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354B1 -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354B1
KR102377354B1 KR1020197025392A KR20197025392A KR102377354B1 KR 102377354 B1 KR102377354 B1 KR 102377354B1 KR 1020197025392 A KR1020197025392 A KR 1020197025392A KR 20197025392 A KR20197025392 A KR 20197025392A KR 102377354 B1 KR102377354 B1 KR 10237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receptacle
sleeve
electrical block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754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메이어
월터 하우드
Original Assignee
슈어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어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슈어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3Reduction of intrinsic noise in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Abstract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공동, 프레임, 프레임 상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1 전기 블록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 외부 쉘 내에 형성된 제2 공동, 키 홈 및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전기 블록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돌출부가 키 홈에 진입하고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하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7년 2월 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15/423,410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내용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들 및 마이크로폰 커넥터(connector)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은 마이크로폰의 모드 또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조명 신호들을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온보드(onboard) 조명들로 송신할 수 있고 연결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키잉(keyed) 및 해제가능하게 잠금가능한 맞물림을 갖는 슬리브(sleeve) 및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다양한 마이크로폰들은 다양한 사운드 강화 애플리케이션들에 이용되고, 여기서 사운드 소스(이를테면 말하는 인간)로부터의 오디오는 적절한 증폭 및 스피커 시스템들을 통해 청취자들에게 캡처, 송신 및 증폭된다. 마이크로폰들은 다양한 그런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커넥터들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폰을 케이블 또는 플러그에 연결하여,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된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는 다운스트림 오디오 컴포넌트들(이를테면 혼합기들 및 증폭기들) 사이에 전기 연결이 이루어진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 이를테면 회의 환경들에서, 더 많은 수의 마이크로폰은 많은 수의 오디오 소스들로부터 오디오를 캡처하는 데 활용된다. 예컨대, 회의실들, 중역 회의실들, 비디오 회의 애플리케이션들 등 같은 환경들에서 사운드 강화는 그런 환경들에서 활성화되는 많은 오디오 소스로부터 사운드를 캡처하기 위한 마이크로폰들의 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런 오디오 소스들은 예컨대 말하는 인간를 포함할 수 있다. 캡처된 사운드는 (사운드 강화를 위해) 증폭된 스피커들을 통해 환경의 현지 청중에게, 또는 (이를테면 텔레캐스트(telecast) 및/또는 웹캐스트(webcast)를 통해) 환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활용되는 더 많은 수의 마이크로폰들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들, 이를테면 피드백, 실내 노이즈 픽업(picking up) 등을 회피하기 위해 모든 마이크로폰들을 동시에 활성화시키지 않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많은 수의 마이크로폰들을 가진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활성 소스들, 이를테면 많은 사람들의 그룹에서 활성 스피커들로부터만 오디오를 픽업하기 위해, 종종 한 번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는 시스템 제어들이 활용된다. 마이크로폰들의 선택적인 활성화와 함께, 그런 마이크로폰들을 사용하는 개인들에게 마이크로폰들의 상태 또는 모드(이를테면 예컨대, 마이크로폰들이 활성화, 또는 "온"될 때, 및 마이크로폰들이 비활성화 또는 "음 소거"될 때)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의 시스템들은, 언제 어느 마이크로폰들이 활성화되는지, 및 어느 마이크로폰들이 활성화되지 않는지를 시스템의 사용자들이 알도록, 시스템의 다양한 마이크로폰들의 상태들을 표시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시스템들에서 개별 마이크로폰들이 그런 마이크로폰의 상태를 마이크로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기들, 이를테면 조명을 마이크로폰 자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조명을 마이크로폰에 부가하는 것은 전자기 간섭, 무선 주파수 간섭 및 시스템에 끼어들 수 있는 다른 노이즈에 관련된 문제들을 도입한다. 예컨대, 그런 마이크로폰들 인근에 위치된 셀 폰들을 가진 사용자들은 마이크로폰의 전기 설계의 결함들로 인해 무선 주파수 또는 GSM 간섭을 시스템에 도입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이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실수로 제거되거나 이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게 할 수 있고, 원하지 않는 전자기 간섭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연결의 견고성은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우려들을 해결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기회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키잉 및 잠금가능한 맞물림을 포함하고, 원하지 않는 간섭을 감소 또는 제거하면서, 마이크로폰의 모드 또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조명 신호들을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온보드 조명들로 송신할 수 있고 연결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커넥터에 대한 기회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1) 커넥터의 부분들 사이에 키잉 및 잠금가능한 맞물림을 제공하고; (2)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된 오디오의 다운스트림 송신 및 연결된 마이크로폰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조명으로의 조명 신호들의 업스트림 송신을 동시에 허용하고 (3) 원하지 않는 전자기 간섭을 최소화 또는 제거하도록 설계된 마이크로폰 커넥터들 및 마이크로폰들을 제공함으로써 위에서-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의도된다.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공동, 제1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1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1 전기 블록을 더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shell), 외부 쉘 내에 형성된 제2 공동 및 외부 쉘 내에 형성되고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키 홈(keyway)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전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슬리브는, (i) 돌출부가 키 홈에 진입하고 (ii)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은 헤드 및 마이크로폰 본체를 포함한다. 헤드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폰 본체는 헤드를 지지한다.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 본체 연결된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 외부 쉘 내에 형성된 공동 및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키 홈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전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전기 블록은 복수의 전기 콘택(contact)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된 콘택 포지션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는 마이크로폰의 마이크로폰 본체에 연결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 외부 쉘 내에 형성된 공동 및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키 홈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전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전기 블록은 복수의 전기 콘택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된 콘택 포지션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외부 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 및 다양한 순열들 및 양상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다음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명백하고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연결된 포지션으로 도시된, 슬리브 및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리된 포지션으로 도시된, 도 1의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전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잠겨진 또는 맞물림 포지션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섹션(5B-5B)을 따라 취해진, 도 5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영역(5C)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6a는 잠금 해제되거나 맞물림 해제된 포지션으로 도시된, 도 5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섹션(6B-6B)을 따라 취해진, 도 6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영역(6C)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7a는 잠겨진 또는 맞물림 포지션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섹션(7B-7B)을 따라 취해진, 도 7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영역(7C)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8a는 잠금 해제되거나 맞물림 해제된 포지션으로 도시된, 도 7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섹션(8B-8B)을 따라 취해진, 도 8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영역(8C)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리셉터클의 콘택터(contactor)를 도시하는, 섹션(9B-9B)을 따라 취해진 도 9a의 리셉터클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키잉(keying) 시스템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슬리브의 사시 단부도이다.
도 10b는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키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 10a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사시 단부도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
도 10d는 슬리브 및 리셉터클의 키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섹션(10D-10D)을 따라 취해진 도 10c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e는 슬리브 및 리셉터클의 키잉 시스템을 도시하는, 섹션(10E-10E)을 따라 취해진 도 10d의 마이크로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리셉터클과 맞물림 가능한 슬리브를 가진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마이크로폰의 배선도이다.
도 13은 콘택 할당들 및 기능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슬리브의 전기 블록의 단부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 예시 및 예를 든다. 이 설명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통상의 기술자가 이들 원리들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 및 교시하고, 그런 이해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뿐 아니라, 이들 원리들에 따라 생각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실시하기 위해 이들 원리들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문자 그대로 또는 균등론 하에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는 모든 그런 실시예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엘리먼트들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라벨링되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때때로 이들 엘리먼트들에는 이를테면, 예컨대, 그런 라벨링이 더 명확한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들에서 상이한 번호들이 라벨링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에 제시된 도면들은 반드시 실척으로 도시되지 않고, 일부 사례들에서, 비율들은 소정 특징들을 더 명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런 라벨링 및 도면 실무들이 반드시 실질적인 기본 목적을 나타내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전체로서 취해지고, 본원에 교시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설명 및 예시된 예시적인 시스템들, 컴포넌트들 및 아키텍처에 관하여, 본 실시예들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시스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구성 또는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다수의 구성 및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되거나 이들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도면들이 본원에 고려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들을 예시하지만, 각각의 실시예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시스템에 존재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 커넥터(1)가 묘사된다. 도 1은 연결된 포지션의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묘사하는 반면, 도 2는 분리된 포지션의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묘사한다. 마이크로폰 커넥터(1)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짝을 이루고,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연결 및 분리를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2 개의 짝을 이룬 부분, 즉 리셉터클(10) 및 슬리브(4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0)은 도 1에 묘사되고 본원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연결을 완료하도록 슬리브(40)를 수용한다.
