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901B1 -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01B1
KR102380901B1 KR1020210145580A KR20210145580A KR102380901B1 KR 102380901 B1 KR102380901 B1 KR 102380901B1 KR 1020210145580 A KR1020210145580 A KR 1020210145580A KR 20210145580 A KR20210145580 A KR 20210145580A KR 102380901 B1 KR102380901 B1 KR 10238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support
fixing
seating groov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현욱
Priority to KR102021014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중량의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라이더가 혼자서도 고중량의 모터사이클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세울 수 있는 사용 편리성과 함께 분해 조립되도록 하여 휴대성도 갖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에 설치되는 사이드 가드에 하단을 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지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A lift device for motorcycles}
본 발명은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중량의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라이드가 혼자서도 고중량의 모터사이클을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세울 수 있는 사용 편리성과 함께 분해 조립되도록 하여 휴대성도 갖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모터사이클(즉, 이륜 차량)은 원동기를 장치하여 바퀴가 구동되도록 한 것으로 배기량과 외관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879592호(2009.01.30.)의 모터사이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964858호(2010.06.21.)의 모터사이클 등 다양한 회사에서 다양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모터사이클은 125cc 이상의 배기량을 갖는 이륜 차량으로 400cc 이상의 고출력 모터사이클의 경우 기본 차체 중량이 200kg 이상이며, 라이드가 개별적으로 부가한 각종 장치를 포함할 경우 200kg을 훨씬 초과하는 고정량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모터사이클의 경우 주행하거나 또는 주차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경사지 등에서의 주차 중 또는 라이딩 중의 사고나 기타 요인으로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kg이 넘는 모터사이클을 일으켜 세우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라이더 혼자 힘으로는 모터사이클을 일으켜 세우지 못하므로, 일행 라이더의 도움 또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통해서 넘어진 모터사이클을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이에 중대형 모터사이클을 보유하고 있는 라이더들의 경우 넘어진 모터사이클을 혼자서도 쉽게 일으켜 세울 수 있는 수단으로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KR 100879592 B1 2009.01.30. KR 100964858 B1 2010.06.21.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고중량의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라이더 혼자서 모터사이클을 세우지 못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터사이클의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가드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고중량의 모터사이클을 힘들이지 않고 라이더 혼자서 쉽게 일으켜 세울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동시에 갖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모터사이클에 설치되는 사이드 가드에 하단을 고정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지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지지대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결합구멍 하측으로 복수의 스페이스부재를 결합하며, 하단에 직각으로 고정수단결합부를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은, 양측 고정수단결합부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반호형으로 사이드 가드가 내입되는 안치홈이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안치홈에 자석이 매립 설치된 상부재와; 상부재에 형성된 안치홈과 대향으로 상향 개구된 안치홈이 형성되고 안치홈에 자석이 매립설치된 하부재와; 하부재를 상부재에 밀착시켜 사이드 가드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브래킷에 하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승강수단은 전기, 유압, 공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엑추에이터와; 양측 엑추에이터는 하단을 결속하는 간격유지구와; 엑추에이터의 피스톤 상단에 결힙되어 브래킷 상단에 형성한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지지핀으로 구성하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받침구를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지지핀은, 피스톤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에 끼워지는 축부가 양측으로 축소된 상태로 형성되고; 축부는 연결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연결구와 일체로 고정되며; 지지핀에는 상기 브래킷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부를 축소된 상태로 형성하여 결합구멍에 끼워진 지지핀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를 사용할 경우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라이더 혼자서도 모터사이클을 쉽게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지지대와, 승강수단 및 제어기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특히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제어기 등이 모터사이클에 장치되어 있는 배터리 전원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사이드 가드에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사이드 가드에 결합하여 모터사이클을 세운 상태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를 실제 사용한 예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1)는 모터사이클(A)에 설치되어 엔진등을 보호하는 사이드 가드(B)에 결합하여 라이더 혼자서도 쉽게 넘어진 모터사이클(A)을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이드 가드(B)에 결합하는 지지대(2)와, 지지대(2)의 상부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지되는 승강수단(3) 및 승강수단(3)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로 대분된다.
상기 지지대(2)는 한 쌍의 브래킷(21)을 판상으로 구성하며, 상단에는 결합구멍(22)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직각으로 고정수단결합부(21a)가 형성된다.
