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947B1 -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 Google Patents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47B1
KR102380947B1 KR1020200110869A KR20200110869A KR102380947B1 KR 102380947 B1 KR102380947 B1 KR 102380947B1 KR 1020200110869 A KR1020200110869 A KR 1020200110869A KR 20200110869 A KR20200110869 A KR 20200110869A KR 102380947 B1 KR102380947 B1 KR 10238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iece
housing
scre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037A (ko
Inventor
송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1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for measuring the tension across the width of a band-shaped flexibl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는, 외부적으로 볼 때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천장에 두 개의 가이드 홀을 가지고, 내부적으로 볼 때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내부 공간을 나누는 선반을 가지는 하우징; 선반 상에 위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롤러 지지부; 하우징의 일측에서 하우징의 천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승강기; 선반 상에서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롤러 지지부 주변에 위치되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트랙부와 모터부; 트랙부에 위치되어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로부터 돌출되며 트랙부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유도부; 하우징 상에서 유도부와 결합하는 테스트 베이스; 및 하우징의 승강기 상에 위치되어 테스트 베이스와 마주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EQUIPMENT FOR MEASURING TENSION OF TAPE}
본 발명은, 한 도막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잡아당겨 테이프의 장력을 측정하는 테이프 장력 측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의 강도 시험은, 한 도막의 테이프 그리고 테이프 압착 도구 그리고 장력 테스트 도구를 준비하고, 테이프 압착 도구의 시편 상에 테이프의 일측을 부착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시편 상에 테이프의 일측을 짓누르고, 시편 상에서 테이프를 접어 테이프의 일측 상에 테이프의 타측을 위치시키고, 장력 테스트 도구에 시편을 장착하고, 장력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테이프의 타측을 잡아당겨 테이프의 장력을 모니터하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테이프의 강도 시험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테이프 압착 도구 그리고 장력 테스트 도구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도구들 사이에 작업 동선을 길게 하여 작업자에게 시험 시간에 장 시간을 강요하고 도구 별로 시편 장착과 도구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켜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수고를 많이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는 테이프의 강도 시험에서 열악한 시험 환경을 경험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의 강도 시험은, 작업자에게 선호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한편, 상기 장력 테스트 도구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28475호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28475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이프의 강도 시험에서, 도구들 사이의 작업 동선을 짧게 하여 작업자에게 시험 시간에 짧은 시간을 소비하게 하고 동일 장소에 도구들을 집적(集積)시켜 도구 별 작동시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수고를 덜어주는데 적합한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는, 외부적으로 볼 때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천장에 두 개의 가이드 홀을 가지고, 내부적으로 볼 때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내부 공간을 나누는 선반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선반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승강기; 상기 선반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롤러 지지부 주변에 위치되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트랙부와 모터부; 상기 트랙부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트랙부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유도부;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유도부와 결합하는 테스트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승강기 상에 위치되어 상기 테스트 베이스와 마주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 상에 테이프의 일측을 접착시키고 상기 테이프의 중앙을 접은 후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을 향해 상기 테이프의 타측을 굴곡시키면서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탈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천장에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사각형의 양 장변에서, 일측 장변을 갖는 제1 측벽의 외주면에서 하부면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는 상부면을 가지면서, 타측 장변을 갖는 제2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고, 상기 직사각형의 양 단변에서, 일측 단변을 갖는 제3 측벽의 외주면과 타측 단변을 갖는 제4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는 패널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는 팬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제3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승강기 아래에서 상기 제3 측벽을 관통하는 단자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제4 측벽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4 측벽을 따라 위치되는 받침 다리; 및 상기 받침 다리 상에서 제2 내지 제4 측벽에 고정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분리판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내부 공간과 상기 분리판 상에 위치되는 상측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선반의 분리판에 고정되어 상기 분리판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을 관통하는 롤러 변위 기둥;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롤러 변위 기둥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상기 개별 가이드 홀을 향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동일 크기로 위치되는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은, 상기 롤러 변위 기둥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 사이에 롤러(roller)를 수용할 수 있다.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돌출한 후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측면을 따라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하부 모서리 주변에 제1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부 모서리 주변에 제2 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분리시키고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를 이동시키는 때,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스트 베이스 상에서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을 짓누르고, 상기 측정부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를 이동시키는 때,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기 제2 안착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 측벽에 고정되어 암나사홀을 갖는 수평 고정자와 함께 상기 수평 고정자의 상기 암나사홀에 치합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수직 이동자로 이루어진 나사부재; 상기 수직 이동자와 결합되어 상기 제3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3 측벽을 따라 상기 수평 고정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기 연결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안착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은, 상기 측정부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랙부는, 상기 선반의 분리판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레일 모듈 그리고 상기 레일 모듈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 모듈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모듈은, 상기 분리판 상에서 상기 분리판에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하우징 레일(rail); 상기 하우징 레일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레일을 따라 봉 형상으로 위치되는 코어(core) 레일; 및 상기 코어 레일 상에서 상기 코어 레일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cover)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모듈이 하우징 레일과 커버 레일 사이에 봉 형상의 코어 레일을 가지는 때,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하우징 레일의 일 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레인(lane)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레인 상에 위치되는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복수의 레인 상에 상기 제1 센싱 단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게 위치되는 제2 센싱 단자와 제3 센싱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3 센싱 단자는, 상기 복수의 레인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범위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센서와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 단자는,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3 센싱 단자 사이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레일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 모듈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코어 레일과 상기 커버 레일을 수용하여 상기 코어 레일과 상기 커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 상에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의 상기 개별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중부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는, 중앙 영역의 레일 홀에 상기 코어 레일을 끼워 상기 코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오각 기둥 형상의 레일 체결 바디; 상기 레일 체결 바디의 양 측부에서 상기 레일 체결 바디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레일을 둘러싸는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 및 상기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에서 하나의 레일 가이드 날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레일을 향해 절곡되는 돌기편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편은, 상기 트랙부 상에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레일에서 제1 센싱 단자 내지 제3 센싱 단자 중 하나에 수용되어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에 전기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중부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 아래에서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U' 자 형상의 하부측에서 상기 커버 레일과 평행을 이루는 기저편; 및 상기 'U' 자 형상의 좌우측에서 상기 기저편의 양 가장자리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기저편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편은, 상기 기저편 아래에서 상기 기저편의 양 측을 통해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개별 레일 가이드 날개와 결합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개별 가이드 홀에 끼워져 상기 천장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받침턱; 및 상기 받침턱 상에 위치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 상에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탈착되는 얼라이너(alig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턱은,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상부측에서 두 개의 벽체 중(中) 개별 벽체의 외주면의 체결 요부에 끼워져 상기 개별 벽체에 결합되고, 상기 얼라이너는, 상기 받침턱의 상면에서 상기 받침턱의 안착 요부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턱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 상기 벤치 구조물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치 구조물은, 상기 받침턱의 상기 안착 요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받침턱과 결합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상기 두 개의 걸림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 및 상기 기준편을 관통하여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의 회전홀에 끼워지는 힌지 축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을 통해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클립(clip)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기준편의 제1 수용홀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서 상기 고정체의 제2 수용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외부 힘의 적용 시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한 상기 고정체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기준편에 대해 상기 고정체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주고, 상기 기준편의 상기 제1 수용홀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제2 수용홀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유도부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 상에 안착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에 결합되면서 상기 얼라이너의 고정체에 클립되어 접촉되거나 상기 중부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얼라이너의 상기 고정체로부터 벗어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 및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상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이탈 방지 홈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는,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은,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을 통해 상기 고정체에 접촉되고,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는,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롤러 지지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에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 그리고 후방측에서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을 가지는 테이프 안내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을 가지는 테이프 누름편; 및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푸쉬풀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푸쉬풀 게이지의 측정 노드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제2 나사 삽입홀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누름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둥 숫나사;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탄성체 삽입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누름편 상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마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 암나사는, 상기 