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531B1 -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531B1
KR102381531B1 KR1020210158984A KR20210158984A KR102381531B1 KR 102381531 B1 KR102381531 B1 KR 102381531B1 KR 1020210158984 A KR1020210158984 A KR 1020210158984A KR 20210158984 A KR20210158984 A KR 20210158984A KR 102381531 B1 KR102381531 B1 KR 10238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transparent cap
detector
connec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호
Original Assignee
홍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인호 filed Critical 홍인호
Priority to KR102021015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은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를 열 및 가스 감지기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컨트롤러를 통해 램프를 가열하거나 상기 가스용기에서 가스를 분출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프의 열이나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제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How to check firefighting facilities using heat and gas detectors}
본 발명은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시설 점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빌딩, 공장 등의 건물, 지하철, 선박 등의 천장에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경보 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확실한 작동을 위해 정기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작동의 이상 유무를 테스트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화재감지기의 이상 유무를 테스트하는 시험장치들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제조 및 사용의 곤란함은 물론 열, 연기 감지 테스트를 위한 장치를 각각 별도 구비하므로 휴대 및 테스트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081호(2010.09.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시설 점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은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를 열 및 가스 감지기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컨트롤러를 통해 램프를 가열하거나 상기 가스용기에서 가스를 분출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프의 열이나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제4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 이후에는 팬을 통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5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열 및 가스 감지기는 상기 화재감지기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를 밀폐하는 투명캡과, 상기 투명캡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열을 가하는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캡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용기를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상기 팬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가해지는 열 및 상기 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컨트롤러의 일단에 구비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점검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3단계 사이에는 이물질제거장치를 통해 상기 투명캡에 의해 폐쇄된 상기 화재감지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6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투명캡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리프트부분과, 원형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부분의 상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분과, 다수가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분과, 상기 투명캡의 옆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분사부분에 의해 비산하는 이물질이 상기 투명캡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캡의 옆면에는 이물질이 상기 배출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구멍과, 옆면 내측에 구비되어 배출구멍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멍과 상기 덮개 사이의 틈새를 막는 기밀패드와, 상기 옆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덮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 이후에는 상기 점검파이프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장치를 통해 상기 점검파이프의 바닥면적 및 지지점을 넓히는 제7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장치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상기 점검파이프의 중앙기둥 외면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과,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분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기둥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1체결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상기 제2체결부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분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1연결 바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 바의 하측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제2연결 바와, 상기 제1연결 바와 상기 제1체결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제1연결 바가 상기 제1체결부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 바와 상기 제2연결 바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2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 바와 상기 제2체결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연결 바가 상기 제2체결부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3연결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의하면, 소방시설 점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열 및 가스 감지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에 이물질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의 투명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은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20)를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고정하는 제1단계(S110)와,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기(30)에 위치시키는 제2단계(S120)와, 컨트롤러(16)를 통해 램프(12)를 가열하거나 가스용기(20)에서 가스를 분출시키는 제3단계(S130)와, 램프(12)의 열이나 가스용기(20)의 가스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제4단계(S1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을 통해 화재감지기(30)의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을 보였으나,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은 화재를 탐지 또는 감지하는 다양한 소방시설의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한편, 제4단계(S140) 이후에는 팬(15)을 통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5단계(S150)가 구비되어 점검에 사용된 가스에 의해 화재감지기(3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계(S120)와 제3단계(S130) 사이에는 이물질제거장치(100)를 통해 투명캡(11)에 의해 폐쇄된 화재감지기(3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6단계(S160)가 구비되어 화재감지기(30)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해 정확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통한 정확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장치(100)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5단계(S150) 이후에는 점검파이프(18)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를 통해 점검파이프(18)의 바닥면적을 넓히는 제7단계(S170)가 구비되어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지면에 용이하게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장치(200)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열 및 가스 감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의 열 및 가스 감지기(10)는 화재감지기(3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화재감지기(30)를 밀폐하는 투명캡(11)과, 투명캡(11)의 내부에 구비되어 화재감지기(30)에 열을 가하는 램프(12)와, 램프(12)와 연결되어 투명캡(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파이프(13)와, 연결파이프(13)의 외면에 체결되어 가스용기(20)를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14)과, 고정 브래킷(14)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팬(15)과, 연결파이프(13)의 일단과 연결되어 램프(12)에 가해지는 열 및 팬(15)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6)와, 연결파이프(13)와 컨트롤러(16)를 연결하여 연결파이프(13)가 컨트롤러(16)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17)과, 컨트롤러(16)의 일단에 구비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점검파이프(18)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캡(11)은 화재감지기(30)를 둘러싼 상태에서 화재감지기(30)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램프(12)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용기(20)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화재감지기(30)에 정확하게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스용기(20)는 고정 브래킷(14)에 고정된 상태에서 투명캡(11)과 연결되어 연결파이프(13)를 투명캡(11) 방향으로 힘을 가할 시 투명캡(11)의 내부로 가스를 분출할 수 있다.
