원줄(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부력재(140)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결합안내부(15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부구(120)와 정지구(130)가 결합되며, 결합안내부(150)의 하부에는 봉돌(3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안내부(150)는 부구(120)와 수평부력재(140)가 바닥에서 일정 높이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고리부재(151), 안내관(152), 부력재(153), 분리방지홈(154), 스프링(15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재(151)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몸체(151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원줄(10)과 봉돌(30)이 결합되도록 상부고리(151b) 및 하부고리(151c)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152)은 합성수지 재질의 관체로 형성되어 고리부재(151)에 결합된다.
상기 부력재(153)는 안내관(152)에 결합되며, 부력재(153)의 하단부는 안내관(15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부력재(153)의 상단부는 고리부재(151)의 상부고리(151b)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분리방지홈(154)은 부력재(153)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부고리(151b)를 수용하여 상부고리(151b)에 결합되는 원줄(10)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55)은 안내관(152)의 상단부와 부력재(153)의 상단부 내측면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고리(151b)(151c)의 단부에는 원줄(10)과 봉돌(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삽입부(151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리(151b)의 삽입부(151d)는 분리방지홈(154)으로 삽입되어 수용되고, 하부고리(151c)의 삽입부(151d)는 안내관(15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원줄(10)과 봉돌(30)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삽입부(151d)의 끝단부는 원줄과 봉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몸체(151a)와 일정 간격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100)를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낚시대로부터 인출되는 원줄(10)에 수평부력재(140)를 결합한 후, 정지구(130)와 부구(1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원줄(10)의 끝단부에 맨도래(11)를 결속한 후, 상기 맨도래(11)에 일정 길이의 목줄(20)을 결속하고 상기 목줄(20)의 끝단부에 낚시바늘(110)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력재(140) 일측의 원줄(10)에 결합안내부(150)를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안내부(150)를 원줄(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으로 안내관(152)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부력재(153)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내리게 되면, 부력재(153)는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해 탄력있게 내려가면서 상부고리(151b)의 삽입부(151d)가 분리방지홈(154)에서 이탈되며, 이때 원줄(10)을 삽입부(151d)에 통과시켜 상부고리(151b)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 원줄(10)이 상부고리(151b)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력재(153)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부력재(153)는 스프링(155)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상부고리(151b)의 삽입부(151d)가 분리방지홈(154)으로 삽입되면서 원줄(10)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부고리(151b)에 원줄(10)이 결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리(151c)에는 봉돌(30)을 결합하게 된다.
먼저, 한손으로는 하부고리(151c)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안내관(152)을 파지한 상태에서 안내관(152)을 상향으로 올리게 되면, 안내관(152)은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해 탄력있게 올라가면서 하부고리(151c)의 삽입부(151d)가 안내관(152)에서 이탈되며, 이때 봉돌(30)에 형성된 맨도래(31)를 삽입부(151d)에 통과시켜 하부고리(151c)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 봉돌(30)이 하부고리(151c)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관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안내관(152)은 스프링(155)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하부고리(151c)의 삽입부(151d)가 안내관(15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봉돌(30)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결합안내부(150)가 스프링(155)에 의한 원터치 방식으로 원줄(10)과 봉돌(30)을 용이하게 결합하게 되므로 낚시채비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낚시바늘(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장어와 같이 바닥권에 서식하는 어종을 낚시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0)에 결합된 부구(120)를 수평부력재(154)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구(120)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원줄의 일부는 맨도래(11)의 무게와 낚시바늘(110) 및 미끼의 무게 의해 바닥권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바닥권에 서식하는 어종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에 부유물이나 밑걸림 요소가 존재할 경우 또는 중층에서 서식하는 어종을 낚시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10)에 결합된 부구(120)를 맨도래(11)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구(120)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원줄(10)과 맨도래(11)는 수평부력재(140)와 부구(120)의 부력에 의해 바닥권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되며, 맨도래(11)에 결속된 목줄(20)과 낚시바늘(110)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떠 있는 상태가 되어 밑걸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중층에 서식하는 어종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낚시채비
110: 낚시바늘
120: 부구
130: 정지구
140: 수평부력재
150: 결합안내부
151: 고리부재
152: 안내관
153: 부력재
154: 분리방지홈
155: 스프링

Claims (4)