기둥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누름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로부터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테이프의 잡아당김을 통해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에 장력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는, 상기 하우징에 전장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의 외부로부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는 콘센트와 상기 전장품의 내부에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전원 공급 단자;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용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직류 전용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유도부의 제1 내지 제3 센싱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모터부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냉각 팬을 구동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패널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1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2 측벽의 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2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3 측벽의 단자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3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파워 서플라이와 컨트롤러와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와 결합하고,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반대 편에서 양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제1 구형 홈 그리고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보다 더 융기되는 중앙 영역에 제2 구형 홈을 가지며, 개별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사이에 상기 제1 구형 홈과 상기 제2 구형 홈을 따라 경사진 홈을 가지는 하부 보조 바디; 및 상기 하부 보조 바디 상에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1 구형 홈에 채워져 상기 경사진 홈에 끼워지는 날개 편, 그리고 상기 날개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2 구형 홈에 채워지는 하향 볼록 편을 가지는 상부 보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상기 날개 편과 상기 하향 볼록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1 구형 홈과 상기 제2 구형 홈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보조 바디는,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중앙 영역의 제2 구형 홈에서 나선을 노출시키도록, 웜(worm)과 웜기어의 조합에서 상기 웜에 해당하는 봉 형상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 바디는,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상기 하향 볼록 편에서 상기 구동 기어와 마주하는 면에 나선을 가지며 상기 웜과 웜기어의 상기 조합에서 상기 웜기어에 하향 볼록 편을 대응시키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하향 볼록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2 구형 홈에서 나선 결합하여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 동안 상기 구동 기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보조 바디에 대해 상기 상부 보조 바디를 상대적으로 틸팅(tilting)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하나에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을 채우는 제1 날개 편과, 상기 제1 날개 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으로부터 벗어나는 제2 날개 편을 가지고,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날개 편과 상기 제2 날개 편을 합(合)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보조 바디는, 상기 제2 날개 편으로부터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측부를 향해 현수(懸垂)하여 상기 하부 보조 바디에 고정되는 위치 잠금 편; 및 상기 하부 보조 바디 상에서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틸팅 동안 상기 위치 잠금 편의 원호 슬릿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2 날개 편을 관통해서 상기 제1 날개 편을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에 밀착시키는 로딩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나사는.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구동 기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상부 보조 바디 상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보조 바디에 결합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상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이탈 방지 홈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 및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고정되는 클립 지그(clip jig)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지그는, 얼라이너 그리고 상기 얼라이너를 둘러싸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 상에서 상기 얼라이너를 통해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이너는,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 및 상기 거치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 상기 벤치 구조물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를 둘러싸도록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U' 자 형상에서 하부측에 플랫폼(platform)과 좌우측에 펜스(fence)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벤치 구조물은, 상기 플랫폼과 상기 펜스 사이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상기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면서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상기 두 개의 걸림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 및 상기 기준편을 관통하여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의 회전홀에 끼워지는 힌지 축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을 통해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에 클립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기준편의 제1 수용홀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서 상기 고정체의 제2 수용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외부 힘의 적용 시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한 상기 고정체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기준편에 대해 상기 고정체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주고, 상기 기준편의 상기 제1 수용홀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제2 수용홀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중심 가까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과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제1 개별 나사 삽입홀의 측부에 위치되는 두 개의 끼움홈, 그리고 후방측에서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을 가지는 테이프 안내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 사이의 테이프 안내편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끼움홈 주변의 테이프 안내편으로부터 수직하게 이격하면서 개별 끼움홈과 마주하는 끼움홀을 가지는 테이프 누름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개별 끼움 홈에 위치되는 로드 셀;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셀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누름 나사; 및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푸쉬풀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푸쉬풀 게이지의 측정 노드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제2 나사 삽입홀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로드 셀은, 상기 누름 나사가 상기 로드 셀에 접촉되는 때, 상기 누름 나사의 압력 크기에 해당하는 상기 로드 셀의 전기 신호를 전장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로드 셀의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전기 신호를 디지털 숫자로 변환시켜 상기 디지털 숫자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누름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둥 숫나사;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탄성체 삽입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누름편 상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마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 암나사는, 상기 기둥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로드 셀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과 상기 누름 나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로드 셀로부터 상기 테이프 누름편과 상기 누름 나사를 탄성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로부터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그리고 상기 유도부에서 하부 보조 바디에 대해 상부 보조 바디의 틸팅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안, 상기 테이프의 잡아당김을 통해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에 장력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롤러 지지부의 개별 롤러 지지 패널 아래에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상기 측정부의 건너편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수평으로 마주하면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관통홀 그리고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두 개의 테이블 연결홀을 가지는 테이프 유도편; 및 상기 테이프 유도편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관통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관통홀을 가지는 테이프 압착편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유도편은,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접속홈에 상기 테이프 유도편의 개별 테이블 연결홀을 맞추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압착편은, 상기 테이프 유도편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 나사 관통홀 주위에 상기 제2 나사 관통홀보다 큰 직경의 탄성체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상기 테이프 유도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압착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압착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관통 숫나사; 상기 테이프 유도편과 상기 테이프 압착편 사이에서 상기 관통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압착편의 탄성체 수용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압착편 상에서 상기 관통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암나사는, 상기 관통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유도편에 상기 테이프 압착편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유도편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압착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트랙부와 모터부와 전장품,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롤러 지지부, 그리고 트랙부 상에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유도부, 그리고 하우징의 외부에서 유도부 상에 위치되는 테스트 베이스, 그리고 하우징의 외부에서 테스트 베이스와 마주하는 측정부를 구비하여,
테이프의 강도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테스트 베이스에 테이프의 일측을 부착시키고 측정부로부터 테이프의 타측을 분리시키는 때 모터부의 구동 동안 트랙부를 따라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동시에 이동시켜 롤러 지지부의 롤러를 통해 테스트 베이스 상에 테이프 일측을 짓누르거나,
테이프의 강도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테스트 베이스에 테이프의 일측을 부착시키고 측정부에 테이프의 타측을 삽입시키는 때 모터부의 구동 동안 트랙부를 따라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동안 테스트 베이스로부터 롤러 지지부의 롤러를 이격시키므로,
테이프의 강도 시험에서, 도구들 사이의 작업 동선을 짧게 하여 작업자에게 시험 시간에 짧은 시간을 소비하게 하고 동일 장소에 도구들을 집적(集積)시켜 도구 별 작동시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과 롤러 지지부와 승강기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과 롤러 지지부와 승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트랙부와 모터부와 함께 트랙부 상에 제1 실시예의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테스트 베이스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승강기 상에 제1 실시예의 측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 내 전장품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트랙부 상에 제2 실시예의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테스트 베이스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승강기 상에 제2 실시예의 측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정부는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테스트 베이스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과 롤러 지지부와 승강기를 보여주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과 롤러 지지부와 승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트랙부와 모터부와 함께 트랙부 상에 제1 실시예의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의 테스트 베이스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승강기 상에 제1 실시예의 측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하우징 내 전장품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5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그리고 롤러 지지부(60) 그리고 승강기(110) 그리고 트랙부(160) 그리고 모터부(180) 그리고 유도부(290) 그리고 테스트 베이스(330) 그리고 측정부(38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20)은, 외부적으로 볼 때 상자(箱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천장에 두 개의 가이드 홀(도 2의 8)을 가지고, 내부적으로 볼 때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내부 공간을 나누는 선반(19)을 갖는다. 상기 롤러 지지부(60)는, 선반(19) 상에 위치되어 하우징(2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승강기(110)는, 하우징(20)의 일측에서 하우징(20)의 천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한다. 상기 트랙부(160)와 모터부(180)는, 선반(19) 상에서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롤러 지지부(60) 주변에 위치되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유도부(290)는, 트랙부(160)에 위치되어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8)로부터 돌출되며 트랙부(160)를 따라 왕복 운동한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330)는, 하우징(20) 상에서 유도부(290)와 결합한다. 상기 측정부(380)는, 하우징(20)의 승강기(110) 상에 위치되어 테스트 베이스(330)와 마주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380)는, 테스트 베이스(330) 상에 테이프(T)의 일측을 접착시키고 테이프(T)의 중앙을 접은 후 테이프(T)의 일측을 향해 테이프(T)의 타측을 굴곡시키면서 테이프(T)의 타측을 삽탈시킨다(도 15 내지 도 18 참조요).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천장에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의 양 장변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측 장변을 갖는 제1 측벽의 외주면에서 하부면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는 상부면을 가지면서, 타측 장변을 갖는 제2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직사각형의 양 단변에서, 일측 단변을 갖는 제3 측벽의 외주면과 타측 단변을 갖는 제4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갖는다.