일반적으로, 슬리브(40)는 마이크로폰(80)(도 11에 도시됨)에 연결되고, 슬리브(40)와 마이크로폰(80)을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다른 커넥터를 통해 마이크로폰(80)과 통신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0)는 예컨대 마이크로폰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결정되도록 마이크로폰(80)에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은 마이크로폰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다양한 표면에 연결, 또는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10)은 테이블, 독서대, 연단, 책상, 또는 다른 적절한 표면 상에 표면 장착될 수 있고, 리셉터클(10)로부터의 배선 및 케이블링은 리셉터클(10)을 사운드 강화 시스템, 이를테면 혼합기, 증폭기 등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접촉한다.
슬리브(40)는 일반적으로 외부 표면(44) 및 내부 표면(46)을 가진 외부 쉘(4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외부 쉘(42)은 단단하고,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외부 쉘(42)은 외부 표면(44)과 내부 표면(46) 사이에 얇은-벽 하우징을 형성한다. 지지부(50)는 슬리브(40)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리브(40)의 원위 단부(48)로부터 이격된다. 지지부(50)는 구조적으로 슬리브(40)에 의해 지지되고, 슬리브(40)에 연결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50)는 슬리브(40)의 내부 표면(46)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0)가 슬리브(40)의 원위 단부(48)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공동(52)은 원위 단부(48)에 인접하여 슬리브(40) 내에 형성된다.
공동(52)은 일반적으로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과 지지부(50)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공동(52)은 일반적으로 외부 쉘(42)의 내부 벽(46)의 윤곽부들에 의해 형성된 형상이 원통형이다. 슬리브(40)는 전기 콘택들을 하우징하고,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과 짝을 이룰 때 전기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블록(60)을 더 포함한다. 전기 블록(60)은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전기 블록(60)은 공동(52) 내부에 위치결정되고, 공동(52) 내에 지지된다. 전기 블록(60)은 공동(52) 내에 위치결정되고 유지되도록, 지지부(50), 또는 슬리브(40)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들에 의해 연결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은 리셉터클(10)의 개구(24)에 가까이 위치결정된 대응하는 전기 블록(30)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과 통신하게 되고,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2 개의 피스(piece)가 연결될 때,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은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과 통신하게 되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전기 연결들을 형성한다.
전기 블록(60)은 슬리브(40)의 전기 콘택들(62)을 하우징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 또는 콘택 포지션(68)(도 10a에서 보여짐)을 포함한다. 개구들, 또는 콘택 포지션들(68)은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 상의 수 콘택들(32)에 대한 진입 점들이다. 실시예에서,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은 콘택 포지션들(68)의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이 중 일부는 오디오 콘택들(64)을 하우징할 수 있고, 이 중 다른 부분들은 조명 콘택들(66)을 하우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40)의 콘택들(62), 구체적으로 오디오 콘택들(64) 및 조명 콘택들(66)은,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이 짝을 이루거나 연결될 때 리셉터클(10)의 콘택들(32)과 통신하도록 전기 블록(60)의 콘택 포지션들(68)에 인접하여, 그 내부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도 10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기 블록(60)의 콘택 포지션들(68)은 5 개의 콘택 포지션(68)의 2 개의 행을 가지거나, 또는 커넥터(60)에 2 x 5 어레이의 콘택 포지션들(68)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 어레이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택 포지션들(68)의 다른 기하학적 구성들이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은 또한 다양한 기하학적 배열들 및 구성들을 취할 수 있고, 이는 이들 사이의 연결을 지지하기 위해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의 기하학적 구성들에 상보적일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리셉터클(10)의 상세 도면들이 도시된다. 리셉터클(10)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0)의 컴포넌트들이 지지되고 위치결정되는 외부 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된다. 리셉터클(10)은 일 단부에 개구(24)를 가지며, 그 개구에 슬리브(40)가 수용된다. 개구(24)에 가까이,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은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셉터클(10)의 장착을 돕는 선택적인 플랜지(flange)(1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3)는 장착 하드웨어, 이를테면 리셉터클(10)을 다양한 표면들에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나사들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홀(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크기의 홀은 홀을 통해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을 받아들이고, 플랜지(13)로 하여금 장착 표면에 인접하거나, 자리하게 하기 위해 장착 표면 내(이를테면 책상, 독서대, 회의 테이블 등 내)에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리셉터클(10)은 플랜지(13)의 홀들(14)을 통해 장착 표면 내로 삽입되는 장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장착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절한 크기 홀들은 원하는 장착 표면 내로 구멍이 뚫릴 수 있고, 나사들은 플랜지(13)의 홀들(14)을 통해 나사들을 뚫린 홀들 내로 삽입하고 플랜지(13)를 장착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장착 방법들은 리셉터클(10)을 다양한 표면들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10)은 리셉터클(10) 내부에 형성된 공동(15) 내에 위치결정된 내부 프레임(16)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16)은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도면들에 묘사된 바와 같이 지지된다. 실시예에서, 프레임(16)은 하우징(12)과 분리된 컴포넌트일 수 있지만, 프레임(16) 및 하우징(12)이 상호연결될 때(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하우징(12)에 의해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프레임(16)은 단일, 통합된 컴포넌트이도록 하우징(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의 내부는 도 3b 및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동(15)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프레임(16)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공동(15) 내에 위치결정된다. 공동(15)은 하우징(12)의 내부 벽(11)에 의해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다.
