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148B1 -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148B1
KR102380148B1 KR1020200104893A KR20200104893A KR102380148B1 KR 102380148 B1 KR102380148 B1 KR 102380148B1 KR 1020200104893 A KR1020200104893 A KR 1020200104893A KR 20200104893 A KR20200104893 A KR 20200104893A KR 102380148 B1 KR102380148 B1 KR 10238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support plate
nut
bol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875A (ko
Inventor
신현재
이재진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swaging the nut on the bolt, i.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사출공정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볼트가 삽입되는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에 대향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여, 범퍼를 보다 손쉽게 체결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Fastener for bump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개로 제작된 임의의 범퍼를 다른 범퍼와 체결하는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용차, 트럭, 버스 등 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모든 차를 통칭한다.
차량용 범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수단이다. 범퍼는 차량의 충돌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차량 내부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차량의 외형은 고속주행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복잡한 부품들을 복수개 수납한다.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외형과 내부 부품들 사이에 배치된다. 차량용 범퍼는 내부 부품들이 설치되도록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내부 부품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차량용 범퍼는 복수개로 제작되고, 이후 결합되어 설치된다.
차량용 범퍼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가 사용된다. 볼트는 하나의 범퍼와 다른 범퍼를 동시에 관통한다. 너트는 상기 볼트가 삽입된다. 볼트는 외둘레면에 나사선을 가지며, 너트도 상기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을 내둘레면에 갖는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볼트와 너트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보다 자세하게, 볼트와 너트는 주로 스틸(Steel)로 제작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강 계열의 스틸 재질로 구성된다. 하지만, 스틸 재질의 체결부재는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복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를 사용한다. 상기 와셔 또한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와셔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ㄷ'자 형태를 갖는 와셔도 있다. 상기 'ㄷ'자형 와셔는 판 형태의 와셔를 제작한 후, 벤딩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제작공정이 증가하여 제작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벤딩함에 따라 내부에 응력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범퍼와 범퍼를 보다 손쉽게 체결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차량의 주행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차량의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체결하고,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바디와 볼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하는 볼트, 및 볼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를 구비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는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하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에 대향하고 일 단이 하부지지판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사출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하부범퍼에 끼워지고, 상기 하부지지판은 하부범퍼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하부지지판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볼트바디와 볼트머리 사이에 배치되고, 볼트바디 및 볼트머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부지지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와셔의 상단에 결리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하부지지판의 일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하부지지판의 타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이 하방으로 굴곡진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상부범퍼를 관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볼트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상부범퍼, 상부범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범퍼,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 볼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를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너트는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하부"茅邦* 하부면과 마주하는 하부지지판, 일 단이 하부지지판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하부범퍼의 상부면과 마주하고 상부면이 상부범퍼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부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상부범퍼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고, 상부지지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상부지지판 삽입홈을 더 포함한다. 하부범퍼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고 하부지지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지지판 삽입홀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 조립시 차량의 무게가 감소하여 주행효율이 향상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너트는 상부지지판 삽입홈 또는 하부지지판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하부지지판에 끼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바, 이후 조립시에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어, 범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너트는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이후 조립시에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어, 범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너트는 볼트의 일 측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여, 차량의 주행중에도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외형 및 전방범퍼를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도 1에서 상부범퍼와 하부범퍼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범퍼와 하부범퍼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은 도 3를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의 단면도,
도 7은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중 너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킨, 및 스킨의 내부에 배치되는 범퍼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은 승용차의 전면을 예를 들어 작성한 도이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트럭, 버스 등 다양한 탈것에 적용될 수 있다.
범퍼는 차량 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범퍼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된다. 범퍼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범퍼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복수개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고, 따로 제작된 범퍼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범퍼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방램프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상부범퍼(10)가 배치된다. 하부범퍼(20)는 상부범퍼(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에어-인테이크의 전방을 감싼다. 상부범퍼(10)와 하부범퍼(20)는 별개로 제작되며, 제작된 후에 조립되어 하나의 전방범퍼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범퍼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범퍼이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후방범퍼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외의 다른 체결부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의 원형 점선 부분을 중심으로 확대한 도이다.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볼트(100)와 너트(200)로 구성된다.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볼트(100) 또는 너트(20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계열의 재질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체결부재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무게가 종래기술에 따른 체결부재보다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를 구비한 차량은 주행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사출공정에 의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230)과 하부지지판(220), 후크(240), 돌기(22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복잡한 형상을 갖는 바, 스틸 재질인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작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또한, 'ㄷ'자형 와셔의 경우에는, 스틸 재질로 제작할 경우, 벤딩공정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응력이 남아 내구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사출공정에 의하는 바, 벤딩공정이 필요없어 응력이 남아 내구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볼트(100)를 포함한다. 볼트(100)는 상부범퍼(10)와 하부범퍼(20)를 관통하고, 너트(200)와 결합하여 범퍼를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볼트(100)는 상부범퍼(10)와 하부범퍼(20)를 관통하는 볼트바디(110)와, 볼트바디(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120)를 구비한다.