회전축(17)은 투명캡(11)이 화재감지기(30)를 둘러싼 상태에서 점검파이프(18)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화재감지기(30)가 설치된 위치 등의 주변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테스트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에 이물질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의 투명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장치(100)는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투명캡(1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리프트부분(110)과, 원형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리프트부분(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분(120)과, 다수가 베이스부분(120)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화재감지기(3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분(130)과, 투명캡(11)의 옆면 외측에 구비되어 공기분사부분(130)에 의해 비산하는 이물질이 투명캡(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분(140)을 구비할 수 있다.
리프트부분(110)은 이물질제거시 베이스부분(120)과 공기분사부분(130)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기분사부분(130)이 화재감지기(3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고, 램프(12)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가스용기(20)에서 가스가 분출될 시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기분사부분(130)이 테스트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출부분(140)은 공기분사부분(130)에서 공기가 분사된 후 공기분사부분(130)이 리프트부분(110)에 의해 하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작동되어 공기분사부분(130)에 의해 비산하는 이물질이 투명캡(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물질제거장치(100)는 컨트롤러(16)와 연계되어 컨트롤러(16)를 통해 작동될 수 있으며, 리프트부분(110), 공기분사부분(130) 및 배출부분(140)은 별도의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한편, 투명캡(11)의 옆면에는 이물질이 배출부분(14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구멍(11a)과, 옆면 내측에 구비되어 배출구멍(11a)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11b)와, 덮개(11b)의 일면에 구비되어 배출구멍(11a)과 덮개(11b) 사이의 틈새를 막는 기밀패드(11c)와, 옆면 내측에 구비되고 덮개(11b)와 결합하여 덮개(11b)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1d)을 구비할 수 있다.
덮개(11b)는 공기분사부분(130)과 베이스부분(120)이 리프트부분(110)을 통해 상 방향으로 이동할 시 가이드 레일(11d)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구멍(11a)을 개방함으로써 비산하는 이물질이 배출부분(140)에 의해 투명캡(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분사부분(130)과 베이스부분(120)이 리프트부분(110)을 통해 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가이드 레일(11d)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구멍(11a)을 폐쇄함으로써 램프(12)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용기(20)에서 분출된 가스가 배출구멍(11a)을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밀패드(11c)는 배출구멍(11a)과 덮개(11b) 사이의 틈새를 막아 램프(12)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용기(20)에서 분출된 가스가 배출구멍(11a)을 통해 새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덮개(11b)는 리프트부분(110)과 연계되어 자동으로 배출구멍(11a)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배출구멍(11a)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열 및 가스 감지기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1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점검파이프(18)의 중앙기둥(18a) 외면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210)과,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체결부분(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앙기둥(18a)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분(220)과, 제1체결부분(210)과 제2체결부분(2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체결부분(210) 및 제2체결부분(220)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분(2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분(230)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1연결 바(231)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제1연결 바(231)의 하측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제2연결 바(232)와, 제1연결 바(231)와 제1체결부분(210)을 연결하여 제1연결 바(231)가 제1체결부분(210)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축(233)과, 제1연결 바(231)와 제2연결 바(232)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2연결축(234)과, 제2연결 바(232)와 제2체결부분(220)을 연결하여 제2연결 바(232)가 제2체결부분(220)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3연결축(23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체결부분(210)은 중앙기둥(18a)을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1연결 바(231)와 제2연결 바(232)가 제1연결축(233) 내지 제3연결축(235)에 의해 최초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포개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연결축(235)을 통해 제1연결 바(231) 및 제2연결 바(232)와 연결된 제2체결부분(220)의 면적 및 지지점 즉, 점검파이프(18)의 바닥면적 및 지지점이 늘어나 점검파이프(18)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스트 전후 열 및 가스 감지기(10)를 바닥에 놓거나 벽에 거치할 시 열 및 가스 감지기(10)가 자중에 의해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연결 바(231)와 제2연결 바(232)가 복수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제1연결 바(231)와 제2연결 바(232)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열 및 가스 감지기 11: 투명캡
11a: 배출구멍 11b: 덮개
11c: 기밀패드 11d: 가이드 레일
12: 램프 13: 연결파이프
14: 고정 브래킷 15: 팬
16: 컨트롤러 17: 회전축
18: 점검파이프 18a: 중앙기둥
20: 가스용기 30: 화재감지기
100: 이물질제거장치 110: 리프트부분
120: 베이스부분 130: 공기분사부분
140: 배출부분 200: 지지장치
210: 제1체결부분 220: 제2체결부분
230: 연결부분 231: 제1연결 바
232: 제2연결 바 233: 제1연결축
234: 제2연결축 235: 제3연결축

Claims (5)

  1. 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를 열 및 가스 감지기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 위치시키는 제2단계와,
