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78B1 -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78B1
KR102378778B1 KR1020210084470A KR20210084470A KR102378778B1 KR 102378778 B1 KR102378778 B1 KR 102378778B1 KR 1020210084470 A KR1020210084470 A KR 1020210084470A KR 20210084470 A KR20210084470 A KR 20210084470A KR 102378778 B1 KR102378778 B1 KR 10237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d pepper
pepper seeds
seasoning sauc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미쉘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이블
Priority to KR102021008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씨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여 양념장의 감칠맛과 풍미 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추씨와 식용류를 혼합하여 볶는 볶음 단계; 상기 볶음 단계 이후에 양조간장, 물엿, 흑설탕 및 조청을 추가로 혼합하여 함께 끓여 주는 혼합 가열 단계;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다진마늘, 소주 및 미림을 넣고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알콜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MAKING METHOD FOR SAUCE CONTAINING RED PEPPER SEEDS}
본 발명은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씨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여 양념장의 감칠맛과 풍미 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면서 맞벌이 및 독신가구의 증가로 인해 식생활의 간편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편의지향적인 소비자들의 니즈에 의해 식품업계에서는 간단히 조리하여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즉석 편의식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많은 시간과 식품재료들이 필요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내기보다는 언제 어디서든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즉석 편의식품 즉 인스턴트 식품 형태로 구매하여 간단히 조리하여 취식하거나, 외식산업의 발달에 따라 육개장 전문식당에서 주문하여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추워지면 매운탕이나 국물요리 또는 볶음요리 찜요리 등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밑 양념으로 통상 양념 다대기 다진양념이라고 부르는 양념장이 사용된다.
양념장은 여러가지 재료를 섞어 만든 혼합장으로서, 기본적으로 고추장과 고추가루가 들어가고, 여기에 진간장과 설탕, 마늘, 참기름, 깨소금을 혼합하여 만든다. 경우에 따라서는 새우젓이나 후추가루, 양파, 매실 등을 더 첨가하기도 한다. 우선, 고추가루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가루와 같은 전분과 섞어 진간장과 설탕, 마늘, 참기름, 깨소금 등과 같은 부재료를 섞어 만들고, 고추가루와 고추장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1:1의 비율로 넣어 준 뒤, 부재료를 섞어서 만든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582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018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추씨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여 양념장의 감칠맛과 풍미 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은, 고추씨와 식용류를 혼합하여 볶는 볶음 단계; 상기 볶음 단계 이후에 양조간장, 물엿, 흑설탕 및 조청을 추가로 혼합하여 함께 끓여 주는 혼합 가열 단계;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다진마늘, 소주 및 미림을 넣고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알콜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볶음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식용류 4 중량부를 넣고 약불로 볶듯이 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 가열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양조간장 10 중량부, 물엿 2 중량부, 흑설탕 1 중량부 및 조청 2 중량부를 추가로 넣고 흑설탕 1 중량부가 모두 녹을 때까지 약불로 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콜 혼합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진마늘 1 중량부, 소주 2 중량부 및 미림 2 중량부를 넣고, 소주 및 미림에 함유되어 있는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주며, 거품이 올라오면 가열을 중단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숙성 단계는,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1차 숙성 단계; 상기 1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3분 동안 끓인 뒤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2차 숙성 단계; 상기 2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10℃_에서 24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3차 숙성 단계; 상기 3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4차 숙성 단계; 및 상기 4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숙성이 완료된 재료들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 보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은, 상기 알콜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양념장 소분 장치를 이용하여 소분하여 용기에 담는 양념장 소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념장 소분 장치는, 상기 알콜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공급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에 투입시키는 투입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이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용기로 투입되도록 하는 구동부; 전원스위치, 작동버튼, 정지버튼, 비상정지버튼 및 속도조절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 상기 투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하는 공급 튜브; 상기 공급 튜브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투입을 제어하는 투입 벨브; 및 상기 투입 벨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가 접근하면 하부가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키는 투입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노즐은, 상기 투입 벨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단이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노즐; 상기 상부 노즐의 하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용기의 진입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절곡된 하부가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용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며, 하부가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용기의 진입 방향으로 다시 복귀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는 하부 노즐; 상기 상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의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따라 안착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하부 노즐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키는 이너 노즐; 및 상기 하부 노즐의 절곡 부위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하부 노즐의 휨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투입 벨브로 통지하는 휨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벨브는, 상기 휨 감지부로부터 상기 하부 노즐의 휨이 통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투입 노즐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한 후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레일부는, 이송되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가 상기 하부 노즐의 하단을 향하도록 접근하여 상기 하부 노즐이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공급 라인; 상기 공급 라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부 노즐이 삽입된 상기 용기가 원을 그리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 라인; 상기 공급 라인의 하단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회전 라인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하부 노즐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라인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고추씨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함으로써, 양념장의 감칠맛과 풍미 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숙성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양념장 소분 단계에서 사용되는 양념장 소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투입 노즐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이송 레일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은, 고추씨와 식용류를 혼합하여 볶는다(S110).