상기 제1 측벽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우징(20)의 일측에서 제1 측벽의 상부면을 관통하는 패널 삽입홀(2)을 갖는다. 상기 제2 측벽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우징(2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제2 측벽을 관통하는 팬 삽입홀(4)을 갖는다. 상기 제3 측벽은, 도 3과 같이, 하우징(20)의 승강기(110) 아래에서 제3 측벽을 관통하는 단자 삽입홀(6)을 갖는다.
상기 선반(19)은, 도 2와 같이, 하우징(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제4 측벽에 접촉하면서 제4 측벽을 따라 위치되는 받침 다리(13), 및 받침 다리(13) 상에서 제2 내지 제4 측벽에 고정되는 분리판(16)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판(16)은, 도 2와 같이, 하우징(20)에서 분리판(16)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내부 공간과 분리판(16) 상에 위치되는 상측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킨다.
상기 롤러 지지부(60)는, 도 2와 같이, 선반(19)의 분리판(16)에 고정되어 분리판(16)으로부터 돌출하여 하우징(20)의 천장을 관통하는 롤러 변위 기둥(30), 그리고 하우징(20) 상에서 롤러 변위 기둥(30)에 고정되어 롤러 변위 기둥(30)으로부터 개별 가이드 홀(8)을 향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동일 크기로 위치되는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50)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50)은, 롤러 변위 기둥(30)의 소정 높이에서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50) 사이에 롤러(roller; 도 1의 520)를 수용한다.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변위 기둥(30)으로부터 이격하여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돌출한 후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의 측면을 따라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하부 모서리 주변에 제1 안착홈(44)을 가지며, 롤러 변위 기둥(30)으로부터 이격하여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의 상부 모서리 주변에 제2 안착홈(48)을 갖는다.
상기 롤러(520)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측정부(380)로부터 테이프(T)의 타측을 분리시키고 트랙부(160) 상에서 유도부(290)를 이동시키는 때,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의 제1 안착홈(44)에 위치되어 테스트 베이스 상에서 테이프(T)의 일측을 짓누르고, 도 1 및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측정부(380)에 테이프(T)의 타측을 삽입시키고 트랙부(160) 상에서 유도부(290)를 이동시키는 때,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의 제2 안착홈(48)에 위치되어 테이프(T)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승강기(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일측에서 하우징(20)의 제3 측벽에 고정되어 암나사홀을 갖는 수평 고정자(74)와 함께 수평 고정자(74)의 암나사홀에 치합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수직 이동자(78)로 이루어진 나사부재(80), 그리고 수직 이동자(78)와 결합되어 제3 측벽에 접촉되어 제3 측벽을 따라 수평 고정자(7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연결대(90), 그리고 연결대(90)에 고정되어 제3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결대(90)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안착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단(100)은, 측정부(380)를 안착시킨다. 상기 트랙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9)의 분리판(16) 상에서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레일 모듈(130) 그리고 레일 모듈(130)의 일측에서 레일 모듈(130)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센싱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 모듈(130)은, 도 4와 같이, 분리판(16) 상에서 분리판(16)에 접촉되어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하우징 레일(rail; 123), 그리고 하우징 레일(123)의 내부에 위치되어 하우징 레일(123)을 따라 봉 형상으로 위치되는 코어(core) 레일(126), 그리고 코어 레일(126) 상에서 코어 레일(126)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cover) 레일(129)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 모듈(130)이 하우징 레일(123)과 커버 레일(129) 사이에 봉 형상의 코어 레일(126)을 가지는 때, 상기 센싱 모듈(150)은, 도 4와 같이, 하우징 레일(123)의 일 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레인(lane) 상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0)의 일측에서 복수의 레인 상에 위치되는 제1 센싱 단자(143), 그리고 하우징(20)의 타측에서 복수의 레인 상에 제1 센싱 단자(143)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게 위치되는 제2 센싱 단자(146)와 제3 센싱 단자(14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싱 단자(143)와 제3 센싱 단자(149)는, 복수의 레인에서 유도부(290)의 이동 범위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센서와 제3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싱 단자(146)는, 제1 센싱 단자(143)와 제3 센싱 단자(149) 사이에서 유도부(290)의 이동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180)는, 도 4와 같이, 하우징(20)의 타측에서 레일 모듈(130)에 결합되어 레일 모듈(130)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모터(17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29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레일(126)과 커버 레일(129)을 수용하여 코어 레일(126)과 커버 레일(129)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슬라이더(200), 그리고 하부 슬라이더(200) 상에서 하부 슬라이더(200)와 결합하며 하우징(20)의 천장을 관통하여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8)을 따라 이동하는 중부 슬라이더(21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2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중앙 영역의 레일 홀(193)에 코어 레일(126)을 끼워 코어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는 오각 기둥 형상의 레일 체결 바디(196), 그리고 레일 체결 바디(196)의 양 측부에서 레일 체결 바디(196)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커버 레일(129)을 둘러싸는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199), 그리고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199)에서 하나의 레일 가이드 날개(199)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하우징 레일(123)을 향해 절곡되는 돌기편(도 4의 198)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편(198)은, 트랙부(160) 상에 유도부(290)의 이동 동안, 하우징 레일(123)에서 제1 센싱 단자 내지 제3 센싱 단자(143, 146, 149) 중 하나에 수용되어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에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중부 슬라이더(21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우징(20)의 천장 아래에서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U' 자 형상의 하부측에서 커버 레일(129)과 평행을 이루는 기저편(204), 그리고 'U' 자 형상의 좌우측에서 기저편(204)의 양 가장자리 영역에 고정되어 기저편(204)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벽체(208)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편(204)은, 도 6과 같이, 기저편(204) 아래에서 기저편9204)의 양 측을 통해 하부 슬라이더(200)의 개별 레일 가이드 날개(199)와 결합한다. 상기 벽체(208)는, 도 1을 고려해 볼 때, 천장에 위치되는 개별 가이드 홀(8)에 끼워져 천장으로부터 돌출하면서 테스트 베이스(330)에 결합된다.
상기 유도부(29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슬라이더(210)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중부 슬라이더(210)와 결합하는 받침턱(220), 그리고 받침턱(220) 상에 위치되어 중부 슬라이더(210) 상에서 테스트 베이스(330)에 탈착되는 얼라이너(aligner; 2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턱(220)은, 중부 슬라이더(210)의 상부측에서 두 개의 벽체(208) 중(中) 개별 벽체(208)의 외주면의 체결 요부(207)에 끼워져 개별 벽체(208)에 결합된다.
상기 얼라이너(280)는, 도 6과 같이, 받침턱(220)의 상면에서 받침턱(220)의 안착 요부(215)에 위치되어 받침턱(220)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240), 그리고 벤치 구조물(240)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벤치 구조물(2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260), 벤치 구조물(240)과 고정체(26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270)를 포함한다.