실시예에서, 프레임(16)은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을 지지한다. 전기 블록(30)은 프레임(16) 내부 상에 지지될 수 있고, 리셉터클(10)의 개구(24)에 인접한 프레임(16)의 단부에서 오리피스(orifice)(17)를 통해 돌출한다.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은 실시예에서 블록(3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콘택(3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의 블록(30)의 전기 콘택들(32)은 수형인 반면, 슬리브(40)의 대응하는 콘택들(62)은 암형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콘택들(32, 62)은 성이 반대일 수 있거나, 리셉터클(10)과 슬리브(40)가 연결되어 짝을 이룰 때, 전기 블록들(30, 60) 사이의 전기 연결들을 완료하는 다른 형태들의 전기 콘택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0)은, 리셉터클(10)과 슬리브(4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연결될 때 리셉터클(10)과 슬리브(40)가 기계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리브(40) 상에 상보적인 래치 맞물림 구조와 맞물리기 위한 래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래치(20)는 위에 치형부(20a) 또는 치형부들(20a)을 가진 금속 바아이다. 래치(20)는 프레임(16)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선택적으로 치형부들(20a)을 슬리브(40)와 기계적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해 구부러질 수 있다. 래치(20)가 맞물릴 때,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과 제자리에 잠겨진다. 작동기(21)는 래치(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작동기(21)는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작동기(21)의 작동을 위한 탭(tab)(21b)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금속 바아(21a)를 포함할 수 있다. 탭(21b)은, 작동기(21)가 동작되는 방법에 대한 명령들을 제공하는 경계, 이를테면 "미세요"라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탭(21b)을 미는 것은 금속 바아(21a)가 공동(15)으로 내측으로 슬라이딩하게 하여 래치(20)와 접촉하게 하고, 이에 의해 래치(20)를 구부리게 한다. 래치(20)의 구부러짐은 치형부들(20a)이 슬리브(40)와 맞물림을 벗어나 움직이게 하고, 이런 방식으로 작동기(21)는 잠금 포지션과 잠금 해제 포지션 사이에서 래치(20)를 작동시키도록 동작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작동기(21)는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 측면의 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는 나사(21c)를 포함한다. 금속 바아(21a) 처럼, 나사 작동기(21c)는 잠금 포지션과 잠금 해제 포지션 사이에서 래치(20)를 구부리도록 동작한다. 래치(20)의 작동, 및 잠금 메커니즘의 동작은 도 5 및 도 6에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리셉터클(10)은, 마이크로폰 커넥터(1)가 일 방향으로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작동하는 키잉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구조들을 더 포함한다.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은 돌출부(18)를 포함한다. 돌출부(18)는 슬리브(40)의 대응하는 그루브 또는 키 홈(도 10a 내지 도 10d에 더 상세히 도시됨)과 짝을 이뤄, 슬리브(40)는, 돌출부(18) 및 키 홈이 정렬되는 경우에만 리셉터클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돌출부(18)는 공동(15) 내에 위치되고, 프레임(16)에 연결되거나 프레임(16)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공동(15) 내로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8)는 리셉터클(10)의 다른 영역들, 이를테면 하우징(12)의 내부 벽(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10)은 또한 키잉 시스템을 더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슬리브(40)의 대응하는 돌출부들과 또한 짝을 이루는 그루브들 또는 키 홈들(26a,b)을 포함한다(도 10a 내지 도 10d에 더 상세히 도시됨). 실시예에서, 키 홈들(26a,b)은 전기 블록(30)에 인접한 프레임(16)의 대향 측들에 위치된다. 키잉 시스템의 다른 구조들과 같이, 키 홈들(26a,b)은 슬리브(40)의 돌출부들과 짝을 이룸으로써, 삽입 동안 리셉터클(10)과 슬리브(40)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키잉 시스템은 콘택들(32, 62) 사이의 적절한 전기 연결들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리셉터클(10) 및 슬리브(40)의 전기 블록들(30, 60)을 적절히 정렬시키도록 동작한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은, 전기 블록(30)이 연결되고 지지되는 인쇄 회로 기판(또는 PCB)(25)을 더 포함한다. PCB(25)는 전기 블록(30)에 대한 기계적 지지뿐 아니라, 전기 블록(30)의 콘택들(32)에 대한 전기 액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PCB(25)를 통해, 리셉터클(10)의 전기 연결들이 완료되고, 리셉터클(10)은 커넥터(1)가 연결될 필요가 있는 다른 다운스트림 오디오 장비, 이를테면 증폭기들, 혼합기들 등에 연결될 수 있다. PCB(25)는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에 연결 및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PCB(25)는 PCB(25)를 하우징(12)에 고정하기 위해, PCB(25)의 홀들을 통해 하우징(12)의 대응하는 홀들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27)를 통해 하우징(12)에 부착된다. 그러나, PCB(25)는 다양한 다른 방식들로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리셉터클(10)의 접지 탭(28)은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PCB(25)에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인 개스킷(gasket)(23)은 하우징(12)으로부터 PCB(25)를 절연시키기 위해 PCB(25)와 하우징(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지 탭(28)은 본 발명의 선택적인 피처(feature)이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개스킷(23)은 발포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거나, 고무, 비닐, 종이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리셉터클(10)은 콘택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택터(22)는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 및 하우징(12)과 슬리브(40)의 구조들 사이의 전기 접지 연결을 보장하는 구부림가능 금속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택터(22)는 콘택터(22)를 구부리고, 프레임(16)과 하우징(12) 사이에 콘택터(22)를 삽입하고, 콘택터(22)를 해제함으로써 프레임(16)과 하우징(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콘택터(22)의 자연 탄성은 콘택터(22)가 프레임(16)과 하우징(12) 둘 모두와 접촉하게 한다. 콘택터(22)는 프레임(16), 하우징(12), 리셉터클(10)의 다른 컴포넌트들, 및 슬리브(40)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접지 연결을 유지하고, 이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전자기 절연 및 차폐를 개선시킨다. 콘택터(22)의 구성 및 동작은 도 9a 및 도 9b에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5a-도 5c 및 도 6a-도 6c를 참조하여,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실시예의 잠금 메커니즘의 동작의 상세한 설명이 묘사된다. 묘사된 실시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금속 바아(21a)를 포함하는 작동기(21)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20)를 포함한다. 도 5b에서, 리셉터클(10)의 단면(도 5a의 라인(5B-5B)을 따라 취해짐)이 묘사되고,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에 연결된다.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40)는, 래치(20)가 잠금 포지션에서 맞물릴 때까지 리셉터클(10) 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5c에 더 상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래치(20)의 치형부들(20a)은, 치형부들(20a)이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에 형성된 립(lip)(56)에 도달할 때까지,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의 내부 벽(11)을 따라 통과한다. 구부림가능 래치(20)의 탄성은 구부림가능 래치(20)가 자신의 펴진(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래치(20)의 치형부들(20a)이 내부 표면(46)의 립(56)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57)에 진입하게 한다. 치형부들(20a)이 그루브(57)에 진입할 때, 치형부들(20a)은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로부터 제거 또는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립(56)과 맞물린다. 이런 방식으로, 래치(20), 치형부들(20a), 립(56) 및 그루브(57)는 커넥터(1)의 잠금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더 구체적으로, 립(56)은 슬리브(40) 상에 래치 맞물림 구조를 형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탭들, 멈춤쇠들, 치형부들, 리브(rib)들, 나사 산들 또는 래치(20)를 해제가능하게 맞물림할 수 있는 다른 기계적 구조들을 포함하는 다른 래치 맞물림 구조들이 이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10)로부터 슬리브(40)의 제거 및 추출은 도 6a-도 6c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래치(20)의 맞물림 해제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래치(20)의 맞물림 해제는 대체로 맞물림 프로세스의 반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 해제는 작동기(21)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도 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작동기(21)는 리셉터클(10)의 공동(15) 내로의 방향으로 작동기(21)의 탭(21b)을 아래로 밈으로써 작동되는 금속 바아(21a)이다. 탭(21b)이 아래로 밀어질 때, 작동기(21)는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 내로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작동기(21)의 형상화된 부분은 래치(20)와 접촉하게 되고, 이는 래치(20)가 리셉터클(10)의 공동(15) 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도 6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래치(20)가 작동기(21)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구부러질 때, 치형부들(20a)은 그루브(57) 밖으로 이동하고 슬리브(40)의 립(56)을 맞물림 해제한다. 일단 맞물림 해제되면,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로부터 추출 또는 빼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분리한다. 이런 방식으로, 작동기(21)는 래치(20)를 맞물림 또는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맞물림 해제 또는 잠금 해제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7a-도 7c 및 도 8a-도 8c를 참조하여,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잠금 메커니즘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동작이 묘사된다. 묘사된 실시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은 나사(21c)를 포함하는 작동기(21)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20)를 포함한다. 도 7b에서, 리셉터클(10)의 단면(도 7a의 라인(7B-7B)을 따라 취해짐)이 묘사되고,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에 연결된다. 도 7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40)는, 래치(20)가 잠금 포지션에서 맞물릴 때까지 리셉터클(10) 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7c에 더 상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래치(20)의 치형부들(20a)은, 치형부들(20a)이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에 형성된 립(56)에 도달할 때까지,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의 내부 벽(11)을 따라 통과한다. 구부림가능 래치(20)의 탄성은 구부림가능 래치(20)가 자신의 펴진(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래치(20)의 치형부들(20a)이 내부 표면(46)의 립(56)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57)에 진입하게 한다. 치형부들(20a)이 그루브(57)에 진입할 때, 치형부들(20a)은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립(56)과 맞물린다. 이런 방식으로, 래치(20), 치형부(20a), 립(56) 및 그루브(57)는 커넥터(1)의 잠금 메커니즘을 형성 및 지원한다.