볼트바디(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볼트바디(110)의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너트바디(210) 나사선이 형성된다. 볼트바디(110)는 상부범퍼의 볼트삽입홀(11) - 상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31) - 하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21) - 하부범퍼의 볼트삽입홀(21)을 차례로 관통한다.
볼트머리(120)는 볼트바디(110)의 상단에 형성된다. 볼트머리(120)는 직경이 볼트바디(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볼트머리(120)의 하부면은 상부범퍼(10)의 상부면과 마주한다. 하지만, 볼트(100)는 아래에서부터 삽입될 수 있고, 이때에는 볼트머리(120)의 하부면은 하부범퍼(20)의 하부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볼트머리(120)는 도 4를 참조하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와셔(130)는 체결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고, 체결부재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셔(130)는 볼트바디(110)와 볼트머리(120) 사이에 배치된다. 와셔(130)의 직경은 볼트머리(120)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와셔(130)는 볼트바디(110) 및 볼트머리(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와셔(130)의 상단에는 후크(240)가 걸리며, 볼트(1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와셔(130)가 볼트바디(110) 또는 볼트머리(120)와 별개로 제작되는 경우, 볼트(100)는 와셔(130)와 별도로 회전하여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와셔(130)는 볼트바디(110) 또는 볼트머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한다.
너트(200)는 볼트(100)와 결합하여 대상을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너트(200)는 볼트바디(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210)를 구비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부범퍼(10) 또는 하부범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워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너트(200)는 너트바디(210), 하부지지판(220), 상부지지판(230)으로 구성된다. 너트바디(210)와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은 일체로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로 사출형성된다.
너트바디(210)는 볼트바디(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너트바디(210)의 내둘레면에는 볼트바디(110)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바디(210)와 볼트바디(110)는 나사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너트바디(210)는 볼트바디(110)의 측면 및 하면을 감싼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볼트바디(110)는 너트바디(210)를 관통하고, 너트바디(210)는 볼트바디(110)의 측면만을 감쌀 수도 있다.
하부지지판(220)은 너트바디(2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부범퍼(10) 또는 하부범퍼(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과 마주한다.
하부지지판(220)은 수평으로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지지판(220)의 하단은 너트바디(210)의 상단에 연결된다.
하부지지판(220)은 볼트(10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221)이 형성된다. 하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21)은 너트바디(210)의 내둘레면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하부지지판(220)은 하부범퍼(2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하부지지판 삽입홀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범퍼(20)의 하부면에는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이 형성된다.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은 하부지지판(220)과 상하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은 하부범퍼(2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다. 하부지지판(220)은 하부지지판 삽입홈(22)에 삽입되는 바,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확한 위치라 함은, 하부범퍼의 볼트삽입홀(21)과 하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21)이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이다.
하부지지판(220)에는 돌기(222)가 형성된다. 하부지지판(220)에는 곡면부(223)가 형성된다. 돌기(222) 및 곡면부(223)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부지지판(230)은 하부지지판(220)에 대향하고, 일 단이 하부지지판(220)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상부범퍼(10) 또는 하부범퍼(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면과 마주한다.
상부지지판(230)은 수평으로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지지판(230)은 볼트(100)가 삽입하는 볼트삽입홀(231)이 형성된다. 상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31)은 하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21) 및 너트바디(210)의 내둘레면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상부지지판(230)은 상부범퍼(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상부지지판 삽입홈(12)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범퍼(10)의 하부면에는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은 상부지지판(230)과 상하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은 상부범퍼(1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다. 상부지지판(230)은 상부지지판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바,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확한 위치라 함은, 상부범퍼의 볼트삽입홀(11)과 상부지지판(230)의 볼트삽입홀이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이다.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은 일 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 단이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은 후단이 서로 연결된다.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은 전단이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범퍼(20)는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이 형성하는 개구부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너트(200)는 하부범퍼(20)에 끼워진다.