상기 벤치 구조물(240)은, 도 6과 같이, 받침턱(220)의 안착 요부(215)에 끼워지면서 상기 받침턱(220)과 결합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233), 그리고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서 중부 슬라이더(210)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두 개의 걸림편(233)과 일체를 이루면서 두 개의 걸림편(233)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237), 그리고 기준편(237)을 관통하여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23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260)는, 도 6과 같이, 벤치 구조물(240)에서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서 중부 슬라이더(210)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233)의 회전홀(231)에 끼워지는 힌지 축(253)을 가지고, 두 개의 걸림편(233)으로부터 돌출하면서 힌지 축(253)을 통해 두 개의 걸림편(23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두 개의 걸림편(23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R)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256)을 통해 테스트 베이스(330)에 클립(clip)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탄성체(270)는, 도 6과 같이, 벤치 구조물(240)에서 기준편(237)의 제1 수용홀(235) 그리고 고정체(260)에서 고정체(260)의 제2 수용홀(259)에 끼워져 고정체(260)에 외부 힘의 적용 시 벤치 구조물(240)에 대한 고정체(260)의 상대적 회전 동안 기준편(237)에 대해 고정체(260)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준다. 상기 기준편(237)의 제1 수용홀(235)은, 고정체(260)의 제2 수용홀(259)과 마주한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330)는, 도 4 및 도 6 및 도 7과 같이, 유도부(290)에서 중부 슬라이더(210) 상에 안착되어 중부 슬라이더(210)에 결합되면서 얼라이너(280)의 고정체(260)에 클립되어 접촉되거나 중부 슬라이더(210)로부터 분리되어 얼라이너(280)의 고정체(260)로부터 벗어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상면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이탈 방지 홈(304)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는, 테이프(T)의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은,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을 고려해 볼 때,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308)을 통해 고정체(260)에 접촉된다.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는, 도 1 및 도 15 내지 도 18을 고려해 볼 때, 트랙부(160) 상에서 유도부(290)의 이동 동안, 하우징(20) 상에서 롤러 지지부(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520)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상기 측정부(3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341) 그리고 후방측에서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342)을 가지는 테이프 안내편(343), 그리고 테이프 안내편(343)의 전방측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345)을 가지는 테이프 누름편(346), 그리고 테이프 안내편(343)의 기구 삽입홈(342)에 끼워지는 푸쉬풀 게이지(37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343)의 전방측은, 도 8과 같이, 테이프 안내편(343)의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된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370)는, 도 8과 같이, 푸쉬풀 게이지(370)의 측정 노드(364)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343)의 기구 삽입홈(342)에 끼워진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은, 도 8과 같이,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의 마주하는 면에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제2 나사 삽입홀(345)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344)을 갖는다.
상기 측정부(3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편(343)의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테이프 누름편(346)의 제2 나사 삽입홀(345)에 끼워져 테이프 누름편(346)으로부터 돌출하는 기둥 숫나사(347), 그리고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 사이에서 기둥 숫나사(347)에 끼워지면서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의 탄성체 삽입홀(344)에 끼워지는 탄성체(348), 그리고 테이프 누름편(346) 상에서 기둥 숫나사(347)와 나선 결합하는 마개 암나사(349)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개 암나사(349)는, 도 8을 고려해 볼 때, 기둥 숫나사(347)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탄성체(348)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343)에 테이프 누름편(346)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탄성체(348)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343)으로부터 테이프 누름편(346)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370)는, 도 8을 고려해 볼 때, 테스트 베이스(330)로부터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 사이에 테이프(T)의 타측을 삽입시키고 테이프 안내편(343)에 테이프 누름편(346)의 가압 상태에서, 트랙부(160) 상에서 유도부(290)의 이동 동안, 테이프(T)의 잡아당김을 통해 테이프(T)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368)에 장력 값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530)은, 하우징(20)에 전장품(400)을 도 9와 같이 더 포함한다. 상기 전장품(400)은, 전원 공급 단자(391) 그리고 파워 서플라이(393) 그리고 컨트롤러(395) 그리고 모터 드라이버(397) 그리고 냉각 유닛(398)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399)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39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품(400)의 외부로부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는 콘센트와 전장품의 내부에 교류 상용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갖는다.
상기 콘센트와 스위치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전기적으로 끊어질 수 있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393)는, 전원 공급 단자(391)로부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용 전원으로 전환한다. 상기 컨트롤러(395)는, 파워 서플라이(393)로부터 직류 전용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유도부(290)의 제1 내지 제3 센싱 단자(143, 146, 14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397)는, 컨트롤러(395)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모터부(180)의 모터(170)를 구동시킨다. 상기 냉각 유닛(398)은, 컨트롤러(395)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냉각 팬을 구동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은, 컨트롤러(395)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은, 하우징(20)에서 제1 측벽의 패널 삽입홀(2)에 끼워져 제1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냉각 유닛(398)은, 하우징(20)에서 제2 측벽의 팬 삽입홀(4)에 끼워져 제2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391)는, 하우징(20)에서 제3 측벽의 단자 삽입홀(6)에 끼워져 제3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393)와 컨트롤러(395)와 모터 드라이버(397)는,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된다.
도 10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트랙부 상에 제2 실시예의 유도부와 테스트 베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유도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테스트 베이스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승강기 상에 제2 실시예의 측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정부는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부(450) 및 테스트 베이스(480) 그리고 측정부(510)는, 도 4의 유도부(290) 및 테스트 베이스(330) 그리고 도 8의 측정부(38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도부(450) 및 테스트 베이스(480) 그리고 측정부(510)는, 도 4의 유도부(290) 및 테스트 베이스(330) 그리고 도 8의 측정부(380)를 대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들(290, 4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트랙부(160) 상에 하부 슬라이더(200)와 중부 슬라이더(210)를 동일한 형상 또는 동일한 구조로 갖는다.
또한, 상기 테스트 베이스들(330, 48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슬라이더(210) 상에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를 동일한 구조로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200)와 중부 슬라이더(210)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유도부(4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부(160) 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슬라이더(200)와 중부 슬라이더(210)와 하부 보조 바디(420)와 상부 보조 바이(44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보조 바디(420)는, 도 11과 같이, 하우징(20) 상에서 중부 슬라이더(210)와 결합하고, 중부 슬라이더(210)의 반대 편에서 양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제1 구형 홈(412) 그리고 양 가장자리 영역보다 더 융기되는 중앙 영역에 제2 구형 홈(416)을 가지며, 개별 가장자리 영역과 중앙 영역 사이에 제1 구형 홈(412)과 제2 구형 홈(416)을 따라 경사진 홈(414)을 갖는다.
상기 상부 보조 바디(440)는, 도 11과 같이, 하부 보조 바디(420) 상에서 하부 보조 바디(420)의 제1 구형 홈(412)에 채워져 경사진 홈(414)에 끼워지는 날개 편(435), 그리고 날개편(435)과 일체를 이루면서 하부 보조 바디(420)의 제2 구형 홈(416)에 채워지는 하향 볼록 편(437)을 갖는다. 상기 상부 보조 바디(440)의 날개 편(435)과 하향 볼록 편(437)은, 하부 보조 바디(420)의 제1 구형 홈(412)과 제2 구형 홈(426)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또한, 상기 하부 보조 바디(420)는, 도 11과 같이, 하부 보조 바디(420)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중앙 영역의 제2 구형 홈(416)에서 나선을 노출시키도록, 웜(worm)과 웜기어의 조합에서 웜에 해당하는 봉 형상의 구동 기어(418)를 갖는다. 상기 상부 보조 바디(440)는, 상부 보조 바디(440)의 하향 볼록 편(437)에서 구동 기어(418)와 마주하는 면에 나선을 가지며 웜과 웜기어의 조합에서 웜기어에 하향 볼록 편(437)을 대응시킨다.