리셉터클(10)로부터 슬리브(40)의 제거는 도 8a-도 8c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래치(20)의 맞물림 해제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래치(20)의 맞물림 해제는 대체로 맞물림 프로세스의 반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 해제는 작동기(21)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도 8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작동기(21)는 리셉터클의 하우징(12)의 홀을 통과하는 나사(21c)이다. 나사(21c)는 홀에서 나사(21c)를 조여서, 리셉터클(10)의 공동(15) 방향으로 나사(21c)가 하우징(12)으로 더 연장되게 함으로써 작동 및 전진된다. 나사(21c)가 전진됨에 따라, 나사(21c)의 끝 부분은 래치(20)와 접촉하게 되고, 이는 래치(20)가 리셉터클(10)의 공동(15) 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도 8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래치(20)가 나사(21c)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구부러질 때, 치형부들(20a)은 그루브(57) 밖으로 이동하고 슬리브(40)의 립(56)을 맞물림 해제한다. 일단 맞물림 해제되면,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로부터 맞물림 해제 또는 빼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분리한다. 이런 방식으로, 작동기(21)는 래치(20)를 맞물림 또는 잠금 포지션으로부터 맞물림 해제 또는 잠금 해제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10)의 콘택터(22)의 구성 및 동작의 상세도들이 도시된다.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콘택터(22)는 개선된 전자기 차폐 및 면역을 위해 하우징(12) 및 프레임(16)을 포함하여 리셉터클(1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슬리브(40)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전기 접촉을 접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리셉터클(10)의 엘리먼트이다. 콘택터(22)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 및 제조 동안 리셉터클(10)로 삽입되는 구부림가능,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형성한다. 콘택터(22)의 제1 단부(22a)는 리셉터클(10)의 하단 표면 상의 접지 탭(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전기 연결은 컴포넌트들을 함께 브레이징하거나, 컴포넌트들을 중간 와이어 또는 다른 전도체와 연결하거나, 컴포넌트들을 함께 납땜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컴포넌트들을 중간 컴포넌트들과 직접 또는 중간 컴포넌트들을 통해 전기 통신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전기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터(22)의 제1 단부(22a)는 리셉터클(10)의 하단을 넘어 연장되고, 접지 탭(28)과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콘택터(22)의 제1 단부(22a)는 PCB(25)를 통해 돌출하여 PCB(25)의 대향 표면 상의 접지 탭(28)에 연결된다.
콘택터(22)의 중간 부분(22b)은 도 9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과 물리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터(22)는 리셉터클(10)의 공동(15)으로 연장되어, 콘택터(22)의 중간 부분(22b)은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과 접촉한다. 콘택터(22)의 상단 부분(22c)은,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 내로 삽입될 때 슬리브(40)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이 리셉터클(10)의 공동(15) 내로 삽입됨에 따라,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은 콘택터(22)의 상단 부분(22c)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콘택터(22)가 공동(15)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콘택터(22)의 탄성은, 자신의 펴져서 구부러지지 않은 포지션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자신의 경향으로 인해, 콘택터(22)의 상단 부분(22c)이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과 접촉을 유지하게 한다.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외부 표면(44)은 도 9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의 내부 벽(11)과 접촉한다. 따라서, 콘택터(22)는 슬리브(40), 하우징(12) 및 프레임(16)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여, 이들 컴포넌트들이 리셉터클(10)의 하단 상의 접지 탭(28)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런 방식으로, 콘택터(22)는, 하우징(12), 프레임(16) 및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이 접지 탭(28)에 모두 접지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커넥터(1)에 대한 접지 엔벨로프(envelope)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콘택터(22)는 예컨대 하우징(12)의 내부 벽(11)을 통해 하우징(12)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콘택터(22)의 다른 구성들은 또한 가능하고, 슬리브(40), 프레임(16), 하우징(12) 및 접지 탭(28)과 접촉하게 하도록 기하학적으로 위치결정된 복수의 금속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콘택터(22)는 설명된 전기 전도성 및 접지를 달성하기 위해 코팅된 전도성 부분들, 이를테면 금속 스트립들, 경로들 또는 그 위의 다른 전도체들이 매립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을 포함하는 비-금속 재료들, 이를테면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콘택터(22)를 사용함으로써, 다운스트림 전기 장비가 마이크로폰 커넥터(1)에 연결될 때, 그런 장비는 접지 탭(28)에 접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모든 컴포넌트들뿐 아니라, 이에 연결된 임의의 마이크로폰들(80)이 적절히 접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0a 내지 도 10e에서,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키잉 시스템이 묘사된다. 키잉 시스템은,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슬리브(40)가 일 방향으로 또는 배향으로만 리셉터클(10)에 삽입가능하여, 전기 블록들(30, 60)의 전기 연결들이 적절히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동작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슬리브(40) 및 리셉터클(1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 연결 및 잠금 동안 서로에 관련하여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해 맞물림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돌출부들 및 키 홈들을 포함한다.
도 10a 내지 도 10e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은 돌출부(18)를 포함한다. 도 10b를 참조하여, 돌출부(18)는 공동(15) 내부, 및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 상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8)는 프레임(16)의 외부 표면 상에 있고, 리셉터클(10)로의 슬리브(40)의 삽입 방향으로 프레임(16) 아래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18)는 프레임(16)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공동(15) 내로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곡선형 또는 둥근 표면을 가진다.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보적인 키 홈(54)은 슬리브(40)에 제공되고, 돌출부(18)와 짝을 이루기 위해 유사한 곡선형 또는 둥근 구성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 홈(54)은 슬리브(40)의 외부 쉘(42)에 채널 또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키 홈(54)은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에 형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키 홈(54)은 슬리브(40)의 다른 구조들 내 또는 그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에 삽입될 때 돌출부(18)에 맞물리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의 지향성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키잉 시스템은 제2 돌출부/키 홈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은 또한 슬리브(40) 상의 상보적인 돌출부들(58a, 58b)에 의해 맞물림가능한 복수의 키 홈(26a, 26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 홈들(26a, 26b)은 제1 전기 블록(30)의 대향 측들 상에서,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홈들(26a, 26b)은 프레임(16)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리셉터클(10)로의 슬리브(40)의 삽입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프레임(16)의 길이 아래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들 또는 채널들이다. 이런 방식으로, 키 홈들(26a, 26b)은 리셉터클(10)의 공동(15) 내에 위치결정된다.
도 10a에는 키 홈들(26a, 26b)과 맞물리도록 슬리브(40) 상에 제공된 상보적인 돌출부들(58a, 58b)이 묘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58a, 58b)은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의, 슬리브(40)의 제2 공동(52) 내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돌출부들(58a, 58b)은 슬리브(40)의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 상에 형성된다. 돌출부들(58a, 58b)은 외부 쉘(42)의 내부 표면(46)으로부터 제2 공동(52)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게다가, 돌출부들(58a, 58b)은 리셉터클(10)의 슬리브(40)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내부 표면(46)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돌출부들(58a, 58b)은 일반적으로 제2 공동(52)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가진다.
도 10d 및 도 10e에 더 상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로 삽입될 때,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의 돌출부(18)가 슬리브(40)의 키 홈(54)과 정렬하도록 하고, 슬리브(40)의 돌출부들(58a, 58b)이 리셉터클(10)의 키 홈들(26a, 26b)과 정렬하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중앙 축을 중심으로 리셉터클(10)과 회전가능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이런 정렬로만 슬리브(40)는 리셉터클(10)에 삽입되어, 마이크로폰 커넥터(1)가 연결되고 맞물림, 또는 잠금 포지션에 배치되게 한다. 임의의 다른 회전가능 정렬에서, 돌출부들(18, 58a, 58b)은 컴포넌트들의 공동들(15, 52) 내의 다른 구조들과 접촉하고 방해함으로써 리셉터클(10)로의 슬리브(40)의 삽입을 방해 및 방지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돌출부들(18, 58a, 58b) 및 키 홈들(26a, 26b, 54)의 키잉 시스템은 삽입 및 연결 이전 및 동안에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의 회전가능 정렬을 보장한다. 이것은 마이크로폰 커넥터(1)가 손상 및 마모 그리고 찢어지는 것을 보호하고, 이는, 전기 블록들(30, 60) 내의 콘택들(32, 62)이 서로 적절히 맞물리고, 콘택터(22)가 슬리브(40)와 적절하게 맞물리고, 래치(20)가 슬리브(40) 상의 래치 맞물림 구조들, 이를테면 립(56) 및 그루브(57)와 적절히 맞물리도록 전기 블록들(30, 60)이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런 일관된 정렬은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전기 및 기계적 연결들에 대해 더 큰 견고성을 제공하고 커넥터(1)의 더 긴 사용 수명, 더 적은 고장들, 손상 또는 수리들, 및 개선된 신뢰성 및 성능을 제공할 것이다. 묘사된 실시예들에서 키잉 시스템이 키 홈들 및 짝을 이룬 돌출부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키 홈 시스템들은 키 홈들/돌출부들 외에, 이에 대한 대안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활용하는 마이크로폰(80)이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1)의 슬리브(40)는 마이크로폰(80)의 단부(82)와 연결, 또는 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마이크로폰(80)의 기능성은 마이크로폰의 상단(83)에 인접하여 위치된 마이크로폰의 헤드(81)에 상주한다. 헤드(81)에서, 마이크로폰(80)은 마이크로폰(80)의 상단(83)에 캡(84)을 포함한다. 헤드(81)는 헤드(81)의 하단에 카트리지 하우징(93)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81)의 컴포넌트들은 캡(84) 및 카트리지 하우징(93) 내에 위치결정되고 도 11에서 분해도로 도시된다.