    컨트롤러를 통해 램프를 가열하거나 상기 가스용기에서 가스를 분출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램프의 열이나 상기 가스용기의 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제4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4단계 이후에는 팬을 통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5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열 및 가스 감지기는 상기 화재감지기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를 밀폐하는 투명캡과, 상기 투명캡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열을 가하는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캡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용기를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검에 사용된 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상기 팬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가해지는 열 및 상기 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컨트롤러의 일단에 구비되어 길이조절이 되는 점검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3단계 사이에는 이물질제거장치를 통해 상기 투명캡에 의해 폐쇄된 상기 화재감지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6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투명캡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리프트부분과, 원형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부분의 상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분과, 다수가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화재감지기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분과, 상기 투명캡의 옆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분사부분에 의해 비산하는 이물질이 상기 투명캡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의 옆면에는 이물질이 상기 배출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구멍과,
    옆면 내측에 구비되어 배출구멍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멍과 상기 덮개 사이의 틈새를 막는 기밀패드와,
    상기 옆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덮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에는 상기 점검파이프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장치를 통해 상기 점검파이프의 바닥면적 및 지지점을 넓히는 제7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장치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상기 점검파이프의 중앙기둥 외면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분과,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분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기둥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분과, 상기 제1체결부분과 상기 제2체결부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분 및 상기 제2체결부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분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제1연결 바와, 일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 바의 하측에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제2연결 바와, 상기 제1연결 바와 상기 제1체결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제1연결 바가 상기 제1체결부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1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 바와 상기 제2연결 바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회전되도록 하는 제2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 바와 상기 제2체결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연결 바가 상기 제2체결부분으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제3연결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KR1020210158984A 2021-11-18 2021-11-18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KR10238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84A KR102381531B1 (ko) 2021-11-18 2021-11-18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84A KR102381531B1 (ko) 2021-11-18 2021-11-18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531B1 true KR102381531B1 (ko) 2022-04-01

Family

ID=811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84A KR102381531B1 (ko) 2021-11-18 2021-11-18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291A (ja) * 1995-05-26 1996-12-03 Shuji Watabe 煙感知器洗浄装置
KR200450081Y1 (ko) 2008-04-21 2010-09-03 성정례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장치
JP2019174883A (ja) * 2018-03-27 2019-10-10 ホーチキ株式会社 煙感知器試験装置
KR20200001357A (ko) * 2018-06-27 2020-01-06 성정례 리모컨으로 동작되는 화재감지기용 복합 테스트 장비
KR20210017219A (ko) * 2019-08-07 2021-02-17 이영삼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감지모듈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291A (ja) * 1995-05-26 1996-12-03 Shuji Watabe 煙感知器洗浄装置
KR200450081Y1 (ko) 2008-04-21 2010-09-03 성정례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장치
JP2019174883A (ja) * 2018-03-27 2019-10-10 ホーチキ株式会社 煙感知器試験装置
KR20200001357A (ko) * 2018-06-27 2020-01-06 성정례 리모컨으로 동작되는 화재감지기용 복합 테스트 장비
KR20210017219A (ko) * 2019-08-07 2021-02-17 이영삼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감지모듈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8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xygen content
US20080105443A1 (en)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Method In A High-Bay Warehouse In Which Chemical Hazardous Materials Are Stored, And Fire/Explosion-Protected High-Bay Warehouse
KR102381531B1 (ko) 열 및 가스 감지기를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방법
CN110459116A (zh) 一种多功能隧道火灾侧部重点排烟模拟平台
JPH09271526A (ja) トンネル状空間の火災時区画装置
JP4624215B2 (ja) 水素製造・貯蔵装置の防災設備
EP4002317B1 (en)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ource of smoke in a monitored environment
KR10160599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JPS6392899A (ja) 乾式ガスホルダの側板破壊警報装置
CA2426638C (en) A working enclosure
CN105938140A (zh) 一种防爆型可燃气体探测器
CN109985333A (zh) 一种用于工厂仓库内可自动报警的消防装置
JP7161859B2 (ja) 煙感知器試験装置
JP4359268B2 (ja) 部品供給装置
CN105910715B (zh) 一种明火检测火焰探测器性能的测试装置
JP4741403B2 (ja) ガスホルダー用ゴンドラ装置,ガスホルダー側壁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KR102207795B1 (ko) 비출입형 맨홀 검사장치
US20220148749A1 (en) Safety cover structure of nuclear facility
JP2006271518A (ja) ドラフトチャンバ消火装置
KR101894830B1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JP6456218B2 (ja) 破砕機の可燃性ガス検出方法および破砕機の防爆装置
JP3286952B2 (ja) 駐車場の消火設備
CN112284673A (zh) 一种倾斜巷道火灾相似模拟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2005186024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ガス検知システム
JP3948858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