상기 구동 기어(418)와 하향 볼록 편(437)은, 도 11을 고려해 볼 때, 하부 보조 바디(420)의 제2 구형 홈(416)에서 나선 결합하여 구동 기어(418)의 회전 동안 구동 기어(4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보조 바디(420)에 대해 상부 보조 바디(440)를 상대적으로 틸팅(tilting)시킨다.
상기 날개 편(435)은, 도 11과 같이, 하부 보조 바디(420)의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하나에서 하부 보조 바디(420)의 경사진 홈(414)을 채우는 제1 날개 편(431)과, 제1 날개 편(431)에 접촉되어 하부 보조 바디(420)의 경사진 홈(414)으로부터 벗어나는 제2 날개 편(433)을 가지고, 하부 보조 바디(420)의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나머지에서 제1 날개 편(431)과 제2 날개 편(433)을 합(合)한 모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 보조 바디(420)는, 도 10 및 도 11을 고려해 볼 때, 제2 날개 편(433)으로부터 하부 보조 바디(420)의 측부를 향해 현수(懸垂)하여 하부 보조 바디(420)에 고정되는 위치 잠금 편(419), 그리고 하부 보조 바디(420) 상에서 상부 보조 바디(440)의 틸팅 동안 위치 잠금 편(419)의 원호 슬릿(S)을 따라 이동한 후 제2 날개 편(433)을 관통해서 제1 날개 편(431)을 하부 보조 바디(420)의 경사진 홈(414)에 밀착시키는 로딩 나사(439)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 나사(439)는. 하부 보조 바디(420)의 구동 기어(418)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된다. 상기 테스트 베이스(4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조 바디(440) 상에 안착되어 상부 보조 바디(440)에 결합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상면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이탈 방지 홈(304)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도 7의 320),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308)에 위치되어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에 고정되는 클립 지그(clip jig; 478)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 지그(478)는, 도 12와 같이, 얼라이너(280) 그리고 얼라이너(280)를 둘러싸는 거치대(474)를 포함하며,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상에서 얼라이너(280)를 통해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접촉된다. 상기 얼라이너(280)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및 거치대(474)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도 6의 240), 그리고 벤치 구조물(240)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벤치 구조물(2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도 6의 260), 그리고 벤치 구조물(240)과 고정체(26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도 7의 27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474)는, 도 12와 같이, 벤치 구조물(240)과 고정체(260)를 둘러싸도록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U' 자 형상에서 하부측에 플랫폼(platform; 472)과 좌우측에 펜스(fence; 473)를 가지면서 펜스(473)를 통해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에 고정된다.
상기 벤치 구조물(240)은, 플랫폼(472)과 펜스(473) 사이에 끼워져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플랫폼(47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면서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도 6의 233), 그리고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두 개의 걸림편(233)과 일체를 이루면서 두 개의 걸림편(233)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237), 그리고 기준편(237)을 관통하여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23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260)는, 벤치 구조물(240)에서 두 개의 걸림편(233) 사이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233)의 회전홀(도 6의 231)에 끼워지는 힌지 축(도 6의 253)을 가지고, 두 개의 걸림편(233)으로부터 돌출하면서 힌지 축(253)을 통해 두 개의 걸림편(23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두 개의 걸림편(23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도 6의 256)을 통해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클립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탄성체(270)는, 벤치 구조물(240)에서 기준편(237)의 제1 수용홀(도 6의 235) 그리고 고정체(260)에서 고정체(260)의 제2 수용홀(도 6의 259)에 끼워져 고정체(260)에 외부 힘의 적용 시 벤치 구조물(240)에 대한 고정체(260)의 상대적 회전 동안 기준편(237)에 대해 고정체(260)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준다. 상기 기준편(237)의 제1 수용홀(235)은, 고정체(260)의 제2 수용홀(259)과 마주한다.
한편, 상기 측정부(5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편(492) 그리고 테이프 누름편(494) 그리고 로드 셀(496) 그리고 누름 나사(498) 그리고 푸쉬풀 게이지(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은 도 8의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과 유사하여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상기 테이프 안내편(492)은, 도 13과 같이,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중심 가까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도 8의 341)과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의 측부에 위치되는 두 개의 끼움홈(491), 그리고 후방측에서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도 8의 342)을 갖는다.
상기 테이프 누름편(494)은, 도 13과 같이, 테이프 안내편(492)에서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341) 사이의 테이프 안내편(492)과 접촉하면서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도 8의 345)을 가지고, 두 개의 끼움홈(491) 주변의 테이프 안내편(492)으로부터 수직하게 이격하면서 개별 끼움홈(491)과 마주하는 끼움홀(493)을 갖는다. 상기 로드 셀(496)은, 도 13과 같이, 테이프 안내편(492)의 개별 끼움 홈(491)에 위치된다.
상기 누름 나사(498)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테이프 누름편(494)의 끼움홀(493)에 삽입되어 로드 셀(496)에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370)는, 테이프 안내편(492)의 기구 삽입홈(도 8의 342)에 끼워진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492)의 전방측은, 테이프 안내편(492)의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된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370)는, 푸쉬풀 게이지(370)의 측정 노드(도 8의 364)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492)의 기구 삽입홈(342)에 끼워진다.
상기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은,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의 마주하는 면에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제2 나사 삽입홀(345)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도 8의 344)을 갖는다. 상기 로드 셀(496)은, 누름 나사(498)가 로드 셀(496)에 접촉되는 때, 누름 나사(498)의 압력 크기에 해당하는 로드 셀(496)의 전기 신호를 전장품(도 9의 400)의 디스플레이 패널(399)에 인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은, 로드 셀(496)의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디지털 숫자로 변환시켜 디지털 숫자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측정부(5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숫나사(도 8의 347) 그리고 탄성체(도 8의 348) 그리고 마개 암나사(도 8의 34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둥 숫나사(347)는, 테이프 안내편(492)의 제1 개별 나사 삽입홀(341)과 테이프 누름편(494)의 제2 나사 삽입홀(345)에 끼워져 테이프 누름편(494)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탄성체(348)는,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 사이에서 기둥 숫나사(347)에 끼워지면서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의 탄성체 삽입홀(344)에 끼워진다. 상기 마개 암나사(349)는, 테이프 누름편(494) 상에서 기둥 숫나사(347)와 나선 결합한다.
상기 마개 암나사(349)는, 도 13 및 도 14를 고려해 볼 때, 기둥 숫나사(347)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탄성체(348)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492)과 로드 셀(496)에 테이프 누름편(494)과 누름 나사(498)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탄성체(348)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492)과 로드 셀(496)로부터 테이프 누름편(494)과 누름 나사(498)를 탄성적으로 이격시킨다.
상기 푸쉬풀 게이지(370)는, 테스트 베이스(480)로부터 테이프 안내편(492)과 테이프 누름편(494) 사이에 테이프(T)의 타측을 삽입시키고 테이프 안내편(492)에 테이프 누름편(494)의 가압 상태에서, 트랙부(도 4의 160) 상에서 유도부(도 10의 450)의 이동 그리고 유도부(450)에서 하부 보조 바디(도 10의 420)에 대해 상부 보조 바디(도 10의 440)의 틸팅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안, 테이프(T)의 잡아당김을 통해 테이프(T)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도 8의 368)에 장력 값을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에서 테스트 베이스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테스트 베이스(560)는, 도 4 또는 도 7의 테스트 베이스(330)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테스트 베이스(560)는 도 7의 테스트 베이스(330)의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도면에 미도시되지만, 도 7의 320 참조)에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을 도 15와 같이 더 구비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560)는, 롤러 지지부(60)의 개별 롤러 지지 패널(50) 아래에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을 도 16과 같이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은, 측정부(380)의 건너편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수평으로 마주하면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결합한다.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은, 도 16과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관통홀(541) 그리고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두 개의 테이블 연결홀(542)을 가지는 테이프 유도편(543), 및 테이프 유도편(543)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관통홀(541)과 마주하는 제2 나사 관통홀(545)을 가지는 테이프 압착편(546)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유도편(543)은, 도 16과 같이,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접속홈(309)에 테이프 유도편(543)의 개별 테이블 연결홀(542)을 맞추어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나사 결합한다. 상기 테이프 압착편(546)은, 테이프 유도편(543)과 마주하는 면에 제2 나사 관통홀(545) 주위에 제2 나사 관통홀(545)보다 큰 직경의 탄성체 수용홀(544)을 갖는다.