캡(84)은 마이크로폰(80)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서, 캡(84)은 인접 사운드 소스(이를테면 말하는 인간)로부터의 음향파들이 마이크로폰(80)에 진입하고 마이크로폰(80)에 의해 픽업되게 하도록 스크린 또는 애퍼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캡(84)은 임의의 수의 기계적 기법들에 의해 마이크로폰(80) 본체에 부착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 세트 나사(85)는 캡(84)을 마이크로폰(80)의 상단(83) 상에 유지하기 위해 캡(84) 내의 홀을 통과한다.
마이크로폰(80)은 마이크로폰(80)에 인접한 오디오 소스로부터 음향파들을 픽업하고, 그런 음향파들을 커넥터(1)를 통해 마이크로폰(80)에 의해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들로 커버하는 트랜스듀서 엘리먼트인 카트리지(86)를 더 포함한다. 카트리지(86)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트랜스듀서, 이를테면 동적 또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카트리지 또는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카트리지(86)는 카트리지(86)에 의해 픽업된 오디오를 마이크로폰 커넥터(1)를 통해 다운스트림 오디오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증폭기, 혼합기 등에 송신할 수 있도록,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카트리지(86)는 카트리지(86)를 조립체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작용하는 유지기 링(87)을 통해 마이크로폰(80)에 고정된다. 카트리지(86)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인터페이스(또는 FET)(88)와 전기 연결된다. FET(88)는 카트리지(86), 및 카트리지(86)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유지기 링(87)은 FET(88)와 카트리지(86)를 연결하여 둘 사이의 기계적 콘택을 유지한다.
마이크로폰(80)은 또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80)의 사용자가 헤드(81)에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80)의 상단(83)에 가까이 위치결정된 하나 이상의 조명(90)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명들(90)은 환형 링, 또는 LED 링 형상으로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또는 LED)들이다. 링을 형성하는 LED들(90)은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에 (와이어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인쇄 회로 기판(조명 PCB)(91)에 지지 및 연결된다. 조명 PCB(91)는 시스템의 제어 장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업스트림의 전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어 장비는 조명 신호들을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에 송신하고, 2 개의 블록(30, 60) 사이의 전기 연결을 통해, 와이어들이 연결된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에, 그리고 추가로 조명 PCB(91)에 송신하여 LED들(90)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어 장비, 이를테면 컴퓨터들, 프로세서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다른 컴포넌트들은 사용 중일 때 마이크로폰(80)의 상태 또는 모드를 보여주기 위해 LED들(90)의 조명 엘리먼트들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LED들(90) 및 조명 PCB(91)는 PCB(91)와 FET(88) 사이에 위치결정된 중간 스페이서(89)에 의해 FET(88)에 연결되지만 이격된다.
헤드(81)의 컴포넌트들은 조립될 때 캡(84)과 카트리지 하우징(93)의 내부에 위치결정된다. LED들(90) 및 조명 PCB(91)이 카트리지 하우징(93) 내에 위치결정될 때, LED 링(90)은 카트리지 하우징(93) 내의 윈도우(94)와 정렬된다. 윈도우(94)는 LED 링(90)으로부터의 조명이 카트리지 하우징(93)의 외측에서 보이고, 동시에 마이크로폰(80) 외부의 엘리먼트들로부터 LED 링(90) 및 조명 PCB(91)을 보호하게 하는 카트리지 하우징(93)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부분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윈도우(94)는 마이크로폰(80)의 다른 부분들에 위치결정될 수 있거나, 마이크로폰(80)의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80) 구조 외부에 LED들(90)을 위치결정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0)은 실시예에서 샤프트(95), 이를테면 구부림가능 구즈넥(gooseneck) 샤프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본체(95)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샤프트(95)는 단단하거나, 구부림가능한 부분과 단단한 부분의 결합일 수 있다. 샤프트(95)는 슬리브(40)가 위치된 마이크로폰(80)의 단부(82)에서 멀리 떨어져 마이크로폰(80)의 헤드(81)를 지지하는 중공 튜브를 포함한다. 샤프트(95)는, 마이크로폰(80)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구성, 길이, 폭 및 두께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샤프트(95)는 독서대, 책상, 회의실 또는 다른 표면에 표면 장착된 마이크로폰(80)에 사용하기 위한 길고 얇은 부재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폰 본체(95)는 마이크로폰(80)의 애플리케이션 의존하는 다양한 다른 기하구조 및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스크톱 마이크로폰(80)은 데스크톱 또는 다른 적절한 표면 상에 자리하고 마이크로폰(80)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하우징하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마이크로폰 본체(95)를 가질 수 있다.
중공 샤프트(95)의 내부 채널은 마이크로폰(80)의 헤드(81) 내의 전기 컴포넌트들(이를테면 카트리지(86), FET(88), LED들(90) 및 조명 PCB(91))을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과 연결하는 전기 케이블(96)을 수용한다. 마이크로폰(80)의 헤드(81) 내 전기 케이블(96)의 단부는 케이블(96)이 헤드(81) 내에,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하우징(93) 내에 위치결정되어 유지되도록 케이블(96)에 부착된 크림프 부싱(crimp bushing)일 수 있는 부싱(92)에 의해 지지된다. 부싱(92)은 카트리지 하우징(93) 내부의 일부에 인접하여 케이블(96)이 하우징(93)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변형되거나 빼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96)은 대안적으로 납땜, 클램핑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마이크로폰(80)의 헤드(81) 및 카트리지 하우징(93)에 고정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96)은 마이크로폰(80)의 헤드(81) 내의 기능 컴포넌트들을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에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96)의 와이어들 및 이들의 기능성은 도 12에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2에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80) 및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실시예의 전기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슬리브(40)의 PCB(61)(제2 전기 블록(60)에 연결됨), 조명 PCB(91)(LED들(90)과 통신함) 및 FET(88)(카트리지(86)와 통신하고 제어함) 사이의 전기 연결들을 묘사한다. 전기 블록(60)은 전기 블록(60)의 PCB(61) 상에서 종결되는 오디오 콘택들(64) 및 조명 콘택들(66)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택(62)을 포함한다. 오디오 콘택들(64)은 전기 케이블(96)을 통과하고 카트리지(86)의 기능성을 인에이블하는 와이어들을 통해 FET(88)에 연결된다. 카트리지(86)에서 수신된 음파들은 전기 신호들로 변환되고, FET(88)에 송신되고, 전기 케이블(96)의 대응하는 와이어들 아래로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의 오디오 콘택들(64)로 전송된다. 슬리브(40)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에 연결될 때,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은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과 전기 통신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들은 리셉터클(10)의 대응하는 오디오 콘택들(34), 차례로 리셉터클(10)의 PCB(25)를 통해 연결된 시스템의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들(이를테면 증폭기들, 혼합기들 등)로 송신된다. 이런 방식으로, 마이크로폰(80)의 전기 배선은 전기 블록들(30, 60)을 통해 커넥터(1)를 걸쳐 카트리지(86)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들의 다운스트림 송신을 지원한다.