상기 볶음 단계 이후에 양조간장, 물엿, 흑설탕 및 조청을 추가로 혼합하여 함께 끓여 준다 (S120).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숙성시킨다 (S130).
상기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다진마늘, 소주 및 미림을 넣고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준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은, 고추씨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함으로써, 양념장의 감칠맛과 풍미 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숙성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숙성 단계(S130)는, 우선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S131).
상기 1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3분 동안 끓인 뒤 상온에서 냉각시킨다(S132).
상기 2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10℃_에서 24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S133).
상기 3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S134).
상기 4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숙성이 완료된 재료들을 냉장 보관한다(S134).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은, 알콜 혼합 단계(S140)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양념장 소분 장치(10)를 이용하여 소분하여 용기에 담는 양념장 소분 단계(S150)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양념장 소분 단계에서 사용되는 양념장 소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념장 소분 장치(10)는, 저장부(100), 투입부(200), 구동부(300), 제어부(400), 본체부(500) 및 이송 레일부(600)를 포함한다.
저장부(100)는, 알콜 혼합 단계(S140)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공급받아 저장해 두며, 구동부(300)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투입부(200)로 공급한다.
투입부(200)는, 제어부(4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저장부(100)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용기(P)에 투입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부(200)는, 공급 튜브(210), 투입 벨브(220) 및 투입 노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튜브(210)는, 저장부(100)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받아 투입 벨브(220)로 전달한다.
투입 벨브(220)는, 공급 튜브(210)의 일단에 설치되며, 공급 튜브(210)를 통해 전달받아 투입 노즐(230)로 전달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투입을 제어한다.
투입 노즐(230)은, 투입 벨브(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기(P)가 접근하면 하부가 용기(P)의 주둥이를 통해 용기(P)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공급 튜브(210)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용기(P)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킨다.
구동부(300)는, 제어부(4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저장부(100)에 저장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이 투입부(200)를 통해 용기(P)로 투입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전원스위치, 작동버튼, 정지버튼, 비상정지버튼 및 속도조절버튼 등을 구비하여 구동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체부(500)는, 저장부(100), 투입부(200) 및 구동부(3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이송 레일부(600)는, 투입부(200) 방향으로 용기(P)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양념장 소분 장치(10)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연속 적으로 공급되는 일정 용기에 적정량으로 주입, 포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투입 노즐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투입 노즐(230)은, 상부 노즐(231), 하부 노즐(232), 이너 노즐(233) 및 휨 감지부(234)를 포함한다.
상부 노즐(231)은, 투입 벨브(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단(231b)이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231c)가 하부 노즐(232)의 상부(232b)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부 노즐(231)의 하부에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돌기(231c)가 하부 노즐(232)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231c)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홈(232b)에 안착되면 체결홈(232b)의 일측을 형성하는 탈부착 가능한 벽체(232c)를 체결하여 돌기(231c)가 체결홈(232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노즐(232)은, 상부 노즐(231)의 하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용기(P)의 진입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절곡된 하부가 용기(P)의 주둥이를 통해 용기(P)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용기(P)가 이동함에 따라 용기(P)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며, 하부가 용기(P)로부터 분리되면 용기(P)의 진입 방향으로 다시 복귀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간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노즐(232)은, 용기(P)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투입 벨브(220)에 의해 하강되어 용기(P)의 주둥이를 통해 용기(P)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노즐(233)은, 상부 노즐(231)과 하부 노즐(232)의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내부 공간(231a, 232a)을 따라 안착 설치되되, 하단이 하부 노즐(232)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공급 튜브(210)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용기(P)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킨다.