또한,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은, 도 16과 같이, 테이프 유도편(543)의 제1 개별 나사 관통홀(541)과 테이프 압착편(546)의 제2 나사 삽입홀(545)에 끼워져 테이프 압착편(546)으로부터 돌출하는 관통 숫나사(547), 그리고 테이프 유도편(543)과 테이프 압착편(546) 사이에서 관통 숫나사(547)에 끼워지면서 테이프 압착편(546)의 탄성체 수용홀(544)에 끼워지는 탄성체(548), 그리고 테이프 압착편(546) 상에서 관통 숫나사(547)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암나사(54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 암나사(549)는, 관통 숫나사(547)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탄성체(548)를 통해 테이프 유도편(543)에 테이프 압착편(546)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탄성체(548)를 통해 테이프 유도편(543)으로부터 테이프 압착편(546)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킨다. 한편, 상기 테스트 베이스(560)에서,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과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은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의 사용없이 측정부(380)와 함께 테이프(578)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578)의 접착제는 보호 필름(574)으로 덮여져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578)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 15와 같이, 상기 테이프(578)는 측정부(380)의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 사이에 삽입되어 기둥 숫나사(347)와 누름 암나사(349)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343)과 테이프 누름편(346)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상기 보호 필름(574)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550)의 테이프 유도편(543)과 테이프 압착편(546) 사이에 삽입되어 관통 숫나사(547)와 누름 암나사(549)를 통해 테이프 유도편(543)과 테이프 압착편(546) 고정된다.
상기 측정부(380)는, 도 15를 고려해 볼 때, 테스트 베이스(560)와 측정부(380)에 보호 필름(574)과 테이프(578)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터(도 4의 170)의 구동을 통해 트랙부(도 4의 160) 상에서 유도부(290)의 이동 동안, 보호 필름(574) 대비 테이프(578)의 상대적 잡아당김을 통해 테이프(578)의 장력을 측정하여 푸쉬풀 게이지(370)의 모니터 화면(368)에 장력 값을 나타낸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테이프(T)의 강도 시험을 위해, 한 도막의 테이프(T)와 함께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530)가 도 17과 같이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530)는 롤러 지지부(60)에서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50) 사이에 롤러(520)를 수용한다. 상기 롤러(520)는,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롤러 지지 패널(50)의 제2 안착 홈(도 2의 48)에 끼워져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로부터 이격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530)의 테스트 베이스(330)에서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테이프(T)의 일측이 초벌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는 중부 슬라이더 (210) 주변에 위치되는 얼라이너(280)에서 고정체(260)의 회전을 통해 고정체(260)에 의해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에 안정적으로 클립시켜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테이프(T)는, 테스트 안착 테이블(310)의 외부에서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먼저 부착된 후, 고정체(260)의 회전을 통해 테스트 안착 테이블(310)에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를 안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테이프(T)는 하우징(20)의 천장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걸쳐진다.
상기 테이프(T)의 타측은 하우징(20)의 천장 상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에 롤러(520)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520)는, 예를 들면, 롤러 지지 패널(50)에서 제2 안착 홈(48)으로부터 제1 안착 홈(도 2의 44)을 향해 옮겨져 제1 안착 홈(44)에 끼워진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장품(도 9의 400)에 교류 상용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400)은 파워 서플라이(393)를 사용하여 교류 상용 전원을 직류 전용 전원으로 전환시켜 파워 서플라이(393)에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되는 트랙부(도 4의 160)와 모터부(도 4의 180)와 유도부(도 4의 290)에 직류 전용 전원을 인가한다.
계속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99)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은 전장품(400)의 컨트롤러(도 9의 395)에 전기 신호를 보낸다. 상기 컨트롤러(395)는 모터 드라이버(도 9의 397)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모터 드라이버(397)는 모터부(18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도 4의 170)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170)는 트랙부(160) 상에서 하우징(20)의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8)을 따라 유도부(도 4 또는 도 18의 290)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그리고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를 왕복 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트랙부(180) 상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의 왕복 운동 동안, 상기 롤러(520)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에 접촉되어 롤러(520)의 자체 무게를 사용하여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 상에서 테이프(T)를 짓누른다.
상기 컨트롤러(395)는, 트랙부(160) 상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의 왕복 운동 동안, 트랙부(160) 상에 위치되는 센서 모듈(150)을 통해 트랙부(160)에서 유도부(29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트랙부(160) 상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의 왕복 운동 후, 도 19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지지 패널(50)에서 제1 안착 홈(44)으로부터 제2 안착 홈(48)을 향해 롤러(520)가 옮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520)는 제2 안착 홈(48)에 끼워진다. 계속해서,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 상에 테이프(T)의 일측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T)의 중앙 영역을 접어 테이프(T)의 일측을 향해 테이프(T)의 타측을 굴곡시킨 후, 상기 테이프 측정 장비(530)의 측정부(380)에 테이프(T)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프(T)의 타측은 측정부(380)에서 테이프 안내편(도 8의 343)과 테이프 누름편(도 8의 346)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테이프 누름편(346)은 누름 나사(349)를 통해 테이프 안내편(343)에 테이프(T)의 타측을 가압한다. 물론, 상기 측정부(380)는 승강기(도 3 또는 도 19의 110)를 이용하여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의 수평 레벨에 맞춰 수직으로 레벨 조정될 수도 있다.
이후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99)은 컨트롤러(395)에 전기 신호를 보낸다. 상기 컨트롤러(395)는 모터 드라이버(397)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모터 드라이버(397)는 모터부(18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170)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170)는 트랙부(160) 상에서 하우징(20)의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8)을 따라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유도부(290) 그리고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 그리고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를 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트랙부(180) 상에서 테이프 안착 테이블(310)과 테이프 부착 베이스(320)의 운동 동안, 상기 측정부(380)는 테이프(T)의 타측을 잡아당겨 테이프(T)의 장력을 측정한다.