너트(200)는 상부지지판(2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와셔(130)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24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240)는 너트(200)의 후단에 형성되며,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이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후크(240)는 와셔(130)의 상단에 걸린다. 볼트(100)가 임의로 풀리는 경우, 후크(240)가 와셔(130)의 상단에 걸려있는 바, 와셔(130)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고, 따라서, 볼트(100)는 더 이상 풀릴 수 없다.
후크(240)의 단부는 볼트머리(120)에 걸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후크(240)의 단부는 볼트머리(120)의 측면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볼트머리(12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고, 볼트(100)는 더 이상 풀릴 수 없다.
너트(200)는 하부지지판(220)의 일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기 삽입홈(23)에 삽입되는 돌기(222)를 더 포함한다.
돌기 삽입홈(23)은 상부범퍼(10) 또는 하부범퍼(20)에 형성되고, 돌기(2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 삽입홈(23)은 하부범퍼(20)에 형성된다. 돌기 삽입홈(23)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부범퍼(20)를 관통하는 홀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 측이 폐쇄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222)는 볼트삽입홀을 기준으로 연결부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돌기(222)는 하부지지판의 볼트삽입홀(231)의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200)를 하부범퍼(20)에 끼울 때에는, 돌기(222)의 상단과 상부지지판(2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손쉽게 너트(200)를 끼울 수 있다. 반대로, 너트(200)를 탈착할 때에는, 너트(200)의 하단을 후방으로 당겨, 돌기(222)의 상단과 하부지지판(2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손쉽게 너트(200)를 제거할 수 있다.
돌기(222)는 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전방-하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이 용이하고, 돌기 삽입홈(23)에 걸려 탈착이 어렵게 형성된다.
너트(200)는 하부지지판(220)의 타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이 하방으로 굴곡진 곡면부(223)를 포함한다.
곡면부(223)는 볼트삽입홈을 기준으로 연결부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곡면부(223)는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이 형성하는 개구부에 형성된다. 곡면부(223)는 하부지지판(220)의 전단에 형성된다.
곡면부(223)의 단부와 상부지지판(230) 사이의 간격이 다른 부위보다 넓은 바, 너트(200)는 하부범퍼(20)에 보다 손쉽게 끼워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하부지지판(220)과 상부지지판(230)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곡면부(223)는 돌기(222)보다 더 멀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곡면부(223)의 단부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너트(200)를 보다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부범퍼(10)는 커버(13)를 포함한다. 커버(13)는 상부범퍼(10)의 외둘레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커버(13)는 하부범퍼(20)의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커버(13)가 하부범퍼(20)의 외둘레면을 감싸는 바, 상부범퍼(10)와 하부범퍼(20)는 보다 손쉽게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확한 위치라 함은, 상부범퍼의 볼트삽입홀(11)과 하부범퍼의 볼트삽입홀(21)이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상부범퍼(10)는 후크 관통홀(14)을 포함한다. 커버(13)가 상부범퍼(10)에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후크 관통홀(14)이 형성된다. 후크 관통홀(14)에는 후크(24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후크 관통홀(14)의 하단에서 커버(13)가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후크 관통홀(14)의 하단에서 커버(13)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는 상부범퍼(10)와 하부범퍼(20)가 맞닿은 후에 너트(200)가 끼워질 수 있다.
상부범퍼(10)는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을 포함한다.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은 상부범퍼(1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더욱 함몰하여 형성된다. 상부지지판 삽입홈(12)은 상부지지판(230)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부지지판(230)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삽입된다.
하부범퍼(20)는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을 포함한다.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은 하부범퍼(2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더욱 함몰하여 형성된다. 하부지지판 삽입홈(22)은 하부지지판(220)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하부지지판(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 무게가 보다 가볍고 제작비용이 작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시에 주행성능이 향상되고, 연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200)는 하부범퍼(20)에 끼워진다. 보다 상세하게, 너트(200)는 하부범퍼(20)에 형성된 하부지지판 삽입홈(22)에 끼워진다. 따라서, 이후 조립과정에서 너트(200)를 별도로 지지하지 않고도 너트(200)는 하부범퍼의 볼트삽입홀(21)과 정확하게 중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너트(200)에는 돌기(222)가 형성되고, 돌기(222)는 하부범퍼(20)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23)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이후 조립과정에서 너트(200)를 별도로 지지하지 않고도, 너트(200)가 탈착될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너트(200)가 고정된 후, 상부범퍼(10)가 하부범퍼(20)의 상부에 위치한다. 너트(200)는 후크(240)를 포함하며, 후크(240)는 상부범퍼(10)에 형성된 후크 관통홀(14)을 관통한다.