유사하게,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의 조명 콘택들(66)은 LED 링(90)의 조명들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조명 PCB(91)를 통해 LED 링(90)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명 콘택들(66)을 통해 수신된 조명 제어 신호들은 도 1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96)의 와이어들을 통해 조명 PCB로 송신된다. 조명 신호들에 대한 응답으로, 조명 PCB(91)는 마이크로폰(80)의 상태 또는 모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LED들(90)이 조명하게 하도록 LED 링(90)의 조명들을 동작시킨다. 슬리브(40)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에 연결될 때, 다운스트림 제어 시스템은 리셉터클(10)의 PCB(25)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통해 리셉터클(10)의 업스트림에 조명 제어 신호들을 전송한다. 차례로, 이들 조명 신호들은 리셉터클(10)의 전기 블록(30)을 가로질러 이들 대응하는 조명 콘택들(36, 66)을 통해 슬리브의 전기 블록(60)에 송신된다.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에서 수신된 조명 신호들은 LED들(90)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조명 PCB(91)로 업스트림으로 추가로 송신된다. 이런 방식으로, 마이크로폰 커넥터(1)는 마이크로폰(80)의 카트리지(86)에 의해 픽업된 오디오 신호들을 리셉터클(10)에 연결된 오디오 디바이스들로 다운스트림으로 전송하고, 동시에 LED들(90)을 조명하기 위해 조명 제어 신호들을 리셉터클(10)에 연결된 제어 시스템들로부터 마이크로폰(80)의 조명 PCB(91) 및 LED들(90)로 업스트림으로 전송하도록 양방향 방식으로 작용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전기 블록(60)의 다양한 기능들이 설명되는 슬리브(40)의 단부 도면의 실시예가 묘사된다.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슬리브(40)의 전기 블록(60)은 슬리브(40)의 공동(52) 내에 위치결정되고, 지지부(50)에 의해 지지된다. 전기 블록(60)은, 수신된 전기 신호들을 슬리브(4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전달하기 위해 전기 블록(60)의 다양한 전기 콘택들(62)과 통신하는 슬리브(40)의 PCBA(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블록은 전기 블록(60)에 형성된 대응하는 콘택 포지션들(68)에 위치된 10 개(10)의 콘택(62a-j)을 가진다. 콘택 포지션들(68), 및 따라 그 내부의 콘택들(62a-j)은 직사각형 어레이로 배열되어, 도 1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2 개의 행 및 5 개의 열, 또는 "2x5" 매트릭스를 가진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10 개의 콘택(62a-j)은 다양한 기능들을 가진다. 각각의 콘택(62a-j)의 특정 기능은 아래의 표 1에 보여진다.
Figure 112019089003688-pct00001
따라서, 표 1의 다양한 콘택들(62a-j)은 슬리브(40)의 PCB(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차례로 PCB는 이로부터 슬리브(40) 및 연결된 마이크로폰(이를테면 도 11의 마이크로폰(80))의 적절한 컴포넌트들로 신호들을 라우팅한다. 콘택들(62a-j)은 오디오 콘택들(64)뿐 아니라, 조명 콘택들(66)을 포함한다. 콘택들(62a-j)은 선택적으로 정보 콘택들, 이를테면 마이크로폰 식별기 콘택들(62a,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명 콘택들(66)은 조명 공급 전압(62g), 및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 제어부들(62h,i,j)을 포함한다. 조명 공급 전압(62g)은 실시예에서 +10.5V DC일 수 있는 동작 전압을 마이크로폰의 온보드 조명들에 공급한다. 조명 제어 콘택들(62h,i,j)은 조명들을 턴 온, 턴 오프, 플래싱(flashing) 등을 함으로써 조명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 신호들을 마이크로폰 상의 복수의 조명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3 개의 조명 제어 콘택(62h,i,j)은 마이크로폰 상의 3 개의 별개의 조명(이를테면, 각각 청색 LED, 녹색 LED 및 적색 LED)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디오 콘택들(64)은 캡슐(capsule) 공급 전압(62b) 및 2 개의 마이크로폰 캡슐 오디오 채널(62c,e)을 포함한다. 캡슐 공급 전압(62b)은 입력 전압을 슬리브(4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카트리지 또는 캡슐에 제공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캡슐 공급 전압(62b)은 +5V DC를 마이크로폰 카트리지들에 공급한다. 도 13의 전기 블록(60)은 최대 2 개의 카트리지를 가진 마이크로폰을 지원한다. 따라서, 콘택들(62)은 제1 마이크로폰 캡슐 오디오 채널(62e) 및 제2 마이크로폰 캡슐 오디오 채널들(62c)을 포함한다. 이들 마이크로폰 캡슐 오디오 채널들은 슬리브(4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온보드 상의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카트리지에 의해 픽업된 오디오를 반환한다.
도 13의 블록(60)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정보 콘택, 이를테면 콘택들(62a 및 62d)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정보 콘택들(62a,d)은 슬리브(40)에 연결된 마이크로폰(들) 및 카트리지(들)와 통신하는 마이크로폰 식별기 콘택들(62a,d)이다. 마이크로폰 식별기 콘택들(62a,d)은 어떤 타입의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트리지가 슬리브(40)에 연결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중계하는 식별 신호를 반환한다. 이런 방식으로, 커넥터(1)의 리셉터클(10) 측 상에 연결된 제어 시스템은, 어떤 타입의 마이크로폰들 및/또는 카트리지들이 커넥터(1)의 슬리브(40) 측에 연결되는지를 알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정보는 커넥터(1) 및 이에 연결된 컴포넌트들의 구성들, 컴포넌트들, 상태들, 모드들 및 동작들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정보 콘택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키 홈/돌출부 조합은 상보적인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브(40) 상의 키 홈(54) 및 리셉터클(10) 상의 돌출부(18)는 크기가 비교적 작고, 리셉터클(10)로의 슬리브(40)의 삽입 이전 및 삽입 동안 리셉터클(10)과 슬리브(40)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위치결정 메커니즘으로서 역할을 한다. 키 홈(54) 및 돌출부(18)는 일반적으로 아크 형상 또는 표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반원 단면을 가진다. 이런 키 홈(54) 및 돌출부(18)는 실질적으로 커넥터(1) 상의 제2 키 홈/돌출부 조합 - 즉, 리셉터클(10)의 키 홈들(26a, 26b) 및 슬리브(40) 상의 짝을 이루는 돌출부들(58a,b)보다 크기가 작다. 따라서, 이런 키 홈(54) 및 돌출부(18) 조합은 주로(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일하게) 삽입 동안 정렬을 위한 위치결정 기계적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10)의 키 홈들(26a,b)(및 슬리브(40)의 대응하는 돌출부들(58a, 58b)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더 크고, 더 견고한 기계적 맞물림 구조들이다. 그러므로, 이들 상보적인 구조들은 삽입 동안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을 정렬하는 것뿐 아니라, 슬리브(40)와 리셉터클(10)이 연결될 때 구조적 지지 및 강직성을 커넥터(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넥터(1)의 2 개의 부분이 서로 삽입될 때, 키 홈들(26a,b)과 돌출부들(58a, 58b)의 기계적 맞물림은 커넥터 상의 비틀림, 굽힘, 구부러짐 및 다른 횡력들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 이런 방식으로, 슬리브(40)가 리셉터클(10)의 내부에 있는 동안 커넥터(1)에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 키 홈(26a,b) 및 돌출부(58a, 58b) 조합들은 (삽입 동안) 위치결정 및 (삽입 이후) 지지 둘 모두의 목적을 위해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키 홈들/돌출부들의 크기, 형상, 길이, 기하구조, 허용오차들 및 구성에 의존하여, 이들은 주로(또는 유일하게) 킴 홈/돌출부 조합들의 위치결정 또는 키 홈/돌출부 조합들의 조합된 위치결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연결들을 사용하여, 제어 시스템들은 마이크로폰(80)의 상태 또는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슬리브(40)를 통해 연결된 마이크로폰(80) 상의 조명(90)을 제어하도록 리셉터클(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폰(80)이 "온" 또는 "활성"일 때, 마이크로폰(80)이 활성이고 카트리지(86)를 통해 사운드를 픽업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은 LED들(90)이 소정의 컬러(이를테면 녹색)를 조명하게 할 수 있다. 