19; 선반, 20; 하우징
60; 롤러 지지부, 110; 승강기
160; 트랙부, 180; 모터부
290; 유도부, 330; 테스트 베이스
380; 측정부, 397; 모터 드라이브
399; 디스플레이 패널, 520; 롤러
530;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Claims (47)

  1. 외부적으로 볼 때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천장에 두 개의 가이드 홀을 가지고, 내부적으로 볼 때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내부 공간을 나누는 선반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선반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승강기;
    상기 선반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롤러 지지부 주변에 위치되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트랙부와 모터부;
    상기 트랙부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의 개별 가이드 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트랙부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유도부;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유도부와 결합하는 테스트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승강기 상에 위치되어 상기 테스트 베이스와 마주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 상에 테이프의 일측을 접착시키고 상기 테이프의 중앙을 접은 후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을 향해 상기 테이프의 타측을 굴곡시키면서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탈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천장에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사각형의 양 장변에서, 일측 장변을 갖는 제1 측벽의 외주면에서 하부면에 대해 소정 각을 이루는 상부면을 가지면서, 타측 장변을 갖는 제2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고,
    상기 직사각형의 양 단변에서, 일측 단변을 갖는 제3 측벽의 외주면과 타측 단변을 갖는 제4 측벽의 외주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는 패널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에서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는 팬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제3 측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승강기 아래에서 상기 제3 측벽을 관통하는 단자 삽입홀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제4 측벽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4 측벽을 따라 위치되는 받침 다리; 및
    상기 받침 다리 상에서 제2 내지 제4 측벽에 고정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분리판 아래에 위치되는 하측 내부 공간과 상기 분리판 상에 위치되는 상측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선반의 분리판에 고정되어 상기 분리판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을 관통하는 롤러 변위 기둥;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롤러 변위 기둥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상기 개별 가이드 홀을 향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동일 크기로 위치되는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은,
    상기 롤러 변위 기둥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두 개의 롤러 지지 패널 사이에 롤러(roller)를 수용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6. 제5 항에 있어서,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돌출한 후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측면을 따라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하부 모서리 주변에 제1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롤러 변위 기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부 모서리 주변에 제2 안착홈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분리시키고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를 이동시키는 때,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스트 베이스 상에서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을 짓누르고,
    상기 측정부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를 이동시키는 때,
    상기 개별 롤러 지지 패널의 상기 제2 안착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 측벽에 고정되어 암나사홀을 갖는 수평 고정자와 함께 상기 수평 고정자의 상기 암나사홀에 치합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수직 이동자로 이루어진 나사부재;
    상기 수직 이동자와 결합되어 상기 제3 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3 측벽을 따라 상기 수평 고정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기 연결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안착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은,
    상기 측정부를 안착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는,
    상기 선반의 분리판 상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레일 모듈 그리고 상기 레일 모듈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 모듈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모듈은,
    상기 분리판 상에서 상기 분리판에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연장하는 하우징 레일(rail);
    상기 하우징 레일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레일을 따라 봉 형상으로 위치되는 코어(core) 레일; 및
    상기 코어 레일 상에서 상기 코어 레일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cover) 레일을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모듈이 하우징 레일과 커버 레일 사이에 봉 형상의 코어 레일을 가지는 때,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하우징 레일의 일 측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레인(lane)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레인 상에 위치되는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복수의 레인 상에 상기 제1 센싱 단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게 위치되는 제2 센싱 단자와 제3 센싱 단자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3 센싱 단자는,
    상기 복수의 레인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범위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센서와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 단자는,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3 센싱 단자 사이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서 상기 레일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 모듈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코어 레일과 상기 커버 레일을 수용하여 상기 코어 레일과 상기 커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슬라이더 상에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의 상기 개별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중부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더는,
    중앙 영역의 레일 홀에 상기 코어 레일을 끼워 상기 코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오각 기둥 형상의 레일 체결 바디;
    상기 레일 체결 바디의 양 측부에서 상기 레일 체결 바디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레일을 둘러싸는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 및
    상기 두 개의 레일 가이드 날개에서 하나의 레일 가이드 날개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레일을 향해 절곡되는 돌기편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편은,
    상기 트랙부 상에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레일에서 제1 센싱 단자 내지 제3 센싱 단자 중 하나에 수용되어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또는 제3 센서에 전기적으로 감지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천장 아래에서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U' 자 형상의 하부측에서 상기 커버 레일과 평행을 이루는 기저편; 및
    상기 'U' 자 형상의 좌우측에서 상기 기저편의 양 가장자리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기저편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편은,
    상기 기저편 아래에서 상기 기저편의 양 측을 통해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개별 레일 가이드 날개와 결합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개별 가이드 홀에 끼워져 상기 천장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결합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받침턱; 및
    상기 받침턱 상에 위치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 상에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탈착되는 얼라이너(aligner)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은,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상부측에서 두 개의 벽체 중(中) 개별 벽체의 외주면의 체결 요부에 끼워져 상기 개별 벽체에 결합되고,
    상기 얼라이너는,
    상기 받침턱의 상면에서 상기 받침턱의 안착 요부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턱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
    상기 벤치 구조물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 구조물은,
    상기 받침턱의 상기 안착 요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받침턱과 결합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상기 두 개의 걸림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 및
    상기 기준편을 관통하여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의 회전홀에 끼워지는 힌지 축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을 통해 상기 테스트 베이스에 클립(clip)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기준편의 제1 수용홀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서 상기 고정체의 제2 수용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외부 힘의 적용 시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한 상기 고정체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기준편에 대해 상기 고정체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주고,
    상기 기준편의 상기 제1 수용홀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제2 수용홀과 마주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유도부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 상에 안착되어 상기 중부 슬라이더에 결합되면서 상기 얼라이너의 고정체에 클립되어 접촉되거나 상기 중부 슬라이더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얼라이너의 상기 고정체로부터 벗어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 및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상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이탈 방지 홈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는,
    상기 테이프의 상기 일측에 부착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은,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을 통해 상기 고정체에 접촉되고,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는,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롤러 지지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 그리고 후방측에서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을 가지는 테이프 안내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을 가지는 테이프 누름편; 및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푸쉬풀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푸쉬풀 게이지의 측정 노드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제2 나사 삽입홀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누름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둥 숫나사;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탄성체 삽입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누름편 상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마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 암나사는,
    상기 기둥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누름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8.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로부터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동안,
    상기 테이프의 잡아당김을 통해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에 장력 값을 나타내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2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전장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전장품의 외부로부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는 콘센트와 상기 전장품의 내부에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전원 공급 단자;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직류 전용 전원으로 전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직류 전용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유도부의 제1 내지 제3 센싱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모터부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냉각 팬을 구동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패널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1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2 측벽의 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2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3 측벽의 단자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제3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파워 서플라이와 컨트롤러와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서 상기 중부 슬라이더와 결합하고, 상기 중부 슬라이더의 반대 편에서 양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제1 구형 홈 그리고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보다 더 융기되는 중앙 영역에 제2 구형 홈을 가지며, 개별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사이에 상기 제1 구형 홈과 상기 제2 구형 홈을 따라 경사진 홈을 가지는 하부 보조 바디; 및
    상기 하부 보조 바디 상에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1 구형 홈에 채워져 상기 경사진 홈에 끼워지는 날개 편, 그리고 상기 날개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2 구형 홈에 채워지는 하향 볼록 편을 가지는 상부 보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상기 날개 편과 상기 하향 볼록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1 구형 홈과 상기 제2 구형 홈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는,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중앙 영역의 제2 구형 홈에서 나선을 노출시키도록, 웜(worm)과 웜기어의 조합에서 상기 웜에 해당하는 봉 형상의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조 바디는,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상기 하향 볼록 편에서 상기 구동 기어와 마주하는 면에 나선을 가지며 상기 웜과 웜기어의 상기 조합에서 상기 웜기어에 하향 볼록 편을 대응시키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하향 볼록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제2 구형 홈에서 나선 결합하여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 동안 상기 구동 기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보조 바디에 대해 상기 상부 보조 바디를 상대적으로 틸팅(tilting)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3.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편은,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하나에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을 채우는 제1 날개 편과, 상기 제1 날개 편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으로부터 벗어나는 제2 날개 편을 가지고,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양 가장자리 영역 중(中) 나머지에서 상기 제1 날개 편과 상기 제2 날개 편을 합(合)한 모양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조 바디는,
    상기 제2 날개 편으로부터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측부를 향해 현수(懸垂)하여 상기 하부 보조 바디에 고정되는 위치 잠금 편; 및
    상기 하부 보조 바디 상에서 상기 상부 보조 바디의 틸팅 동안 상기 위치 잠금 편의 원호 슬릿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2 날개 편을 관통해서 상기 제1 날개 편을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상기 경사진 홈에 밀착시키는 로딩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나사는.