상부범퍼의 볼트삽입홀(11)과 하부범퍼의 볼트삽입홀(21)이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 경우, 볼트(100)가 볼트삽입홀들을 관통하여 너트(200)와 치합된다. 볼트(100)가 너트(200)와 완전히 고정된 경우, 후크(240)는 와셔(130) 또는 볼트머리(120)에 걸린다. 따라서, 볼트(100)는 자연적으로 풀리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상부 범퍼 20: 하부 범퍼
100: 볼트
200: 너트 210: 너트바디
220: 하부지지판 221: 볼트삽입홀
222: 돌기 223: 곡면부
230: 상부지지판 231: 볼트삽입홀
240: 후크

Claims (9)

  1. 차량의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체결하고,
    상기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바디와, 상기 볼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를 구비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상부범퍼 또는 상기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향하고, 일 단이 상기 하부지지판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상기 상부범퍼 또는 상기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바디와 볼트머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바디 및 볼트머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상부지지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셔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또는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사출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하부범퍼에 끼워지고,
    상기 하부지지판은,
    상기 하부범퍼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하부지지판 삽입홈에 삽입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하부지지판의 일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하부지지판의 타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이 하방으로 굴곡진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7. 차량의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체결하고,
    상기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바디와, 상기 볼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를 구비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를 구비하고,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범퍼 또는 하부범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상부범퍼 또는 상기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향하고, 일 단이 상기 하부지지판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상기 상부범퍼 또는 상기 하부범퍼 중 어느 하나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상부범퍼를 관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볼트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8. 상부범퍼;
    상기 상부범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범퍼;
    상기 상부범퍼와 하부범퍼를 관통하는 볼트;
    상기 볼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너트바디를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너트바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하부범퍼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하부지지판;
    일 단이 상기 하부지지판과 연결되고, 하부면이 상기 하부범퍼의 상부면과 마주하고, 상부면이 상기 상부범퍼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부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범퍼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상부지지판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범퍼는,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지지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지지판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상부지지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볼트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판은,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9. 삭제
KR1020200104893A 2020-08-20 2020-08-20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KR10238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93A KR102380148B1 (ko) 2020-08-20 2020-08-20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93A KR102380148B1 (ko) 2020-08-20 2020-08-20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875A KR20220023875A (ko) 2022-03-03
KR102380148B1 true KR102380148B1 (ko) 2022-03-30

Family

ID=8081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893A KR102380148B1 (ko) 2020-08-20 2020-08-20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001A (ja) * 1999-10-08 2001-04-1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ンパの取付構造及びバンパ取付用グロメット
JP2010030516A (ja) * 2008-07-30 2010-02-12 Honda Motor Co Ltd クリップ付ナ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946B2 (ja) * 1997-12-18 2003-03-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ー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001A (ja) * 1999-10-08 2001-04-1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ンパの取付構造及びバンパ取付用グロメット
JP2010030516A (ja) * 2008-07-30 2010-02-12 Honda Motor Co Ltd クリップ付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875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350B1 (en) Vehicles having fastener extending into apertures of respective body panels and methods
US20040195864A1 (en) Side member and bumper beam attaching structure
US20050087999A1 (en) Integrated bumper and upper fascia components of a motor vehicle
JP5044666B2 (ja) マッドガードの取付構造
US7530629B2 (en) Panel assemblies, veh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6588781B2 (en) Vehicle side step assembly
JP2005067225A (ja) 車両の床構造
EP1798135B1 (en) Wheelhouse assembly
KR102380148B1 (ko)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US20080023989A1 (en) All terrain vehicles and fender assemblies therefor
US20090001781A1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seat with compression surface
CN111845289A (zh) 车门结构及车辆
US6390533B1 (en) Synthetic resin vehicle door outer panel
WO2007080677A1 (ja) 車両の牽引フック配置構造
US20080023990A1 (en) All terrain vehicle having layered body panel configuration
KR101947686B1 (ko) 차량용 캐리어
US7510236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fender assembly
US20050084362A1 (en) Insert-nut of a carrier in a car
KR101754001B1 (ko)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 결합구조
KR20130120074A (ko) 차량의 언더커버 가조립용 플러그너트
US7527322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stay assembly
KR10127334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US7527323B2 (en) All terrain vehicles having midpoint fastener and methods
US7217016B2 (en) Lamp mounting apparatus
KR100993506B1 (ko) 트럭의 리어가드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