이런 "녹색"의 시각적 표시는 마이크로폰(80)의 사용자에게, 마이크로폰(80)이 턴 온되고 활성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금 마이크로폰(80)에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마이크로폰(80)이 "음 소거 상태" 모드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마이크로폰(80)이 "오프" 또는 "비활성화"인 것을 표시하도록 LED들(90)로 하여금 상이한 컬러(이를테면 적색)를 조명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적색"의 시각적 표시는 마이크로폰(80)의 사용자에게, 마이크로폰(80)의 "음 소거" 상태로 인해 사운드들이 마이크로폰(80)에 의해 픽업되지 못하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LED들(90)은 마이크로폰(80)의 다양한 상태 또는 모드와 대응하는 다수의 시각적 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방식들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LED들(90)은 다양한 모드들 또는 상태들과 대응하는 상이한 컬러들로 조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LED들(90)은, 마이크로폰(80)이 놓인 상이한 상태 또는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상이한 조명 패턴(이를테면 중단없는 조명, 짧은 깜박임, 긴 깜박임, 점멸 등)으로 조명될 수 있다. LED들(90)을 사용하여,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를 마이크로폰(80)의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많은 수의 마이크로폰(80)을 가진 더 큰 시스템들에서, 제어 시스템들은 그런 시스템의 마이크로폰들(80)의 상태들 및 모드들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그런 시스템의 많은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컬러들 및 조명 패턴들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잠금 및 키잉 피처들은 마이크로폰(80)의 최적 사용을 위해 내구성 있고 견고한 전기 연결을 보장하는 견고한 기계적 연결을 제공한다. 본원에 설명된 키 홈들 및 돌출부들은, 전기 블록들(30, 60)이 적절히 연결되도록 슬리브(40)가 적절한 배향으로 리셉터클(10)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오디오 콘택들(34, 64) 및 조명 콘택들(36,66)의 올바른 쌍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한다. 게다가, 래치(20) 메커니즘은 슬리브(40) 및 리셉터클(10)이 연결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40)의 립(56) 및 그루브(57)와 함께 작동한다. 이것은 사용 동안, 예컨대 사용자 또는 다른 객체들에 의해 범프(bump)되거나 콘택될 때 커넥터(1)의 부주의한 분리를 방지한다. 견고한 전기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면서, 래치(20)는 동시에 작동기(21)를 통해 리셉터클(10)로부터 슬리브(40)의 쉬운 분리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마이크로폰(80)을 제거 또는 분리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래치(20)를 분리하고, 커넥터(1)를 잠금해제 상태로 두고, 리셉터클(10)로부터 슬리브(40)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작동기(21)를 쉽게 작동시킨다. 이런 기능성은 예컨대 서비스, 유지 보수,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마이크로폰(80)의 쉬운 제거를 지원한다. 맞물림 해제는 추가로 다양한 마이크로폰들(80)이 사용되게 하고, 원하지 않는 마이크로폰들(80)을 분리하고 대안적인 마이크로폰들(80)을 시스템의 다양한 이용가능한 리셉터클들(10)에 재연결함으로써 상이하고 다양한 마이크로폰(80)이 빠르고 쉽게 교환 및 교체되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구조, 구성 및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그런 커넥터들(1)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폰들(80)에 의해 높은 품질 오디오 신호들의 전달을 지원한다. 마이크로폰 커넥터(1)는 원하지 않는 전기 및 무선 주파수 간섭, 예컨대 마이크로폰들(80) 및 마이크로폰 커넥터들(1)에 인접하여 활성화된 셀룰러 폰들로부터 우수한 차폐를 제공한다. 리셉터클(10)의 금속 구조는 그런 개선된 차폐를 지원한다. 게다가, 리셉터클(10)의 프레임(16) 및 하우징(12)과 슬리브(40) 사이에 위치결정된 콘택터(22)는 접지 탭(28)에 전체 리셉터클(10)의 우수한 접지를 보장하고, 그 내부의 전기 블록들(30, 60)을 포함하여, 리셉터클(10) 및 슬리브(40)의 컴포넌트들 주위에 "접지 엔벨로프"를 생성한다. 커넥터(1)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외부 전기 및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80)에 의해 캡처된 높은 오디오 품질을 보존한다.
마이크로폰 커넥터(1)에 사용된 전기 블록들(30, 60)은 임의의 다양한 적절한 전기 커넥터, 플러그, 잭 또는 종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블록들(30, 60)은, 그 내부의 콘택들(32, 62)이, 일단 연결되면, 마이크로폰 커넥터(1)의 다른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리셉터클(10)의 하우징(12) 및 프레임(16), 및 슬리브(40)의 외부 쉘(42) 및 지지부(50)로부터 절연되도록 절연된다. 실시예에서, 전기 블록들(30, 60)은 그 내부의 내부 콘택들(32, 62)을 하우징하는 짝을 이루는 플라스틱 컴포넌트들(이를테면 플러그 및 잭)이다. 콘택들(32, 62)은 다른 외부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콘택들(32, 62)은, 외부 연결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절연된 전기 블록들(30, 60)의 사용은, 오디오 콘택들(32, 62)에 의해 다운스트림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들 및 전기 블록들(30, 60)의 조명 콘택들(34, 64)에 의해 업스트림으로 전달되는 조명 신호들이 외부의 원하지 않는 전자기 간섭에 영향을 받지도 않고, 조명 신호들 및 오디오 신호들이 서로 영향을 주지도 않는 것을 보장한다. 슬리브(40) 및 리셉터클(10)의 접지 및 차폐 특성들과 커플링될 때, 마이크로폰 커넥터(1)는 절연된 전기 블록들(30, 60) 및 이에 연결된 절연된 와이어들 및/또는 전도체들을 통해 오디오 및 조명 신호들에 대한 우수한 도관을 제공한다.
도면들의 임의의 프로세스 설명들 또는 블록들은 프로세스의 특정 논리적 기능들 또는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모듈들, 세그먼트들 또는 코드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대안적인 구현들은,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관련된 기능성에 의존하여, 기능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역순을 포함하여,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부터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그 진정한, 의도된 그리고 공정한 범위 및 사상을 제한하기보다 기술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을 형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의도된다. 전술한 설명은 총 망라되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또는 변동들은 위의 지침들을 고려하여 가능하다. 실시예(들)는 설명된 기술의 원리 및 이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다양한 수정들에 기술을 활용하게 할 수 있도록 선정 및 설명되었다. 모든 그런 수정들 및 변동들은, 특허에 대한 본 출원의 출원 기간 동안 보정될 수 있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고, 그에 상응하는 폭에 따라 해석될 때, 이의 모든 등가물들은 공정하고, 합법적이고 균등하게 권리가 있다.