    상기 하부 보조 바디의 구동 기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5.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상부 보조 바디 상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보조 바디에 결합되는 테이프 안착 테이블;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상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이탈 방지 홈에 착지하는 테이프 부착 베이스; 및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에서 마주하는 안내 홈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고정되는 클립 지그(clip jig)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지그는,
    얼라이너 그리고 상기 얼라이너를 둘러싸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 상에서 상기 얼라이너를 통해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에 접촉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이너는,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 및 상기 거치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벤치 구조물;
    상기 벤치 구조물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체; 및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벤치 구조물과 상기 고정체를 둘러싸도록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U' 자 형상에서 하부측에 플랫폼(platform)과 좌우측에 펜스(fence)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고정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 구조물은,
    상기 플랫폼과 상기 펜스 사이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상기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면서 마주하는 두 개의 걸림편;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상기 두 개의 걸림편과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준편; 및
    상기 기준편을 관통하여 상기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 나사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8.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두 개의 걸림편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에 가까이 위치되어 개별 걸림편의 회전홀에 끼워지는 힌지 축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상기 힌지 축을 통해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두 개의 걸림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부측에 위치되는 고정턱을 통해 상기 테이프 부착 베이스에 클립시켜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39.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벤치 구조물에서 기준편의 제1 수용홀 그리고 상기 고정체에서 상기 고정체의 제2 수용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체에 외부 힘의 적용 시 상기 벤치 구조물에 대한 상기 고정체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기준편에 대해 상기 고정체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해주고,
    상기 기준편의 상기 제1 수용홀은,
    상기 고정체의 상기 제2 수용홀과 마주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전방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중심 가까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과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제1 개별 나사 삽입홀의 측부에 위치되는 두 개의 끼움홈, 그리고 후방측에서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기구 삽입홈을 가지는 테이프 안내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나사 삽입홀 사이의 테이프 안내편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끼움홈 주변의 테이프 안내편으로부터 수직하게 이격하면서 개별 끼움홈과 마주하는 끼움홀을 가지는 테이프 누름편;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개별 끼움 홈에 위치되는 로드 셀;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 셀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누름 나사; 및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푸쉬풀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전방측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후방측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푸쉬풀 게이지의 측정 노드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기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은,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제2 나사 삽입홀 주위에 동일 직경의 탄성체 삽입홀을 가지고,
    상기 로드 셀은,
    상기 누름 나사가 상기 로드 셀에 접촉되는 때,
    상기 누름 나사의 압력 크기에 해당하는 상기 로드 셀의 전기 신호를 전장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로드 셀의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전기 신호를 디지털 숫자로 변환시켜 상기 디지털 숫자를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2.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이프 안내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삽입홀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누름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기둥 숫나사;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탄성체 삽입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누름편 상에서 상기 기둥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마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 암나사는,
    상기 기둥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로드 셀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과 상기 누름 나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로드 셀로부터 상기 테이프 누름편과 상기 누름 나사를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3.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풀 게이지는,
    상기 테스트 베이스로부터 상기 테이프 안내편과 상기 테이프 누름편 사이에 상기 테이프의 상기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테이프 안내편에 상기 테이프 누름편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트랙부 상에서 상기 유도부의 이동 그리고 상기 유도부에서 하부 보조 바디에 대해 상부 보조 바디의 틸팅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동안,
    상기 테이프의 잡아당김을 통해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측정하여 모니터 화면에 장력 값을 나타내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베이스는,
    상기 롤러 지지부의 개별 롤러 지지 패널 아래에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상기 측정부의 건너편에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수평으로 마주하면서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결합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5.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두 개의 제1 나사 관통홀 그리고 상기 일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타 방향에 두 개의 테이블 연결홀을 가지는 테이프 유도편; 및
    상기 테이프 유도편 상에 위치되면서 제1 개별 나사 관통홀과 마주하는 제2 나사 관통홀을 가지는 테이프 압착편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유도편은,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의 접속홈에 상기 테이프 유도편의 개별 테이블 연결홀을 맞추어 상기 테이프 안착 테이블과 나사 결합하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6. 제4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압착편은,
    상기 테이프 유도편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2 나사 관통홀 주위에 상기 제2 나사 관통홀보다 큰 직경의 탄성체 수용홀을 가지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47. 제4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보조 안착 테이블은,
    상기 테이프 유도편의 상기 제1 개별 나사 관통홀과 상기 테이프 압착편의 상기 제2 나사 삽입홀에 끼워져 상기 테이프 압착편으로부터 돌출하는 관통 숫나사;
    상기 테이프 유도편과 상기 테이프 압착편 사이에서 상기 관통 숫나사에 끼워지면서 상기 테이프 압착편의 탄성체 수용홀에 끼워지는 탄성체; 및
    상기 테이프 압착편 상에서 상기 관통 숫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암나사는,
    상기 관통 숫나사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유도편에 상기 테이프 압착편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테이프 유도편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압착편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KR1020200110869A 2020-09-01 2020-09-01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KR10238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69A KR102380947B1 (ko) 2020-09-01 2020-09-01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69A KR102380947B1 (ko) 2020-09-01 2020-09-01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37A KR20220029037A (ko) 2022-03-08
KR102380947B1 true KR102380947B1 (ko) 2022-03-31

Family

ID=8081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69A KR102380947B1 (ko) 2020-09-01 2020-09-01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0070A (zh) * 2023-04-19 2023-08-04 山东乾元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led芯片功能测试设备
CN117233011B (zh) * 2023-11-02 2024-03-0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便携式力学测试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545A (ja) 2004-07-01 2008-02-14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ーリング方法、システム及び測定装置
JP2018048993A (ja) 2016-09-16 2018-03-29 日新製鋼株式会社 連続式摩擦・摩耗試験方法および連続式摩擦・摩耗試験機
JP2019527829A (ja) 2016-07-29 2019-10-03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マー多層および単層構造の溶融強度を測定するためのオンライン溶融張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238B2 (ja) * 1994-05-16 2001-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テープ変形測定装置
KR100194708B1 (ko) 1995-11-20 1999-06-15 정몽규 와이퍼 암 누름압 측정지그
US9341555B2 (en) * 2012-05-24 2016-05-17 Scott H Norman Abrasion wear tester
EP3662251A1 (en) * 2017-07-31 2020-06-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tensile testing fil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545A (ja) 2004-07-01 2008-02-14 メッツォ ペーパ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ーリング方法、システム及び測定装置
JP2019527829A (ja) 2016-07-29 2019-10-03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マー多層および単層構造の溶融強度を測定するためのオンライン溶融張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8048993A (ja) 2016-09-16 2018-03-29 日新製鋼株式会社 連続式摩擦・摩耗試験方法および連続式摩擦・摩耗試験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37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947B1 (ko) 테이프 장력 측정장비
KR101670762B1 (ko) 휴대용 시험장치
CN109186994A (zh) 一种充电接口插拔测试装置
KR101824714B1 (ko)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계측기
CN211317123U (zh) 一种用于发动机曲轴检测的夹具
KR101861603B1 (ko)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CN209085910U (zh) 一种充电接口插拔测试装置
CN213600633U (zh) 一种基于超声检测的金属探伤仪
CN210665017U (zh) 一种桥梁伸缩缝检测装置
CN106153534B (zh) 毛绒固结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11317962U (zh) 一种铅笔硬度计
CN214375077U (zh) 汽车中控仪表盘通电测试治具
CN209820925U (zh) 一种平拉测试工装以及固定基座
CN210894619U (zh) 一种开关电气性能测试装置
CN216050405U (zh) 扭力点检辅助装置
CN220910851U (zh) 地脚固定装置
CN106197982B (zh) 检测工装
CN215449535U (zh) 电源模块测试装置
CN210741421U (zh) 一种简易高效回转夹具跳动检具
CN210863376U (zh) 一种果实最大夹紧力测试仪
CN219266344U (zh) 一种交换机模块测试工装
CN218847583U (zh) To自动测试机
CN219870971U (zh) 一种汽车拉伸件表面检测设备
CN217725615U (zh) 一种载物台
CN209910621U (zh) 一种辅助产品位置度快速判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