  1. 낚시대의 원줄(10)에 형성된 맨도래(11)에 목줄(20)이 결속되어 연결되고 상기 목줄(20)의 단부에 고정되어 미끼가 끼워지는 낚시바늘(110);
    상기 원줄(10)에 결합되어 낚시 대상 어종에 따라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부력을 조절하면서 낚시바늘(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구(120);
    상기 부구(120)의 양측에 결합되며 부구(120)의 위치가 조절되면 부구(1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정지구(130);
    상기 부구(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원줄(10)이 늘어지지 않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부력재(140);
    스프링(155)의 탄성으로 부력재(153)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원줄(10)이 상부고리(151b)에 결합되고, 스프링(155)의 탄성으로 안내관(152)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봉돌(30)의 맨도래(31)가 하부고리(151c)에 신속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안내부(1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안내부(150)는,
    상기 원줄(10)과 봉돌(30)이 각각 결합되도록 몸체(151a)의 상,하단부에 상,하부고리(151b)(151c)가 형성되는 고리부재(151);
    상기 고리부재(151)를 감싸듯이 결합되는 안내관(152);
    상기 안내관(152)에 결합되며 하단부는 안내관(152)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상부고리(151b)에 위치되는 부력재(153);
    상기 부력재(15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부고리(151b)를 수용하면서 원줄(10)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홈(154);
    상기 안내관(152)의 상단부와 부력재(153)의 상단부 내측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고리(151b)(151c)의 단부에는 각각 원줄(10)과 봉돌(30)이 삽입되는 삽입부(151d)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고리(151b)의 삽입부(151d) 끝단부는 분리방지홈(154)으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고리(151c)의 삽입부(151d) 끝단부는 안내관(15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51d)의 끝단부는 원줄(10)과 봉돌(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몸체(151a)와 일정 간격 벌어지도록 하여 입구를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KR1020200052248A 2020-04-29 2020-04-29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KR10238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48A KR102382877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48A KR102382877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27A KR20210133527A (ko) 2021-11-08
KR102382877B1 true KR102382877B1 (ko) 2022-04-05

Family

ID=7849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48A KR102382877B1 (ko) 2020-04-29 2020-04-29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23U (ko) 2022-03-29 2023-10-06 김화규 한치 낚시채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598B2 (ja) * 1993-09-03 2001-04-09 三井化学株式会社 N−(4’−ノニルシクロヘキシル)−4−ノニルアニリ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2059Y1 (ko) 2002-10-18 2003-01-24 김동기 낚시용 수중찌
US20030066230A1 (en) 2000-11-10 2003-04-10 Brickett Benjamin P. Fishing lure
US20100319237A1 (en) 2009-06-19 2010-12-23 Ward David P Audible fishing weight
JP2019068780A (ja) 2017-10-11 2019-05-09 康夫 小林 水中移動体及び釣り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666U (ko) * 1985-08-24 1987-03-04
KR200233556Y1 (ko) * 1999-04-15 2001-09-25 이경희 케미라이트 장착용 중통낚시찌.
JP3154598U (ja) * 2009-08-03 2009-10-22 正博 杉山 昼夜兼用釣り用うき
KR20150048385A (ko) 2013-10-28 2015-05-07 정경희 다운샷 낚시 채비 및 이의 결속구조
KR101494575B1 (ko) * 2014-04-11 2015-02-23 권용국 매듭과 간격맞춤 겸용 낚시줄 매듭기의 간격맞춤고리 가림수단
KR20170135073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타스코 낚시용 봉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598B2 (ja) * 1993-09-03 2001-04-09 三井化学株式会社 N−(4’−ノニルシクロヘキシル)−4−ノニルアニリ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66230A1 (en) 2000-11-10 2003-04-10 Brickett Benjamin P. Fishing lure
KR200302059Y1 (ko) 2002-10-18 2003-01-24 김동기 낚시용 수중찌
US20100319237A1 (en) 2009-06-19 2010-12-23 Ward David P Audible fishing weight
JP2019068780A (ja) 2017-10-11 2019-05-09 康夫 小林 水中移動体及び釣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27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0966A1 (en) Fishing rig
US7841129B2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US8713848B2 (en) Modular bottom bouncer
JP5368622B2 (ja) 竿掛け竿保持具。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KR102382877B1 (ko)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US10925266B2 (en) Apparatus for harvesting lionfish
US10327434B1 (en) Remotely operable latch for a pulley-type endless halyard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5239770A (en) Quick on and off fishing sinker
JP2016093105A (ja) 太刀魚用テンヤ
US3190029A (en) Fishing device
US8341872B2 (en) Magnetic slip bobber
US8695271B1 (en) Fishing line trolling release mechanism
CA1284273C (en) Gangion for longline fishing gear
US5020268A (en) Automatic line release with deep diving planer
JPH04228018A (ja) 船引き釣り具
US4738048A (en) Fish hooking needle
KR20210001441A (ko) 낚시용 채비
CN109843049B (zh) 钓鱼用浮标
KR20220060673A (ko)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CA2703725C (en) Stacker clamp
US11185063B2 (en) Lure retrieving apparatus
US11375703B2 (en) Snag free fishing lift
KR102492210B1 (ko)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