휨 감지부(234)는, 하부 노즐(232)의 절곡 부위를 따라 설치되며, 하부 노즐(232)의 휨이 감지되면 이를 투입 벨브(220)로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휨 감지부(234)는, 압전센서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될 경우 전기를 발생시킨 뒤 투입 벨브(220)로 전달함으로써, 자신의 형상 변화를 투입 벨브(22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때, 휨 감지부(234)는, 압전센서 이외에도 외형 변화에 따른 감지가 가능한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 벨브(220)는, 휨 감지부(234)로부터 하부 노즐(232)의 휨이 통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즉, 용기(P)의 내측에 충분한 양의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이 투입되는 시간, 예를 들어 2초 내지 5 초 등) 동안 공급 튜브(210)로부터 투입 노즐(230)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한 후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입 노즐(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P)가 접근하면(도 8의 (a)), 하측으로 하강되어 용기(P)의 내부 공간으로 하강되어 삽입되며(도 8의 (b)), 용기(P)가 이동함에 따라 밴딩면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용기(P)로 투입시켜 주며(도 8의 (c) 내지 (e)), 용기(P)가 멀어짐에 따라 용기(P)로부터 분리된 뒤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8의 (f)).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이송 레일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 레일부(600)는, 공급 라인(610), 회전 라인(620), 배출 라인(630) 및 접근 감지 센서(640)을 포함한다.
공급 라인(610)은,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 공급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용기 공급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용기(P)의 주둥이가 하부 노즐(232)의 하단을 향하도록 접근하여 하부 노즐(232)이 용기(P)의 주둥이를 통해 용기(P)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단부에 회전 라인(620)이 연장 형성된다.
회전 라인(620)은, 공급 라인(6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하부 노즐(232)이 삽입된 용기(P)가 원을 그리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단부에 배출 라인(630)이 연장 형성된다.
배출 라인(630)은, 용기(P)로부터 하부 노즐(232)이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 라인(620)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접근 감지 센서(640)은, 공급 라인(610)의 하단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어 용기(P)가 회전 라인(620)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 뒤, 이를 투입 벨브(220)로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감지 센서(640)은, 동작 감지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과 같이 물체의 움직임 또는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투입 벨브(220)는, 접근 감지 센서(640)로부터 용기(P)가 진입함이 통지되면, 하부 노즐(232)이 용기(P)의 주둥이를 통해 삽입되어 용기(P)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도 8의 (b)의 경우) 투입 노즐(230)을 하강시켜 준다.
이를 위해, 접근 감지 센서(640)의 설치 위치는, 하부 노즐(232)의 하방에 용기(P)의 주둥이 위치할 경우를 미리 설정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 레일부(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유리병 등의 용기(P)를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 라인(620)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일정 시간 동안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충진시킴으로써,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소분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식초 소분 장치
100: 저장부
200: 투입부
300: 구동부
400: 제어부
500: 본체부
600: 이송 레일부

Claims (10)

  1. 고추씨와 식용유를 혼합하여 볶는 볶음 단계;
    상기 볶음 단계 이후에 양조간장, 물엿, 흑설탕 및 조청을 추가로 혼합하여 함께 끓여 주는 혼합 가열 단계;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다진마늘, 소주 및 미림을 넣고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제조하는 알콜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콜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양념장 소분 장치를 이용하여 소분하여 용기에 담는 양념장 소분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념장 소분 장치는,
    상기 알콜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공급받아 저장해 두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에 투입시키는 투입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이 상기 투입부를 통해 상기 용기로 투입되도록 하는 구동부;
    전원스위치, 작동버튼, 정지버튼, 비상정지버튼 및 속도조절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 상기 투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하는 공급 튜브;
    상기 공급 튜브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투입을 제어하는 투입 벨브; 및
    상기 투입 벨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가 접근하면 하부가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키는 투입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 노즐은,
    상기 투입 벨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단이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 노즐;
    상기 상부 노즐의 하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용기의 진입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절곡된 하부가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상기 용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용기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며, 하부가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용기의 진입 방향으로 다시 복귀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는 하부 노즐;
    상기 상부 노즐과 상기 하부 노즐의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따라 안착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하부 노즐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하여 투입시키는 이너 노즐; 및
    상기 하부 노즐의 절곡 부위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하부 노즐의 휨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투입 벨브로 통지하는 휨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노즐의 하부에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돌기가 상기 하부 노즐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홈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홈의 일측을 형성하는 탈부착 가능한 벽체를 체결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 벨브는,