결합구멍(22)은 일측으로 개구된 내입홈(22a)이 형성되고, 내입홈(22a)의 내측으로는 내입홈(22a)과 직각으로 걸림홈(22b)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양측 브래킷(21)에 형성된 고정수단결합부(21a) 사이에는 고정수단(23)이 결합되며, 고정수단(23)은 상부재(24)와 하부재(25)로 구분되며, 상부재(24)에는 나사구멍(24a)을 형성하고 고정수단결합부(21a) 형성된 볼트조립공(21b)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볼트(26)로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재(25)에는 핀결합공(25a)을 형성하여 고정수단결합부(21a)에 형성된 핀조립공(21c)으로 끼워지는 고정핀(27)으로 결합하여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21)은 결합구멍(22)의 하측으로 복수의 피스결합공(21d)을 형성하고 피스결합공(21d)으로 끼워지는 피스(29a)를 양측 브래킷(21)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스부재(29)와 결합토록 하여 양측 브래킷(21)을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상부재(24)에는 사이드 가드(B)의 단면에 부합하도록 하향 개구된 반호형의 안치홈(24b)을 형성하며, 안치홈(24b)에는 자석(28)을 매립하여 자성체로 제공되는 사이드 가드(B)에 자력으로 붙을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재(25)를 사이드 가드(B)의 단면에 부합하도록 상향 개구된 반호형의 안치홈(25b)을 형성하며, 안치홈(25b)에는 자석(28)을 매립하여 자성체로 제공되는 사이드 가드(B)에 자력으로 붙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23)은 먼저 브래킷(21)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재(24)를 사이드 가드(B)의 상측으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분리 상태의 하부재(25)를 상부재(24)의 반대쪽 사이드 가드(B)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핀(27)으로 브래킷(21)과 결합하는 방법으로 사이드 가드(B)에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3)은 전기, 유압, 공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엑추에이터(31)로 구성한다.
양측 엑추에이터(31)의 하단은 간격유지구(32)로 체결하고, 피스톤(31a) 상단에는 브래킷(21) 상단에 형성한 결합구멍(22)에 끼워지는 지지핀(33)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다.
상기 간격유지구(32)는 좌부재(32a)와 우부재(32b)로 분할 구성되며, 좌부재(32a)와 우부재(32b)에는 엑추에이터내입홈(32c)이 형성된다. 또한 좌부재(32a)에는 볼트내입구멍(32d)을 형성하고, 우부재(32b)에는 나사구멍(32e)을 형성하여 고정볼트(34)로 양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양측 엑추에이터(31)를 일체가 되게 한다.
피스톤(31a)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핀(33)은 피스톤(31a)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35)에 끼워지는 축부(33a)가 양측으로 축소된 상태로 형성한다. 축부(33a)는 연결구(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36)에 의해 연결구(35)와 일체로 고정되며, 지지핀(33)에는 상기 브래킷(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22)에 끼워지는 걸림부(33b)를 축소된 상태로 형성하여 결합구멍(22)에 끼워진 지지핀(33)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터(31)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받침구(37)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구(37)는 상측으로 엑추에이터(31)가 내입되는 내입홈(37a)을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접지돌부(37b)를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접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4)는 승강수단(3)을 구성하는 엑추에이터(31)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부재로 배터리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배터리 전력은 모터사이클(A)에 장치되어 있는 전력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모터사이클이 넘어진 상태에서 사이드 가드에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사이드 가드에 결합하여 모터사이클을 세운 상태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를 실제 사용한 예를 보인 사진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 장치(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지지대(2)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수단(23)을 넘어져 있는 모터사이클(A)에 설치된 사이드 가드(B)에 결합한다.
고정수단(23)의 결합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래킷(21)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재(24)를 사이드 가드(B)의 상측으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분리 상태의 하부재(25)를 상부재(24)의 반대쪽 사이드 가드(B)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핀(27)으로 브래킷(21)과 결합하는 방법으로 사이드 가드(B)에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 가드(B)에 지지대(2)를 결합한 상태에서 브래킷(21)의 상단에 형성한 결합구멍(22)으로 승강수단(3)의 지지핀(33)에 형성한 걸림부(33b)를 끼워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승강수단(3)의 엑추에이터(31)는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대(2)와 승강수단(3)을 상기와 같이 설치 및 결합한 상태에서 엑추에이터(31)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구(37)의 접지돌부(37b)를 지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어기(4)를 조작하여 엑추에이터(31)를 신장시키면, 도 7에서와 같이 엑추에이터(31)에 의해 지지대(2)가 지면과 멀어지면서 넘어져 있는 모터사이클(A)을 세워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중량의 모터사이클(A)이 넘어지더라도 주변 도움 없이 라이더 혼자서도 모터사이클(A)을 간단하게 일으켜 세울 수 있으며, 지지대(2)와 승강수단(3)이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2:지지대 21:브래킷
21a:고정수단결합부 21b:볼트조립공
21c:핀조립공 21d:피스결합공
22:결합구멍 22a:내입홈
22b:걸림홈 23:고정수단
24:상부재 24a:나사구멍
24b,25b:안치홈 25:하부재
25a:핀결합공 26:고정볼트
27:고정핀 28:자석
29:스페이스부재 29a:피스
3:승강수단 31:엑추에이터
31a:피스톤 32:간격유지구
32a:좌부재 32b:우부재
32c:엑추에이터내입홈 32d:볼트내입구멍
33:지지핀 33a:축부
33b:걸림부 34:고정볼트
35:연결구 36:고정나사
37:받침구 37a:내입홈
37b:접지돌부 4:제어기
A:모터사이클 B:사이드 가드

Claims (4)