Claims (45)

  1.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microphone connector assembly)로서,
    리셉터클(receptacle) - 상기 리셉터클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공동,
    상기 제1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1 전기 블록, 및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 내에 형성된 제1 키 홈(keyway)을 포함함 -;

    슬리브(sleeve) - 상기 슬리브는
    외부 쉘(shell),
    상기 외부 쉘 내에 형성된 제2 공동,
    상기 외부 쉘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키 홈,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전기 블록, 및
    상기 외부 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전기 블록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제1 돌출부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i)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키 홈에 진입하고 (ii)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키 홈에 진입하고 (iii)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제1 복수의 오디오 콘택(contact) 및 제1 복수의 조명 콘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블록은 제2 복수의 오디오 콘택 및 제2 복수의 조명 콘택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릴 때, (i) 상기 제1 및 제2 복수의 조명 콘택은 서로 통신하고, (ii) 상기 제1 및 제2 복수의 오디오 콘택은 서로 통신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래치(latch)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래치 맞물림 구조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 맞물림 구조와 맞물리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맞물림 구조는 상기 외부 쉘의 내부 벽 내에 형성된 립(lip)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립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groove)에 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프레임 둘 모두와 접촉하는 콘택터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프레임, 및 상기 콘택터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오디오 콘택은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의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조명 콘택은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 상기 마이크로폰의 하나 이상의 조명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12. 마이크로폰으로서,
    헤드(head) - 상기 헤드는 카트리지를 포함함 -;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마이크로폰 본체;
    상기 마이크로폰 본체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외부 쉘;
    상기 외부 쉘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키 홈;
    상기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1 전기 블록 -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복수의 전기 콘택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된 콘택 포지션들의 어레이를 포함함 -; 및
    상기 외부 쉘의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 -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제1 단부에 인접함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리셉터클과 맞물리도록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한, 마이크로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상기 콘택 포지션들 내에 복수의 오디오 콘택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상기 콘택 포지션들 내에 복수의 조명 콘택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직사각형 어레이이고, 2 x 5 매트릭스로 배열된 10 개의 콘택 포지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콘택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카트리지와 통신하는, 마이크로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헤드, 샤프트 또는 마이크로폰 본체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mounted on) 조명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콘택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조명과 통신하는, 마이크로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홈은 아크형 표면을 가지며, 위치결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구조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의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제2 단부와 인접한, 마이크로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외부 쉘 상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는, 마이크로폰.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본체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2 공동,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3 돌출부,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전기 블록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i) 제3 돌출부가 상기 키 홈에 진입하고 (ii)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한, 마이크로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2 전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 내에 형성된 제2 키 홈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리셉터클에 맞물리는 것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키 홈에 진입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키 홈은 아크형 표면을 가지며, 위치결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키 홈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구조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래치 맞물림 구조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맞물림 구조는 상기 외부 쉘의 내부 표면 내에 형성된 립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립에 의해 형성된 그루브에 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33.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로서,
    마이크로폰의 마이크로폰 본체에 연결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외부 쉘;
    상기 외부 쉘 내에 형성된 공동;
    상기 외부 쉘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키 홈;
    상기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1 전기 블록 -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복수의 전기 콘택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된 콘택 포지션들의 어레이를 포함함 -; 및
    상기 외부 쉘의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 -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제1 단부에 인접함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리셉터클과 맞물리도록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상기 콘택 포지션들 내에 복수의 오디오 콘택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블록은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상기 콘택 포지션들 내에 복수의 조명 콘택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직사각형 어레이이고, 2 x 5 매트릭스로 배열된 10 개의 콘택 포지션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의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전기 블록의 제2 단부와 인접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외부 쉘 상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2 공동,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3 돌출부,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공동 내에 위치결정된 제2 전기 블록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i)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키 홈에 진입하고 (ii)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블록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가능한,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2 전기 블록의 단부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2 키 홈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상기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리셉터클에 맞물리는 것은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키 홈에 진입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44. 삭제
  45. 삭제
KR1020197025392A 2017-02-02 2018-01-31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KR10237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23,410 US10158931B2 (en) 2017-02-02 2017-02-02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US15/423,410 2017-02-02
PCT/US2018/016166 WO2018144557A1 (en) 2017-02-02 2018-01-31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754A KR20190109754A (ko) 2019-09-26
KR102377354B1 true KR102377354B1 (ko) 2022-03-21

Family

ID=6119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392A KR102377354B1 (ko) 2017-02-02 2018-01-31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58931B2 (ko)
EP (1) EP3577903A1 (ko)
JP (1) JP7158391B2 (ko)
KR (1) KR102377354B1 (ko)
CN (1) CN110352601B (ko)
TW (1) TWI787233B (ko)
WO (1) WO201814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2025A1 (en) * 2015-09-14 2019-02-14 Interlemo Holding S.A. Smart active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7344A1 (en) * 2006-03-28 2007-10-11 Doran Oster Microphone enhanc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225U (ko) * 1973-12-06 1975-07-21
US4261628A (en) * 1979-04-30 1981-04-14 Bunker Ramo Corporation Microphone connector
JP2597253Y2 (ja) * 1993-01-06 1999-07-0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固定装置
US6430298B1 (en) 1995-01-13 2002-08-06 Lonnie Joe Kettl Microphone mounting structure for a sound amplifying respirator and/or bubble suit
JPH11144803A (ja) * 1997-11-06 1999-05-28 Hiromi Hizume スープラ用コネクタ
US6116945A (en) 1997-12-30 2000-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US20040264726A1 (en) 2003-06-30 2004-12-30 Gauger Daniel M. Microphoning
JP4110068B2 (ja) * 2003-09-19 2008-07-0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AT502133B1 (de) 2005-07-13 2007-04-15 Neutrik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4805119B2 (ja) * 2006-12-15 2011-11-0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US20090154738A1 (en) 2007-12-18 2009-06-18 Ayan Pal Mixable earphone-microphone device with sound attenuation
JP5437157B2 (ja) * 2010-05-11 2014-03-12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CN201718017U (zh) * 2010-07-13 2011-01-19 许卫群 话筒
US9300080B2 (en) * 2013-03-15 2016-03-29 R.A. Phillips Industries, Inc. Twist lock connector assembly
CN203632828U (zh) 2013-11-18 2014-06-04 佛山市天创中电经贸有限公司 一种会议话筒底座
JP6307691B2 (ja) * 2014-03-19 2018-04-1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GB2526369B (en) 2014-05-23 2019-06-26 Itt Mf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JP6119671B2 (ja) * 2014-05-27 2017-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0164B2 (ja) 2015-02-26 2018-12-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接続装置
CN204615057U (zh) 2015-04-17 2015-09-02 宁波海曙区西尚电子有限公司 防水卡侬插座
JP6478406B2 (ja) 2015-06-22 2019-03-0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マイクロホンスタンド
US9991650B2 (en) * 2016-01-22 2018-06-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CN205828822U (zh) 2016-07-01 2016-12-21 恩平市海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安装的音频连接结构及其插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7344A1 (en) * 2006-03-28 2007-10-11 Doran Oster Microphone enhanc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8391B2 (ja) 2022-10-21
US20190116407A1 (en) 2019-04-18
KR20190109754A (ko) 2019-09-26
US20180220215A1 (en) 2018-08-02
TW201841513A (zh) 2018-11-16
US10750266B2 (en) 2020-08-18
JP2020507978A (ja) 2020-03-12
WO2018144557A1 (en) 2018-08-09
EP3577903A1 (en) 2019-12-11
CN110352601A (zh) 2019-10-18
TWI787233B (zh) 2022-12-21
CN110352601B (zh) 2022-04-08
US10158931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484B1 (en) Coax-to-power adapter
CN102027647B (zh) 连接器装置
CN103915709B (zh) 具有整体式壳体的磁性连接器
US6786757B2 (en) RJ type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4342571A (ja)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AU2007306960A1 (en) XLR cable connector
JP2009524913A (ja) 取り外し可能なプラグコネクタシステム
US10181687B1 (en) Connector module
EP1596479A1 (en) Coaxial cable distributor
US200301761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KR102377354B1 (ko) 마이크로폰 커넥터, 조립체 및 시스템
CN211017647U (zh) 一种板对板平接式射频同轴连接器
JP2011150891A (ja) 直列ユニット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US20030036313A1 (en) Plug connector with adapter
CN110011137A (zh) 电的插塞连接器
JP2007281834A (ja) 同軸用結合器
US20100015828A1 (en) Speaker connecting seat
CN102237611A (zh) 连接器防松脱机构及其连接器容置装置
US10113733B1 (en) Connector for light fixture
JP2001297822A (ja) 接続機器
WO2015160802A1 (en) Controlled-impedance cable termination with compensation for c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JP4114098B2 (ja) 電源と信号を重畳する配線の接続用ピンプラグとピンジャック
CN109980440A (zh) 连接器及其连接头
JP2008277133A (ja) 映像信号用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