    상기 휨 감지부로부터 상기 하부 노즐의 휨이 통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투입 노즐로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을 전달한 후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식용유 4 중량부를 넣고 약불로 볶듯이 끓이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가열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양조간장 10 중량부, 물엿 2 중량부, 흑설탕 1 중량부 및 조청 2 중량부를 추가로 넣고 흑설탕 1 중량부가 모두 녹을 때까지 약불로 끓이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 혼합 단계는,
    고추씨 4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진마늘 1 중량부, 소주 2 중량부 및 미림 2 중량부를 넣고, 소주 및 미림에 함유되어 있는 알콜이 모두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주며, 거품이 올라오면 가열을 중단시켜 주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단계는,
    상기 혼합 가열 단계가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들을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1차 숙성 단계;
    상기 1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3분 동안 끓인 뒤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2차 숙성 단계;
    상기 2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10℃_에서 24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3차 숙성 단계;
    상기 3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2℃_에서 12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4차 숙성 단계; 및
    상기 4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숙성이 완료된 재료들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 보관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일부는,
    이송되는 상기 용기의 주둥이가 상기 하부 노즐의 하단을 향하도록 접근하여 상기 하부 노즐이 상기 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공급 라인;
    상기 공급 라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부 노즐이 삽입된 상기 용기가 원을 그리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 라인;
    상기 공급 라인의 하단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회전 라인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하부 노즐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라인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84470A 2021-06-29 2021-06-29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KR10237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0A KR102378778B1 (ko) 2021-06-29 2021-06-29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0A KR102378778B1 (ko) 2021-06-29 2021-06-29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778B1 true KR102378778B1 (ko) 2022-03-25

Family

ID=8093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70A KR102378778B1 (ko) 2021-06-29 2021-06-29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980Y1 (ko) * 2005-04-12 2005-06-28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액체도포용 노즐 팁의 바늘 검사장치
JP2006199299A (ja) * 2005-01-18 2006-08-03 Koji Ejima ライン式充填機
KR20120060183A (ko) 2012-04-23 2012-06-11 박철환 발효 맛간장, 양념장 제조방법
KR20130138471A (ko) * 2012-06-11 2013-12-19 이광훈 대게를 이용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2235826B1 (ko) 2020-08-11 2021-04-02 박근양 양념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9299A (ja) * 2005-01-18 2006-08-03 Koji Ejima ライン式充填機
KR200387980Y1 (ko) * 2005-04-12 2005-06-28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액체도포용 노즐 팁의 바늘 검사장치
KR20120060183A (ko) 2012-04-23 2012-06-11 박철환 발효 맛간장, 양념장 제조방법
KR20130138471A (ko) * 2012-06-11 2013-12-19 이광훈 대게를 이용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102235826B1 (ko) 2020-08-11 2021-04-02 박근양 양념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게재, "오늘뭐먹지 레시피 : 반찬만들기 쉽게 도와주는 고추씨만능장 만드는법", (공지일: 2017.06.18.), [2021.11.22.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gabin526/22103077745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7974A (en) Sauce and gravy compositions
JPH0410097A (ja) 食品製造装置
CN204950505U (zh) 烹饪系统
CN101541189B (zh) 新的粥烹调方法
KR102378778B1 (ko) 고추씨를 포함하는 양념장의 제조 방법
CN211066114U (zh) 用于密封容器的容器盖、容器和食物贩卖机
JP2022501164A (ja) 食品調理および提供システム
US6524636B1 (en) Double chip sauce delivery system
KR101233108B1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의 액상양념 공급장치
JP5173950B2 (ja) 加熱調理器及び炊飯器
US20160060015A1 (en) Kit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stuff and relate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stuff contained in the kit
KR101775996B1 (ko) 간편식 계란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8234A (ko)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유통기한 연장 도시락의 제조방법
EP3111778A1 (en) Method for cooking rice
JP2005287505A (ja)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包装冷凍食品及びその調理方法
JP2010081897A (ja) 半調理食品
KR100216506B1 (ko) 포장 가능한 김치찌개 및 그 가공방법
KR20220038844A (ko) 양념 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51424B (zh) 一种冲泡即食油茶米粉、油茶及生产工艺
JP5710829B1 (ja) 凍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6979844U (zh) 一种智能餐饮大全柜
WO2017163272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 and kits for the preparation of said food by said process
US20200305490A1 (en) Ingredient, a method of preparing the ingredient and a method of preparing a food product with the ingredient
KR20180130400A (ko) 세척미 캡슐을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
KR101892131B1 (ko) 곡물 빙수 제조방법 및 곡물 빙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