  1. 모터사이클(A)에 설치되는 사이드 가드(B)에 하단을 고정하는 지지대(2)와;
    상기 지지대(2)의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지되는 승강수단(3)과;
    상기 승강수단(3)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에 결합구멍(22)이 형성되고, 결합구멍(22) 하측으로 복수의 스페이스부재(29)를 결합하며, 하단에 직각으로 고정수단결합부(21a)를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21)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결합부(21a)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3)은, 양측 고정수단결합부(21a)에 고정볼트(26)로 고정되며 반호형으로 사이드 가드(B)가 내입되는 안치홈(24b)이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안치홈(24b)에 자석(28)이 매립 설치된 상부재(24)와;
    상부재(24)에 형성된 안치홈(24b)과 대향으로 상향 개구된 안치홈(25b)이 형성되고 안치홈(25b)에 자석(28)이 매립 설치된 하부재(25)와;
    하부재(25)를 상부재(24)에 밀착시켜 사이드 가드(B)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브래킷(21)에 하부재(25)를 고정하는 고정핀(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은 전기, 유압, 공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엑추에이터(31)와;
    양측 엑추에이터(31)는 하단을 결속하는 간격유지구(32)와;
    엑추에이터(31)의 피스톤(31a) 상단에 결힙되어 브래킷(21) 상단에 형성한 결합구멍(22)에 끼워지는 지지핀(33)으로 구성하며;
    상기 엑추에이터(31)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받침구(37)를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33)은, 피스톤(31a)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35)에 끼워지는 축부(33a)가 양측으로 축소된 상태로 형성되고;
    축부(33a)는 연결구(35)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나사(36)에 의해 연결구(35)와 일체로 고정되며;
    지지핀(33)에는 상기 브래킷(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22)에 끼워지는 걸림부(33b)를 축소된 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KR1020210145580A 2021-10-28 2021-10-28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KR10238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80A KR102380901B1 (ko) 2021-10-28 2021-10-28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80A KR102380901B1 (ko) 2021-10-28 2021-10-28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901B1 true KR102380901B1 (ko) 2022-03-30

Family

ID=8094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580A KR102380901B1 (ko) 2021-10-28 2021-10-28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29A (ja) * 1995-09-11 1998-06-23 Mitsuhiro Fujiwara 防災用具
KR100879592B1 (ko) 2006-07-19 2009-01-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KR100964858B1 (ko) 2005-05-11 2010-06-21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KR20120138001A (ko) * 2011-06-14 2012-12-24 박규영 이륜자동차 유압식 사이드 스탠드 장치
JP2013163457A (ja) * 2012-02-10 2013-08-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二輪倒立型ロボット用転倒防止装置
JP2014073719A (ja) * 2012-10-03 2014-04-24 Jouyou:Kk 伸縮スタンド装置
KR101897449B1 (ko) * 2018-04-16 2018-09-12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KR20190120685A (ko) * 2018-08-09 2019-10-24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29A (ja) * 1995-09-11 1998-06-23 Mitsuhiro Fujiwara 防災用具
KR100964858B1 (ko) 2005-05-11 2010-06-21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KR100879592B1 (ko) 2006-07-19 2009-01-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사이클
KR20120138001A (ko) * 2011-06-14 2012-12-24 박규영 이륜자동차 유압식 사이드 스탠드 장치
JP2013163457A (ja) * 2012-02-10 2013-08-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二輪倒立型ロボット用転倒防止装置
JP2014073719A (ja) * 2012-10-03 2014-04-24 Jouyou:Kk 伸縮スタンド装置
KR101897449B1 (ko) * 2018-04-16 2018-09-12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KR20190120685A (ko) * 2018-08-09 2019-10-24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5394A1 (fr) Ensemble elevateur
US6568493B2 (en) Skid-steer loader power source attach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954783B2 (en) Folding bracket for light bar
KR102380901B1 (ko) 모터사이클용 리프트장치
CA2255184A1 (en) Knockdown garden deck
AU2014204429B2 (en) Demountable enclosures
WO2003095350A8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EP0860395B1 (fr) Grue automoteur électro-hydraulique actionnée par batterie
WO2009015413A1 (en) Self-propelled steerable jockey wheel
JP4007515B2 (ja) 愛玩動物侵入規制用柵
CN102046902A (zh) 伸缩柱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USD570429S1 (en) Exercise device for cross training
CN2767569Y (zh) 一种组合型可移动式作业平台
CN102037186B (zh) 可折叠式防撞柱系统及其安装方法
KR101361169B1 (ko) 자전거 거치장치
FR2632676A1 (fr) Garage modulaire pour automobiles
CN208389382U (zh) 一种装有led显示屏的玩具设备
KR101338121B1 (ko) 수납기능이 구비된 화단형 조립식 진지
CN209444283U (zh) 一种塔架
KR200308574Y1 (ko)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
CN218473260U (zh) 一种门禁安全监控装置
RU926U1 (ru) Велоприцеп-коляска
JP2003119736A (ja) 昇降車輪付車両進入止め組立て式バリケード
SU992399A1 (ru) Козловой самомонтирующийс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